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문식 활동 지원자로서 부모와 교사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에 관한 조사 연구

        정현선 ( Hyeon Seon Jeong )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14 국어교육 Vol.0 No.146

        This study aimed to explore how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ive support by their parents and teachers about their own literacy practice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undertaken to measure the following items: w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the 3rd to 6th grade) perceive their parents as readers; how they perceive their parents’ responses to their individual reading and writing practices; what they think about the fre quency, content and usefulness of conversations with their parentsabout their reading and writing; how they perceive their teachers asreaders and writers; and what they think about the support from theirteachers in terms of receiving praise and having the opportunity to presenttheir writings to peers in the classroom.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recognized that theirmothers enjoy reading more than their fathers. Second, the girls felt thatthey received positive responses from their parents to their reading andwriting more than the boys. Third, those in medium grades (3rd and 4thgraders) felt that they have more talks with their parents about reading and writing than those in the upper grades (5th and 6th graders). Fourth, the students felt that their parent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reading itself or praised the activity of reading rather than having conversations on the content of the book. Fifth, the students thought that they hadconversations about reading more frequently than about writing. Sixth, the biggest reason reported by students for not talking with their parents about book-reading is that the books that their parents recommend are different from the ones that they want to read. There was also a difference between girls and boys in terms of their perceptions of the conversations with their parents on reading and writing: the girls had higher preferences for conversation, and recognized the usefulness more positively. Seventh, the upper graders felt more reluctant to show their writing to their parents because they felt less confident than those in the middle grades. Finally, students felt that they had fewer conversations about writings with their parents the higher their grade became. In addition, while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perceptions between the boys and the girls on the frequency of conversations with their parents about reading, there was a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perceptions on the frequency of the conversations about writing according to their sex.

      • KCI등재

        청소년 대상 미디어 교육의 현황과 제도화 움직임에 대한 비판적 고찰

        정현선(Jeong Hyeon-Seo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4 한국청소년연구 Vol.- No.39,40

        이 글에서는 최근 우리 사회의 큰 관심 대상으로 떠오른 청소년 대상의 미디어 교육 현황에 대해 공식 교육 및 비공식 교육을 아울러 균형 있꼐 점검하면서, 특히 학교 교육으로 미디어 교육을 제도화하기 위한 과정에서 제기된 문제점들에 대해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있다. 미디어 교육이란 텔레비젼, 영화, 비디오, 라디오, 사진, 광고, 신문, 잡지, 음악, 컴퓨터 게임, 인터넷 등 다양한 미디어에 대해 학생들이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능동적으로 제작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는 교육을 의미한다. 이처럼 미디어 교육은 어린이와 청소년의 일상적 문화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한다는 점에서 곰식 교육 뿐 아니라 비공식 교육에서도 활발히 논의되고 실천되어 왔다. 역사적으로 볼 때 한국의 미디어 교육은 1980년대 중반에 미디어에 대한 비판적 감시를 목적으로 한 일종의 사회운동 차워에서 시작되었지만, 1990년대 후반에 이르러서는 특별활동의 형태 뿐 아니라 국어, 사회, 도덕, 미술 등 다양한 교과와 연관하여 학교 교육에 도입되거나 비공식 교육인 청소년 활동의 차원에서 활성화되는 방식을 통해 보다 대중적으로 확산되었다. 본고에서는 미디어 교육을 교사와 학생들이 미디어와 대중문화를 매개로 하여 보다 자유롭게 소통하며 함께 만들어 갈 수 있는 청소년 문화 교육의 대표적인 형태로 보고, 이러한 미디어 교육이 보다 대중적으로 확산되게 된 계기에 대해 비교적 최근에 한국 사회 일반, 학교 교육 및 청소년 정책의 차원에서 일어난 일련의 변화 및 이와 관련된 다양한 교육적 접근법에 대해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고는 최근 우리 사회에서 불거진 미디어 교육의 제도화 논의화 실천에 대해 비판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청소년의 욕구와 필요가 보다 중심에 놓인 미디어 교육의 실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This article aims to map out the current landscape of the Korean media education and therefore, tries to seek out the more productive ways in which media education can be institutionalized in school. Media education became much more popular and well-known to general public in South Korea over the past few years, beyond specific interests of a relatively small number of people who are personally committed to it. The infra-structural changes in technology, education and youth policy certainly contributed to bring about wider interests in media education particularly amongst teachers and youth workers. Based on the recent changes as such, I critically examine how the government's funds allocated to promote media industries have played important roles for the complex scene of media education. Considering this, I argue that it is the time to start dialogue between diverse interest groups in this area for future directions.

      • KCI등재

        인터넷 언어 문화 교육 내용으로서 디지털 서사의 개념,특성,유형에 관한 연구

        정현선 ( Hyeon Seon Jeong ) 국어교육학회 2007 國語敎育學硏究 Vol.30 No.-

        본고는 인터넷에서 이루어지는 소통 현상 가운데 문학이나 예술 혹은 대중문화의 소통과 관련된 심미적 성격의 텍스트들이 지닌 특성을 매체언어 교육의 내용 차원에서 고찰하였다. 인터넷에서 찾아볼 수 있는 심미 텍스트들은 전통적인 문학의 장르 영역과 관련해 볼 때, 서정 영역보다는 주로 서사 영역에서 나타난다. 본고에서는 이를 ``디지털 서사``라는 범주를 설정하여 그 개념, 특성, 유형을 살펴보았다. 인터넷 소설과 팬픽은 인터넷 이용자들 간의 상호 교류를 가능하게 하는 인터넷 매체의 특성을 기반으로 하여 게시판을 통해 주된 작가와 독자층인 청소년들 간의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이야기를 만들어내고 있는 것으로 보았다. 웹툰 역시 전문적인 훈련을 받지 않은 일반인들이 인터넷을 통해 일상을 다룬 일기 형식의 이야기를 만화의 시각적 표현과 더불어 독자들과 나누는 특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보았다. 이에 대한 교육은 이야기를 생산하는 청소년들의 서사에 대한 욕구를 중심에 놓는 등 대중문화 교육의 맥락에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하이퍼텍스트 서사는 인터넷이라는 상호작용적 매체의 특성을 살려 독자에게 이야기의 여러 지점에서 의미 있는 선택을 할 수 있게 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결말을 체험하게 할 수 있다. 이는 문학적 실험이라는 맥락에서 교육될 필요가 있다. 또한 게임 서사는 디지털 서사 가운데 가장 오락적 특성이 강한 유형으로, 현재로서는 문학성을 찾기가 어려우므로 과도한 기대나 평가절하보다는 당대 문화에 대한 감식안을 갖도록 교육하는데 중점을 둘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This article discusses "aesthetic texts" on the Internet as the content for media language education. Most aesthetics texts found on the Internet are narratives. They are termed as "digital narratives" and the concept, characteristics, and text types are explored in this article. Internet novels and "Fanfics" are identified as a type of "exchange between Internet users" and are mostly romance novels. The writers and readers are teenagers and share their desire for romance and the concerns of young people through these novels. "Webtoons" are also identified as a type of "exchange between Internet users" and are produced by amateur writers. Most webtoons adopt the form of an essay or diary and present the daily lives of young people in their 20s. Internet novels, fanfics, and webtoons belong to popular culture, and therefore, it is more important for students to reflect their own taste for popular stories and their desire for reading such texts. "Hypertext narratives" provide readers with various "linkages" that they can choose to follow. The readers should be able to experience meaningful choices that could lead them to various kinds of ends. A hypertext narrative is a narrative experiment and should be taught for students to understand why literature experiments might be done in such a manner. Game narratives belong to the area of entertainment. They need to be taught for students to have their own perspective of contemporary culture.

      • KCI등재

        SNS의 언어 현상과 소통 공간에 관한 국어교육적 고찰

        정현선 ( Hyeon Seon Jeong )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13 국어교육 Vol.0 No.142

        This paper aims to provide a review of the literature on SNS in various academic disciplines, including sociolinguistics, textlinguistics, communication studies, sociology and educational engineering, in order to explore the implications on the Korean education in terms of how to deal with new media communication technologies that are changing constantly· A social networking service is a web-based platform to build social networks or social relations among people who share interests, activities, backgrounds, or real-life connections· A social network service consists of a representation of each user, his/her social links, and a variety of additional services· Finding of the previous research on SNS tends to emphasize that it is a writing space which has features of both speaking and writing as well as ones of private and public communication· While there are many strengths of SNS, the negative aspects of SNS such as privacy invasion and ‘digital fatigue’ seem to raise the concerns with social media literacy in that readers and writers of SNS would ne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SNS and to participate in their own use of SNS as reflective and responsible users· Based on the review of the literature, this paper argues that there is a need for a new model of teaching and learning writing that focus on the attitudes and skills of writers who can participate in the real world communication such as SNS with considerations on their problems to solve and in interactions with their readers·

      • KCI등재

        초등학생의 매체 문식 활동에 관한 조사 연구

        정현선 ( Hyeon Seon Jeong ),혜승 ( Hye Seung Chung ),김정자 ( Jeong Ja Kim ),민병곤 ( Min Byeong Gon ),손원숙 ( Won Sook Sohn ) 한국독서학회 2014 독서연구 Vol.0 No.33

        이 연구는 초등학교 3~6학년 학생들의 학년별 발달과 성별 차이에 따른 매체 문식 활동(literacy practices)의 실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초등학생들의 매체 이용을 컴퓨터와 휴대전화 이용 시간에 따라 가장 적게 이용하는 집단(집단 1)에서 가장 많이 이용하는 집단(집단 4)까지 구분하고, 집단별 읽기.쓰기 태도 및 구체적인 읽기.쓰기 활동과 연관해서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컴퓨터와 휴대전화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집단 4의 이용 시간이 집단 1, 2, 3에 비해 현저히 많았고, 집단 4의 읽기와 쓰기 태도는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휴대전화와 컴퓨터를 많이 이용하는 집단일수록매체 이용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부정적 인식이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생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매체를 많이 이용하는 집단 3과 4에 속하는 비중이 높았고, 학년이 낮을수록 매체를 적게 이용하는 집단 1과 2에 속하는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매체 선택의 성별 차이가 두드러져, 여학생은 휴대전화, 남학생은 컴퓨터의 최고 이용자 집단 비율이 높은 것으 로 나타났다. 셋째, 휴대전화의 경우 적게 이용하는 집단일수록 많이 이용하는 집단보 다 읽기, 쓰기 태도 및 자발적 읽기, 쓰기 활동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컴퓨터 매체의 경우, 컴퓨터 이용을 가장 적게 하는 집단 1보다는 두 번째로 적게 하는 집단 2의 읽기, 쓰기 태도 및 자발적 읽기, 쓰기 활동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컴퓨터 매체의 경우무조건 쓰지 않는 것보다는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이 읽기, 쓰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넷째, 휴대전화 이용을 많이 하는 집단일수록, 그리고 컴퓨터 이용을 많이 하는 집단일수록, ‘문자메시지, 카카오톡, 이메일, SNS, 인터넷 자료 및 만화’ 등 매체로 할 수 있는 읽기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휴대전화와 컴퓨터 이용을 가장 많이 하는 집단이 블로그 쓰기와 만화 그리기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매체 이용을 많이 하는 집단이 매체로 할 수 있는 읽기와 쓰기를 많이 하고 있고 긍정적 인식과 부정적 인식이 모두 높은 만큼, 매체를 읽기, 쓰기 활동과 연계할 수 있는 긍정적 활용 방안의 모색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이 연구의 결과들은 가정과 학교에서 문식 활동을 위해 매체를 도입하거 나 활용할 때 학년에 따른 발달과 성차를 고려하여야 하며, 학생들의 적절한 매체 이용에 대해 가정과 학교에서 적절한 지도가 필요하고, 학생들이 자발 적으로 하고 있는 매체 문식 활동들을 문식성 학습의 생산적 자원으로 삼는 연계 방안 또한 필요함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specifically to analyze the status of the media literacy practices in development according to grade and gender differences among 3rd ~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groups from those with the least use of computers and mobile phones (group 1) to those with the most use (group 4), and analysis was carried out related to the reading, writing, attitude and specific reading and writing activities for each group.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group 4 spent remarkably higher amounts of time with computers and mobile phones than groups 1, 2 and 3, and presented a much lower attitude toward reading and writing.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group with higher use of mobile phones and computers marked highly positive and negative recognitions about their media use. Second, older students tended to be included in groups 3 and 4, while higher proportions of the younger students were found to be in the groups 1 and 2 with the least use of media. The survey results also showed remarkable gender differences in media selection, indicating that a high proportion of girls marked interest in mobile phones, whereas a high proportion of boys marked interest in computers. Third, it was discovered that the group with less use of mobile phones showed remarkably higher activities in reading, writing, and voluntary reading and writingactivities compared to the group with more use. However, group 2, with the second least use of computers, showed the highest reading, writing, and voluntary reading and writing activities among the groups. This suggests that computers positively affected reading and writing when used appropriately rather than not being used at all.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group with higher use of mobile phones and computers did more reading of media like ‘text messages, Kakao Talk, e-mail, SNS, and Internet articles and comics’. Consequently, this group was also found to write more on blogs, and drew comics. This means that the group with more use of the media did more reading and writing with use of the media, and showed both positive and negative recognition, requiring positive utilization to link the media with reading and writing activ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consider the development and gender differences while introducing or implementing media for literacy practices at home and school. It also showed that a guide is required at home and school for appropriate media use by students, as well as plans related to utilization of media literacy practices as resources of literacy learning voluntarily performed by students.

      • KCI등재후보

        복합양식 문식성 교육의 의의와 방법

        정현선(Jeong Hyeon seon)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4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8 No.2

        이 논문에서는 문식 활동이 일어나는 공간인 대면, 지면, 화면에서 일어나는 복합양식 문식성 교육의 의의와 방법에 대해 논의하였다. 첫 번째로는 학생들 스스로 문식 활동에 대해 되돌아보는 성찰을 위해, 문식 활동 일지 작성을 제시하였다. 두 번째로는 지면 공간을 기반으로 한 복합양식 텍스트인 그림책에 대해 행동유도성에 초점을 두어 독자로서 반응하고 감상하는 읽기 활동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는, 사진을 찍거나 그림을 그리는 등 학생이 직접 시각적 이미지를 생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복합양식 텍스트를 표현하고 소통하는 활동을 제시하였다. 어린이와 청소년들이 자신의 문식 활동에 대해 기록하는 일지 작성은 학생들로 하여금 청소년들의 평균적인 매체 이용 통계 결과와 비교하여 자신의 매체 문식 활동에 대해 되돌아볼 수 있도록 하는 기초 자료가 된다는 점에서 중요한 활동이 될 수 있다. 또한 그림책 읽기 활동은 지면 위에 펼쳐진 글과 그림이 서로 관계를 맺으며 독자의 행동을 유도하는 방식을 학생들이 자연스럽고 즐겁게 경험하도록 한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활동이 될 수 있으며, 이는 그림책에 대한 반응과 감상을 이끌어내기 위한 교사의 전략적 질문과 활동을 중심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한편, 학생들이 쓰기를 위해 직접 시각적 이미지를 생산하는 활동은 쓰기의 내용 생성을 촉진할 수 있으며, 자신이 생성한 내용과 표현인 사진이나 그림을 글에 포함하여 복합양식 텍스트로 표현하도록 하는 것은 학생들의 생각과 감정을 전달하는 데 도움이 된다. 그러나 학생의 쓰기 표현의 향상은 시각화 전략과 더불어, 학생의 글에 대한 교사의 구두 반응이 더해질 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In this paper, the meanings and methods of multimodal literacy education occurring face-to-face, on the page, and on the screen are discussed, as the spaces where literacy activities take place. First, students were presented with the suggestion of writing literacy activity journals to provide introspection enabling them to look back on their own literacy activities. Second, focusing on affordances, kinds of reading activities in which students interact through reaction and appreciation processes were presented, with implementation of picture books containing multimodal text based on the page space. Finally, activities in which students create visual images on their own via taking pictures or drawing objects and expressing multimodal text with them were presented. Writing activity journals, wherein children and teenagers make a record about their literacy activities, can be an important activity in that it would provide basic data enabling the students to reflect on their media literacy activities in comparison with the results of statistics on the average use of the media. In addition, picture book reading activities can be meaningful in that they enable students to enjoy experiencing the way the text and pictures stretched across the papers create relationships with each other and induce the reader's behavior. These activities need to be carried out with a focus on strategic questions and activities to derive reactions about and appreciation of the picture books from the students. On the other hand, the activities wherein the students produce visual images for their writing on their own can promote the creation of content for the associated writing, and would be helpful in the students' transporting of their thoughts and emotions to better express multimodal texts by way of including pictures and drawings, the contents and expressions they created by themselves, inside of their writing.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improvement in students' writing ability can only be achieved with the teacher's oral response on top of the visualization strategy.

      • KCI등재

        핵심역량 중심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내용 체계화 연구

        정현선(Jeong Hyeon seon),김아미(Kim A mie),박유신(Park Yoo shin),전경란(Jeon Gyeong ran),이지선(Lee Ji sun),노자연(Noh Ja y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1

        이 연구는 미디어 리터러시의 개념을 명료히 규정하고, 국내 교육과정을 근거로교육 내용을 체계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핵심 역량 중심의 2015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미디어 리터러시의 개념을 핵심 역량과 관련하여 정의함으로써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교육과정적 근거를 마련하고, 기초 학습 요소·수행 목표 등을 포함한 교육 내용 체계를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미디어 리터러시는 미디어를 책임 있게 활용하고, 미디어가 생산하는 정보와 문화를 비판적으로 이해·성찰하며, 의미 있는 정보와 문화를 생산·공유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규정할 수 있다. 또한 미디어 리터러시의 하위 요소 간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국내외 문헌 검토를 통해 관계도 초안을 구안하였다. 그리고 초안에 대해 개별 인터뷰와 초점 그룹 인터뷰를 통해 교육과정·교과교육 전문가·현장교사의 자문을 받고 이를 기반으로 연구진의 숙의를 거쳐 숙의 내용에 대해 전문가와의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핵심 역량, 기초 학습 요소 및 수행 목표의 관계도 최종안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는 이론적 체계화를 통해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후속 연구를 촉진하는 한편 교육과정적 근거를 마련하여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수업 적용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clearly reconceptualize media literacy and classify media literacy content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Various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ncluding UNESCO and OECD define media literacy as an essential 21st century competence to access, analyze, evaluate and create media in a variety of forms. This study justifies the implementation of media literacy in schools by interpreting media literacy in relation to communication and knowledge and information processing , which are included in the key competences that are specified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in the field an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teachers, this study contrived media literacy strands and standards including performance objectives and basic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By theoretical systemizing media literacy,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mote the understandings of media literacy in schools and promote its implementations in the classrooms.

      • KCI등재

        디지털 환경의 학습자를 위한 학교 미디어 교육 정책 분석 및 제언

        정현선(Jeong Hyeon-seon),장은주(Jang Eun-ju)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21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변화하는 디지털 환경에서 미디어 교육 및 미디어 리터러시와 관련된 개념과 용어를 살펴봄으로써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과정 개발에 도움이 될 이론적 토대와 정책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현행 국가 수준 교육과정의 한계를 중심으로 미디어 교육이 개정 교육과정에 어떻게 반영되어 왔는지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그리고 디지털 환경에서 요구되는 시민역량으로서 학생들이 체계적으로 미디어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서 미디어 교육을 강화하기 위해 학교급별 전략과 학습내용을 명시적으로 제시하였다. 정규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미디어 리터러시를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으로 다음 세 가지를 제안하였다. 첫째, 국가 수준 교육과정 총론에서 미디어 교육의 주요 개념과 각 학교 수준의 목표를 명확히 해야 한다.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는 ‘미디어 교육의 강화’라는 문구를 포함하거나 미디어 역량 을 핵심역량에 반영해야 한다. 디지털 시민성도 국가 수준 교육과정의 인재상 중 하나로 명시되어야 한다. 둘째, 교육과정의 총론과 교과 교육과정 간의 연계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학년(군)별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내용을 명시하고 해당 학습 목표 및 관련 교과를 명시해야 한다. 또한 국가 수준 교육과정은 교과 영역에 걸친 통합 교육과정이 어떻게 운영되어야 하는지를 명시해야 한다. 셋째, 학교급별 구체적인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초등학교에서는 정규 수업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을 확보하기 위해 미디어 특화 단원을 개설해야 한다. 중학교는 자유학기제에 적용할 수 있는 독립적인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고등학교는 학생들의 선택을 반영하기 위해 독립적인 선택과목을 개설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cepts and terminologies related to media education and media literacy in the changing digital environment, thereby providing a theoretical foundation and policy suggestion that can help develop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al curriculum for media education. This study also critically reviewed how media education had been reflected in the history of the national curriculum revisions, mainly focusing on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national curriculum. Strategies and learning contents for each school level were explicitly suggested to reinforce media education in the national curriculum to enable children and young people to systematically receive media education as a civic competency required in a digital environment. The following three proposals were suggested as strategies to enhance children’s media literacy through formal education. First, the main concepts of media education and the goals for each school level should be clarified in the overview of the national curriculum. The national curriculum needs to include the statement of the enhancement of media education or add ‘media competency’ as an additional core competency. Digital citizenship also needs to be clearly stated as one of the desirable outcomes of the national curriculum. Second, the link between the overview and the subject areas of the curriculum needs to be strengthened. The content of media literacy education for each grade level should be specified, and the corresponding learning goals and subjects to be covered need to be specified. In addition, the national curriculum should specify how the integrated curriculum across the subject areas should be operated. Thi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concrete strategies for each school level. This study argued that elementary schools should have specialized units of study to secure media literacy classes in regular classes. Middle schools operate independent programs that can be applied to Free Semester, and high schools could open independent elective courses to accommodate students’ choices.

      • KCI등재

        ‘언어ㆍ텍스트ㆍ매체ㆍ문화’ 범주와 ‘복합 문식성’ 개념을 통한 미디어 교육의 국어교육적 수용에 관한 연구

        정현선 ( Jeong Hyeon-seon )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5 한국초등국어교육 Vol.28 No.-

        본고는 국어교육 내 미디어 교육 수용 방안에 대한 제반 논의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언어ㆍ텍스트ㆍ매체ㆍ문화’ 범주 및 ‘복합 문식성’ 개념을 통한 매체 수용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이는 현행 국어과 교육과정 내용에 대한 여섯 영역으로는 의사소통 능력의 신장이라는 국어교육의 목표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매체를 수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본고는 ‘보기’와 ‘형상화’등 시각 언어 소통을 수용하기 위한 새로운 영역 설정이 필요함에 공감하지만, 현재로서는 시각ㆍ언어와 문자 언어, 음성 언어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복합 문식성의 개념 설정이 우선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국어교육 내 매체 수용에 있어 몇 가지 주요 개념들이 논의의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고 보고, 언어 양식과 매체, 복합 문식성과 복합 양상, 언어 자원과 문화 자원 등의 주요 개념들의 명료화 하는데 초점을 둔다. 이러한 개념의 논의는 복합 문식성 분야에서 이루어진 최근의 질적 연구 성과들을 검토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본고는 대화와 소통을 위한 미디어 교육 수용의 원칙을 수립하고자 한다. This article aims to propose a criteria for media education, particularly for the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based on a critical review of the current discussions. The four sub-categories of the criteria proposed here are Language, Text, Media and Culture. In this criteria, Language is defined as a system of signification beyond the limited notion of verbal language. This article also discusses the theory of multiliteracy and multimodality as core concepts for media education in literacy education in the age of multimedia. This article also critically examines some of the academic terms used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ignificantly, the terms, ‘mode’ and ‘media’ are introduced and the meaning of the terms such as ‘multiliteracy’ and ‘multimodality’ are clarified. Reviewing the recent qualitative research on children's multimodal texts, this article emphasizes that children can benefit from producing verbal-visual texts, either informational or aesthetic, in which multimodal and cross-modal meanings are made. It is argued that such production can provide a meaningful experience to reflect the ‘others' voices’ that are brought by children from their popular media experiences.

      • KCI등재

        학급문집 만들기의 맥락에서 이루어진 사진과 글을 통한 초등학교 저학년 어린이들의 표현과 소통

        정현선 ( Hyeon Seon Jeong ) 국어교육학회 2009 國語敎育學硏究 Vol.36 No.-

        이 논문은 서울의 한 초등학교에서 1년간 수행된 초등학교 저학년(2학년) 어린이들의 매체 언어 학습의 결과를 다루고 있다. 일반 가정의 디지털 카메라 보유율이 65%를 넘어섰고 학령기 어린이와 청소년의 인터넷 사용이 거의 100%에 이르는 현대 한국 사회의 미디어 환경에서, 사진은 글 다음으로 가장 빈번히 사용되는 표현 양식으로 조사되고 있다. 이 연구는 학습자의 발달 단계를 고려한 다양한 표현 양식의 학습과 소통을 위한 매체 사용에 대한 학습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하였으며, 이를 위해 사진과 글을 통해 학급문집에 포함될 내용을 생산하도록 하는 프로젝트 학습을 디자인하여 그 과정과 결과를 연구하였다. 이 논문은 이와 같은 `디자인 연구` 방법에 따라 계획되고 실행된 일련의 학습활동의 목표와 방법에 관해 논의하고, 학습자들의 결과물인 사진과 글을 학습자 및 연구 참여 교사의 인터뷰 및 학습의 기록을 위해 연구자가 찍은 수업 장면 사진과 더불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글쓰기에 대한 동기가 약하고 글쓰기 능력이 부족한 어린이들이라 하더라도, 한 해를 기억하기 위해 스스로가 필자와 독자가 되는 학급문집이라는 특별한 매체의 내용을 생산하는 과정을 통해 글쓰기의 동기가 부여되고 이를 바탕으로 쓰기 능력이 일부 향상될 수 있었음을 보여준다. 또한 연구 결과는 어린이들이 카메라를 사용하여 친구들의 표정과 몸짓을 포착하교 학교에서 즐긴 특별한 순간들을 기억하며, 친구와 교사에게 보여주고 싶은 자기 자신의 모습을 선택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바탕으로 한 내용 생성의 측면에서 글쓰기의 동기 부여가 이루어질 수 있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이처럼 사진을 포함한 어린이들의 글은 사진 자체가 글의 중요한 일부가 되는 복합양식 텍스트의 성격을 지니게 된다. 이 연구 결과는 사진과 글이 서로를 보완하며 의미를 표현하는 복합 양식 텍스트 생산 교육이 표현 능력의 교육을 위해 국어교육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is article discusses some of the findings from a year-long study of lower-elementary (2nd grade) children`s media and multimodal literacy learning undertaken in an elementary school in Seoul. In the contemporary media environment, where more than 65% of households own digital cameras and almost 100% of children and young people over the age of 6 use the Internet, photographs are reported to be the second most frequently used form of expression next to texts. Considering the long-term progression in children`s understanding of different modes of expression such as photographs and writing and the role of media for communication, this study explores how young people might be able to learn how to take photographs and write texts in the context of producing contents for a `class yearbook` that can be seen as a `medium` for the classroom community to remember the people and what they did during the specific year. The discussion includes the pedagogic intentions of the `design` of a series of learning activities that are developed in this `design experiment` research method, as well as the results including the children`s photographs and writing as the learning outcomes, the interviews with the children and the teacher participated, and the photographs of classroom activities taken by the researcher for pedagogic documentation. The study shows children with low interests and skills in writing seem to be motivated to write texts and to improve their writing skills, when they are encouraged to produce contents for a specific medium of `class yearbook`, which is to be written and kept by themselves for the memory of the school year. Children seem to be able to create the ideas and feeling more genuinely and easily when they are allowed to use the cameras to capture the particular facial expressions or gestures of their friends; remember special events that they enjoyed at school; and the moments of their choice that they want to show about themselves. The photographs taken as such seem to become important integral parts of the children`s writings that can be seen as a multimodal tex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