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음절구조를 중심으로 한 청록집의 언어학적 특성 분석

        조성문 ( Sung Moon Cho ) 경희대학교 언어연구소 2008 언어연구 Vol.25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linguistic characteristics in Cheongnokjip on the basis of syllable structure. That is, I divide the syllables of poem into onset, nuclear, and coda, then observe which orthographies are used frequently. The study of Cheongnokjip sufficiently obtains a substantial argument in view of the literary theory. However, it is insufficient for the linguistic method. Poetry is based upon the relationship of similarity among sounds. Sounds perceived as similar to one another create acceptable rhythmic pairs. Because sounds are hierarchically arranged in languages, patterns in poetry can reveal the priority order within this hierarchy. So, with respect to the orthographic patterns of Korean, I analyze all of Cheongnokjip`s poems as to Mokwol Park, Jihoon Cho, and Doojin Park. At last I find the priority order of Cheongnokjip`s poems within sound hierarchy. Most common are syllables with no onset and no coda pairs. With respect to acoustic features, the most frequent syllable utilizes the [+sonorant] feature. This pattern remains consistent over time. (Hanyang University)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한국어 분노 응대 화행의 음성적 특징 연구

        조성문 ( Cho Sung-moon ),반태수 ( Ban Tae-soo ),최지현 ( Choi Ji-hyeon ),김수진 ( Kim Soo-jin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1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85 No.-

        본 연구는 감정에 따른 한국어 응대 화행의 음성적 특징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감정 없이 발화한 무감정 응대 화행과 분노 감정을 담은 채 발화한 분노 응대 화행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는데, 이는 Russell(1980)의 정서 차원 구조에서 무감정과 분노 감정의 각성과 정서가가 가장 대립하기 때문이다. 이를 근거로 본고는 무감정과 분노 감정에 따른 한국어 응대 화행의 음성적 특징을 분석하여 유의한 결과 도출을 시도했다. 본고는 한국어 모어 화자인 20대 남성과 여성 각각 10명씩 총 20명의 감정별 응대 화행을 녹음했다. 그리고 무감정 응대 화행과 분노 응대 화행의 평균 음높이, 최고 음높이, 최저 음높이, 발화 속도 등 음성적 특징을 분석했다. 응대화행별 음높이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긍정응대화행은 평균 음높이에서 정서 차이와 성별의 차이가 유의미했다. 최고 음높이는 여성의 무감정 응대 화행과 분노 응대 화행의 정서 차이를 제외하고 유의미한 결과 차이를 나타냈다. 반면 최저 음높이에서는 무감정 응대 화행 중 남녀 차이만이 유의미했다. 부정응대화행의 경우 평균 음높이에서 남성의 정서 차이를 제외한 부분에서 유의미한 값을 보였다. 최고 음높이에서는 분노 감정의 남녀 정서 차이와 여성의 정서 차이만 유의미했고, 최저 음높이에서는 무감정의 남녀 정서 차이만 유의미했다. 응대거부화행의 경우 부정응대화행과 같이 남성의 정서 차이를 제외한 평균 음높이에서 유의미한 값을 나타냈다. 최고 음높이에서는 분노 응대 화행의 성별 차이와 여성의 정서 차이가 유의미했다. 최저 음높이에서는 성별의 차이가 유의미했고 정서 차이는 여성만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 발화 속도는 모든 응대 화행에서 남성보다 여성의 발화 속도가 빨랐다. 또한, 분노 응대 화행의 발화 속도가 무감정 응대 화행보다 대체로 빠른 것을 발견했다. 응대거부화행의 경우, 무감정과 분노 응대 화행의 발화 속도가 같았지만 유의미하지 않았다. 본고는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통해 대부분의 화행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음높이가 높고 발화 속도도 빠르다는 사실을 뒷받침했다. 또한 분노 화행이 무감정 화행보다 음높이가 높고 발화 속도가 빠르다는 것을 발견하여 화가 나면 목소리가 높아지고 말이 빨라진다는 것을 입증했다. 특히 여성의 평균 음높이는 응대 화행의 내용과 상관없이 무감정 화행보다 분노 화행에서 높아 여성이 분노 감정을 표현할 때 음높이를 높인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남성의 경우에는 분노 감정을 담은 긍정응대화행의 최고 음높이가 유의미하게 높아 남성이 긍정응대 분노화행을 발화할 때 의도적으로 언성을 높인다는 것을 알아냈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어 분노 응대 화행의 음성적 특징을 무감정 응대 화행과 비교하여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성별 차이를 토대로 남성과 여성의 정서 차원의 음성적 특징도 발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다만 통제된 환경에서 피험자들이 자연스러운 감정을 담아 발화했는지 알기 어렵고 음높이와 발화 속도 이외의 음성적 특징은 분석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분노 감정 이외에 다른 감정의 응대 화행과 이들의 다양한 음성적 특징은 후속 연구에서 다루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voice features of Korean speech-acts of responses according to emotions. Therefore, the subjects of analysis were non-emotion speech-acts of responses and anger speech-acts of responses, as the awakening and sentiment of non-emotional and angry emotion are most at odds in Russell’s (1980) emotional dimension structure. Based on this, this study attempted to derive significant results by analyzing the voice features of Korean speech-acts of responses on feelings of non -emotion and anger. This study recorded 10 men and women in their 20s, each speaking in Korean, responding to each emotion. Also, this study analyzed voice features such as the average pitch, the highest pitch, the lowest pitch, and the speech rate of the speech-acts of responses on feelings of non-emotion and anger. The pitch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Positive respons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emotion and gender at average pitch. The highest pitch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sults, except for the emotional differences between the non -emotional and angry responses of women. On the other hand, at the lowest pitch, only the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was significant on the emotionless responses. In the case of negative responses, the results were significant except for differences in men’s emotions at average pitch. At the highest pitch, only the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emotions and the difference in female emotions was significant. While at the lowest pitch, only the difference in non-emotions between men and women was significant. In the case of response rejection, the results were significant except for differences in men’s emotions at average pitch such as negative responses. At the highest pitch, gender differences in anger responses and women’s emotional differences were significant. At the lowest pitch, gender differences were significant, and emotional differences showed significant results only for women. The speech rate was faster for women than for men in all the speech-acts of responses. Furthermore, this study found that the speech rate of angry responses was generally faster than emotionless responses. In the case of response rejection, the speech rate of angry responses and emotionless responses was the same, but not significant. Through thes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supported the fact that women are higher in pitch and faster in rate than men in most speech-acts. This study also found that angry responses are higher in pitch and faster in rate than emotionless responses, proving that anger makes people raise voices and speak faster. In particular, this study found that the average pitch of women is higher in anger than in emotionless responses regardless of the content of speech-acts of responses, which raises the pitch when women express anger. In the case of men, this study found that the highest pitch of positive responses, which contains anger feelings, was significantly high, and that men deliberately raised their voices when they express anger in positive responses. This study was able to find the voice features of Korean speech-acts of responses on feelings of non-emotion and anger. It is also meaningful in that it has also discovered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men and women based on gender differences. However, it is difficult to know whether the subjects recorded with natural emotions in a controlled environment, and there is a limitation that we could not analyze voice features other than the pitch and the speech rate. In addition to anger feelings, speech-acts of responses of emotions and their various voice features will address in subsequent studies.

      • KCI등재

        음절구조에 따른 한국어의 소리 빈도에 대한 연구

        조성문 ( Cho Sung-moon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68 No.-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자연발화 음성코퍼스>를 대상으로 음절구조를 중심으로 한국의 세대별, 성별 소리 빈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한국어 자연발화 음성코퍼스>의 구어자료를 토대로 음절을 초성, 중성, 종성으로 구분하여 어떤 소리가 어느 정도 사용되었는지 우선 순위를 조사하고 확인하여 세대별로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를 분석해 보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한국어 자연발화 음성코퍼스>의 모든 구어자료가 분석된다. 이처럼 소리를 초성, 중성, 종성으로 나누어 분석하는 것은 언어생활의 패턴을 파악하는 하나의 방법이기 때문이다. 한국인의 언어생활 중 음운론적 특성을 좀 더 다양한 각도에서 종합적으로 분석하려고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한국어 자연발화 음성코퍼스>를 대상으로 삼은 이유는 생생한 구어자료를 담고 있다고 판단했고, 구어자료에 대한 연구가 최근에 가장 활발히 일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언어학적으로 소리의 빈도를 잘 분석한다면 현대 한국인들의 발음 경향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이 연구에서는 모든 구어자료를 10대부터 40대까지 세대별로 분류하여 남녀 순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이 정확하게 이루어졌기 때문에 기존의 연구에서 찾을 수 없었던 한국인의 발음패턴을 찾을 수 있었다. 그 분석 결과를 하나의 음절로 나타낸다면 그것은 `간`이라고 할 수 있다. 초성에서는 `ㄱ`을, 중성에서는 `ㅏ`를, 종성에서는 `ㄴ`을 가장 많이 사용했기 때문이다. 이 음절이야말로 가장 한국인이 많이 사용한 것이라고 결론을 내릴 수 있다. 한편 초성에서는 조음위치에 따른 분류에서 `치경음>연구개음>순음>구개음>후음`의 순서를 보였는데, 20대 남성과 30대 남성, 여성의 경우만 `치경음>연구개음>구개음>순음>후음`의 순서를 확인하였다. 중성에서는 총 음절 수를 기준으로 볼 때, 남성의 경우는 10대에서 30대까지 꾸준한 증가를 보이다가, 40대에 감소를 하였다. 반면에 여성의 경우는 10대부터 40대까지 꾸준한 증가를 보였다. 또한 중요한 점은 여성보다 남성이 훨씬 발화 수가 많다는 점이다. 일반적으로 보통 여성이 남성보다 말이 많다고 예상해 왔는데, 이번 조사의 결과는 그 반대의 모습을 보여준 것이다. 그밖에 혀의 높낮이에 따라 모음을 분류하면 대체적으로 10대를 제외한 남성은 `고모음>중모음>저모음`의 순서를, 40대를 제외한 여성은 `중모음>고모음>저모음`의 순서를 보였다. 초성과 중성의 분석을 종합하면 남성의 경우는 40대가 언어의 사용에서 새로운 변화를 보이는 결정적 시기라고 판단할 근거를 제공했다고 할 수 있다. 종성에서는 세대별, 성별 특성이 발견되지 않았고, 모두 종성에서는 `ㄴ`을 가장 많이 선택했다는 것을 확인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in phonemic frequencies on the basis of syllable structure by the variation across generation and gender.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each generation and gender have its peculiar features and tendencies when making pronunciation. As a methodology, I have divided the syllables of sound into onset, nuclear, and coda, then investigated the phonemic frequencies of each element. Because sounds are hierarchically arranged in languages, patterns can reveal the priority order within this hierarchy. So, with respect to the phonological patterns of Korean, I have analyzed all of the Korean corpus of spontaneous speech. At last I find the priority order of sound hierarchy. Most common are syllables with no onset and no coda pairs. With respect to acoustic features, the most frequent syllable utilize the sonorant feature. This pattern remains consistent over time. If analysis results are represented by one syllable, it can be said to `간`. I can conclude that this syllable is the most used by Korean. And in chronological order, order of `alveolar>velar>labial>palatal>guttural` was shown in classification according to articulation position. Based on the total number of syllables in the vowel, the male group showed a steady increase from the 10th to the 30th group and degreased to the 40th group. 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women increased steadily from 10th to 40th. The important point is that males are much more ignorant than females. In general, woman usually expect more words than men, but results of the research show the opposite. In addition, if the vowel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tongue, men except for the teenager showed the order of `high>middle>low`. But women except for 40th showed the order of `middle>high>low`. The combination of onset and vowel analysis provides a basis for men to consider that 40th are the decisive generation for new change in the use of language. In coda, the characteristics of generation and sex were not found, and all of them confirmed that `ㄴ` was the most selected.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박목월 육성 녹음 시의 음향음성학적 분석

        조성문 ( Sung Moon Cho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58 No.-

        본 연구는 박목월 시인이 직접 녹음한 시 <먼 사람에게>, <아가>, <효자동>, <경사>, <난초 잎새> 등 총 5편을 음향음성학적으로 분석하여 그 운율적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음성분석 프로그램인 Praat을 이용하여 운율적 특성인 고저, 장단, 강약 등을 분석한 것이다. 박목월시인의 모든 작품을 대상으로 하여 분석하면 좋겠지만 본 연구에서 그렇게 하지 못한 것은 아쉽게도 발견된 녹음 파일이 5개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그래도 보통 시의 음향음성학적 분석에서 필자 자신이 직접 녹음한 음성파일을 이용한 경우가 거의 없기 때문에 이번 연구는 상당히 의미가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시 운율 연구의 한계는 바로 낭송자의 선정이다. 시를 완전히 이해하고 암송할 수 있는 낭송자를 선정하여 녹음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시를 가장잘 낭송할 수 있는 사람은 바로 시인 자신이고, 그 시인이 직접 쓴 시를 낭송케 하여 분석하는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번 연구가 더 중요하다고 하겠다. 우선 기존의 문학적인 연구에서 분석한 중요 시어가 무엇이었는지 확인해 보았다. 그 이유는 그 결과를 본 연구에서 음향음성학적으로 분석한 결과와 비교하기 위해서였다. 그런데 본 연구에서 고저, 장단, 강약 등으로 세분하여 분석한 결과 문학 쪽 연구의 분석과 거의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저에서는 보통 HL의 억양을 보였지만 <난초 잎새>의 ‘눈’ 부분만 LH 억양을 보였다. 장단에서는 ‘단장’이라는 특징이 제일 우세했고, <먼 사람에게>의 ‘먼 사람아’ 부분만 문학 쪽 연구의 분석과 일치했다. 강약에서는 <먼 사람에게>, <아가>의 ‘당신’ 부분이 독특한 모습을 보여 중요한 시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문학 쪽 연구의 성과와 일부분 일치하는것도 있었지만 대부분 달라서 새롭게 해석해야 할 필요성을 찾게 된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 본연구와 같은 음향음성학적 분석을 활용하여 문학 쪽 연구의 분석에 도움을 줄 필요가 충분히 있다고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acoustic experimental study is to investigate metrical characteristics in Mokwol Park’s poems using a computer implemented speech analysis system. The metrical characteristics that orally produced the poetry were analyzed by pitch, length, and intensity. Mokwol Park’s poems selected for prosodic analysis were <Meonsaramege>, <Aga>, <Hyojadong>, <Gyeongsa>, and <Nanchoipsae> and were presented by Mokwol Park. Metrical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from the sound spectrogram made by Praat. The study of Mokwol Park’s work sufficiently supports a substantial argument in view of the literary theory. However, it was insufficient for the linguistic method. Poetry is based upon the relationship of similar sounds. Sounds perceived as similar to one another create acceptable rhythm pairs. So, for the first time this study investigated pitch, length, and intensity of Mokwol Park’s poems acoustically. The pitch contours were analyzed from sound spectrogram made by Praat. The pitch, length, intensity patterns of Mokwol Park’s poems were within the sound hierarchy. The result shows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tudy of literary and acoustic methods. Even though the patterns of metrical characteristics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features of literary and acoustic research. To better understand poetry there needs to be more poems and informants studied as well as the need to develop other variables.

      • KCI등재

        시문학파 시의 음운론적 특성 분석

        조성문 ( Sung Moon Cho ) 한국언어문화학회 2011 한국언어문화 Vol.0 No.4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in Simunhakpa`s poems on the basis of syllable structure. That is, I divide the syllables of poem into onset, nuclear, and coda, then observe which phonemes are used frequently. The study of Simunhakpa sufficiently obtains a substantial argument in view of the literary theory. However, it is insufficient for the linguistic method. Poetry is based upon the relationship of similarity among sounds. Sounds perceived as similar to one another create acceptable rhythmic pairs. Because sounds are hierarchically arranged in languages, patterns in poetry can reveal the priority order within this hierarchy. So, with respect to the phonological patterns of Korean, I analyze all of Simunhakpa``s poems as to Yeongrang Kim, Yongcheol Park, and Jiyong Chung. At last I find the priority order of Simunhakpa`s poems within sound hierarchy. Most common are syllables with no onset and no coda pairs. With respect to acoustic features, the most frequent syllable utilizes the [+sonorant] feature. This pattern remains consistent over time.

      • KCI등재

        어간말 “ㄹ” 교체 현상과 [±continuant]에 대한 연구

        조성문 ( Sung Moon Cho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3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53 No.-

        본 연구의 목적은 국어의 어간말 ``ㄹ``교체에서 보이는 불규칙성의 원인을 [±continuant] 자질로 접근해서 해결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말하는 ``ㄹ``교체 현상이란 ``ㄷ``불규칙 용언의 활용과 ``ㄹ``탈락 현상이다. 이처럼 ``ㄹ``과 관련하여 나타나는 ``ㄷ불규칙, ㄹ 탈락``의 현상을 분석해 보면, 표면적으로 서로 관련이 없어 보이지만, ``ㄹ``에 관련된 현상이라는 측면에서 통합적으로 설명이 가능하다고 본다. 그 근거는 바로``ㄹ``이[±continuant]라는 자질을 갖고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하나는 자음처럼 [-continuant] 자질을 갖고 있고, 다른 하나는 모음처럼 [+continuant] 자질을 갖고있어서 ``ㄹ``과 관련한 음운현상이 이중적으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불투명한 모습을 일으키는 원인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명확하게 논의된 적이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ㄹ``의 이중적 모습이 [±continuant] 자질에서 비롯되었음을 논의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ain the principle of selective application that irregular verb stem-final ``t`` and liquid deletion are applied in conjugation in Korean. In the conjugation, I propose a new approach to the understanding of the ambivalent status of the feature [±continuant] of /l/, whose value is not universally accepted. In appealing to recent insights on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segment, namely the articulator group hypothesis and liquid geometry, this work sheds new light on several long-standing recalcitrant issues in Korean phonology specifically, including irregular verb stem-final ``t`` and liquid deletion, and phonological theory more generally, and promises much for analyses of others where /l/`s behavior with regard to [±continuant] has been seen as ambivalent or contradictory in the past. In this paper. I present the data of the first part of the paper, the selective application of Korean, and lay out my theoretical assumptions regarding the articulator group hypothesis and liquid geometry. I show how applying the proposed liquid geometry to Korean allows us to resolve the issue of the selective application, and I review previous accounts. I discuss further implications for the treatment of several historical changes, including lateralization of [r]. Finally, I offer concluding remarks.

      • KCI등재
      • KCI등재

        이중모음 /ㅢ/의 세대별, 성별 발음 실태에 대한 분석

        조성문 ( Sung Moon Cho ) 한국언어문화학회 2015 한국언어문화 Vol.0 No.58

        This study conducts research into cross-generation and between-gender variations of Korean diphthong /wy/ found in The Korean Corpus of Spontaneous Speech.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each generation and gender have its peculiar features and tendencies when making pronunciation. First of all, we employ the notion of Statistics for the various surface realization of diphthong /wy/ in Modern Korean. As indicated, the cognition of language used by people reflectsthe explicit use of the language which plays a central role in linguistic chan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