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하위인구집단의 분포 재현을 위한 에어리얼 인터폴레이션의 비교 분석

        조대헌,Cho, Daeheon 한국공간정보학회 2014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22 No.3

        Population data are usually provided at administrative spatial units in Korea, so areal interpolation is needed for fine-grained analysis. This study aims to compare various methods of areal interpolation for population subgroups rather than the total population. We estimated the number of elderly people and single-person households for small areal units from Dong data by the different interpolation methods using 2010 census data of Seoul, and compared the estimates to actual values. As a result, the performance of areal interpolation methods varied between the total population and subgroup populations as well as between different population subgroups. It turned out that the method using GWR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and building type data outperformed other methods for the total population and households. However, the OLS regression method using building type data performed better for the elderly population, and the OLS regression method based on land use data was the most effective for single-person households. Based on these results, spatial distribution of the single elderly was represented at small areal units, and we believe that this approach can contribute to effective implementation of urban policies. 공간 분석 연구를 위해 사용되는 대부분의 통계 자료는 행정구역 단위로 구축되어 있어 보다 세밀한 분석을 위해서는 에어리얼 인터폴레이션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전체 인구가 아니라 하위 인구집단에 초점을 두어 에어리얼 인터폴레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들을 비교 검토하는 것이다. 서울의 2010년 센서스 데이터를 이용해 행정동 단위의 고령인구와 일인가구를 사례로 고해상도의 공간 단위로 인터폴레이션 한 후 경험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서로 다른 방법들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전체 집단과 하위 집단 간에, 그리고 하위 집단 간에도 우수한 실행방법이 다소 간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총인구와 총가구는 건물용도 및 GWR(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을 이용한 방법이, 고령인구는 건물용도 및 OLS 회귀분석을 이용한 방법이, 일인가구는 토지용도 및 OLS를 이용한 방법이 가장 좋은 결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대표적인 사회적 약자인 서울의 일인고령가구에 대한 분포를 고해상도의 공간 단위로 재현하였으며, 이러한 접근은 관련 도시 정책의 실행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개발밀도를 고려한 셀룰러 오토마타 기반의 도시 토지이용 변화 모델링

        조대헌(Daeheon Cho) 대한지리학회 2008 대한지리학회지 Vol.43 No.1

        개발밀도는 현대 도시 관리의 주요 관심사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지원 체계가 미비하다. 본 연구에서는 셀룰러 오토마타 기반의 도시 모델링 방법론을 확장하여 개발밀도를 고려한 도시 토지이용 변화 모델을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제안된 모델은 구조적인 측면에서 개발밀도를 명시적으로 고려할 뿐만 아니라 국지적인 밀도 변화를 직접적으로 추정한다. 개발된 모델을 1980년대 초~2000년대 초의 서울 도심부 토지이용 변화에 적용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양한 방법을 통해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제안된 모델은 토지의 용도 변화 뿐만 아니라 밀도 변화에도 유의미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하지만 제안된 모델은 데이터 구득의 한계로 인해 공간적, 시간적 제약을 가지게 되었다. 더불어 모델의 보정 및 타당성 검토 방법론은 본 연구에서 충분히 검토되지 못하였으며, 향후 지속적으로 연구될 필요가 있다. Although development density control has received much attention in urban planning,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on empirical methods that can examine local changes in development density. Recently, attempts have been made to develop cellular automata (CA) models that can be applied to urban landuse change. This paper aims to develop an extended landuse change model based on urban CA considering development density. The proposed model not only includes density control component in a model framework, but also directly estimates local density changes in land use. The developed model was applied to the study area, which was a part of central Seoul. The calibration of the model was carried out over the period 1980s~2000s using parcel-based land use data and related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calibrated model have been tested by comparison with actual landuse data, and have demonstrated that the developed model can produce realistic simulations of urban landuse changes. But model output is dependent on the spacio-temporal resolution of input data. Further research is necessary to improve the calibration procedure and methods for evaluating model validity.

      • KCI등재

        주택가격과 인구이동 간의 연관성에 관한 공간 분석: 수도권의 전세가격을 중심으로

        조대헌 ( Daeheon Cho ) 한국지리학회 2018 한국지리학회지 Vol.7 No.3

        한국에서 주택은 인구이동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이다. 최근 주택 가격, 특히 전세 가격이 급증한 지역에서의 인구 유출이 사회적으로 큰 주목을 받으며, 주택 가격이 인구 이동의 큰 요인으로 간주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실증적인 공간분석은 아직 드물다. 이 연구의 목적은 수도권의 시군구를 분석의 단위로 하여 공간적인 관점에서 주택 전세가격과 인구이동 간의 관련성을 밝히는 것이다. 분석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0년대 중반 이후 수도권의 시군구별 전세가격의 평균은 지속적으로 상승한 반면 순이동률은 지속적으로 반대 방향의 추세를 나타내었다. 둘째, 대체로 서울 등 전세가격이 높고 전세가격의 상승 폭도 큰 지역은 높은 음의 순이동률을 나타냈지만, 그 외 지역은 양의 순이동률을 기록하였다. 셋째, 시군구 간의 순이동을 살펴본 결과 전세가격이 높은 지역에서 낮은 지역으로 순전출이 발생한 경우가 전체의 약 70% 이상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넷째, 순이동률에 대한 OLS 분석 결과 전세가격의 분포와 순이동률의 분포는 음의 관계를 가지고 있지만, 주택재고나 취업기회에 비해 그 설명력은 그리 크지 않았다. 다섯째, GWR 분석 결과 모든 지역에서 전세가격은 순이동률과 음의 관계를 나타내었지만 그 영향력은 지역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서울 및 그 인접지역에서 낮게 나타났다. 정리하자면, 수도권 시군구 수준에서 높은 전세가격은 인구의 유출 혹은 유입 억제 요인이 되지만 그 정도는 그리 강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Housing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migration in Korea. In recent years, population outflows in areas where housing prices, especially rental prices, have surged have received considerable social attention. Although housing prices are considered to be a major factor in recent migration, empirical studies based on spatial analysis are still ra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ing prices and migration in Si-Gun-Gu units of the capital region from a spatial perspective.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ince the mid-2000s, the average of rental prices in the areas has increased continuously, while the average of net migration rates has shown the opposite trend over the period. Second, in general, areas with higher rental price and higher increase of rental price, especially in the southeastern part of Seoul, showed high negative net migration rates, whereas the other areas showed positive net migration rates. Third, in the inter-area migration, more than 70% of net migration flows were directed to areas with lower housing price. Fourth, OLS analysis of net migration rates showed that the spatial pattern of rental prices h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at of net migration rates, but the explanatory power was not strong compared to housing stock or employment opportunity. Fifth, in GWR analysis, rental prices were negatively related with net migration rates in all areas, but the power varied depending in the area, which was lower in Seoul and its neighboring areas. In summary, it is concluded that high rental prices are considered to be factors that promote out-migration or inhibit in-migration, but their impact is not strong enough at Si-Gun-Gu level in the capital region.

      • KCI등재

        이지역 코호트-요인법을 이용한 부산광역시 장래 인구 추계

        조대헌(Daeheon Cho),이상일(Sang-Il Lee) 대한지리학회 2011 대한지리학회지 Vol.46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이지역 코호트-요인법에 의한 인구 추계 방법론을 정립하고, 그것을 부산광역시의 장래 인구 추계에 적용하는 것이다. 우선 시도와 같은 지역 인구의 추계에 있어 우리나라의 공식적인 방법인 순이동 코호트-요인법이 갖는 한계를 예증하였다. 대안으로 지역간 코호트-요인법 중 전체 지역을 두 지역으로 구분한 후 지역 간의 전입과 전출을 분리하여 추계하는 이지역 코호트-요인법을 정립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부산광역시의 2005~2030년에 대한 인구 추계를 3가지 시나리오 하에서 실행하였다. 순이동 방식을 취한 인구 추계와 이지역 방식을 취한 인구 추계 간에는 상당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전출 초과 지역인 부산의 경우 순이동 방식에서 더 빠른 인구 감소가 나타났다. 이지역 방식에 의한 부산 및 전국 추계의 인구 변화 추세를 검토한 결과 추계가 상당히 합리적으로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된 이지역 코호트-요인법은 순이동 코호트-요인법에 비해 논리적으로 더 정연하면서도 실제 추계에 있어서도 높은 유용성을 보여 주었다.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population projection method based on the biregional cohort-component method and to apply it to population projections for Busan. Some drawbacks of using the net migration cohort-component method in a regional or local level population projection are demonstrated. A biregional cohort-component method, a variant of the interregional cohort-component method, is established as an alternative where in-migration and out-migration are separately considered and then are combined to produce a projection for the migration component. Predicated on the established method, population projections for Busan are undertaken for the period of 2005~2030 under three different scenarios. Considerably different projection results are obtained between the net migration and biregional methods; among others, the trend of population decline is more severe in the former than in the latter. An investigation of the temporal trend of the projected population shows that the proposed method is highly reasonable. In conclusion, the proposed method based on the biregional cohort-component method seems not only to be theoretically more robust than the net migration cohort-component method but also to be very effective in the real world application.

      • KCI등재

        고등학교 한국지리 GIS 관련 평가 문항 분석

        조대헌(Daeheon Cho) 대한지리학회 2014 대한지리학회지 Vol.49 No.3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7차 교육과정 한국지리 교과 내용 중 GIS에 관련된 평가 문항을 분석하여 그 특성을 밝히고, 그것이 시사하는 바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선행연구 및 7차 교육과정 교과서에 대한 내용 분석을 토대로 평가의 내용 요소와 행동 요소에 초점을 둔 분석의 틀을 제시하였다. 이에 기초하여 대학수학능력시험을 포함, 2004~2012년에 시행된 전국규모평가를 대상으로 문항의 특성과 정답율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문항의 유형과 관련하여서는 특정 문항에의 집중이 크게 나타나고 있었으며, 정답율의 경우 전체 평균 보다 다소 높았으나 문항의 유형별로 상이한 결과를 보였다. 이 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평가 과정 및 교실수업에 시사하는 바를 제시하였는데, 지형이나 인구와 같은 일반 교과 내용과의 연계, 탐구 지향형 평가의 문항의 강화 및 적정 난이도 유지 등이 개선 방향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GIS-related test items of high school Korean Geography in the 7th National Education Curriculum, and to discuss some issues and challenges. First, we developed a framework for analyzing test item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 content analysis on the textbooks, which categorizes test items in terms of content elements and activity elements. Then, we examined test items of nation-wide tests including CSAT(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arried out 2004-2012 and analyzed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as well. According to the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predominance of particular test item categories, and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of GIS-related items was slightly higher than whole average but it depended on the test item categories. Finally,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this analysis to the tests as well as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in the classroom, and suggested improvement directions such as integration of GIS with other contents, reinforcement of the inquiry-based test items, maintaining moderate difficulty.

      • KCI등재

        기후 요인을 중심으로 한 GIS 기반의 파프리카 시설재배 적합 지역 분석

        조대헌(Cho, Daeheon),한재연(Han, Jae-yoen),전보애(Chun, Bo Ae),조헌(Cho, Heon) 한국지역지리학회 2018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4 No.1

        시설재배의 지리적 특성에 대한 연구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기후 요인에 초점을 두어 분석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대표적인 시설재배 작물인 파프리카를 대상으로 기후 요소를 중심으로 분포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재배유형별 적합 지역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우선 파프리카를 재배하는 농장의 위치와 관련 속성 정보, 지형 및 기후 정보를 GIS 데이터로 구축하였다. 이를 토대로 지리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겨울부터 수확하는 겨울재배는 주로 남부의 저평지에서, 여름부터 수확하는 여름재배는 대부분 중부 및 남부의 높은 산지 주변에서 이루어져 비교적 명확히 구분되었다. 특히 한 겨울인 1월에는 겨울재배지가 여름재배지에 비해 5℃ 가량 더 따뜻한 반면 한 여름인 8월에는 여름재배지가 겨울재배지에 비해 3℃ 가량 더 낮게 나타났다. 이어 실제 재배지들의 기후 조건을 중심으로 재배유형별로 적합 지역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에서 파프리카 재배에 적합한 농경지는 약 12,000km2 정도로, 약 87%(주로 남서부 지역)가 겨울재배에, 12%(주로 중부 및 남부 산지 주변 지역)는 여름재배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넓지는 않지만 겨울재배와 여름재배 둘 다 가능한 지역이 동해안(강원 고성~경북 울진)을 중심으로 파악되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이 연구는 시설재배와 기후요소 간의 연관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의미를 가지며, 그 결과는 스마트팜을 비롯해 파프리카 시설재배의 의사결정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Although studies on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greenhouse farming are not rare,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focusing on the climatic factors. The main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1) to analyze the geographical patterns of paprika cultivation which is conducted in greenhouses and 2) to identify the suitable areas by cultivation types in Korea based on the climatic factors. First of all, spatial and attribute data on the individual paprika farm estimates were collected, processed and constructed to a GIS database, which integrates the geo-referenced paprika farm estimates with data on topographic features, land use, and climatic data. As a result of geographic analysis, winter cultivation was adopted mainly in the southern lower plains and summer cultivation was found mostly in the central or southern higher mountainous areas. Especially, it was revealed that the average temperature in January of the winter cultivation areas was about 5℃ higher than that of summer cultivation areas while the average temperature in August of summer cultivation areas was lower about 3℃ than that of winter cultivation areas. Secondly, we analyzed suitable areas for each cultivation type by focusing more on climatic conditions of actual paprika farms. It turned out that the total area suitable for paprika farming was about 12,000km², of which around 87% (in southwestern part in general) was suitable for winter cultivation and 12% (primarily in central or southern higher lands) for the summer cultivation. Among other things, east coast area from Goseong-gun to Uljin-gun was identified as the overlapping area suitable for both winter and summer cultiv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geographic relationship between facility cultivation practices and climate factors is empirically analyzed. Furthermore, this will provide critical information for decision makers at the various levels of paprika greenhouse cultivation including smart farming.

      • KCI등재

        강릉 초당마을의 변화와 장소기반교육의 적용

        조대헌 ( Daeheon Cho ),최광희 ( Kwang Hee Choi ) 한국사진지리학회 2020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30 No.4

        초당마을은 천년 이상의 역사를 가져 강릉 내에서도 매우 유서 깊은 마을이지만, 최근 순두부마을로 알려져 방문객이 급증하는 등 상업적으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초당마을의 변화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장소기반교육의 배경 하에서 같은 생활 공간 안에 있는 학생들이 이러한 변화를 탐구해보도록 함으로써 교육적 활용 가치를 파악하는 것이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00년대부터 초당마을은 경제활동에서 음식숙박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히 높아졌으며, 순두부거리는 물론 마을 중앙부에도 카페 등 다양한 업체들이 생겨나고 있다. 새로운 건물이 들어서고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 노후화되거나 사라져버린 곳들이 뒤섞여 있고, 도로가 확장되었지만 마을 내부는 늘어난 차량들로 혼잡하다. 이런 마을의 변화와 관련된 이슈를 중심으로 인근 고등학교 학생들이 프로젝트형의 탐구 활동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은 인지적, 기능적, 정의적 영역에서 모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지만, 기능 면에서는 상대적으로 저조하고 정의적인 면에서는 상당히 두드러지는 반응을 보였다. 학교 주변 마을에 대한 이슈를 탐구하는 활동은 실행가능성 및 학습 효과라는 측면에서 매우 유익한 활동으로 판단되지만, 학교 주변장소들에 대한 학생들의 평소 인식 수준이 예상보다 높지 않았던 점은 향후 프로그램 운영시 고려해야 할 부분이다. Chodangmaul is a very historic village which is more than 1,000 years old in Gangneung, but as it is recently well known as Sundubu(soft tofu) Village, it is rapidly changing commercially with a surge in visitor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 changes in Chodangmaul, and to investigate their educational value by having students in the same living space explore them under the background of place-based education approach.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Since the 2000s, the share of the food and accomodation services sector has increased in Chodangmaul, and new different kinds of cafes and restaurants are emerging in the center of the village in addition to Sundubu Street. New buildings are being built, but these are mixed with deteriorated buildings or demolished places, and roads have been expanded but the villiage is crowded with increased vehicles. Focusing on the issues related to the change of the village, students from nearby high schools conducted inquiry-based project activities. Most of the students responded quite positively in both cognitive, functional and affective domains, but relatively poor in functions domain and very remarkable in affective domain. Activities for students to explore issues about the comminity around their school are highly feasible and educational, bu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at students’ perceptions of places around the school are not high when planning new programs.

      • KCI등재

        카운트 데이터 기반 공간 군집 분석 연구의 동향과 방법론적 이슈

        조대헌(Daeheon Cho) 대한지리학회 2013 대한지리학회지 Vol.48 No.5

        행정구역과 같은 공간 단위로 합산된 카운트 데이터는 지리학 연구에 있어 가장 기본적인 데이터이다. 카운트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는 공간 군집 분석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 왔으나 상대적으로 큰 관심을 받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여러 분야에서 산발적으로 이루어지면서 그 흐름은 물론 주요한 성과와 과제를 제대로 파악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최근 20여 년 동안 이루어진 카운트 데이터 기반의 공간 군집분석 연구를 대상으로 동향과 방법론적 특성을 살펴본 후 이슈와 과제를 검토함으로써 지리학 연구에 시사하는 바를 파악하고자 한다. 지리학은 물론 보건이나 범죄 등의 영역에서 다양한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들은 그 목적이나 방법론적 특성이 비교적 뚜렷이 구분될 뿐만 아니라 통계학적 신뢰성과 관련된 이슈 또한 존재한다. 따라서 분석의 실행시 방법론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며, 향후 방법론과 관련된 실증 연구 및 분석 도구의 개발이 요구된다. Count data aggregated into areal units such as administrative boundaries are the most important sources of information for geographic research. Despite of ongoing research on spatial cluster analysis of count data, it has received relatively little attention and besides, it is difficult to comprehend research trends as well as major outcomes and challenges.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research literature conducted during the last two decades, to examine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and finally to discuss some issues and challenges. Methods for indentifying spatial clusters have been used in various fields including geography, criminology, and epidemiology. However, their methodological features are not only quite distinct from each other, but there are issues related to the statistical reliability. Therefore, these have to be taken into account carefully when particular methods are used, and further empirical research about methodological issues and the development of analysis tools is needed.

      • KCI등재

        지리정보기술을 활용한 지역문제 탐구형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강릉 해안침식 문제를 중심으로-

        조헌 ( Heon Cho ),전보애 ( Bo Ae Chun ),조대헌 ( Daeheon Cho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8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8 No.2

        최근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이 학습자 중심의 패러다임으로 전환되면서 초중등 학교에서는 학생들의 활동이 중심이 되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 운영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서 관련 연구도 급증하고 있음은 고무적이다. 그러나 창의적 체험 활동이 본래의 의도한 교육적 효과를 달성하고 있는지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부족한 형편이다. 본 연구는 창의적 체험활동이 학교현장에 안착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조건이 필요함을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확인하였다. 먼저, 창의적 체험활동은 학생들의 생활 공간을 벗어나서 이루어지기는 어려우므로 지역 사회와의 연계가 매우 중요하다. 둘째, 야외조사는 매우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지만 창의적 체험활동의 관점에서는 장소기반 교육의 함의를 고려해본다면 학생들의 일상생활이 이루어지는 지역 사회의 범위를 넘지 않아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지역 사회가 가진 이슈나 문제를 중심으로 접근할 때, 인지적 영역과 기능적인 영역 뿐 아니라 정의적 영역, 즉 지역 문제 해결을 위한 참여를 통한 공동체 의식의 함양이나 향토애 증진 등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 문제를 다루는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제 강릉시 소재 일반 고등학교의 창의학술동아리에 2학기에 걸쳐 적용하였다. 설문조사 및 인터뷰를 통해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를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창의적 체험활동이 본래의 교육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일회성 방문 중심의 체험 보다는 지역 사회의 문제에 대해 실제로 조사하고 탐구하는 과정, 특히 정보기술의 활용을 통합하는 장기 프로젝트 활동이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Recently, we have witnessed urgent calls to change the national curriculum and paradigm shift to student participatory programs such as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and free-learning semester/year system. It is encouraging that a variety of programs are being developed and implemented and related researches have been increasing rapidly. However, empirical studies on whether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achieve the intended educational effect is insufficient. Three features are identified as essential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under which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are necessary to take root and endure at the school site. First, the connection with the community is very important. Second, field work should not exceed the scope of the community where students' daily lives are made. Third, students can cultivate affective domains such as a sense of community and place attachment as well as cognitive and functional domain when they participate in solving community problems. Therefore, a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y program dealing with local issues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an actual academic club of a general high school in Gangneung City over two semesters.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reviewed through surveys and interview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is study proposes that a long-term project which integrates inquiry-based fieldwork with community issues, especially applying the use of information technology, may be an alternative rather than a one-time visit program in order for the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to achieve the original educational goals.

      • KCI우수등재

        공간적 자기상관 통계량의 고유벡터 간 비교 연구

        이상일(Sang-Il Lee),조대헌(Daeheon Cho),이민파(Minpa Lee) 대한지리학회 2017 대한지리학회지 Vol.52 No.5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상이한 공간적 자기상관 통계량(모런 통계량, 기어리 통계량, S <SUP>*</SUP> 통계량)과 상이한 공간근접성행렬(이항연접성행렬과 행표준화행렬)로부터 추출된 고유벡터의 공간 패턴을 체계적으로 비교함으로써 고유벡터의 다양성에 대한 일반론을 정립하고, 이러한 고유벡터의 다양성이 고유벡터공간필터링 접근에 대해 갖는 함의를 실 데이터를 통해 검토하는 것이다. 고유벡터간 일치도 평가를 위해 일종의 상관관계 매트릭스 그래프가 사용되었고, 대각선성과 대응성이라는 두 가지 규준에 의거해 해석되었다. 이와 관련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동일한 공간적 자기상관 통계량에 상이한 공간근접성행렬을 적용한 결과 상당히 이질적인 고유벡터의 세트가 추출되었다. 둘째, 상이한 공간적 자기상관 통계량 쌍 간에 일치성의 정도와 양상에서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고, 공간근접성행렬의 효과도 현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유벡터의 다양성이 공간적 회귀분석에 가지는 함의를 분석하기 위해 푸에르토리코의 경험 데이터에 대해 6개의 서로 다른 ESF 모형을 실행하였다. 세 가지의 기본적인 사항이 관찰되었다. 첫째, 모형 별로 다양한 개수의 고유벡터가 다양한 순위의 조합으로 선정되어 투입된다. 둘째, 투입된 고유벡터의 종류에 따라 ESF 모형이 잔차의 공간적 자기상관을 제거하는 능력이 달라진다. 셋째, 회귀계수의 크기와 유의성이 모형별로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기본적인 결과를 바탕으로 두 가지 함의가 도출되었다. 첫째, 기본적으로 잔차의 공간적 자기상관을 가장 잘 제거하는 모형이 가장 우수하다고 말할 수 있다. 둘째, 회귀계수의 크기와 유의성을 비공간적인 기본 모형과 비교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상이한 ESF 모형들을 평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source and aspects of the variability of eigenvectors by comparing the spatial patterns of different eigenvectors in association with different spatial autocorrelation statistics (Moran’s I, Geary’s c, and Lee’s S<SUP>*</SUP>) and/or different spatial proximity matrices (binary contiguity-based and row-standardized) and, based on this, to discuss some potential implications for the eigenvector spatial filtering modeling. A modified form of the correlation matrix graph is used as a visual analytic and two criteria, diagonality and correspondence, are set to evaluate the degree of coincidence between two sets of eigenvectors. Regarding this, two things are observed: (1) the spatial proximity matrix matters even when the same spatial autocorrelation statistic is concerned; (2) different spatial autocorrelation statistics and different spatial proximity matrices are jointly responsible for the variability of spatial eigenvectors. In order to draw some implications of the variability of spatial eigenvectors for the eigenvector spatial filtering approach, six different ESF models are established for the Puerto Rico agricultural data. Regarding this, three things are observed: (1) different numbers and compositions of eigenvectors are selected for the models; (2) different models due to the different eigenvector input have different ability to control spatial autocorrelation in residuals; (3) the magnitude and significance of the regression coefficients vary among the models. Based on these, two implications are drawn. First, a better model should remove spatial autocorrelation in residuals better. Second, another criterion can be set based on a comparison between ESF models and the basic model in terms of the magnitude and significance of regression coeffici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