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사회적 고립 청년은 누구인가? - 고립청년 지원사업 참여 청년을 중심으로-

        조미형(Cho, Mihyoung),고아라(Ko, Ahra) 한국사회복지학회 2022 한국사회복지학 Vol.74 No.4

        본 연구는 ‘사회적 고립 청년’이라고 명명해야 하는 청년은 누구인가에 대한 연구 질문을 시작으로 사회적으로 고립된 청년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2021년 저소득 · 구직단념 고립 청년 지원 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된 “청년의 사회적 고립 측정 척도 개발 연구” 의 데이터 중 심층면접 자료(7명)와 설문조사 자료( 137명)를 결합한 혼합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사업 참여 청년들의 사회적 고립이 시작된 시기, 고립된 채 지내는 현재 일상생활의 모습, 사회적 고립에 이르게 된 이유, 이들에게 일이 가지는 의미 등으로 범주화되었다. 이를 통해 고립 청년의 특징을 도출하였다. 청년의 사회적 고립은 어린 시절부터 시작되기도 하는데 학교 졸업/중퇴 이후부터 문제로 드러나게 된다. 이들은 사회(가족, 친구, 직장)의 일원으로서 소속감 없이 무기력한 일상을 보내고 있다. 사회적 관계의 어려움, 건강하지 않은 신체 · 정신, 취업 준비 부족 등은 청년 사회적 고립의 원인이자 결과이다. 일을 통해 규칙적인 일상이 생기고 경제적 자립과 함께 사회적 관계가 형성될 거라 기대한다. 이러한 고립 청년의 특징을 토대로 사회적으로 고립된 청년의 지원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ly isolated young adults in South Korea.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 was set up. “Who are young adults that need to be classified as socially isolated?”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 “The Development of a Scale of Social Isolation among Young Adults” data derived from “2021 support program for socially isolated young adults of low-income and discouraged unemployed” were analyzed based on mixed methods combined in-depth interviews with questionnaire research.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young adults living in Seoul aged from 19 to 34, who participated in “Socially isolated young adults support project”. Furthermore, qualitative data of 7 participants and quantitative data of 137 people who participated in “Socially isolated young adults support project” were employed in this study. The result of this study reveals socially isolated young adults characteristics in various categories as follows: the time socially isolated, current daily life of being isolated, primary reason for being isolated, the meaning of the work to them. Social isolation often begins in childhood, but it turns out to be perceived after dropping out of school or graduation. Difficulties in building social relationships, unhealthy physical and mental illness, and preparation insufficiency for employment are both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social isolation. As a member of society(family, friends, work), they are living a helplessness life without a sense of belonging. Nevertheless, by means of work, they expect to have a regular routine life and to form a social relationships along with financial independence. Based on these results, specific support plan for socially isolated young adults was suggested in this study.

      • KCI등재

        남녀 청소년의 부모ㆍ친구ㆍ교사애착과 학교생활적응이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미형(Mi Hyoung Cho),최상미(Sang Mi Choi),엄태영(Tae Young Um)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06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15 No.-

        본 연구에서는 남ㆍ여 청소년에 따라 부모ㆍ친구ㆍ교사와의 애착관계와 학교생활적응이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한국청소년패널조사 3차년도 중2패널(2006년 조사)에 참여한 3,499명 - 현재 고등학교 1학년 - 학생들로 하였다. 이 중에서 분석에 사용된 데이터는 남녀 성별에 있어 결측값이 나타난 학생을 제외한 남학생 1,572명, 여학생 1,553명이다. 연구 결과 남ㆍ여학생 모두 부모ㆍ친구ㆍ교사와의 애착은 학교생활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여학생의 경우 학교생활적응과 부모애착만이 진로성숙에 영향을 미치고, 남학생의 경우는 학교생활적응, 부모애착, 친구애착이 진로성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교생활적응을 매개변수로 보았을 때 남학생의 경우 교사애착이, 여학생의 경우 교사애착과 친구애착이 진로성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본 연구에서 관심을 가지고 살펴 본 학교생활적응은 남ㆍ여학생 집단 모두에서 진로성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의 진로성숙과 관련한 연구에서 학교생활에 대해 학업성적뿐만 아니라 학교생활 만족과 적응 등 폭넓은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high school students’ influence of attachment to parents, teachers, friends, and their adaptation to school life on their career maturity based on gender. The original sample had 3,499 participants. This study analyzed 3,125 cases, 1,572 from males and 1,553 from female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used attachment to parents, teachers and friends as independent variables, adaptation to school life as a mediating variable and career maturity as the dependent variable. It was found that for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attachment to parents, teachers and friends positively influenced adaptation to school life. However, as was proposed, the gender difference was confirmed in the findings. In female students, only attachment to parents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were the factors that positively affected career maturity, while in male students, attachment to friends was also a significant factor. In addition, this study considered the mediating effect of adaptation to school life. In female students, attachment to teachers and friends had a positive impact on career maturity, whereas in male students, only attachment to teachers significantly influenced career maturity. The adaptation to school life was substantiated to have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career maturity in both female and male students. Thus, this study recommends future studies to consider adaptation to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as important factors for improving the career maturity of high school students.

      • KCI등재

        고등학교로의 진학 과정(school transition)에서 학교적응 변화

        조미형(Cho Mi-Hyoung),이정은(Lee Jeong-Eu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8 한국청소년연구 Vol.19 No.2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진학과정에서 청소년들의 학교적응 변화를 살펴보고, 이에 대한 사회적 관계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이차함수모형을 이용한 종단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한국청소년패널조사 (KYPS)의 중2 패널 1, 2, 3, 4차년도 데이터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중2에서 중3으로 학령이 증가함에 따라 학교적응점수가 증가하지만 변화율이 감소하여 고1을 지나면서 학교적응점수가 감소하는 역U자형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2시점에는 부모ㆍ교사ㆍ또래와의 관계 모두가 학교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만, 이후 변화율에는 학령이 증가함에 따라 교사와의 관계와 또래와의 관계만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와의 관계가 원만한 청소년의 경우 그렇지 않은 청소년에 비해 학교적응이 전 시기에 있어서 높을 뿐만 아니라 학령이 증가함에 따라 보다 완만하게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한편 또래와의 관계가 원만한 청소년은 그렇지 않은 청소년에 비해 전반적으로 학교적응이 높지만 학령 증가에 따른 변화의 양상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고등학교 진학으로 달라진 환경에서 청소년들의 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입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rajectory of school adjustment during the transition from middle school to high school, and to examine the social relationships that contribute to this trajectory. The Korea Youth Pane Survey(KYPS), from the first-year to 4th-year was the source of the data us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adolescents' levels of school adjustment increased from the 2nd grade to the 3rd grade in middle school and decreased from the 1st grade to the 2nd grade in high school, indicating a reverse-U shape. The results also revealed that peer relationships and teacher relationships have an influence on the trajectory of school adjustment.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intervention should be offered to improve the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who are exposed to stressful environments during the transition into high school.

      • KCI등재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로서 사회적협동조합의 가능성 탐색

        조미형 ( Mih Young Cho ) 한국농촌지도학회 2014 농촌지도와 개발 Vol.21 No.3

        본 연구는 사람들 간의 관계를 토대로 하는 사회복지서비스 영역에서 사회적 배제와의 투쟁 전략으로서 사회적 협동조합의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사회적 협동조합은 사회복지법인이나 사회적 기업과 더불어 새로운 형태의 사회복지서비스 제공기관일 뿐인가? 사회복지부문은 협동조합의 속성에서 비롯되는 효과를 사회통합의 기제로 기대할 수 있지 않을까? 기존의 사회복지기관은 정부와 이용자 사이의 중간 매체로서 기능했다면, 사회적 협동조합은 지역사회 안에서 다양한 이해당사자와 협동의 관계 속에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지 않을까? 이런 관점에서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로서 사회적 협동조합의 가능성을 찾아보았다. This study explored feasibility of social cooperatives as a strategy of struggle to social exclusion in the social services area based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eople. Is social cooperatives on the Fundamental Act on Cooperatives a new type of social welfare service providers comparing the social welfare foundations and social enterprises? Would be expected as social inclusion processes effects arising from the properties of cooperative in social welfare sector? If social welfare institutions function as an intermediate medium between government and users, social cooperatives can be performed function in the community in a variety of cooperative relationships with Multiple stakeholders, e.g. various service providers, care-givers, social workers, and users, etc., conflicting the interests. In this perspective, looked the possibility of social cooperatives as community welfare practice mod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