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울시의 특성화고등학교 공동실습소 입지 분석

        조성아(Seong-Ah Cho),김성연(Sung-Yeun Kim)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4

        최근 특성화고등학교의 실습 교육 강화와 4차 산업혁명에 맞춘 기술교육을 위해 일선 학교에서 구비하기 어려운 산업체의 첨단 실습 장비 등을 확보한 공동실습소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를 사례로 들어 공간최적화 기법을 활용하여 특성화고등학교의 공동실습소 배치의 최적 입지에 대해 탐색하였다. 최적 입지 제안 방법으로는 학생 수를 기준으로 대형 특성화고등학교에 공동실습소를 우선 배치하는 경우에 전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이동거리 최소화와 수용 학생 최대화가 불가능하였기 때문에, P-median Problem(PMP)과 Maximal Covering Location Problem(MCLP)의 두 가지 공간최적화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PMP를 적용하여 학생들의 이동거리를 최소화하는 입지 구성에 대해 확인할 수 있었으며, MCLP를 적용하여 5개의 공동실습소를 배치하는 경우 모든 학생을 수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산출된 최적 입지는 서울시에 국한되지만, 본 연구에서 적용한 방법론적 틀은 공간적 의사결정을 바탕으로 다른 지역에서 공동실습소를 효율적으로 배치하는데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Recently, there is becoming larger interest in the public practice centers equipped with advanced manufacturing equipment of industries that is difficult to have in all vocational high schools for strengthening practical education and technical education tailored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vocational high schools. In this study, using spatial optimization approaches, we explored the optimal location sets of the public practice centers of vocational high schools in Seoul for an illustration. For the proposed optimial location methods, P-median Problem (PMP) and Maximal Coverage Location (MCLP) were used because, when the public practice centers located in priority of large vocational high schools based on the number of students, it showed that the result is not minimizing the travel distance and maximizing the demand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his study found that the PMP can find the optimal location sets that minimize the travel distance of whole students. In addition, all students can be captured through locating five public practice centers by MCLP. It should be noted that the optimal locations of this study are limited in Seoul. However, the frame of this methodology applied in this study can be utilized to locate the public practice centers in other regions based on the spatial decision making.

      • KCI등재

        탈지 인삼씨박 분말을 첨가한 영양바의 품질 특성

        조성아 ( Seong Ah Cho ),유경미 ( Kyung Mi Yoo ),이슬 ( Seul Lee ),김경탁 ( Kyung Tak Kim ),황인경 ( In Kyeong Hwang ) 한국식품조리과학회(구 한국조리과학회) 2013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29 No.3

        본 연구에서는 압착추출방법으로 착유한 후 얻은 탈지 인삼씨박 분말의 식품 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탈지 인삼씨박 분말의 첨가량(밀가루 중량의 0, 5, 10, 20%)을 달리하여 영양바를 제조하여 품질 특성을 알아보았다. 영양바의 품질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반죽의 pH와 밀도, 영양바의 비용적, 손실률과 팽창률, 색도, texture, 관능검사를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영양바 반죽의 밀도와 pH는 인삼씨박 첨가 수준 증가에 따른 뚜렷한 경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인삼씨박 분말의 첨가량이 높아질수록 인삼씨박 분말 무첨가군 대비 비용적, 손실률과 팽창률 모두 감소하였다. 영양바의 crust와 crumb 모두 L값(명도)와 b값(황색도)는 인삼씨박 분말을 첨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반면 a값(적색도)과 대조군 대비 총 색차(△)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영양바의 texture 특성은 모든 항목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으며, 특히 경도(hardness)는 인삼씨박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났다. 관능검사를 통해 인삼씨박 분말 첨가 영양바의 갈색의 정도, 인삼씨의 향과 맛, 쓴맛, 경도와 입안에서 알갱이가 느껴지는 정도에 대한 특성 강도를 평가한 결과, 모든 항목에서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대조군에 비해 강도가 높게 평가되었다. 특성 강도에 따른 각 시료의 기호도를 조사한 결과, 5-10% 첨가군에서 각 항목에 대한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10% 인삼씨박 분말 첨가 영양바에서 전반적인 기호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았을 때, 영양바에 인삼씨박 분말을 첨가는 관능 평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로써 식품 소재로써 탈지 인삼씨박의 이용가능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 of the nutrition bar with various concentrations (0, 5, 10, 20%) of defatted ginseng seed meal(DGSM). Specific gravity and pH of bar batters were lower in bars containing DGSM. Specific volume, loss rate and leavening rate of bars were decreased as DGSM increased. In color of bar crust and crumb, the L and bcolor values decreased according to the level of DGSM added, whereas the a color valuesand △ increased. The bars with 5, 10 and 20% DGSM had significantly higher hardness value than control bar (p < 0.05). The result of sensory evaluation showed that intensity scores for color, flavor, taste, after taste and texture were highest for the nutrition bar substituted with 20% DGSM. The nutrition bar with 10% DGSM attained the highest overall acceptability score. Results indicated that optimal concentration of DGSM into the nutrition bar was 10%.

      • KCI등재후보

        원유에서 분리한 Enterococcus faecalis MD366의 생리적 특성 및비만 억제 효과

        박선영 ( Sun Young Park ),조성아 ( Seong A Cho ),한누리 ( Noo Ri Han ),임상동 ( Sang Dong Lim ) 한국유가공기술과학회 2014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JMSB) Vol.32 No.2

        본 연구는 원유로부터 비만 억제 능력이 있는 젖산균을 분리 및 동정하고, 이균주의 생리적 특성을 규명하여 상업 적으로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Modified MRS 분별배지를 사용하여 노란색 집락을 형성하는 균주를 대상으로 각각 Anti-lipase activity와 Anti-adipogenic activity가 우수한 균주를 선발한 결과, MD366 균주가 최종 선발되었다. MD366 균주는 lipase 억제활성 65.03±0.94%, 지방분화억제활성27.4±1.4%로나타났으며, 동정결과Enterococcus faecalis로 판명되었고, Enterococcus faecalis MD366으로 명명하였다. E. faecalis MD366의 최적 생장 온도는 37℃이 었으며, 담즙산과 산성의 pH에서 모두 우수한 생존력을 나타내었다. 효소활성은 전반적으로 낮았으나 acid phosphatase 에 대해 비교적 높은 효소 활성을 나타내었다. 항생제 내성 실험 결과 neomycin, kanamycin, vancomycin에 내성이 있는 반면, novobiocin에 감수성을 나타냈으며, 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과 Staphyloccous aureus에 대해 각각 80.4%, 60.2%와 65.4%의 억제 효과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besity effects of E. faecalis MD366 isolated from raw milk. E. faecalis MD366 inhibited lipase activity (65.0±0.9%) and differentiation of 3T3-L1 adipocytes (27.4±1.4%) at a concentration of 100 μg/mL (108 CFU/g E. faecalis MD366). The optimum growth temperature of E. faecalis MD366 was 37℃. Among 16 tested antibiotics, E. faecalis MD366 demonstrated the highest sensitivity to novobiocin and the highest resistance to neomycin, kanamycin, and vancomycin. The strain also showed high acid phosphatase activity. Moreover, E. faecalis was relatively tolerant to bile juice and acid, and displayed high resistance to 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 and Staphylococcus aureus (80.4%, 60.2%, and 65.4%, respectively).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E. faecalis MD366 can be potentially used as a probiotic with anti-obesity effects.

      • KCI등재후보

        원유에서 분리한 Enterococcus faecalis MD366가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마우스의 비만 억제에 미치는 영향

        박선영 ( Sun Young Park ),조성아 ( Seong A Cho ),한누리 ( Noo Ri Han ),성기승 ( Ki Seung Seong ),임상동 ( Sang Dong Lim ) 한국유가공기술과학회 2014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JMSB) Vol.32 No.2

        본 연구에서 우리는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 마우스의 몸무게, 장기 무게, 부고환 지방조직 무게, 부고환 지방조직의 지방세포 크기 및 혈장 지질 농도가 E. faecalis MD366균주의 투여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였다. E. faecalis MD366균주의 항비만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C57BL/6J 마우스를 정상식이군 (ND), 고지방식이군(HFD), 고지방식이와 함께 E. faecalis MD366 균주를 경구투여한 군(HFD+MD366)으로 나누어 6주 동안 실험을 진행하였다. 6주 후 무게는 ND, HFD+MD366, HFD군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초기 무게 대비 체중 증가율은 HFD+MD366군이 HFD 군에 비해 18.10% 감소하였다. 간과 신장, 고환의 장기조직 무게는 세 군 모두 비슷하였으며, 부고환 지방의 평균무게 의 경우 ND군이 가장 작았으며, HFD+MD366군은 HFD군보다 작게 나타났지만 유의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E. faecalis MD366의 투여가 혈청 지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본 결과, TG의 농도는 HFD+MD366군이 HFD군에 비해 감소하기는 했지만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며, 총 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 수치에 있어서도 HFD+MD366군이 HFD군에 비해 평균적으로 적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나, 유의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부고환 지방세포 크기의 분포를 본 결과 ND와 HFD+MD366군은 2,000 μm2 크기의 지방세포 가 가장 많이 분포하였고, HFD군에서는 5,000 μm2 이상 크기의 지방세포가 가장 많이 분포하였으며, 지방 세포의 평균 크기는 ND, HFD+MD366, HFD 순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비록 체중과 장기, 지방 무게와 혈청 지질농도 수치에는 E. faecalis MD366 균주가 큰 효과를 보이지 못했지만 부고환 지방세포 형성 및 지방세포 크기 증가를 저해함으로써 항비만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nti-obesity effects of Enterococcus faecalis MD366, isolated from raw milk, in diet-induced obese mice. To examine the effect, male C57BL/6J mice were fed for six weeks on three different diets, i.e., a normal diet and orally administrated saline solution (ND), a high-fat diet and orally administrated saline solution (HFD), and a high-fat diet and orally administrated E. faecalis MD366 (109 CFU/day) in saline solution (HFD+MD366). After six weeks, the rate of increase in body weight was 18.1% lower in the HFD+MD366 group compared to that in the HFD group. In addition, the weight of epididymal fat pad in the HFD+MD366 group was lower than that in the HFD group. The average levels of triglycerides, total cholesterol (TC), and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C) were slightly reduced in the HFD+MD366 group compared to those in the HFD group.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Measuring the adipocytes revealed that the percentage of adipocytes with a size of 2,000 μm2 was higher than the percentages of other size classes in ND and HFD+MD366 groups, while the percentage of adipocytes larger than 5,000 μm2 was highest in the HFD group. The mean adipocyte size in the HFD+MD366 group was smaller than that in the HFD group.

      • KCI등재

        2D 및 3D 디지털 이미지 분석과 함께 Moire Tophography 분석을 이용한 화장품의 가슴 탄력개선 효과 평가

        서영경 ( Young Kyoung Seo ),유미애 ( Mi Ae Yoo ),류자현 ( Ja Hyun Ryu ),김소정 ( So Jeong Kim ),조성아 ( Seong A Cho ),남개원 ( Gae Won Nam ),조준철 ( Jun-cheol Cho ),부용출 ( Yong Chool Boo ),고재숙 ( Jae-sook Koh ) 대한화장품학회 2012 대한화장품학회지 Vol.38 No.4

        외과적으로 가슴의 볼륨 측정은 석고법, 가슴 X선 사진을 이용한 가슴의 볼륨을 산출하는 방법과 MRI, 3차원 측정 시스템 등을 이용한 측정 방법들이 주로 이용되었다. 그러나 최근 화장품 영역에서 가슴 볼륨 증가 및 탄력개선 제품의 증가로 효능평가가 필요하나 외과적 방법들의 적용은 어려운 실정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화장품 영역에서 최초로 등고선 사진을 이용하여 가슴 탄력개선을 평가하였다. 또한 가슴둘레 측정, 디지털 이미지 분석, 3차원 가슴이미지 분석 값과의 상관성을 비교하였고 등고선 사진평가를 가슴의 탄력을 평가하는 새로운 방법으로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병력조사 및 피부 상태 진단을 통해 건강한 여성 피험자 30명이 시험에 참여하였다. 피험자로 하여금 제품사용전과 2주, 4주, 8주 후 시점에서 가슴둘레 측정, 유두점의 각도와 거리 분석, Moire’s Topography를 이용한 scoring, 3D가슴측정을 실시하여 가슴확대 및 탄력개선 정도를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디지털 이미지를 분석결과 유두점의 각도(Angle)는 시점별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유두점으로부터 밑가슴까지의 길이(Length)는 시점별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 < 0.05). 또한, 유두점으로부터 밑가슴까지의 높이는 4주 후, 8주 후 시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 < 0.05). Moire’s Topography Score 평가 결과 각 시점별로 유의하게 개선하였다(p < 0.05). 3차원 가슴 부피 분석 값은 각 시점별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상관성 분석결과 Moire tophography score는 디지털 이미지 분석 값 중 길이, 높이와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고 3차원 부피 분석 값과 유의한 상관성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Moire’s Topography Score 평가는 이미지 분석과 3차원 부피분석 평가법과 더불어 화장품에 의한 탄력 및 처짐 개선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평가방법으로 사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Cosmetic products which might augment the breast have attracted an attention and objective methods for the evaluation of such products are in high deman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a method for assessing the breast-firmming effects of cosmetics. This study included a total of 30 healthy Korean females aged 20-50 years. A cosmetic product was applied by massaging it onto the breast twice a day for 8 weeks. Measurement of breast girth with a tape ruler, 2D and 3D digital image analyses, and Moire topographic analysis were performed before and following the treatment. The application of a cosmetic onto the breast significantly increased breast girth at 2, 4 and 8 weeks without a significant change in underbreast girth, implicating the breast might be augmented. The 2D image analysis indicated that the arc length of the breast which represents the surface distance from the nipple to the periphery of the under-breas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t 2, 4 and 8 weeks. The height of the breast which represents the perpendicular distance from the nipple to the periphery of the under-breast was also increased significantly at 4 and 8 weeks. The 3D image analysis of body surface also demonstrated a significant increase of breast volume at 2, 4 and 8 weeks. Moire topographic analysis indicated that breast sagging was significantly reduced at 2, 4 and 8 week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Moire topography in combination with 2D and 3D digital image analyses may be useful for evaluating the breast-augmenting effects of cosmetics.

      • KCI등재후보

        생체 모사수 화장품이 세포 활성과 피부에 미치는 효과

        박선영 ( Sun Young Park ),이성훈 ( Sung Hoon Lee ),김은주 ( Eun Joo Kim ),최소웅 ( So Woong Choi ),김지영 ( Ji Young Kim ),조성아 ( Seong A Cho ),조준철 ( Jun Cheol Cho ),이해광 ( Hae Kwang Lee ) 대한화장품학회 2014 대한화장품학회지 Vol.40 No.2

        생체수는 링거액, 인공관절액, 세포 배양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어 왔다. 이는 생체수가 체온을 조절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생체 내 다양한 대사 과정에서 용매로 사용되며, 삼투압이나 능동적 섭취를 통한 혈액 또는 림프액을 통해 세포에서 세포로 전달되는 미네랄, 에너지원, 호르몬, 시그널과 약물의 전달 물질로 이용되기 때문이다. 세포외 지질과 자연보습성분(natural moisturizing factor, NMF)을 함유하는 각질층은 외부의 수분을 끌어들여 내부 수화에 이용하며, 이러한 과정들은 피부 장벽 기능과의 연관성이 높다. 본 연구에서는 피부 장벽 기능을 강화하는 아미노산, 펩타이드, 단당류를 포함한 생체모사수(Cell Bio Fluid Sync<sup>TM</sup>)를 인체 피부에 처리하여 세포활성을 관찰하고, 생체 모사수를 함유한 제품을 피부에 도포하여 인체 피부 개선 효과를 연구 하였다. 피부 세포 활성을 보기 위해 각질세포인 HaCaT 세포를 이용하였고, 에너지 고갈 상태로 만들기 위해 3시간 동안 PBS에 전 처리한 후 이후 세포 배양액인 DMEM 및 등장액인 PBS, 생체 모사수(Cell Bio Fluid Sync<sup>TM</sup>)에 각각 3시간 처리하였다. 이후 MTT assay와 이미지 분석을 수행하였다. 인체의 피부 개선 효능을 위한 임상 연구에 21명의 여성이 참여하였다. 생체 모사수를 함유한 제품을 1주일간 안면에 도포하였고, 수분량, 피부결, 밝기 그리고 피부 균일도를 측정하였다. 모든 측정은 피험자가 세안 후 항온항습 조건(22 ± 2 ℃, 50 ± 5%)에서 20분 간 대기하고 수행하였다. 모든 데이터는 SPSS ver. 21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생체 모사수(Cell Bio Fluid Sync<sup>TM</sup>)가 세포 활성을 높이고 인체의 피부에서 수분, 거칠기, 밝기, 균일도, 투명도 등의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Body fluid has been studied for diverse fields like Ringer’s solutions, artificial joint fluids, cell growth culture media because it plays a crucial role in controlling body temperature and acts as a solvent for diverse metabolite processes in the body and delivery media of mineral, energy source, hormone, signal and drug from and to cell via blood or lymphatic vessel by osmotic pressure or active uptake. Stratum corneum containing extracellular lipids and NMF (natural moisturizing factor) absorbs atmospheric water residing outside of cells and utilize it to hydrate inside of their own. This process is related to skin barrier function. In this study, we conducted the cell viability test with Cell Bio Fluid Sync<sup>TM</sup> , which mimicks body fluids including amino acids, peptides, and monosaccharides to strengthen skin barrier, and the clinical skin improvement test with cosmetics containing Cell Bio Fluid Sync<sup>TM</sup>. In the cell viability test, HaCaT cell was treated with PBS for 3 hours, followed by the treatment of a cell culture medium (DMEM) and isotonic solution (PBS) and Cell Bio Fluid Sync<sup>TM</sup> for 3 hours each. Then, MTT assay and image analysis were conducted. In the clinical skin improvement test, twenty-one healthy women participated. Participants applied cosmetics containing Cell Bio Fluid Sync<sup>TM</sup> on their face for a week and evaluated the skin hydration, skin roughness, brightness and evenness. All measurements were conducted after they washed off their face and took a rest under the constant temperature (22 ± 2 ℃) and constant humidity conditions (50 ± 5%) for 20 minutes. All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version 21) software program. Results showed that Cell Bio Fluid Sync<sup>TM</sup> improved both the cell viability and in vivo skin conditions such as skin hydration, roughness, brightness and evenness.

      • KCI등재

        조선 후기 민가 정원 쌍산재의 조영과 변화 과정

        김서린 ( Kim Seo-lin ),성종상 ( Sung Jong-sang ),김희수 ( Kim Hee-su ),최유나 ( Cui Yu-na ),정진아 ( Jung Jin-ah ),조성아 ( Cho Seong-ah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21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9 No.2

        쌍산재는 1800년대 중반에 조성된 민가 정원이다. 북으로 지리산 줄기를 등지고 남으로는 섬진강을 내려다보는, 전형적인 한국의 배산임수 형국을 이루는 터에 입지하고 있다. 조성된 이후 6대를 거쳐 오면서도 정원에 큰 변화 없이 조선 후기 민가 정원의 면모를 잘 간직하고 있는 정원이다. 본 연구는 현장 조사와 인터뷰, 작정자의 유고집과 편액, 주련의 내용 분석을 통해 역사 정원으로서 쌍산재의 변화하는 경관에 대해 고찰하였다. 완만한 구릉지에 위치한 쌍산재는 크게 내원과 외원으로 분류되며, 내원은 진입 공간, 주거 공간, 전이 공간, 후원 영역으로 구분된다. 후원은 서당채와 그 정원, 경암당 등으로 구성되며 외원인 사도저수지 영역으로 이어 진다. 쌍산재의 특징적인 식생 경관은 13,000㎡의 죽녹차밭과 잔디밭을 가로지르는 길 양쪽에 열식된 모란과 작약, 그리고 동백이나 사철나무의 휜 가지가 보여주는 액경, 마지막으로 탱자나무와 대나무로 이뤄진 생울타리를 꼽을 수 있다. 쌍산재는 지형과 원식생(原植生)을 고려한 공간 구성과 배치가 돋보인다. 주요 건축물은 후손들이 선대의 아호를 따 이름 지었는데, 벼슬길에 오르지 않고, 은일하며 후학을 양성하고자 했던 선대 조영자들의 철학관이 묻어난다. 오주석 선생이 세운 입석과 하얀 경계석은 쌍산재만의 독특한 정원 시설이다. 현 소유자가 가족들과 방문객의 편의를 위해 조성한 석상, 돌의자, 수영장 등 또한 특징적인 경관을 연출한다. 쌍산재는 거주자에게는 살림집이자 친우들과의 교류의 장, 수신(修身)과 은일(隱逸)의 장이었으며, 아이들에게는 배움의 장이었다면 현재는 여러 사람들이 힐링할 수 있는 민가 정원으로서 성격을 갖는다. 200여 년의 시간이 흐르는 동안 쌍산재의 내외원의 경관은 일부 변화를 겪었다. 이렇듯 변화하는 속성을 가진 역사 정원의 특성은 살아 있는 유산으로서 정원 고유의 속성으로 인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쌍산재를 조경학 관점에서 다룬 최초의 연구로서, 현존하는 조선조 민가 정원이 매우 적다는 점에서 앞으로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본다. 아울러 현재 점차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정원 관광 상품으로서 역사 정원의 가치와 효용을 가늠해 볼 여지도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Ssangsanjae was created in the mid-1800s, It is located at Jiri Mountain to the north and the Seomjin River to the south. This garden has not changed much even though it has passed through the sixth generation since its creation, so it still retains the features of a private garden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is study focused on the changing landscape of Ssangsanjae as a historical garden; through field surveys, interviews and analysis of builder's collection, boards and couplets. Ssangsanjae is largely classified into inner and outer gardens, and the inner is divided into an entry space, a residential space, and a backyard. The backyard consists of Seodangchae, it's garden, Gyeongamdang, and swimming pool, and is connected to the Sado Reservoir area, which is the outer garden. The distinct vegetation landscape of Ssangsanjae are a 13,000㎡ bamboo and green tea field, Peony(Paeonia suffruticosa Andr. and Paeonia lactiflora var. trichocarpa(Bunge) Stern) planted on both sides of the road that crosses the lawn, the view through a frame(額景) shown by the twisted branches of Camellia and Evergreen spindletree, and a fence made of Trifolia Orange(Poncirus trifoliata) and Bamboo. Ssangsanjae stands out for its spatial composition and arrangement in consideration of the topography and native vegetation. The main building was named by the descendants based on the predecessor's Aho(pseudonym), and it is the philosophical view of the predecessors who tried to cultivate the younger students without going up on the road. The standing stone and white boundary stone built by Mr. Oh Ju Seok are Ssangsanjae's unique gardening facilities. The stone chairs, and swimming pool which were created by the current owner for the convenience of families and visitors also make a distinctive landscape. Ssangsanjae, for residents, was a place for living, exchanging friendships, training himself and seculusion, for children was a place for learning, but now is ‘the private garden’ where many people can heal themselves. Over the 200 years, the landscape of Ssangsanjae's inner and outer gardens experienced large and small changes. As such,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historical gardens with changing properties as a living heritag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as the first study to approach Ssangsanjae in the view of landscape research, it provides basic data on Ssangsanjae as a destination of garden tour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