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土地所有權의 效力 範圍 및 그 登錄에 관한 硏究

        정회근(Hoe-Geun Jeong) 한국토지공법학회 2006 土地公法硏究 Vol.31 No.-

          The current trend is toward extending to the range of land use. But the legislation concerning it has too many loose ends. The existing legislation focuses on physical situations of the surface of the ground. So changes need be made to the existing rules.   First of all,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effective limits of the right of ownership in land in discussing about utilities of 3-D space. And then indicates the problems of existing legislation and suggests improvement direction of land registration.

      • KCI등재

        부동산표시사항의 경정등기에 관한 소고 - 현실경계의 확정과 그 등재에 따른 법적 검토를 중심으로

        정회근(Hoe-Geun Jeong) 한국토지공법학회 2006 土地公法硏究 Vol.30 No.-

          Cadastral and registration system are typical public announcement of real estate. The two have much in common but they are a little bit different. Namely, the former deals with physical phenomena and the latter do the creation or transfer of a real righ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legal principles concerning the demarcation a boundary and to examine the problems in a process of registration of an alteration. Especially, we will cite judicial precedents of the Supreme Court in order to understand the an issue of law and to raise a new issue about this topic.

      • KCI등재

        통일 후 북한토지의 관리방안으로서 감정평가에 관한 연구

        정회근(Jeong, Hoe-Geun),최승조(Choi, Seung-Joe) 한국토지공법학회 2015 土地公法硏究 Vol.68 No.-

        우리나라는 지구상에 남아 있는 유일한 분단국가이다. 남북으로 갈라진 한반도를 하나의 국가로 통합하기 위한 경제적 측면에서의 초기단계가“개성공업지구”의 설치라고 할 수 있다. 나진․선봉경제무역지대, 신의주경제특구, 금강산국제관광특구의 지정 등과 더불어 개성공업지구의 설치는 대외개방정책의 일환으로서 남북한 경제협력의 상징이다. 이러한 정책의 변화는 통일을 촉진하는 계기가 될 것이며, 이는 우리가 통일을 준비하고 이에 대한 대비를 해야 하는 시점이 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통일 후 북한지역의 토지 관리방안으로서 감정평가에 대하여 연구하고 준비해야 하는 것은 우리에게 주어진 당면과제이다. 통일 후 북한토지의 관리방안으로 여러 가지 대안이 나름 장단점을 가지고 있지만, 통일 독일의 구동독 토지의 사유화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우리는 익히 알고 있으므로 급격한 사유화의 추진은 많은 사회적․경제적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 따라서 토지 공공임대제는 토지 사유제와 토지 공유제의 절충형으로서 토지의 소유권은 통일국가, 지자체, 공공기관 또는 민간 개발공사가 가지고 토지의 실사용자에게 장기 임대하는 제도로서 토지의 사유에 따른 지가급등, 토지투기 등으로 인한 사회적․경제적 혼란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제도로 제안을 하지만, 통일 후 우리의 현실에 적합할지에 대하여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통일 후 북한지역의 토지관리 방안으로서 토지가격산정은 감정평가에 의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과거 반세기 이상의 기간 동안 토지의 사유가 인정되지 않고 국가소유로서 토지가격을 산정할 필요가 없었던 북한지역의 토지가격산정은 남한의 감정평가제도로서 충분히 감당할 수 있을 것인가를 살펴본 결과, 장기간의 분단에 따라 북한지역의 사회․경제․문화적 상황이 남한과 상이하여 남한의 감정평가 제도를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불가능한 것으로 보여 지므로, 통일 후 북한토지의 관리를 위한 가격산정의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특별법의 제정이 필요하고, 북한지역의 토지평가에 적용할 감정평가 제도는 이 특별법의 제정에 의하여 도입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이후 북한지역의 경제적 상황 및 주민의 경제적 수준이 향상되어 토지에 대한 구매력이 증가되고, 자유시장경제체제의 도입이 가능한 상황이 되었을 때에 남한의 감정평가 제도를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Korean Peninsula is the only divided country on the earth. In economic terms, the initial step to unify the divided Korean peninsula into one nation can be said of the installation of "Kaesong Industrial District". The installation of "Kaesong Industrial District" in addition to the designation of "Najin-Seonbong Economic and Trade Zone", "Sinuiju Special Economic Zone" and "Mount Kumgang International Tourism Zone" and so forth is a symbol of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as part of the policy of opening to the outside. Changes in these policies will be an opportunity to promote unity and they mean that it is the time for us to prepare and provide for unify. Thus, as a land management plan for the North after the unification, research and preparation for appraisal are the challenges given to us. As land management plans for the North Korea after reunification, various alternatives have their own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but we know that a unified Germany had problems in the process of privatization of East German land, so the promotion of rapid privatization will cause many social and economic problems. Therefore, as a public rental system is a Trade-off model of land privatization and land-sharing system and a long-term lease model to real users while the unified nation, local governments, public institution and private development corporations have ownership of land, we propose a system which minimizes social and economic disruption caused by soaring land and land speculation, but additional research will be needed on whether it is suited for the realities of our post-unification. As land management plans for the North Korea after reunification, land pricing shall be calculated in the appraisal. During the past half-century or more,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hether appraisal system of South Korea can afford land pricing of North Korea which does not allow private land and does not need to price land because of state-owned land, in accordance with the division of long-term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context different from the South, it is impossible to accept the South of Appraisal without filtration. Would enact a special law is needed to minimize the confusion of pricing for management of North Korean land after reunification and an appraisal system applicable to the assessment of land in North Korea is likely to be introduced by the special law. Since the economic situation in North Korea and the economic level in residents of North Korea are improved, due to this purchasing power for land increases, therefore the introduction of a free market economic system is possible, appraisal of South Korea is believed to be able to apply.

      • KCI등재

        개발제한구역의 지정에 따른 권리구제 가능성

        정회근(Jeong, Hoe-Keun) 한국토지공법학회 2015 土地公法硏究 Vol.71 No.-

        개발제한구역이라 함은 도시의 무질서한 확산을 방지하고 도시주변의 자연환경을 보전하여 도시민의 건전한 생활환경을 확보하기 위하여 도시의 개발을 제한할 필요가 있거나 보완상 도시의 개발을 제한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도시‧군관리계획으로 결정된 구역을 말한다. 개발제한구역에 대한 실정법상 근거로는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또는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에서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해제와 개발제한구역의 행위제한, 주민에 대한 지원, 토지의 매수 기타 개발제한구역의 관리를 위하여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고 있다. 또한 개발제한구역은 도시․군관리계획의 일종으로서 개발제한구역의 지정행위는 그 구역의 주민에 대하여 일반적․추상적 규범성을 가지고 있는지 아니면 처분성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하여 논란이 있다. 행정입법으로 보더라도 현행법상 행정소송으로 제기할 수 없는 할 수 없는 문제가 있고, 처분으로 보더라도 어떤 형태의 처분으로 볼 것인가하는 문제도 있다. 현행제도상 행정소송으로 구제받기 위해서는 처분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개발제한구역으로 지정이 되면 그 구역안에서는 개발이 원칙적으로 금지되며 허가 또는 신고로서 예외적으로 개발을 인정하고 있다. 그리고 개발제한구역이 개발제한구역의 지정기준에 부합되지 아니하게 된 경우에는 이를 조정 또는 해제할 수 있다. 이러한 지정행위나 지정해제행위는 직접 국민의 재산권 행사를 제한하거나 제한을 해제하는 효과를 가져오므로 행정소송을 제기 할 수 있다. 그러나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해제로 인하여 국민의 재산권이 제한이 되더라도 현행법상 개발제한구역안에 있는 주민에게 조정이나 해제에 대한 신청권을 명문으로 규정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행정소송으로 구제받기가 어렵다. 또한 손실보상규정도 없기 때문에 재산의 손해에 대해서도 구제받기가 어렵다. 일반적으로 개발제한구역제도는 공익의 보호만을 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개인적인 이익을 보호하는 것이 아니므로 원고적격을 인정하지 않는다. 하지만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해제로 인하여 국민의 재산권이 제한이 되고 재산권에 특별한 희생이 있는 한 개발제한구역안의 토지소유자에게는 행정소송을 통하여 지정을 취소하는 취소소송을 제기할 수 있어야 하고 해제를 신청할 권리를 인정하여야 한다. 또한 손실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어떠한 구제방법을 도출해야 할 것이다. A law for green belt is national land planning and utilization act and act on special measures for designation and management of green belt. These acts are to prescribe necessary matters to designate and cancel the green belt, to restrict activities performed in green belt, to provide support to residents in development restriction zones, to purchase land, and to efficiently manage green belt. There are the controversy that it is whether the act to designate the green belt has disposal characteristics, that it is whether the act to designate the green belt has general abstract canonicity for the inhabitants in the zone, as a green belt is one kind of the urban․Gun management planning. If consider it at the side of the administrative legislation, there is a problem to cannot lay formal complaint against that on an existing law. And there is a problem whether shall take it as the disposal of what kind of form, even if consider it by disposal. Therefore, it will have to be taken as disposal so that it receives relief by administrative litigation in a current system. Development is prohibited in principle in the zone, if appointed in a green belt, but the exceptional development is accepted only as permission or a declaration. When a development restrictions zone does not come true in the designated standard of the development restriction zone, this can be adjusted and can be canceled. Such a designation act and the cancellation act of designation bring effects to remove a limit or to limit the property right of the nation. Therefore, administrative litigation can be stated at this time. However, it is difficult to receive relief by administrative litigation even if the property right event of the nation is subject to a limit by designation and the cancellation of the development restriction zone because an application right for adjustment and the cancellation is not prescribed on an existing law for the inhabitants in the green belt.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solve the damage of the property, because there is no the compensation for their loss. Generally, the acts of green belt not to protect personal profit, are aimed only for protection of the public benefit, and standing to sue is not accepted. However, if the property right of the nation is limited by the designation of the development restriction zone and cancellation and special sacrifice depends on a property right, can be state cancellation suit to cancel designation through administrative litigation to the landowner of the development restriction zone, and the right that can be proposed cancellation must be recognized. In addition, what kind of remedy will have to be derived to be able to receive loss compensation.

      • KCI등재

        감정평가업의 향후 방향 및 그 과제에 관한 연구

        정회근(Jeong, Hoe-Geun) 韓國土地公法學會 2011 土地公法硏究 Vol.54 No.-

        감정평가사 자격 취득자 수는 2010년 6월 현재 3,060명이며, 공시지가 조사 등을 포함한 연간 감정평가시장(수수료 기준)규모는 2009년 말 기준 약 5,561억 원을 상회하고 있다. 이러한 감정평가업의 성장 배경에는 경제의 급속한 고성장, 급격한 도시화, 부동산 개발의 호재 등에 힘입은 부동산 경기의 호황이 있었다. “향후에도 계속 이러한 성장은 가능할 것인가?”에 대하여 본 연구에서는 감정평가업의 향후 전망을 시나리오 플래닝(scenario planning)하고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구방법은 첫째, 감정평가의 이론연구에서는 기술적 연구(descriptive research)방법을 활용하였고, 둘째, 감정평가업의 전망 분석에 있어서는 시나리오 플래닝(scenario planning)이라고 하는 미래의 대응전략 모색기법을 활용하였다. 시나리오 플래닝 결과 ① 겨울 시대의 뒤에 오는 초번영의 시나리오 ② 위기를 계기로 한국경제가 재생하여, 감정평가업계도 질적 변화를 이루는 시나리오 ③ 한국경제는 디플레이션의 정상에 올라가, 마침내 대공황이 되는 시나리오의 3개를 도출하였다. 또한 향후 우리 사회변화의 큰 트렌드는 저 출산으로 인한 인구감소, 저성장, 고령화 및 노인 빈곤, 사회의 고학력화, 양극화 기조가 지속될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사회변화 때문에 향후에는 예전과 같은 부동산 경기의 큰 호황을 기대하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보여 지며, 감정평가업을 비롯한 부동산서비스업계의 큰 성장도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시나리오를 토대로 감정평가업의 발전 방향은 감정평가 의뢰자의 효용 충족 서비스 제공, 비즈니스 프로세스 아웃소싱(BPO : business process outsourcing)과 업무 확장, internet web기반의 감정평가로 지역성을 뛰어 넘는 업무 확장, 신용사회의 무체재산권 감정평가 업무 확장,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EU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른 국제기준에 합리적 대응 및 감정평가업무의 세계화(globalization) 실현, 감정평가의 노하우 수출로 감정평가업무의 확장 및 경영성 확보, 전문교육 강화 및 유대강화, 지속적인 시나리오 플래닝을 통한 감정평가업의 건전한 경영성 확보의 9개를 제시했다. 이와 같은 발전방향은 시나리오 플래닝 분석기법을 통해 도출된 3개의 시나리오 모두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며, 감정평가업의 경영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A appraiser’s licensee is 3,060 people as of June, 2010. The annual appraisal business market(fee standard) scales including investigations into appraised value of land are more than approximately 556,100 million won in the end of 2009 standard. As for “this, is such a growth possible all the time?”I showed scenario planning and a trend toward growth at future possibility of the appraisal business in this study. First, descriptive research method was utilized in the study method of the theory study of the appraisal. Second, the grope technique of a correspondence strategy to be called scenario planning was utilized to make an analysis of a prospect in the appraisal business. The result of the scenario planning was three. ① One was a scenario of the forthcoming prosperity in winter to the next. ② If economy of Korea got over a crisis, it was the scenario which the appraisal business came to have a qualitative change toward. ③ It was the scenario that The deflation of Korean economy produces the great depression after all. In addition, I grasped that trend of the our future society change will be continuously a population decline, low economic growth, orders high, poverty of old person, high educational background, social polarization. For such society change, I think that I am hard to hope that a real estate economy same before becomes booming and the big growth of the real estate service industry including the appraisal business that is the same as the past in the future. Therefore, nine trends toward growth were shown in a base by such a scenario. The trend toward growth of the appraisal business is to provide service filled up to a appraisal client. It is to widen duties of the appraisal business using a business process outsourcing(BPO). It is to widen duties of the appraisal business using a internet and web base to get over a local limit. It is to widen duties of the appraisal business using an intangible property right in the trust society. It is to realize a globalization of appraisal business duties and to prepare the international standard of appraisal business in a countermeasure for inking an FTA with U.S. and EU. It is to widen duties of the appraisal business to export know-how of appraisal business. It is to maintain sound management of the appraisal business through professional training reinforcement and to strengthen the bond between appraisers, to make a sustained scenario planning. This trend toward growth is applied to all three scenarios derived through scenario planning analysis technique commonly. This trend toward growth may push forward management of the appraisal business.

      • KCI등재

        민간주택 분양원가 공개의 위헌성 검토

        정회근(Jeong, Hoe-Keun),송현담(Song, Hyun-Dam) 한국토지공법학회 2012 土地公法硏究 Vol.59 No.-

        In accordance with Article 23 and Article 119 of the Korean Constitution, it is declared that private property and private autonomy should be assured, and individuals and enterprises’ economic freedom and creativity should be respected on the basis of free-market economic order. Besides, Article 15 assures the freedom of career choice including the freedom of career decision and the freedom of career performance as well as the freedom of business in a broad sense. According to the present Housing Act, it is compulsory to open even the parcel cost of apartment houses. The original purpose of this institution is to promote stability on the housing market by preventing homeless citizens from suffering financial damages and a wave of speculation caused by construction companies’ excessive pricing. However, many questions have arisen about the effectiveness of this institution, especially whether opening the parcel price or parcel cost of houses, not market rices. Although construction companies’ cost opening may not have direct effect on restricting the parcel price itself, it will have indirect effect on the pricing through a psychological pressure that they would be the target of public opinion. In this light, this institution not only limits construction companies’ freedom of price decision, but constricts the construction industry, and another issue is that the parcel cost even includes a construction company’s confidential business information used to maximize profits with the least expense. The cost opening institution for privately-built houses can be approved in terms of the legitimacy of its legislative purpose, but it doesn’t seem to satisfy every requirements, such as the appropriacy of means, the balance of benefit and protection of the law and the minimization of damages, and is likely to violate the constitution by infringing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the principle of anti-overrestriction). In accordance with Section 1 and 2 of Article 119 in the constitution, it is ordered that the state consider the respect of economic freedom and creativity and the economic regulation and arbitration at the same time. Accordingly, taking such super-strong regulatory measures, called ‘Cost Opening of Privately-built Houses’ is judged inappropriate even from the standpoint of Article 119. Cost opening is not only unprecedented in the history of Korean economic legislation, but no one has adopted such an institution out of all the countries sustaining the capitalistic market-economy order. Therefore, in any other market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goods in addition to the housing market, such an institution cannot help being introduced and allowed for the normalization of markets. Eventually, introducing such a cost opening institution even into the sector of privately-built houses has high probability to excessively infringe the freedom of career performance, further violating the constitution. Moreover, due to the social binding of land property rights reinforced for publicly-built and privately-built houses, it is a consitutional demand to strengthen the security of private property system much more. Nevertheless, even into the sector of privately-built houses, whose legal structure is definitely different from that of publicly-built houses, introducing the cost opening institution is highly likely to violate basic legal rights. Overall, unlike that of publicly-built house construction, the sector of privately-built house construction is a domain where is mostly governed by high-degree principles of the market economy. Thus, forcing construction companies to open their parcel costs, which correspond to their confidential business information, through acts is likely to violate the constitution while infringing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the principle of anti-overrestriction) 우리 헌법은 제23조와 제119조에서 사유재산 및 사적자치를 보장하고, 개인과 기업의 경제상의 자유와 창의를 존중하는 자유시장경제질서를 기본으로 함을 선언하고 있으며, 제15조에서는 직업결정의 자유와 직업수행의 자유 내지는 영업의 자유를 포괄하는 넓은 의미의 직업선택의 자유를 보장하고 있다. 현행 주택법에서는 민간택지에 건설하는 공동주택에까지 분양원가를 공개토록 하고 있다. 동 제도의 당초 목적은 건설업체의 과도한 분양가 책정으로 인한 무주택서민들의 피해와 투기의 과열을 방지하여 주택시장의 안정을 도모한다는 것인 바, 주택의 분양가격이나 거래가격이 아닌 분양원가를 공개함으로써 아파트 투기의 과열을 막을 수 있는지 제도의 실효성에 많은 의문이 제기되어 왔다. 건설업체의 분양원가 공개는 분양가 자체를 제한하는 직접적인 효과는 없다고 하더라도 여론의 표적이 될 것이라는 심리적인 압박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가격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면에서 건설업체의 가격결정의 자유를 제한하고, 건설사업을 위축시키는 것이 될 뿐 아니라, 분양원가에는 최소비용으로 이윤을 극대화하는 기업의 영업비밀이 포함되어 있다. 민간주택에 대한 분양원가 공개제도는 입법목적의 정당성은 긍정되나, 수단의 적절성, 법익의 균형성, 피해의 최소성 등의 각 요건을 충족한다고 보기 어려우므로 비례의 원칙(과잉금지의 원칙)에 위배되는 위헌의 소지가 있다. 헌법 제119조제1항과 제2항은 국가에게 경제상의 자유와 창의의 존중과 경제의 규제와 조정을 함께 고려하도록 명령하고 있다. 따라서 민간주택에 대한 분양원가 공개라는 초강력 규제조치를 수단으로 선택하는 것은 제119조의 관점에서도 부적절하다고 판단된다. 분양원가의 공개는 우리나라 경제입법상 유례가 없음은 물론 자본주의 시장경제질서를 유지하고 있는 어떠한 나라도 채택하지 않은 제도이다. 이에 따라 주택시장 외에 공공재적 성격을 지닌 어떤 시장에서도 시장 정상화를 위해 이와 같은 제도가 도입되는 것을 허용할 수 밖에 없다. 결국 민간택지에까지 분양원가 공개제도를 도입함으로써 민간 건설업체의 영업의 자유내지 직업수행의 자유를 과도하게 침해할 가능성이 높아 위헌성이 있는 것으로 볼 수 밖에 없다. 더구나 공공주택과 민간주택에 있어 강화된 토지재산권의 사회적 기속성에 불구하고 민간주택의 경우에는 사유재산제의 보장이 더욱 강화되어야 하는 것이 헌법적 요청임에도 불구하고 공공주택과는 그 법적 구조가 전혀 다른 민간주택에까지 분양원가 공개제도를 도입한 것은 기본권 침해의 가능성이 크다. 공공주택과 달리 민간주택 건설 분야는 고도의 시장경제원리가 지배하는 영역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부동산정책이나 세제정책을 통한 공익의 실현과는 달리, 고도의 영업 비밀에 해당하는 분양원가를 공개하도록 법령으로써 강제하는 것은 비례의 원칙(과잉금지의 원칙)을 침해하여 위헌의 소지가 있다고 할 것이므로 이를 폐지하는 방향으로 조속한 입법개선 조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도시관리계획에 따른 권리구제 가능성

        정회근(Jeong, Hoe-Keun) 한국토지공법학회 2013 土地公法硏究 Vol.61 No.-

        도시ㆍ군관리계획은 지방자치단체의 관할구역에 대하여 개발ㆍ정비 및 보전을 위하여 행정청이 수립하는 계획을 말한다. 이러한 계획이 결정ㆍ고시되면 그로 인하여 행위제한이 되어 국민에게 직접적으로 효력이 발생하여 권익을 침해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도시ㆍ군관리계획으로 인한 권리가 침해된 경우 구제를 받아야 하는데 현행제도로 구제받는 것이 그리 용이하지는 않다. 현행구제제도로서 취소쟁송과 손해배상으로 구제받기 위해서는 법령에 근거한 행정청의 처분이 있어야 하고, 그 처분이 위법 및 적법해야 취소쟁송 및 손해배상, 손실보상으로 구제를 받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도시ㆍ군관리계획은 행정청이 법령에 근거하지 아니하고 행정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장래의 행정의 방향을 제시하는 활동지침이기 때문에 이를 처분으로 인정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처분으로 인정하더라도 행정청의 폭넓은 재량을 가지고 하는 행위이기 때문에 위법성을 판단하는데도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도시ㆍ군관리계획은 국민의 통제를 받지 아니하고 행정청의 행위이기 때문에 또한 적법성을 판단하기도 어렵다. 따라서 도시ㆍ군관리계획으로 인한 권익침해에 대해서 현행제도로 구제는 쉽지 않다. 그렇다고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를 아니할 수 없기 때문에 도시ㆍ군관리계획을 처분으로 인정하고 그 처분이 비례의 원칙에 위반되는 경우에 위법으로 판단하여 취소쟁송 또는 손해배상으로 다투어야 한다. 또한 도시ㆍ군관리계획은 관계행정기관의 협의, 자문 및 심의위원회제도, 주민의 의견청취, 주민의 입안제안 등 통하여 이루어진 행위이기 때문에 적법한 것으로 간주하여 권리제한이 된 경우에 손실보상으로 구제를 받아야 할 것이다. When we talk about urbanㆍcounty management planning, we discuss how an administrative agency develops, restores and preserves jurisdictions of local governments. Once any relevant plans are determined and announced on the record, consequential restrictions on acts are conducted directly onto the people, and that could cause human rights violations. When any human rights violations are caused by the urbanㆍcounty management planning, interested victims are deserved to receive compensation and yet, with this current system, it is not easy for the victims to enjoy their right of this kind. In order to be saved by cancellation dispute and compensation in the current system, not only there should be a disposition by an administrative agency based on legislations, but also the disposition by the agency should be proved legal. However, since the urbanㆍcounty management planning would not be built up on legislations and again, since the planning is only a manual to suggest directions of a future administration to achieve administrative goals, it is difficult to accept that as a disposition. In addition, even though the disposition is recognized, since the planning depends on any acts or words by the administrative agency, it is also hard to see if it follows the law or not. Add to that, the urbanㆍcounty management planning is merely what the administrative agency does as it would never be influenced by the people, and that makes it hard again to determine the legality. Hence, with the current system, we are hardly compensated for rights violations caused by urbanㆍcounty management planning. However, even if that is true, we should not give up on the rights violation compensation. For that reason, it is definitely necessary for the government to accept the urbanㆍcounty management planning as a disposition while it determines any illegal dispositions so that the victims are well-treated by cancellation dispute or compensation. In addition, since the urbanㆍcounty management planning is an act that is achieved by agreements among relevant administrative agencies, advisory organs and opinions as well as proposals from the local, it needs to be determined legal so that the victims can receive loss compensation in case that their rights are restricted.

      • KCI등재

        조부유세로서 종합부동산세제에 대한 법률적 검토

        정회근(Jeong, Hoe-Keun),신평우(Shin, Pyeong-Woo) 한국토지공법학회 2013 土地公法硏究 Vol.61 No.-

        조부유세로서 성격을 규정할 수 있는 종합부동산세는 법이 시행되면서 세대별 합산과세에 따른 혼인 및 가족생활의 차별, 이중과세 여부, 미실현이득에 대한 과세 및 원본잠식, 재산권 침해, 시장경제질서 위배, 평등권 및 평등원칙 위배, 자치재정권 침해 등 많은 논란이 있었고, 종합부동산세 납세의무자들이 이러한 문제점들에 대해 헌법소원을 제기하게 되었다. 헌법재판소는 세대별 합산과세 규정은 혼인한 자 등을 독신자 등과 비교하여 불리하게 차별취급하고 있으므로 헌법의 혼인 및 가족생활 보호 규정에 위반된다고 위헌결정을 하였고, 주택분 종합부동산세에 대해서는 납세의무자의 예외를 두거나 납세의무를 감면하는 일체의 여과조치없이 과세하는 것은 과잉금지원칙에 위배하여 재산권을 침해한다며 헌법불합치 결정을 하였다. 그러나 그 외의 쟁점사항들에 대해서는 합헌이라고 결정하였다. 본 연구논문은 종합부동산세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일부 조항 위헌결정을 토대로 조부유세로서 발생하는 법적 쟁점사항들을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첫째, 이중과세 문제는 종합부동산세액 계산 시 이미 납부한 재산세액을 공제해 주므로 이중과세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지만, 다단계 과세표준구간에서 재산세는 저율과세하고 종합부동산세는 고율과세하는 구조임을 피력하여 이중과세가 아님을 다시 한 번 설명해 보았다. 또한 현실적인 방법으로 재산세와 종합부동산세의 납기를 하나로 통합하여 복잡한 과세체계를 모르는 납세의무자들의 이중과세 의혹을 불식시키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로, 거주기간 등 감면제 도입과 보유세제의 보완 필요성을 언급하였고, 종합부동산세를 재산세로 통합하고 지방자치 재정과 종합부동산세의 합리적 조화를 통해 재정자립도가 취약한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재정적 배려를 하도록 제안하였다. 따라서 향후 종합부동산세법의 개정 논의에서는 이러한 법적 검토 내용을 인식하여 균형감있는 조세정책적인 판단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thesis is firstly, to review all the elements of the tax code ruled either unconstitutional or inconsistent with the Constitution by the Constitution Court and secondly, to make suggestions for improvements on the law underwent a revision by the National Assembly from a legal perspective Firstly, the comprehensive real estate tax dose not overlap with the property tax so it is not double taxation, first because deductions for property tax commensurate with the previous payment are made, second because by the multi-level standard of assessment the property tax is laid on a relatively low rate compared to comprehensive real estate tax. Secondly both property and the comprehensive real estate tax should be combined and converted to land holding tax in order to resolve suppressed development or renovation for housing issues caused by high rate of housing holding tax.

      • KCI등재

        개발행위허가제에 관한 소고

        정회근(Jeong Hoe-Geun) 한국토지공법학회 2007 土地公法硏究 Vol.38 No.-

          The development act permission system by a public power against all lands from the condition where the development act is forbidden, will conform in application humanity and justice permission application and the line government office, that the development act from the specific land which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person applies corresponds in schedule one standard when judging the possibility which a development act, will cancel the prohibition and it will do in order to be, it is a system to recover freedom.<BR>  There is a various opinion about like this nature. The development act permission system considers a common good but investigates gives deviation of discretion circle, when being misappropriation, when administration of justice is judged, a discretion circle in the line government office and the total purposiveness and a propriety and because there is to development act permission and to give a discretion circle in the line government office, there is a possibility of saying that also is proper.<BR>  The development act permission must think consequently with discretionary act.<BR>  The development act permission system considers artificial flower etc. whether to security and circumferential environment of propriety and base facility of plan and decides whether to permission with prevents a difficulty development is a gist for about development act.<BR>  When until currently tries to observe the development act permission system use actual condition but, concreteness insufficiency, application scope excess of enforcement standard, indefiniteness of the permission object and estrangement of actuality of law and, the many problem point is indicated from irrationality of connection development limit, professionalism tribal etc. system of use manpower and the politic side.<BR>  With solution plan there is about to a permission scope and there is there is relationship regulation with clear anger and materialization and other law of standard and management system and support systematic maintenance etc. there is to a materialization of objective purification and provision, actualization and permission process and to a simplification of complement and process of provision and permission standard and a field possibility.<BR>  Currently saves the legislation gist of development act permission system consequently, inspires in order to do not to make be in order not to become inquiring in-depth research which is a versatility and must inspire the efficient ? rational uses of the country escape of indication of the problem point which is continuous and improvement program leads and the effectiveness of law.

      • KCI등재

        현 정부의 양도소득세 1세대 1주택 비과세제도에 관한 고찰

        정회근(Jeong, Hoe-Geun) 한국토지공법학회 2020 土地公法硏究 Vol.91 No.-

        하루가 다르게 상승하는 집값의 안정화를 위해 국가는 다 방면으로 노력을 하고 있지만 가격의 상승은 잡을 수가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수단으로 항상 대두 되는 게 바로 부동산 양도소득세 이다. 부동산 양도에 관한 조세제도에 대한 관심이 어느 때 보다 높다. 현행 양도소득세 1세대 1주택 비과세 규정은복잡하고 1세대 1주택 비과세 규정으로 인하여 양도차익을 누릴 수 있는 허점을 안고 있다. 주택 양도로부터 발생하는 소득에 대한 이익을 보호하여 주는 것이 국민의 주거생활 안전에 대한 수단인지, 거주이전의 자유 보장이라는 취지에 합당한 방안인지는 고찰하여 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혜택이 주거생활을 누리는 모든 국민들에게 차별 없이 주어지는 혜택인지도 의문점을 가지게 한다. 과연 현행 일시적 1세대 1주택 양도소득세 비과세 제도가 공통적으로 국민들의 주거이전의 안정을 위한다면 무주택자도 누리는 혜택이어야 공평하다고 하 수 있지 않을까 싶다. 현행 소득세법은 주택소유자에 대해서면 비과세 제도를 통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혜택을 부여하고 있는 상황이다. 1세대 1주택으로서 9억 원 이하인 주택에 대해서는 비과세 요건을 충족한 경우 지역이나 주택 종별에 상관없이 비과세 혜택이 주어진다. 납세자들은 양도차익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의 주택을 선호하는 경향을 가지게 되어 서울을 비롯한 특정지역에 수요가 집중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이를 악용하여 주택을 사서 일정기간 보유하고 가격이 상승하면 매매하고 또 다시 새로운 집으로 이사하는 방법을 반복하여 시세차익을 노리고 투기를 조장하는 방안으로 대체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또한 조세제도는 어떤 경우가 과세대상이 되는지 여부 및 과세대상자라면 그 납부액이 얼마인지를 납세자가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해야 하고 구조상 합리성과 간소성이 있어야 하는데 현행 양도소득세는 내용이 매우 복잡하고 세법에 익숙하지 아니한 일반 납세가가 이해하기는 쉽지 않은 건 물론이고 조세전문가들 조차 1세대 1주택 비과세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지 못해 실수가 빈번한 실정이다. 현행 양도소득세의 1세대 1주택 양도소득세 비과세 제도를 개선 할 필요가 있다. 장기적으로 한집에서 오래 머물다가 매매를 하면 현행 장기보유특별공제 를 더욱 보강하여 면세제도를 활용하는 방안인 것이다. 1세대 1주택 양도소득세 비과세 제도를 보유기간에 따라 면세제도와 공제제도로 대체해 나간다면 부동산 시장의 왜곡된 문제점들이 개선되리라 사료된다. The nation is making every effort to stabilize housing prices, which are rising day by day, but we cannot control the rise in prices. It is the real estate transfer income tax that always emerges as a policy tool to solve these problems. Interest in the tax system on property transfers is higher than ever. The current capital gains tax exemption regulations for one household are complicated and have loopholes to enjoy capital gains due to the tax exemption rules for one househol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whether it is a means to the safety of the people s housing life or a reasonable measure to the effect that it is a guarantee of freedom of transfer of residence. It is also questionable whether these benefits are given to all people who enjoy living in a residential area without discrimination. If the current temporary one-generation one-house capital gains tax exemption system is to stabilize people s housing transfers, it would be fair to say that it is only a benefit enjoyed by homeless people. The current income tax law provides relatively large benefits to homeowners through a tax-free system. For a house with a first-generation house worth less than 900 million won, tax-free benefits will be given regardless of the area or type of house if it meets the tax-free requirement. Taxpayers tend to prefer housing in areas where capital gains are expected to be large, creating a problem where demand is concentrated in Seoul and other areas.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by exploiting this, the method of buying a house, holding i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moving into a new house again and again is being replaced by a measure to encourage speculation for capital gains. In addition, the tax system should allow taxpayers to more accurately understand what cases are taxable and how much they pay if they are tax boxes, and there should be rationality and simplicity in structure, but the current capital gains tax is not easy for ordinary taxpayers who are not familiar with the tax code, and even tax experts are often not aware of the taxable tax on a single househol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current capital gains tax exemption system for the first-generation one-house capital gains tax. The plan calls for the use of the duty-free system by further reinforcing the current special long-term deduction for long-term ownership of long-term homes if they stay in the same house for a long time. If the first-generation one-house capital gains tax exemption system is replaced by the duty-free system and the deduction system depending on the period of possession, the distorted problems in the real estate market will be impro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