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치매 환자에 대한 의료서비스 전달체계 현황

        조맹제(Maeng Je Cho),조성진(Seong-Jin Cho) 대한노인정신의학회 2000 노인정신의학 Vol.4 No.2

        노령화 사회의 진입에 즈음하여, 우리나라의 치매 환자 관리에 대한 현황과 외국의 현재 시행중인 치매 관리 현황을 알아본 후, 우리나라에서 적용할 수 있는 관리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론: 65세 이상의 노령인구는 2000년에는 전체 인구의 7.1%가 되며, 2005년에는 8.7%, 2010년에는 9.9%, 2020년에는 13.2%로 증가할 것으로 추정되며, 특히 70 세 이상의 고 연령군의 증가가 두드러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노인인구증가 속도는 매우 빠른 편으로, 65세 이상의 인구가 5%에서 12%로 증가하는데 소요되는 기간은 일본의 40년보다 빠른 29년으로 예상하고 있다. 또한 가족구조도 핵가족화되고, 주요 노인 부양인력이었던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도가 증가하면서 가족의 부양능력도 저하가 예측된다. 그리고 노인가구형태도 점차 노부부만 사는 가구, 혹인 노인 독신가구가 증가하는 경향이다. 따라서 고연령군의 증가는 치매 고위험군의 증가를 초래하며, 가족부양능력의 저하는 노인요양시설이나 노인간호인력에 의한 관리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나라의 치매 유병률은 여러 조사결과에 의하면 약 7.2∼10.6%일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의하면 2000년도 현재 치매인구는 약 24만 명에서 32만 명일 것으로 추정되다. 그리고 치매환자의 치료 및 관리에 소요되는 비용은 미국의 경우 1985년의 경우 약 310억 달러에 이르며, 1995년도 일본의 경우도 약 9조엔에 이르고 있다. 외국의 경우, 증가하는 각각의 치매환자가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체계적이고 통합적으로 제공하도록 노력하여 왔다. 일본의 경우 치매대책으로 재가서비스, 시설 서비스 및 상담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하고 있고, 보건소에 서비스 조성추진위원회를 설치하여 이들 서비스를 체계적으로 구축하여 제공하여 왔다. 미국도 치매환자에 재가서비스와 장기요양서비스를 제공하여 왔고, 일본과 마찬가지로 각종 서비스를 체계적이고 통합적으로 제공되도록 서비스 체계 수립에 노력하여왔다. 우리나라의 경우 치매상담신고센터를 설치하고, 치매상담요원을 배치하고, 또한 치매요양병원의 확충 등을 통해 치매 특별대책을 마련하여 추진중이다. 그러나 각각의 치매환자에게 필요로하는 서비스의 결정과 각종 서비스들의 조직과 연계, 통합적 제공을 위한 노력을 미흡한 실정이다. 결 론: 우리나라에 필요한 치매관리체계 즉 서비스 전달체계에 확립에 필요한 몇 가지 부분을 고려하고자 한다. 첫째, 정확한 치매 인구의 파악과 이에 근거한 치료 및 요양시설의 적절한 수준의 확보 전국적 역학조사를 시행하여, 정확한 치매 인구의 파악을 통해 필요한 입소시설의 규모를 파악한다. 둘째, 재가 서비스의 개발:경증 및 중등증의 치매환자들이 대상이므로, 치매환자의 과반수 이상이 대상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들이 지역에서 가족들과 같이 생활할 수 있는, 다양한 재가서비스들의 개발과 수가체계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필요로 하는 서비스의 평가와 다양한 서비스 통합 관리를 위한 조직의 필요:다양한 서비스들이 체계적으로 연계되기 위하여 이를 조정하고 관리할 수 있는 조직이 치매환자가 거주하고 있는 지역사회에 필요하다. 이 조직은 기존의 보건행정조직을 이용하는 방법(보건소 중심형, 정신보건센터 중심형 등)과 새로운 조직을 구성하는 방법(치매 평가 관리팀)을 생각할 수 있다. 넷째, 치매관련 인력 교육과 지원 및 연구와 사업계획수립, 평가팀의 구성:보건소의 치매상담요원이나 방문간호사, 정신보건센터와 사회복지기관의 치매 관련인원에 대한 교육과 기술적 지원을 하고, 지역에 적합한 치매 사업의 계획과 시행을 전담할 조직이 필요하다. Rapid growth of the population of persons 65 years of age and older in Korea is projected to reach 7.1% of the total population by the year 2,000, and more than 13% by 2,020. Prevalence data for demented persons among the elderly vary, ranging from 7% to 10% of the population. Thus, the number of demented elderly will be about total 280,000 by the year 2,000. Most of the caring needs of the demented elderly have been fulfilled by female family members of the household, especially daughters-in-law. Recently women tend to engaged in social and job activities, and accordingly, caring for the demented elderly by the female family member will decrease, and caring for them by professional carers will increase. For setting desirable health care delivery systems for the elderly dementia, the authors presented four points that need to be considered. First, nationwide epidemiological studies for the prevalence of dementia are needed. The informations from epidemiology help give a more complete picture of the appropriate and accurate estimation of residential care facility for the dementia elderly. Second, programs for the care for, and management of patients with dementia in community settings are needed. More than two thirds of the dementia patients are mildly to moderately impaired in severity that can be managed in community setting. Third, organizations that perform diagnosis,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dementia, and organize comprehensive services for dementia patients is needed in community in which they live. Pre-existing organizations such as health center, or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or new organization may be considered. Fourth, centers that play a role in educating dementia-related personnel, making and evaluating of programs for the management of dementia every year is needed. A central center should be placed in every province, and it should be connected to one another functionally.

      • 정신과 역학

        조맹제(Maeng-Je Cho),김장규(Chang-Kyu Kim)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00 사회정신의학 Vol.5 No.1

        역학은 전염병이나 만성신체질환들을 주로 다루어 왔으며, 정신장애에 대해서는 주로 지역사회조사들을 대상으로 하여왔다. 1980년대에 정신장애의 조작적 진단기준의 발달과, DIS나 CIDI 같은 비전문가에 의해 면담이 가능한 진단적 면담도구의 개발은 지역사회를 대상으로한 대단위 정신과 역학조사를 훨씬 용이하게 하였다. 본 종설에서는 정신과 역학에서의 기본개념들과 연구방법들, 그리고 역사 등을 기술하고 더 넓은 의미에서의 정신과 역학과 이용에 대한 간략한 설명을 하였다. 유병율과 위험도 측정이 가장 기본적 개념이다. 기술적역학, 분석적 역학, 그리고 실험적역학등이 있으며, 연구 디자인별로는 횡단면적, 코호트, 그리고 대조군 연구등이 있다. 역학연구의 가치는 사례판정을 위한 조사도구의 타당도와 대표성을 갖는 표본 추출방법에 크게 의존한다. 최근에 급격히 발전하는 유전학, 뇌영상 및 횡문화 비교연구 등에 힘입어 진단 타당도가 더욱 높아질 것을 기대한다. 향후 지역사회 역학연구에서 비용-효과성을 고려한 각종 방법의 개발과 전향적 연구들이 기대된다. Epidemiology has usually been associated with epidemics of infectious diseases, and recently with prevalent chronic illnesses. As for psychiatry, it has been discussed almost exclusively within context of community surveys. Psychiatric epidemiology, based on community, has been greatly advanced owing to the development of operational criteria of psychiatric disorders and of diagnostic interview instruments such as DIS and CIDI, which could be administered by lay interviewers. In this article the authors described basic concepts, methodology, and history of psychiatric epidmiology. In addition brief introduction of width of scope and utility of psychiatric epidemiology were explained. The rates, especially the prevalence rather than incidence, and risk ratio are basic concepts in epidemiology. Various kinds of designs and methods of psychiatric epidemiology have also been described. The reliability of the survey results are largely dependent on how valid the interview instruments are, and how much representative the selected samples are. Diagnostic validities will get higher through the recent advances in genetics, neuroimaging and neurobiology. Devlopment of the new methods to improve cost-effectiveness in community surveys in psychiatric epidemiology are needed.

      • KCI등재

        불안 장애와 주요우울장애에서 나타나는 신체 증상과 증상군에 따른 자살 사고, 계획, 행동과의 관계 고찰

        안준석,김은영,조맹제,홍진표,함봉진,정인원,안준호,전홍진,성수정,이동우,Ahn, Jun Seok,Kim, Eun young,Cho, Maeng Je,Hong, Jin Pyo,Hahm, Bong-Jin,Chung, In-Won,Ahn, Joon-Ho,Jeon, Hong Jin,Seong, Su Jeong,Lee, Dong-Woo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16 정신신체의학 Vol.24 No.2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불안장애와 주요우울장애 및 불안장애와 우울장애가 동반된 중복 진단군의 신체 증상의 빈도와 특성의 차이를 알아보고 여러 신체 증상군과 자살 사고, 자살 계획, 자살 시도와의 관련성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방 법 본 연구는 국가적 역학조사연구인 2011년 정신질환 실태 역학 조사 연구(Korean Epidemiologic Catchment Area Study-2011, KECA-2011)에 참여한 만 18세 이상에서 74세 이하의 참여자 6027명 중 지난 1 년 동안 주요우울장애 또는 불안장애의 진단 기준을 만족 하면서, 같은 시기에 최소 1가지 이상의 신체증상을 호소한 37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후 조사된 신체 증상을 통증 증상군, 소화기 증상군, 가성신경학적 증상군의 세군으로 분류하여, 각 증상군에 따른 자살 사고, 자살 계획 및 자살 시도의 정도를 비교하였다. 면담 도구로는 한국어판 CIDI를 사용하였으며, 이 중 신체 증상에 대한 항목이 포함된 C장과 자살관련 항목이 포함된 S장의 일부 질문을 연구에 사용하였다. 결 과 진단별로 신체 증상의 차이를 비교하였을 때, 주요우울장애에서는 흉통(p=0.016, 95%CI)이, 불안장애에서는 두통(p=0.004, 95%CI)과 묽은 변이나 설사를 나타내는 증상(p=0.018, 95%CI)이, 주요우울장애와 불안 장애의 중복진단군에서는 균형을 잡기 힘든 것(p=0.006), 기절할 것 같은 느낌(p=0.020, 95%CI), 기억을 잃음(p=0.034, 95%CI)의 증상이 유의하게 많았다. 자살 계획의 경우 통증 증상군에서 자살 계획이 있었던 군의 증상의 평균 개수가 계획이 없는 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26, 95%CI). 자살 시도의 경우 소화기 증상군(p=0.004, 95%CI) 및 가성신경학적 증상군(p=0.013, 95%CI) 에서 자살 시도가 있었던 군의 증상의 개수가 시도가 없었던 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자살 사고, 자살 계획, 자살 시도로 갈수록 각 증상군의 신체 증상의 평균의 개수는 증가하는 경향성을 보였다. 결 론 본 연구는 불안장애와 주요우울장애의 신체증상의 특성에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으며, 증상의 개수가 자살 사고에서 자살 계획, 자살 시도로 진행되는 단계로 갈수록 증가하며 일부 증상군에서는 자살 계획과 자살 시도의 유무의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비 정신과적 임상 현장에서 다양하고 많은 숫자의 신체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의 경우 정신과적인 적극적인 평가 및 자살 위험도에 대한 적극적인 평가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difference of somatic symptoms of anxiety disorder and major depressive disorder and domainal association with suicidal idealization, plan, and attempts. Methods : A total of 359 adults diagnosed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and anxiety disorder of last one year participated. Participants interviewed with certain sections of Korean version of Composite International Diagnostic interview of CIDI. Sections of interests includes questionnaires regarding somatic symptoms and suicidal idea, plan and attempts of last one year. Results : Chest pain shows more prevalence in major depressive disorder. Symptoms of Headache and loose stool are more prevalent in anxiety disorder. Difficulty in equilibrium and fainting spells are more common somatic complaints of co-diagnosis states of anxiety disorder and major depressive disorder. Comparing 3 domains of pain symptoms, gastrointestinal symptoms and pseudo-neurological symptoms, pain symptom domains, gastrointestinal symptoms domain shows significant statistic difference between diagnosis. Average somatic symptom numbers of each symptom domains increase through suicidal idealization, plan and attempt, accordingly. Conclusions : Our finding shows some of somatic symptoms are more prevalent at certain diagnosis. Since increasing numbers of somatic complaints of each symptom domains goes with the suicidal idealization to suicidal attempts, proper psychiatric evaluation and consultations are crucial for patients with numerous somatic complaints in non-psychiatric clinical settings.

      • KCI등재

        강박 장애의 정량화 뇌파 소견

        윤탁,권준수,조맹제,김용식,이부영,Youn, Tak,Kwon, Jun Soo,Cho, Maeng-Je,Kim, Yong Sik,Rhi, Bou-Yong 대한생물정신의학회 1996 생물정신의학 Vol.3 No.2

        서울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 외래를 방문한 강박 장애 환자 19명(남자 14명, 여자 5명)과 연령과 성별을 맞춘 정상 대조군 19명을 내상으로 뇌파를 측정하고, 스펙트럼 분석하여 절대력, 상대력, 양반구간 비대칭도 등의 지표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뇌 영상화 방법을 사용한 기존의 강박 장애의 이상 소견과 비교하고, 강박 장애 환자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정량화 뇌파의 지표를 발견하고자 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절대력은 환자군의 Fp1-Fp2, T3-T4 부위에서 theta파의 절대력이 감소가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관찰되었다. 2) 상대력은 환자군의 Fp1-Fp2, F3-F4 부위에서 delta파의 증가가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관찰되었다. 3) 양반구간 비대칭도의 경우 환자군에서 alpha파와 beta파의 F7/T3-F8/T4의 전극에서 비대칭도가 유의미하게 증가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상에서 강박장애에서 나타나는 정량화 뇌파의 각 지표의 소견이 기존의 여러 뇌 영상화 방법을 이용한 강박 장애의 소견과 비슷한 결과를 보이고 있음올 알 수 있고, 이는 강박 장애의 발병 기전과 전두엽과 기저핵의 이상이 서로 관련이 있을 것이라는 가성을 뒷받침해주는 소견이다. The quantitative EEGs of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patients were analyzed using spectral analysis and compared to age and sex-matched controls. The subjects were 19 patients(men=15, women=4) suffering from obsessive-compulsive disorder(DSM-III-R). Absolute power, relative power and interhemispheric asymmetry of EEG were used to compare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patients with controls. In order to fit the EEG data to a normal distribution, a log transformation of power values of every bandwidth in each deviation was calculated prior statistical analysis. The Wilcoxon rank test was performed to compare obsessive-compulsive group to the control group. In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abnormalities of quantitative EEGs are prominent in fronto-central. These results ore compatible with other brain imaging studies of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and suggested that fronto-central area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pathophysiology of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 KCI등재

        Prevalence of DSM-III-R Axis II Personality Disorders in College Women with Bulimia Nervosa

        류인균,이주남,조맹제,조두영,이부영,Lyoo, In-Kyoon,Lee, Joo-Nam,Cho, Maeng-Je,Cho, Doo-Young,Rhi, Bou-Yong KOREAN ACADEMY OF SLEEP MEDICINE 1999 수면·정신생리 Vol.6 No.1

        목 적 : 본(本) 연구(硏究)는 신경성(神經性) 거식증(拒食症)을 가지고 있는 여대생(女大生)의 DSM-III-R상(上)에 근거한 인격장애(人格障碍)의 빈도(頻度)를 정상대조군(正常對照群)과 비교(比較) 조사하는 것을 목적(目的)으로 한다. 방 법 : Structured Clinical Interview for DSM-III-R을 사용(使用)하여 신경성 거식증을 가지며, 동시에 다른 I 축(軸) 정신장애(精神障碍)를 가지고 있지 않은 62명의 식이장애(食餌障碍) 연구대상군을 모집(募集)하였으며, 같은 도구(道具)를 사용하여 어떠한 I 축(軸) 정신장애(精神障碍)를 가지고 있지 않은, 동수(同數)의 연령(年齡), 성별(性別) 대조군을 모집(募集)하였다. 인격장애(人格障碍)의 빈도(頻度)의 조사를 위해서는, 면접도구(面接道具)인 '인격장애(人格障碍) 진단면접검사(診斷面接檢査)'(Revised Diagnostic Interview for Personality Disorders)와 설문검사(設問檢査)인 '인격장애(人格障碍) 설문검사(設問檢査)'(Personality Disorder Questionnaire-Revised)를 동시에 사용하여 진단적(診斷的) 신뢰도(信賴度)를 높였으며, 특히 경계선(境界線) 인격장애(人格障碍)의 진단(診斷)을 위해서는 '경계선(境界線) 인격(人格) 진단면접검사(診斷面接檢査)'(Diagnostic Interview for Borderlines)를 추가(追加)로 사용하였다. 또한 일반적인 인구역학적 변수(變數)의 조사와 함께 신경성 거식증환자에서 흔히 관찰되는 우울증상(憂鬱症狀)의 평가를 위하여 Beck 우울평가도구(憂鬱評價道具)(Beck Depression Inventory)를 사용하여 우울증(憂鬱症)의 정도를 평가하였다. 결 과 : 신경성 거식증군은 정상대조군과 적 : 본(本) 연구(硏究)는 신경성(神經性) 비교(比較)하여 유의(有意)하게 높은 경계선(境界線) 인격장애(人格障碍), Cluster B 인격장애(人格障碍) 및 전체 인격장애(人格障碍)의 빈도(頻度)를 보였다(Fisher's exact test, p=0.044, p=0.020, p=0.024, respectively, by the Revised Diagnostic Interview for Personality Disorders;p=0.034, p=0.015, p=0.007, respectively, by the Personality Disorder Questionnaire-Revised). 결 론 : 본(本) 연구(硏究)는 한국인(韓國人) 여대생(女大生)집단에서의 신경성(神經性) 거식증군(拒食症群)은 정상대조군(正常對照群)과 비교(比較)하여 통계적(統計的)으로 유의하게 높은 인격장애(人格障碍)를, 특히 경계선(境界線) 인격장애(人格障碍)를 가지고 있음을 보고(報告)하고, 이 결과(結果)의 이론적(理論的), 임상적(臨床的) 의의(意義)에 관하여 논의(論議)한다. Objectives: To evaluate the prevalence of the DSM-III-R personality disorders in Korean college women with bulimia nervosa. Methods: Sixty-two subjects with bulimia nervosa, as identified by the Structured Clinical Interview for DSM-III-R, were compared to the age- and gender-matched healthy comparison subjects(n=62) on the prevalence of Axis II disorders, as determined by both the Revised Diagnostic Interview for Personality Disorders(DIPD-R) and by the Personality Disorder Questionnaire-Revised(PDQ-R). Results: Subjects with bulimia nervosa had significantly greater prevalences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Cluster B personality disorders, and any personality disorders compared to healthy comparison subjects(Fisher's exact test, p=0.044, p=0.020, p=0.024, respectively, by the DIPD-R ; p=0.034, p=0.015, p=0.007, respectively, by the PDQ-R). Conclusions: This study reports greater prevalences of specific personality disorders, especially, borderline and Cluster B personality disorders in Korean college females with bulimia nervosa compared to comparison subjects.

      • 일측 한국인에서 우울장애의 증상 양상

        장성만(Sung Man Chang),조맹제(Maeng Je Cho)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07 사회정신의학 Vol.12 No.1

        목 적: 본 연구는 전국 규모의 역학연구를 통하여, 주요우울장애에 이환된 경험이 있는 지역사회 거주자들을 대상으로, 한국인에서 흔히 경험하는 우울증의 증상 양상을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방 법: 2001년 KECA(Korean Epidemiologic Catchment Area) 연구에 응답한 만 18세 이상 65세 미만의 성인 6,27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한국어판 CIDI(Composite International Diagnostic Interview)를 통해 주요우울장애의 이환을 진단하였다. 전체 대상자 중 269명(4.3%)이 주요우울장애 이환의 경험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DSM-Ⅳ와 ICD-10에서 정의하는 주요우울장애의 진단기준인 26개 증상들에 대하여 성별, 연령별 교정 후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주요우울장애에 이환자들에서 흔히 경험되는 증상들은 피로감(90.3%), 집중력곤란(86.9%), 우울감(84.0%), 불면(83.7%), 의욕상실(77.0%), 식욕저하(77.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우울증 이환자들에서 의욕상실, 피로감, 과다수면, 정신운동지체, 죄책 감, 우유부단, 자살시도, 성욕감퇴, 흥미상실의 증상들이 남녀간의 차이를 보였다(p<0.05). 우울감, 의욕상실, 피로감, 불면, 2시간 이상 일찍 깸, 과다수면, 정신운동초조, 죄책감의 증상들은 연령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p<0.05). 결 론: 본 연구는 한국인의 주요우울장애 이환자들에서 흔히 호소하는 우울증의 증상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우울증의 증상들은 성과 연령에 따라 호소하는 증상의 빈도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Objective:The aims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requency and kinds of symptoms and the profile of depressive symptoms in the Korean adul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Methods:Six thousands and two hundred seventy-five community dwelling subjects, aged 18 years or older, were interviewed by using Korean version of Composite International Diagnostic Interview(K-CIDI). A total of 6,275 participants completed the CIDI interview. In this study, depression symptoms consisted of 26 items presented by DSM-IV and ICD-10. Results:Common depression symptoms were the following order:fatigue(90.3%), Concentration difficulty(86.9%), depressed mood(84.0%), insomnia(83.7%), Loss of interest(77.0%), Decreased appetite(77.3%) and etc. Comparing depressive symptoms in terms of gender, the following symptoms were more frequent in female:Loss of interest, Fatigue, Hypersomnia, Psychomotor retardation, Feeling guilty, Suicide attempt, and Loss of pleasure. In male, Indecisiveness, and Decreased libido. Concerning age, the following symptoms are more prevalent in elderly:Depressed mood, Insomnia, Psychomotor agitated, and Feeling guilty. However, the following symptoms more prevalent in young adults: Loss of interest, Fatigue, and Hypersomnia. Conclusion:The most frequent depression symptoms were detected among community resident Korean adults. Some kinds of symptoms of Korean adul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were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and age.

      • 대도시 중심부 쪽방촌 주민의 알코올 사용 장애 유병률과 작업상실일

        손지훈(Jee Hoon Sohn),조성준(Sung Joon Cho),안성희(Seung-Hee Ahn),성수정(Su Jeong Sung),유지민(Ji Min Ryu),박지은(Ji Eun Park),조맹제(Maeng Je Cho)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16 사회정신의학 Vol.21 No.2

        연구목적 : 본 연구는 대도시 중심부 쪽방촌 주민의 알코올 사용 장애 유병률과 작업상실일(Work-loss day)을 평가하여 해당 인구의 알코올 관련 문제의 기능 손실 기여도를 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서울 중심권역인 창신동과 돈의동의 쪽방 밀집 지역의 주민에 대하여 정신보건센터를 중심으로 구청 및 지역 내 관련기관의 협력을 받아 한국어판 Composite International Diagnostic Interview(K-CIDI)와 World Health Organization Disability Assessment Schedule II(WHODAS-II)를 포함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가가호호 직접 방문하여 해당지역의 전수 조사를 목표로 하였으며, 969명의 대상자 중 581명이 마무리를 하였다. 결 과 : 알코올 의존과 남용에 대한 평생 유병률은 각각 24.8%, 10.2%였으며, 1년 유병률은 각각 18.4%와 5.3%로 조사되었다. 알코올 의존에 대한 주요 위험인자로는 남성, 60세 이하의 나이, 노숙의 경험, 알코올 문제의 가족력과 우울증상 등이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1년내 알코올 의존을 보인 군에서는 31%의 작업상실일(Work-loss day)이 관찰되었으며, 여러 변수를 보정한 분석에서 알코올 사용 장애가 독립적으로 초래하는 작업상실률%는 6.66%였다. 외에도 우울증상, 만성 질환, 등급을 받은 장애의 여부 등은 유의한 수준의 작업상실일지수%의 예측인자로, 현재 고용 상태는 보호요인으로 관찰되었으며, 그 기여도는 알코올 의존보다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 론 : 조사가 진행된 쪽방촌 지역은 알코올 사용 장애 문제 유병률이 높았으며, 작업상실일 및 작업상실률% 또한 유의한 수준으로 관찰되었다. 하지만, 이에 대한 기여도는 우울증상, 만성 질환, 등급을 받은 장애의 여부 등이 알코올 의존보다 높았다. 그러므로 알코올 사용 장애가 언급된 요인들의 결과일 수도 있겠다.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prevalence of alcohol use disorder and its effect on work-loss days among the people living in Single-Room-Occupancy (SRO) areas of central Seoul. Methods : Door to door household survey was conducted with all single-room-occupants in the study area. Of 969 people living in the area, 581 subjects completed interview with Korean Version of Composite International Diagnostic Interview as well as WHO disability assessment schedule-II. Results : Lifetime prevalence of alcohol dependence was 24.8% and alcohol abuse was 10.2%. One year prevalence of alcohol dependence was 18.4% and alcohol abuse was 5.3%. Main risk factors of alcohol dependence were male gender, younger age than 60 years, experience of homelessness, family history of alcoholism and depressive symptoms. People with alcohol dependence showed monthly work-loss of 31%. But only 6.7 percentage points of work-loss could be directly attributed to the alcohol dependence. Employments status, registered disability, chronic health problem and depressive symptom were stronger predictors of work-loss days (%) than alcohol dependency. Conclusion : Alcohol use problem was highly prevalent in single-room occupant areas with significant loss of work-days. But depressive symptoms, unemployment and physical health account for more work-loss days than alcohol dependence, and it might be possible that alcohol use disorders being the result of those factors.

      • KCI등재후보

        강박장애 및 아임상형 강박장애의 평생 유병률과 병발성

        홍진표,이동은,함봉진,이준영,서동우,조성진,박종익,이동우,배재남,박수빈,조맹제,Hong, Jin-Pyo,Lee, Dong-Eun,Hahm, Bong-Jin,Lee, Jun-Young,Suh, Tong-Woo,Cho, Seong-Jin,Park, Jong-Ik,Lee, Dong-Woo,Bae, Jae-Nam,Park, Su-Bin,Cho, Maeng-Je 대한불안의학회 2009 대한불안의학회지 Vol.5 No.1

        Background : In spite of the worldwide relevance of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Ed-highlight : Unclear. Perhaps consider changing word choice. (OCD), there are considerable differences in prevalence, sex ratio, comorbidity patterns, and sociodemographic correlates. Data on subclinical OCD have been sparse to date. Methods : Data stemmed from the Korea Epidemiologic Catchment Area (KECA) study which had been carried out from April to December 2001. Korean versions of DSM-IV adapted Composite International Diagnostic Interview were administered to a representative sample of 6275 persons aged 18-64 living in the community. DSM-IV based criteria for subclinical OCD were applied. Results : The lifetime prevalence rates for OCD and subclinical OCD were 0.8% and 6.6%, respectively. In both OCD and subclinical OCD, the rates for males and females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OCD was demonstrated to be associated with depressive disorder, bipolar disorder, social phobia,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and alcohol and nicotine dependence. Additionally, subclinical OCD was associated with posttraumatic stress and somatoform disorders. Comorbidity rates in subclinical OCD were lower than those in OCD. Conclusions : The lifetime prevalence rate for OCD was less than 1% in the Korean general population. Age distribution and comorbidity patterns suggest that subclinical OCD represents a broad and heterogeneous syndrome and not simply a milder form of OCD.

      • KCI등재

        지역사회 노인들의 치매와 우울장애의 유병율, 발병율 및 위험인자 분석

        함봉진(Bong-Jin Hahm),김장규(Jang-Kyu Kim),조맹제(Maeng-Je Cho) 대한노인정신의학회 1999 노인정신의학 Vol.3 No.2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지역사회 노인들의 인지장애와 우울증의 유병율, 발병율 및 위험인자를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방 법 : 경기도 연천군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들을 대상으로 일년 추적조사를 실시하였다. 일차 역학조사를 완료한 790명의 노인들을 일년 뒤 추적하여 한국어판 Psychogeriatric Assessment Scale(K-PAS)를 이용하여 면담하였다. 결 과 : 전체 790명중 631명이 일년 추적조사를 완료하였다. 인지장애와 우울증의 유병율은 각각 21.4%(남자 11.9%, 여자 28.3%)와 8.4%(남자 6.3%, 여자 10.0%)였다. 인지장애와 우울증의 일년 발병율은 각각 11.4%(남자 5.7%, 여자 16.2%)와 5.1%(남자 3.1%, 여자 6.6%)였다. 인지장애 유병율의 위험인자는 교육, 연령, 성별, 뇌졸중의 병력, 경제적 상태였고, 우울증 유병율의 위험인자는 우울증의 가족력, 뇌졸중의 병력, 결혼상태, 경제적 상태였다. 인지장애 발병율의 위험인자는 성별, 교육, 연령, 알코올 사용장애, 결혼상태, 경제적 상태였고, 우울증 발병율의 위험인자는 교육, 결혼상태, 경제적 상태였다. 결 론 : 지역사회 노인들에서 인지장애와 우울증은 흔하고 발병율도 높았다. 인지장애와 우울증의 몇 가지 위험인자들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지역사회 노인들에게 포괄적인 보건 및 복지 서비스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prevalence, incidence, and risk factors of cognitive impairment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in community. Methods : This study was a one-year follow-up of Yonchon cohort aged 65 years and over, selected initially in a prevalence study of dementia and depression. A sample of 790 elderly persons who completely interviewed in a prevalence study was re-interviewed with one year interval using the Korean version of Psychogeriatric Assessment Scale (K-PAS). Results : A total of 631 elderly persons was completely interviewed in this follow-up study. The prevalence of cognitive impairment and depression were 21.4% (11.9% in males and 28.3% in females) and 8.4% (6.3% in males and 10.0% in females), respectively. The one-year incidence of cognitive impairment and depression were 11.4% (5.7% in males and 16.2% in females) and 5.1% (3.1% in males and 6.6% in females), respectively. The risk factors of the prevalence of cognitive impairment were education, age, sex, history of stroke, and economic status. The risk factors of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were family history of depression, history of stroke, marital status, and economic status. The risk factors of the incidence of cognitive impairment were female gander, education, age, alcohol use disorder, marital status, and economic status. The risk factors of the incidence of depression were low education, disrupted marital status, and poor economic status. Conclusion : Cognitive impairment and depression were frequent in the elderly. Several risk factors for cognitive impairment and depression were identifi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mprehensive health and social services were needed for the elder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