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합적 접근에 의한 소비자 교육활동이 유아의 경제기본개념과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효과

        정현영(Jung, Hyun-Young),김호(Kim, Ho)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2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적 접근에 의한 소비자 교육활동이 유아의 경제기본개념과 소비자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 대상은 사회ㆍ경제적 배경이 비슷한 2개 유치원에 재원중인 만5세 유아 30명으로 실험집단은 S초등학교병설유치원 유아 15명(남7명, 여8명)이었고, 비교집단은 M초등학교병설유치원 유아 15명(남7명, 여8명)이었다. 실험집단의 유아들은 소비자교육 주제를 중심으로 통합적 접근에 의한 소비자 교육활동을 진행하였고 비교집단의 유아들은 소비자교육 주제와 관련하여 이야기 나누기 활동을 진행 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 할 수 있다. 첫째, 통합적 접근에 의한 소비자교육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 유아들이 비교집단의 유아들보다 경제기본개념이 향상되는데 효과가 있었다. 둘째, 통합적 접근에 의한 소비자교육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 유아들이 비교집단의 유아들보다 합리적 소비자 행동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비추어 볼 때, 유아교육 현장에서 소비자 교육을 실시함에 있어 통합적 접근에 의한 소비자교육 활동이 유아의 소비자 교육에 긍정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consumer education activities by integrated approach on young children’s basic concepts and consumer behavior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0 young children of under age of 5 attending at 2 kindergartens with a similar socioeconomic background located in A city, Gyeonggi-do. The experimental treatment was conducted by 6 themes of experiential learning from May 16, 2011 to July 8, 2011. The education activities for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nducted by young children’s learning behavior(awareness, exploration, inquiry, and application) focused on experiential learning themes, and the control group talked about the themes of experiential learning.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young children’s basic economic concept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more improved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Second, young children’s consumer behaviors of the experimental group conducted by consumer education activities were more improved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e study, consumer education activities by integrated approach can positively contribute to implement the consumer education of young children at educational settings.

      • KCI등재

        대학급식 이용실태 및 급식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과 고객태도에 미치는 영향

        정현영(Hyun-Young Ju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2 No.4

        본 연구는 전라남도지역 대학급식의 서비스 품질에 대한 인식 및 고객의 태도를 파악하고 대학급식의 운영전략을 제안하고자 수행하였다. 2011년 8월 30일에서 11월 30일 사이에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총 6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총 580부가 회수되었으며, 부적절한 응답을 한 것을 제외하고 571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대학급식 이용 실태조사 결과, 대학급식을 전혀 이용하지 않고 있는 비율이 21.9%로 조사되었고, 48.7%가 1주일에 1∼2회 정도만 대학내에 급식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1주일에 3∼4회 이용은 20.4%로 나타나 대학급식의 이용횟수가 비교적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 품질에 대한 평균 수행도는 3.01점으로 중간 수준을 보였다. ‘편이성’ 점수가 3.25점으로 ‘서비스 품질’ 점수(2.93)와 ‘음식 품질’ 점수(2.94)보다 높은 수행도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13개의 항목 중에서 ‘식당위치의 편리성(3.31)’이 가장 높은 수행점수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신속한 배식(3.23)’, ‘식사 가격(3.22)’으로 조사되었다. 반대로 ‘메뉴선택의 다양성(2.60)’은 가장 낮은 수행도로 조사되었다. 대학급식에서 우선적으로 개선해야할 품질속성을 제언하기 위하여 서비스품질 속성에 대한 인식도와 중요도를 기초로 IPA 수행한 결과, 대학급식에서 우선적으로 개선이 필요한 속성으로는 ‘음식의 맛’, ‘메뉴선택의 다양성’, ‘음식의 질(재료의 신선도)’로 분석되었다. 중요도 수행도 모두 높은 항목은 ‘위생 및 청결’, ‘식사가격’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비해 중요도 수행도 모두 낮은 항목으로는 ‘편안하고 조용한 식사분위기’, ‘쾌적한 환경’, ‘고객불만에 대한 신속한 처리’로 분석되었고, 중요도 대비 수행도가 높은 항목으로는 ‘식당위치의 편리성’, ‘신속한 배식서비스’, ‘음식의 양’, ‘종업원의 서비스’, ‘영양적으로 균형있는 식사’로 조사되었다. 서비스 품질이 전반적인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결과, 대학급식의 전반적인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회귀계수에는 ‘음식(p<0.001)’과 ‘편이성(p<0.05)’으로 분석되었고, 서비스 품질이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대학급식의 가치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음식(p<0.001)’과 ‘서비스(p<0.05)’로 분석되어 가치에는 ‘음식’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서비스’가 그 다음 순으로 분석되었다. 서비스 품질이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결과에서는 재방문의도에는 ‘음식’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서비스’가 그 다음 순으로 나타났다. 서비스 품질이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결과에서는 ‘음식(p<0.001)’만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대학급식의 고객인 대학생들이 인식하는 대학급식은 대학 내에 편리한 장소에 위치하여 신속하게 양껏 먹을 수 있는 편이성과 종업원들에 대한 서비스는 상당히 만족하는 것으로 분석된 반면에 음식의 맛과 다양성, 그리고 음식의 질에 대해서는 상당히 불만족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대해 음식의 맛과 메뉴 선택의 다양성 개선을 위한 실질적인 운영전략을 세우고 노력해 나가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iciency of university foodservice operations by analyzing the effect of consumer"s perception towards university foodservice quality. University students in the Jeonnam area were surveyed and 571 out of 700 surveys were chosen (response rate: 97.0%). SPSS (ver. 20.0) was used to conduct descriptive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21.9% of university students have never used the university foodservice, while 48.7% of university students have eaten there 1~2 times per week. The most common reasons reported for avoiding the university foodservice were a limited menu selection (51.5%) and an untasty food (45.8%). The perception of overall service quality at the university foodservice scored relatively low (3.01 points), compared with its importance (3.89 points). The food taste, menu variety, and quality of food ingredients are factors that require improvement for operational strategies by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The food factors (taste, variety, and quality) among university foodservice qualities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consumers" overall satisfaction (p<0.001), perceived value (p<0.01), intent to recommend (p<0.001), and intent to revisit (p<0.01). These result indicate that the university foodservice management should focus on developing food factors and strive to meet the needs of university students through continuous customer surveys.

      • KCI등재
      • KCI등재

        외식산업에 있어서 서비스 리더십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패밀리레스토랑을 중심으로 -

        정현영(Hyun-Young Jung),양일선(Il-Sun Yang),김현아(Hyun-Ah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4 No.5

        본 연구에서는 국내 패밀리 레스토랑 업체를 대상으로 변혁적 리더십과 서비스리더십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하고, 서비스 리더십의 수준에 따른 종업원의 만족도를 살펴보고 효과적인 리더십의 유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리더십의 선호도에 있어서는 변혁적 리더십의 선호도(25%)보다 서비스리더십에 대한 선호도(75%)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2의 검증에 있어서 서비스 리더십 수준이 높은 집단의 종업원 만족도가 서비스 리더십 수준이 낮은 집단의 종업원 만족도보다 높을 것이라는 가설이 채택되었다. 이는 직무만족의 3가지 구성요소에 있어서, 그리고 종합적인 만족점수에 있어서도 유의적(p<0.001)인 차이를 나타내 서비스리더십의 수준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직무만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서비스리더십의 구성 요소인 서비스 신념, 태도, 능력, 통찰력이 종업원의 만족도에 양의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이 지지되었다. 또한 서비스리더십의 선호집단과 변혁적 리더십의 선호집단에 있어서 종업원의 만족도가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지 않았는데, 이는 리더십의 선호도에 있어서 75%의 패밀리레스토랑의 종사원이 서비스리더십을 선호한다고 응답하여 높게 나타났고, 선호하는 리더십과 실제로 수행되고 있는 리더십에 있어서는 차이가 있기 때문일 것이라고 추정된다. 본 연구는 현재 서비스 기업의 엄청난 부가가치의 생산과 더불어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데, 무형적인 가치의 제공과 고객과의 접점에서 즉각적으로 제공되는 서비스의 특성을 고려한 서비스리더십에 대한 이론을 고찰하고, 이것이 패밀리레스토랑에 적용가능성 타진해 봄으로써 효과적인 리더십을 돌출했다는 것에 의의를 둘 수 있다. 그러나 서비스리더십의 이론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부족하고, 실제로 검증해본 연구들이 양적으로 적어서 일반화의 과정에 있어서는 아직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의 후속연구에 있어서 이론의 논리적 구성에 대한 검증과 외식업체에서 다양한 직무를 수행하고 있는 종사원을 대상으로 적용해보는 실증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analyze the preference of leadership style among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Service leadership」, 2)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the job satisfaction between the high level of service leadership group and low level of the service leadership group and 3) to testify the hypothesis that the service leadership and its 4 elements (belief, attitude, ability, insight) affect the job satisfaction. The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to measure the service leadership, the preference of leadership styl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service 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The surveys were distributed to 120 managers and employees in the family restaurant in Korea, and 104 questionnaires were responded (response rate: 86.7%). The SPSS 12.0 package program was used to conduct the descriptiv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of leadership style preference showed the followers preferred the service leadership (75.0%) to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25.0%). Comparing the job satisfaction of high level of service leadership group and that of low level of service leadership group, the job satisfaction of high level of service leadership group was significantly (p<0.001) higher than that of low level of service leadership group (high level of service leadership group: 4.03, low service leadership group: 3.27, measured on a 5-point likert scale). All three factors of job satisfaction (human factor, service system and company image) in high level of leadership group were significantly (p<0.001) higher than those of lower level of service leadership group.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presented that the service leadership and it's 4 elements (concept, mind, skill, insight) have significant (p=0.000) effects on the job satisfaction. As a conclusion, we examined theoretical framework of service leadership model and testified the applicability in the field of family restaurants. But the service leadership was the new conceptual theory, so there should be the more empirical studies on managers and employees in the service industry.

      • KCI등재

        어머니의 식태도와 유아의 자기조절력이 유아의 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현영 ( Jung Hyun Young ),안지혜 ( Ahn Jee Hye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9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어머니의 식태도와 유아의 자기조절력이 유아의 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라남도 지역에 위치한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재원하는 만 3~5세 유아의 어머니 324명이었다. 자료분석을 위해 Pearson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어머니의 식태도와 유아의 식행동은 강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고, 특히 유아의 균형적인 식습관을 형성시키는데 유의미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의 자기조절력은 유아의 균형적인 식습관 요인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어머니가 식습관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개선하려는 의지가 강할수록 유아는 균형적인 식습관과 건강한 행동습관의 점수가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셋째, 유아의 자기조절력의 하위요인인 자기평가와 정서성이 높을수록 유아의 식행동이 좋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아의 바람직한 식행동 형성에 대한 이해를 갖게 하는 것은 부모교육내용의 기초자료로써 활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other’s eating attitude and children’s self-regulation on children's eating behavior.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24 mothers of children between 3-5 years of age attending daycare centers or kindergartens in Jeollanam Province. Statistical analysis wa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each factor using SPSS 25.0 ver. The results showed that mother’s eating attitude was strongly correlated with the children's eating behavior and it was found to have a strong influence especially in forming the balanced eating habits of children. The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was analyzed to affect the self-balanced eating habits. Also, the willingness of mothers to actively learn about nutrition knowledge and their desire to improve their eating habits, the higher the scores of balanced eating habits and healthy eating behavior of children. It is analyzed that the mother's willingness to apply the desirable eating habits to the life appear to be the actual eating behavior of children.

      • KCI등재후보

        학교급식에서 사용되는 식재료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조사

        정현영(Hyun Young Jung),이해영(Hae Young Lee),양일선(Il Sun Yang),이보숙(Bo Sook Yi),이소정(So Jung Lee),김혜영(Hye Young Kim) 韓國學校保健學會 2006 韓國學校保健學會誌 Vol.19 No.2

        Purpose : This study was to performed to investigate on the knowledge, attitues of Parents toward the use of food materials at school food service and to provide school meal management with basic data to improvement offood purchasing guideline Methods : A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s were provided to 2787 parents who have children attending in elementary school or middle, high school. The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from July to September, 2003.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SPSS(12.0) was used to conduct the descriptive analysis. Results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seventy percent of the parents said 'Food hygiene and safety' is most important. 'nutrition' and 'education' was next. Most parents wanted using food products produced in Korea for the safe and students' health. But 60% said it could not purchase because of expensive price. About consuming regional agricultural products for school food service, 90% of parent welcomed. Conclusion : For improving food procurement management, standardized food quality and purchasing criteria need to be developed for helping parent to do food inspection. the parent should improve their knowledges on the food quality stadards. This result suggests that effective food supply system in school food service of central goverment and autonomy also should be prepared.

      • KCI등재

        일반 소비자의 연령과 성별에 따른 식품표시에 대한 인식 및 활용도

        정현영(Hyun-Young Jung),김현아(Hyun-Ah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5 No.3

        본 연구에서는 일반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식품표시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 사용실태를 조사하여 현재 식품표시의 유용성과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식품의 선택 및 구매가 가능한 20대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938명의 설문을 분석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의 73.8%가 식품표시를 확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항상 확인하는 비율은 9.8%에 해당하였다. 여성의 경우가 남성보다 확인하는 경우가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별로도 차이를 보였는데 40대에서 항상 확인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조사되었다. 직업별로는 주부의 경우가 식품표시를 확인하는 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식품표시에서 확인하는 내용으로는 전체 응답자의 60%가 식품의 유통기한을 가장 높은 빈도로 확인하였으며, 그다음으로 첨가물, 영양표시, 가격, 브랜드, 중량・개수 순으로 조사되었다. 연령별로 식품표시에서 확인하는 내용에 차이를 보였는데 50대의 경우에는 유통기한 확인이 상대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식품첨가물의 확인은 40대와 30대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 영양표시를 확인하는 비율은 30대와 20대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로 조사되었으며, 가격에 관한 확인 비율이 가장 높은 연령대는 20대로 나타났다. 식품표시를 확인하지 않는 이유를 묻는 문항에 대해 ‘표시가 작고 복잡하다’의 비율이 50.3%로 가장 높았고, ‘식품표시를 이해하기 어렵다’와 ‘관심이 없다’의 비율이 각각 16.4%와 14.9%로 그다음 순으로 조사되었다. 연령별로는 ‘표시가 작고 복잡하다’에 대한 50대의 상대적 응답률이 가장 높았으며, ‘식품표시를 이해하기 어렵다’에 대한 응답 비율은 20대와 30대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식품표시에 대한 인지도에 대해 전체 응답자의 절반 정도(51.7%)는 보통으로 알고 있는 것으로 인지하고 있으며, ‘잘 모른다’고 응답한 비율이 30.2%, ‘전혀 모른다’고 응답한 비율은 6.0%지만, ‘알고 있다’ 10.1%, ‘잘 알고 있다’의 비율은 2.0%에 불과하였다. 식품표시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전체 응답자의 59.9%가 ‘매우 필요하다’고 응답하였고, ‘필요하다’의 비율은 24.5%로 응답하여 전체 응답자의 84.4%가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서도 차이를 보였는데 여성의 경우가 식품표시에 대한 필요성을 남성보다 더 크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표시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항목은 전체 응답자의 55.9%가 유통기한 및 제조연월일이라고 하였으며, 영양표시, 원산지, 식품첨가물이 그다음 순위로 응답하였다. 성별에 따라 식품표시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내용이 차이가 있었는데 남성의 경우 식품표시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항목이 유통기한, 영양표시, 가격, 원산지, 제조회사, 식품첨가물, 내용량 순으로 나타났지만, 여성의 경우 유통기한, 영양표시, 원산지, 식품첨가물, 가격, 제조회사, 내용량 순으로 조사되어 남성의 경우에 가격과 제조회사에 대한 중요성에서 여성보다 높은 비율을 보였다. 식품표시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2.96점으로 보통 수준 이하로 평가되었으며, ‘알고 싶은 정보가 식품표시에 있다’에 대한 문항의 점수는 3.01점으로 보통으로 평가되었다. 식품표시에 대한 이해 정도는 2.88점으로 보통 이하로 평가되었으며, 식품표시에 대한 신뢰도에서는 2.93점으로 보통보다 약간 밑도는 점수로 평가되었다. 식품을 선택하는데 도움이 되느냐는 문항에 대해서는 3.08점으로 나타나 보통보다 약간 높은 점수를 보였다. 연령별로 식품표시에 대한 평가가 차이를 보였는데 식품표시에 대한 이해 정도에서 50대의 평가점수가 가장 낮았으며, ‘식품표시에 대한 신뢰도’에 있어서는 40대와 50대가 30대보다 낮은 신뢰도를 보였다. 식품표시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전체 응답자의 96%가 보통 이상으로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식품표시의 확인은 올바른 식품 선택으로 이어져 국민건강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한다. 따라서 식품표시에 대한 교육과 홍보의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시행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food label perception and utilization classified by age and sex.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938 male and female customers aged in their 20"s to 50"s from February 4th to March 30th 2014. Regarding checking food labels at the time of purchase, 73.8% of consumers checked food labels,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y age and sex. Female more often checked food labels than males, and the 40"s group showed a higher ratio of checking food labels than other age groups. The main reason for checking food label was ‘confirming expiration date’ (60%), ‘ingredients’ (16.4%), and ‘nutrition contents’ (13.7%). The main reason not checking food labels was ‘too small and insufficient to understand’ (50.3%), ‘too difficult to understand’ (16.4%), and ‘have no concern’ (14.9%).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y age, as in the 50"s group showed a higher ratio of ‘too small and insufficient to understand’ than the other age groups, and 20"s and 30"s groups showed a higher ratio of ‘too difficult to understand’. The overall satisfaction score was 2.96, awareness score was 2.88, and reliability score was 2.93. A total of 96% answered that food labelling education is needed. Therefore, food labelling education for consumers is required to encourage consumers to purchase healthy foods.

      • KCI등재

        대구 경북 지역 강직성척추염 환자의 방사선학적 중증도와 관련된 임상인자 분석

        정현영 ( Hyun Young Jung ),이화정 ( Hwa Jeong Lee ),최정윤 ( Jung Yoon Choe ),박성훈 ( Sung Hoon Park ),김성규 ( Seong Kyu Kim ),김상현 ( Sang Hyon Kim ),김주연 ( Ju Youn Kim ),한승우 ( Seung Woo Han ),김성호 ( Seong Ho Kim ) 대한류마티스학회 2010 대한류마티스학회지 Vol.17 No.4

        Objectiv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prognostic determinants of radiographical severity in patients with ankylosing spondylitis (AS) living in Daegu and Kyungpook territories. Methods: One hundred-nineteen patients with AS were consecutively enrolled from four regional general hospitals. Clinical data including smoking habits, alcohol intake, disease duration, HLA-B27 positivity, involvement of peripheral joints, occupational activity, and regular exercise were investigated. Radiographical severity was assessed by the Modified Stoke Ankylosing Spondylitis Spinal Score (mSASSS).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the independent Student`s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and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Radiographical severity, as evaluated with the mSASSS, was associated with age of disease onset (p=0.011) and disease duration (p<0.001). Additionally, mSASS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ales than females (p=0.039) and in patients without involvement of ankle arthritis than those with involvement of ankle arthritis (p=0.026). Patients with hip arthritis had significantly higher mSASSS scores than those without hip arthritis. A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older age of disease onset, male gender, and disease duration were independent predictors of AS radiographical severity (p<0.001, p=0.013, and p<0.001, respectively). Hip arthritis was an independent predictor of C-spine radiographical severity in AS (p=0.031). Conclusion: Radiographical severity of the prognosis was determined by age of disease onset, gender, and disease duration in patients with AS living in Daegu and Kyungpook territories.

      • KCI등재

        중국유학생의 한식 메뉴 선호도 및 기숙사 급식만족도

        정현영(Hyun-Young Jung),전은례(Eun-Raye Jeo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0 No.2

        본 연구는 중국유학생 한식메뉴 선호도와 급식의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목포대학교에 재학중인 중국유학생 총 167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한식재료 총 40종의 기호도, 중국학생들의 식습관, 한 국음식의 인지도와 선호도, 기숙사 급식실태, 급식서비스 속성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조사대 상자는 ‘남자’가 90명(53.9%), 한국체류 기간은 ‘1학기 거주’가 97명(58.1%), 건강상태는 ‘건강함’이 80명(47.9%)임을 알수 있었다. 한국음식에 대한 인식도로는 ‘맛이 담백’이 3.36±0.95점, 한국음식 식품군별 기호도는 고기류에서 ‘쇠고기’가 78명(46.7%), 생선류는 ‘갈치’가 48명(28.7%), 야채류에서는 ‘배추’가 39명(24.4%), 과일류는 ‘귤’이 82명(49.1%), 우유 및 유제품은 ‘흰우유’가 65명(38.9%) 등이 가장 높았다. 식습관 중 편식여부는 큰 차이가 없었고, 식사하는 이유로는 ‘공복감 해소’가 72명(43.1%)으로 가장 높았다. 한끼 식사량으로는 ‘적당하게’가 98명(58.7%), 식사를 거르는 이유로는 ‘시간이 없어서’가 81명(48.5%), 식습관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가족의 식습관’이 92명(55.1%), 식습관 중 가장 큰 문제라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는 ‘불규칙한 식사시간’이 67명 (40.1%)으로 가장 높았다. 한식 메뉴별 인지도에서는 배추김치, 불고기, 깍두기, 삼겹살, 떡볶이, 갈비탕, 곰탕 순, 선호도에서는 불고기, 돼지갈비찜, 소갈비찜, 닭갈비찜, 삼겹살, 갈비탕, 닭도리탕 순이었다. 인지도와 선호도간의 차이검증 결과는 비빔밥, 떡국, 된장찌개, 김치찌개, 떡볶이, 잡채, 배추김치, 깍두기(p<0.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전복죽, 비빔국수, 소갈비찜, 돼지갈비찜, 닭갈비찜, 생선매운탕, 곰탕(p<0.01), 호박죽, 불고기, 닭도리탕(p<0.05)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기숙사 급식실태는 하루 중 식사 횟수로 ‘2회’가 79명(47.3%), 식사소요시간으로는 ‘10~20분미만’이 109명(65.3%), 급식을 이용하는 이유로는 ‘의무식 규정이어서’가 62명(37.1%), 급식을 이용하지 않는 이유로는 ‘맛이 없어서’ 76명(45.5%)이 가장 높았고, 식사 시 가장 많이 남기는 음식종류로는 ‘김치류’ 46명(27.5%)이 가장 높았다. 급식서비스 중요도에서는 ‘식기의 위생’이 4.22±0.77점, 만족도에서는 ‘식사 후 냅킨?거울?급수시설의 설비’에서 3.64±0.80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중요도와 만족도의 차이검증 결과는 식당의 위치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p<0.001)가 있었다. 이와 같이 중국유학생들의 급식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요구에 맞는 맛과 다양성을 추구하고 이를 반영하여 음식 맛을 개선하고 음식 맛을 돋을 수 있는 형태나 외관에 대해서도 만족할 수 있는 조리법을 개발하는 단체급식이 되도록 노력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e preference and satisfaction for Korean food by Chinese students studying at Mokpo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were surveyed. The students (n=167) were 53.9% males, 58.1% Korean residents for 6 months and 47.9% in healthy condition. The recognition of Korean food was highly light taste (3.36±0.95) and the preference of Korean food materials was in the order of beef (46.7%), hairtail fish (28.7%), baechu (24.4%), tangerine (49.1%), milk (38.9%) in each food category. Eating habits were feeling of hunger on reason for eating (43.1%), moderate satiety degree for a diet (58.7%), no time for reason to skip diet (48.5%), family for impact factor of eating habits (55.1%) and irregular diet time for the problem of eating habits (40.1%). The recognition of Korean food menu was in the order of baechukimchi, bulgogi, ggakdugi, samgyupsal, ddeokbokki, galbitang, and gomtang; the preference order was bulgogi, doejigalbijjim, soegalbijjim, dakgalbijjim, samgyupsal, galbitang, and dakdoritang. The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Korean food menu were significant in bibimbap, tteokguk, doenjang jjigae, kimchi jjigae, ddeokbokki, japchae, baechukimchi, and ggakdugi (p<0.001), as well as jeonbokjuk, bibimguksu, soegalbijjim, doejigalbijjim, dakgalbijjim, saengseonmaeuntang, gomtamg (p<0.01), hobakjuk, bulgogi, and dakdoritang (p<0.05). The actual dormitory foodservice was twice daily (47.3%), <10~20 min for diet time (65.3%). The reason for using university foodservice was compulsory diet (37.1%) whereas the reason of not using university foodservice was tastelessness (45.5%); kimchi was the most leftover (27.5%). According to foodservice quality attribute,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were the highest in hygienic part. Foodservice quality attribute was significant between importance and satisfaction in all items except location of facilities foodservice (p<0.001).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