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한국 어린이 식생활 안전지수의 평가 지표 개발

        정해랑(Chung,Hae Rang),곽동경(Kwak,Tong-Kyung),최영선(Choi,Young-Sun),김혜영(Kim,Hye-Young),이정숙(Lee,Jung-Sug),최정화(Choi,Jung-Hwa),이나영(Yi,Na-Young),권세혁(Kwon,Sehyug),최윤주(Choi,Youn-Ju),이순규(Lee,Soon-Kyu),강명희(Kang,Myun 韓國營養學會 2011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4 No.1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a children’s dietary life safety index required by the Special Act on Safety Management of Children’s Dietary Life enacted in 2009. An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was used to obtain initial weights of dietary life safety evaluation indicators. The Delphi method was applied to develop the weights along with 98 food and nutrition professionals. Three representative policy indicators, nine strategy indicators, 11 main evaluation indicators, and 20 detailed evaluation indicators were selected for the children’s dietary life safety assessment. Three policy indicators and nine strategy indicators were the following: children’s food safety indicator (support level of children’ safety, safety management level of children’s favorite foods, and safety management level of institutional food service), children’s nutrition safety indicator (management level of missing meals and obesity, nutrition management level of children’s favorite foods, and nutrition management level of institutional food service), and children’s perception and practice level indicator (“Dietary Life Law” perception level, perception, and practice level for dietary life safety management, perception, and practice level for nutrition management). Weights of 40%, 40%, and 20% were given for the three representative policy indicators. The relative importance of nine strategic indicators, which were determined by the Delphi method is as follows: For children’s food safety, support level of children’s safety, safety management level of children’s favorite foods, and safety management level of institutional food service were given weights of 12%, 9%, and 19%, respectively. For children’s nutrition safety, the missing meals and obesity management level, nutrition management level of children’s favorite foods, and the nutrition management level of institutional food service were given weights of 13%, 11%, and 16%, respectively. The “Dietary Life Law” perception level, perception and practice level of dietary life safety management, and perception and practice level of nutrition management were given weights of 4%, 7%, and 9%, respectively. (Korean J Nutr 2011 44(1): 49 ~ 60)

      • KCI등재

        학령기 아동 대상 영양지수 개발과 타당도 검증

        이정숙(Jung-Sug Lee),황지윤(Ji-Yun Hwang),권세혁(Sehyug Kwon),정해랑(Hae-Rang Chung),곽동경(Tong-Kyung Kwak),강명희(Myung-Hee Kang),최영선(Young-Sun Choi),김혜영(Hye-Young Kim) 한국영양학회 2020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53 No.6

        본 연구는 생애주기 중 학령기 아동을 위한 영양지수 (nutrition quotient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NQ-C)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학령기 아동 영양지수 평가항목 선정을 위해 학령기 아동 대상의 영양섭취 및 식생활 관련 문헌,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식생활지침 및 국가 영양정책, 전문가 집단의 포커스 심층면접을 통해 파일럿 조사용 체크리스트 41문항 (식품섭취 영역: 20문항, 식행동·식습관 영역: 21문항)을 개발하였다. 학령기 아동 260명을 대상으로 체크리스트 문항과 1일 식사섭취조사를 포함한 파일럿 조사를 수행하고, 체크리스트 평가항목별 점수와 식사섭취 조사 결과인 영양섭취 수준 간의 상관성이 높은 24개 평가항목으로 구성된 전국단위 조사용 체크리스트를 개발하였다. 전국단위 조사는 시도별, 학교 유형별로 층화추출된 초등학생 1,144명을 대상으로 면대면 조사를 수행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학령기 아동 영양지수 평가항목을 20개 항목, 5개 요인으로 분류하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평가항목의 구성타당도를 검증하고 추정된 경로 계수를 활용하여 5개 요인별 가중치와 평가항목별 가중치를 산출하였다. 학령기 아동용 영양지수를 위한 5개 요인과 가중치는 각각 균형 0.25, 다양 0.15, 절제 0.25, 환경 0.15, 실천 0.20 이었다. ‘균형’ 요인에는 과일, 흰 우유, 콩이나 콩제품, 생선류, 고기류 섭취 빈도 5개 평가항목이 포함되었고, ‘다양’ 요인에는 끼니별 채소 반찬 섭취, 반찬 골고루 먹기, 편식의 3개 평가항목이, ‘절제’ 요인에는 달거나 기름진 빵, 가공 음료, 가공 육류, 라면, 카페인 음료, 길거리 음식 (학교 앞 음식) 섭취 빈도의 6개 평가항목이, ‘실천’ 요인에는 영양성분표시 확인, 식사 전 손 씻는 빈도, 숨이 찰 정도의 운동 빈도 3개의 평가항목이, ‘환경’ 요인에는 아침식사 빈도, 가족과 함께 식사하는 빈도, 정해진 장소에서 식사하기의 3개 평가항목이 포함되었다. 전국단위 조사대상자의 영양지수 (NQ-C) 평균 점수는 65.7점이었고, 요인별 점수는 균형 66.4점, 다양 67.0점, 절제 55.4점, 환경 75.3점, 절제 69.2점이었다. 영양지수와 각 요인별 등급은 전국단위 조사 결과의 백분위수 분포를 기준으로 75 to 100백분위의 경우 ‘상’ 등급, 50 to < 75 백분위의 경우 ‘중상’ 등급, 25 to < 50백분위의 경우 ‘중하’ 등급, 0 to < 25 백분위의 경우 ‘하’ 등급으로 분류하였다. 학령기 아동 영양지수 (NQ-C) 점수가 72.4–100점의 경우 ‘상’ 등급, 65.8–72.3점의 경우 ‘중상’ 등급, 59.2–65.7점의 경우 ‘중하’ 등급, 65.7점 미만의 경우 ‘하’ 등급으로 판정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학령기 아동 영양지수 (NQ-C)는 20개 평가항목으로 구성된 체크리스트를 통해 영양지수 점수와 균형, 다양, 절제, 실천, 환경 요인의 점수 산출이 가능하고, 상대적인 영양지수 등급 부여를 통해 식사의 질과 영양상태가 양호한 지를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학령기 아동 영양지수는 초등학생들의 식사의 질과 식행동 평가, 영양교육의 효과 평가 뿐만 아니라 정부의 영양교육사업, 영양정책의 효과 평가 등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velop a nutrition quotient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NQ-C) for evaluating the overall dietary quality and eating behaviors. Methods: The NQ-C was developed by implementing 3 stages: item generation, item reduction, and validation. Candidate food behavior checklist (FBC) items of the NQ-C were derived from systematic literature reviews, expert in-depth interviews, statistical analyses of the fif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and national nutrition policies and recommendations. For the pilot survey, 260 elementary school students (128 second graders and 132 fifth graders) complet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s well as 24-hour dietary intakes, with the help of their parents and survey team staff, if required. Based on the pilot survey results, expert reviews, and priorities of national nutrition policy and recommendations, checklist items were reduced from 41 to 24. A total of 20 items for NQ-C were finally selected from results generated from 1,144 nationwide samples surveyed. Construct validity of the NQ-C was assessed using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LInear Structural RELations. Results: Analyses of the exploratory factors of NQ-C identified that 5 dimensions of diet (balance, diversity, moderation, practice and environment) accounted for 46.2% of the total variance. Standardized path coefficients were used as weights of the items. The NQ-C and 5-factor scores of the subjects were calculated using the obtained weights of the FBC items. Conclusion: Our data indicates that NQ-C is a useful and suitable instrument for assessing nutrition adequacy, dietary quality, and eating behaviors of Korean elementary school children.

      • KCI등재

        취학전아동 대상 영양지수 개발

        이정숙(Lee, Jung-Sug),강명희(Kang, Myung-Hee),곽동경(Kwak, Tong-Kyung),정해랑(Chung, Hae Rang),권세혁(Kwon, Sehyug),김혜영(Kim, Hye-Young),황지윤(Hwang, Ji-Yun),최영선(Choi, Young-Sun) 한국영양학회 2016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9 No.5

        본 연구는 3~5세 취학전아동 대상 영양지수 (Nutrition Quotient for Preschoolers, NQ-P) 개발을 목표로 수행되었다. 어린이의 식행동 및 영양섭취 관련 문헌,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분석 및 전문가 대상 심층면접을 통해 38개 후보 평가항목을 선정한 후, 후보 평가항목 중 식품 및 영양소 섭취량을 잘 반영해 주는 평가항목을 선정하기 위해 어린이집 3~5세반 100명의 부모/보호자를 대상으로 식사섭취 조사와 체크리스트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평가항목과 식품 및 영양소 섭취량, 식사다양성, 체질량지수와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로부터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낸 평가항목과 영유아 식생활지침과 어린이 급식관리지침서 영양관리기준에 근거하여 20개 평가항목으로 구성된 체크리스트를 도출하였다. 영양지수 모형을 설정하기 위해 전국 어린이집 목록을 활용하여 조사 대상 어린이집을 기본 층화변수로 5개 권역을 설정하여 어린이집 수를 할당하고 어린이집 당 약 10명을 표본으로 하여 총 412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수행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정적 요인분석에 의해 영양지수 구조 모형에 포함된 평가항목은 14개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14개의 평가항목으로 구성된 영양지수의 구성타당도를 검증하고 가중치를 계산하였다. 전문가 자문에 의한 요인 검토와 조정을 거친 결과 영양지수는 3-factor structure로서 균형, 절제, 환경의 3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균형’ 영역에는 콩제품, 생선, 고기, 채소, 흰 우유 섭취의 5개 평가항목, ‘절제’ 영역에는 가공육류, 가공음료, 과자류, 패스트푸드 섭취의 4개 평가항목, 그리고 ‘환경‘ 영역에는 아침식사 빈도, 정해진 장소에서 식사, 식사 전 손씻기, 바른 식생활을 위한 노력 정도, TV시청·스마트폰·컴퓨터 사용시간 (screen time)의 5개 평가항목이 포함되었다. 영역별 가중치는 균형 0.45, 절제 0.30, 환경 0.25로 설정하였으며, 영역 내 항목 가중치는 표준화 경로계수를 활용하여 계산하였다. 전국 3~5세 취학전아동 (n = 412명)의 NQ-P 점수는 평균 60.64점 (중앙값: 60.84점, 최소값: 34.99점, 최대값: 88.72점)이었고, 영역별 평균 점수를 보면 균형 60.49점, 절제 51.49점, 환경 71.66점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NQ-P는 14개 문항의 체크리스트 설문 조사를 통하여 영양지수 점수는 물론, 균형, 절제, 환경의 3개 영역 (요인)의 점수를 산출할 수 있으며, 산출된 영양지수 점수와 영역 점수를 이용하여 어린이의 상대적인 NQ-P 등급을 부여하고, 영양상태 및 식사의 질에 대한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Purpose: Screening of preschool-age children for nutrition programs to improve dietary intake and behaviors requires cost-effective and easily administered validated assessment too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arent/caregiver-administered instrument for measuring diet quality and behaviors of preschoolers as a nutrition quotient for preschoolers (NQ-P). Methods: Development of NQ-P was carried out in three steps: item generation, item reduction, and validation. The 24-h dietary record was selected as the gold standard reference tool. The 38 items of the NQ-P checklist were derived from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expert in-depth interviews, statistical analysis of the fif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and national nutrition policies and recommendations.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delivered to parents who recorded 24-h dietary intakes of 100 responders aged 3~5 yr. Pearson"s correlation was used to measure the level of agreement between questionnaires. Item reduction was performed, and 20 items were selected based on survey results, expert reviews, and priorities of national nutrition policy and recommendations. The 412 nationwide subjects sampled through daycare centers completed the 20-item checklist questionnaire.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NQ-P was assessed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LISREL. Results: After analyses of exploratory factors, NQ-P items identified three dimensions of diet (balance, moderation, and environment). The three-factor structure accounted for 49.28% of the total variance. Standardized path coefficients were used as weights of the items. The NQ-P and three-factor scores of the subjects were calculated by the obtained weights of the questionnaire items. Conclusion: A food behavior checklist for preschoolers" NQ would be a useful and suitable instrument for evaluating nutrition adequacy and dietary quality of Korean preschoolers.

      • KCI등재

        식품의 영양표시제도 정착을 위한 기초조사(II): 소비자, 기업체, 공무원 인식 비교 연구

        박혜련,민영희,정해랑,Park, Hae-Ryun,Min, Young-Hee,Jung, Hae-Rang 한국식생활문화학회 1995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10 No.3

        The awareness of the nutrition labeling of 82 food producers and 668 government officials was assessed and compared, from May to June in 1994, to that of consumers. Compared to 82.4% of cosumers, 48.1% of producers and 47.8% of officials answered that nutrition labeling is necessary. 48% of producers expected a modest food price rise, but 70% thought food sales would not be affected with nutrition labeling. While being worried about the regulatory difficulties and the increased work load given the inadequate implementation of the current food labeling system due to insufficient personnel, 50.2% of officials wanted the new nutrition labeling system to be introduced within $1{\sim}2$ years. Contrary to the general dissatisfaction with the system and the lack of confidence in it on the part of consumers, producers thought that they currently provide sufficient food information for consumers, and that consumers had much confidence in it. Producers and officials were more found worried about consumers' inadequate understanding and inactive use of the system in contrast to the widespread and welcome support on the part of consumers. But it was fully agreed by all that education and awareness is crucial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nutrition labeling system.

      • SCOPUSKCI등재

        아동 및 청소년의 라면 섭취에 따른 식품 및 영양소 섭취 실태 비교 :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심층분석 결과

        이정숙(Lee Jung-Sug),김정선(Kim Jeongseon),홍경희(Hong Kyoung Hee),장영애(Jang Young Ai),박수현(Park Soo Hyun),손영애(Sohn Young Ae),정해랑(Chung Hae-Rang) 韓國營養學會 2009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2 No.8

        Instant noodle is one of the most popular foods in Korea.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 of instant noodle consumption and food and nutrient intake among children and teenagers in Korea. We used dietary data from 24-h recall of 1,748 subjects aged 7-19 years who participated in the 200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ose who consumed instant noodle once or more during the survey period were categorized as “instant noodle consumer (INC)” and were compared for food and nutrient intakes with the others (non- INC). The average age of the INC was 13.4 and that of the non-INC was 12.4; girls consumed more instant noodles than boys (p < 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MI between the two groups. With the exception of grains, as compared to the non-INC, the INC consumed significantly less amounts of potatoes, vegetables, mush-rooms, fruits, spices, seafood, and milk and dairy products. With respect to nutrient intakes, the INC-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nutrient intakes of energy, fat, carbohydrate, sodium, thiamine, and riboflavin; however, as compared to the non- INC-group, the INC-group showed significantly less intakes of calcium, niacin, and vitamin C. The overall result suggests that consuming instant noodles may lead to excessive intake of fat and sodium, but it may cause an increased intake of thiamine and riboflavin. Therefore, nutrition education that helps children and teenagers choose a balanced meal while consuming instant noodle should be carried out. In addition, manufactures of instant noodles should consider nutritional aspects in product development processes.

      • KCI등재

        초등학교 어린이의 성별 및 비만도 수준에 따른 식생활인지·실천수준의 비교

        이정숙(Lee Jung-Sug),김혜영(Kim Hye-Young),최영선(Choi Young-Sun),곽동경(Kwak,Tong-Kyung),정해랑(chung Hae Rang),권세혁(Kwon Sehyug),최윤주(Choi Youn-Ju),이순규(Lee Soon-Kyu),강명희(Kang Myung-Hee) 韓國營養學會 2011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4 No.6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children's perceptions and practice levels according to gender and obesity status using a dietary life safety index. A national survey was conducted on fifth grade children (n = 2,400), who were selected using three-stage stratified cluster sampling from 16 provinces. The average height was 144.8 cm, and weight was 38.8 kg. The average body mass index was 18.4 kg/m2 and underweight, overweight, and obese children were identified using the 2009 KHNANES cutoff values, which were 5.3%, 10%, and 5.9%, respectively. The perception and practice scores for hand-washing prior to eating were high and the score for willing to buy at a clean store was also high. However, students answered that the hygiene level of food stores near the school was poor. More students skipped breakfast than lunch or dinner. The frequency scores for fruit and vegetables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girls than those for boys. Students had a good understanding of nutrition labeling but did not frequently check the label. Seventy-five percent of the students tried to avoid high calorie foods with low nutritional value, but only 40% had the appropriate knowledge about high calorie foods with low nutritional value. Girls had better dietary life perception and practice levels than those of boys. No differences in perception or practice levels were observed based on obesity status. Nutrition education on the importance of eating breakfast and having accurate knowledge on nutrition labeling and high calorie foods with low nutritional value is needed. Behavior-centered education should be implemented to improve the perceptions and practice level of student's dietary life. (Korean J Nutr 2011; 44(6): 527~536)

      • KCI등재

        한국 성인을 위한 영양지수 개발과 타당도 검증

        이정숙(Lee, Jung-Sug),김혜영(Kim, Hye-Young),황지윤(Hwang, Ji-Yun),권세혁(Kwon, Sehyug),정해랑(Chung, Hae Rang),곽동경(Kwak, Tong-Kyung),강명희(Kang, Myung-Hee),최영선(Choi, Young-Sun) 한국영양학회 2018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51 No.4

        본 연구는 생애주기 중 성인 대상 영양지수 (NQ for adults) 개발을 목표로 수행되었다. 성인의 식행동과 영양섭취 관련 문헌,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식생활지침 및 국가 영양정책, 전문가 및 포커스 집단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통해 파일럿 조사용 체크리스트를 개발하였다. 성인 368명을 대상으로 1일의 식사섭취조사와 체크리스트 설문조사를 수행하고, 체크리스트 평가항목과 식사섭취조사 결과인 영양섭취 수준 간의 상관관계가 높은 24개 항목을 전국단위 조사용 체크리스트로 선정하여 사용하였다. 전국단위 조사는 주민등록인구통계자료를 활용하여 기본 층화변수로 6개 권역을 설정하고 권역별로 성별, 연령군별 성인 인구수를 기준으로 비례 배분하여 총 1,053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조사를 수행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성인 영양지수 평가항목을 21개 항목, 4개 요인으로 분류하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해 평가항목의 구성타당도를 검증한 후 추정된 경로계수를 적용하여 가중치를 산출하였다. 성인 NQ를 위한 4개 요인과 가중치는 각각 균형 0.25, 다양 0.25, 절제 0.30, 식행동 0.20이었다. ‘균형’영역에는 과일, 달걀, 콩이나 콩제품, 우유 또는 유제품, 견과류, 생선류 섭취 빈도 및 아침 식사 빈도 7개 항목이 포함되었고, ‘다양’ 영역에는 채소 반찬, 물 섭취 빈도와 편식 수준 3개 항목이, ‘절제’ 영역에는 패스트푸드, 라면류, 단음식 또는 달거나 기름진 빵, 가당음료 섭취 빈도, 야식, 외식이나 배달음식 섭취 빈도 6개 항목이, ‘식행동’영역에는 영양성분표시 확인, 건강한 식습관 노력 정도, 건강 인지 수준, 30분 이상 운동한 빈도, 음식 먹기 전 손씻기 5개 항목이 포함되었다. 전국단위 조사대상자의 NQ 평균점수는 53.2점 이었고, 영역별 점수는 균형 38.6점, 다양55.9점, 절제 67.1점, 식행동 47.0점 이었다. NQ를 기준으로 58점 이상인 경우 ’양호’로, 58점 미만인 경우는 ‘모니터링이 필요’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성인 NQ는 21개 항목으로 구성된 체크리스트를 통해 NQ 점수와 균형, 다양, 절제 및 식행동 영역의 점수 산출이 가능하며, 상대적인 NQ 등급 부여를 통해 식사의 질과 영양이 양호한 지를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성인 NQ는 체계적인 영양관리, 만성질환 예방을 위한 교육사업 및 정부의 영양정책 효과 평가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nutrition quotient (NQ) to assess overall dietary quality and food behaviors of Korean adults. Methods: The NQ was developed in three steps: item generation, item reduction, and validation. Candidate items of the NQ checklist were derived from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expert in-depth interviews, statistical analyses of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 ~ 2013) data, and national nutrition policies and recommendations. A total of 368 adults (19 ~ 64 years) participated in a one-day dietary record survey and responded to 43 items in the food behavior checkli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responses to the checklist items and nutritional intake status of the adults were calculated. Item reduction was performed, and 24 items were selected for a nationwide survey. A total of 1,053 nationwide adult subjects completed the checklist questionnaires.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were performed to develop a final NQ model. Results: The 21 checklist items were used as final items for NQ. Checklist items were composed of four factors: nutrition balance (seven items), food diversity (three items), moderation for the amount of food intake (six items), and dietary behavior (five items). The four-factor structure accounted for 41.8% of the total variance. Indicator tests of the NQ model suggested an adequate model fit (GRI = 0.9693, adjusted GFI = 0.9617, RMR = 0.0054, SRMR = 0.0897, p < 0.05), and item loadings were significant for all subscales. Standardized path coefficients were used as weights of the items. The NQ and four-factor scores wer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obtained weights of the questionnaire items. Conclusion: NQ for adults would be a useful tool for assessing adult dietary quality and food behavior. Further investigations of adult NQ are needed to reflect changes in their food behavior, environment, and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s.

      • KCI등재

        서울, 경기지역의 초등학생 대상 당 저감화에 관한 소비자 인식 및 관련 교육 효과 분석

        김기남(Ki Nam Kim),이정숙(Jung Sug Lee),심지선(Jee-Seon Shim),정혜경(Hae Kyung Chung),정해랑(Hae Rang Chung),장문정(Moon-Jeong Chang) 한국영양학회 2020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53 No.3

        본 연구는 초등학교의 당 관련 영양교육이 당 섭취에 관한 영양지식과 영양태도, 식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당 섭취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당 교육인지군과 비인지군으로 나누어 영양지식과 식행동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초등학생들의 당류 섭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평가하고자 하였으며,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조사 대상자 중 당 교육을 받았다고 인지한 교육 인지군은 270명 (49.8%) 이었고, 비인지군은 302명 (50.2%) 이었다. 당 교육 인지 여부에 따른 이론적 지식 점수를 보면 교육 인지군 3.67점, 비인지군 3.55점으로 교육 인지군이 비인지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바른 행동에 대한 지식 점수는 두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당류 섭취 관련식행동 점수, 음료 선택 및 간식 구매 빈도는 당 교육 인지 여부에 따른 두 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영양표시에서 당류 함량을 확인하는 비율은 교육 인지군이 31.2%로 비인지군 15.4%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아이들이 즐겨 섭취하는 식품군별 섭취 빈도를 보면 교육 인지군이 비인지군에 비해 무가당 캔디나 젤리류, 생과일류의 섭취 빈도가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식품군별 당류 섭취량은 달지 않은 빵류, 흰 우유 및 생과일을 통한 당류 섭취량이 비인지군에 비해 교육 인지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당 관련 지식 점수와 식행동사이의 상관성을 보면 교육 인지군의 경우 식행동 점수, 아이스크림, 초콜릿, 탄산음료를 덜먹으려는 행동과는 양의 상관성을, 방과 후 간식 구입 빈도, 평균 당류 섭취량과는 음의 상관성을 보였으며, 비인지군의 경우 식행동 점수, 아이스크림, 빵을 먹을 때 잼을 덜 먹는 행동 및 과일 섭취 시 설탕을 덜 먹으려는 식행동과 양의 상관성을, 방과 후 간식구입 빈도 및 당류 섭취량과는 음의 상관성을 보였으나, 비인지군에 비해 교육 인지군에 좀더 높은 상관계수 값을 보였다. 또한 하루 총 당류 섭취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교육 인지군에서만 영양(교)사의 교육 여부가 총 당류 섭취량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 당 교육을 인지한 대상자들이 비인지군에 비해 당류 함량이 낮은 식품을 섭취하려고 노력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영양교사의 교육 여부가 당류 섭취량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그러므로 초등학생들의 당류 섭취량 감소를 위해서는 학교의 영양전문가인 영양(교)사에 의해 지속적이고, 행동으로 실천할 수 있는 실천 중심의 영양교육이 수행될 필요가 있으며, 학교 현장에서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당 관련 영양교육 자료의 개발 및 보급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nutritional education related to sugar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on nutritional knowledge, attitude, and dietary behavior. Methods: A questionnaire survey on the knowledge, attitudes, and intake related to sugar was conducted on 572 students in grades 4–5, who were attending five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do. Results: Among the survey subjects, 270 (49.8%) were cognitive in education, and 302 (50.2%) were non-cognitive. The sugar-related knowledge score was 3.67 points in the cognitive education group,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3.55 points in the noncognitive group. The rate of checking the sugar content in the nutrition label was 31.2% in the cognitive education group,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non-cognitive group, 15.4%. The cognitive education group had a higher intake frequency of unsweetened candy, jelly, and raw fruits, and higher sugar intake of unsweetened bread, white milk, and raw fruits than the non-cognitive group. In the case of the cognitive education group, the total knowledge scor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food behavior scores,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frequency of purchasing snacks after school, and the average sugar intake per day. In the cognitive education group only, the education of nutrition teachers was analyzed as a factor to reduce the total sugar intake. The cognitive group of sugar education tried to eat foods with a lower sugar content than the non-cognitive group, and nutrition education was an important factor affecting the sugar intake. Conclusion: To reduce the sugar intak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will be necessary to practice oriented-nutrition education by nutrition teachers continuously.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o develop and disseminate various types of nutrition education materials related to sugar that can be utilized easily by nutrition teachers.

      • KCI등재

        청소년을 위한 영양지수 개발과 타당도 검증

        김혜영(Kim, Hye-Young),이정숙(Lee, Jung-Sug),황지윤(Hwang, Ji-Yun),권세혁(Kwon, Sehyug),정해랑(Chung, Hae Rang5),곽동경(Kwak, Tong-Kyung),강명희(Kang, Myung-Hee),최영선(Choi, Young-Sun) 한국영양학회 2017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50 No.2

        본 연구는 생애주기별 영양지수 중 청소년을 위한 영양지수 (Nutrition Quotient for Adolescents, NQ-A) 모형을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영양지수 평가항목 선정을 위해 식품섭취영역에서 20개 문항, 식행동·식습관 영역에서 21개 문항의 총 41개 문항으로 구성된 파일럿 조사용 체크리스트를 개발하였다. 청소년 213명을 대상으로 1일의 식사 섭취실태 조사를 포함한 파일럿 조사를 수행하고, 체크리스트 항목 점수와 식사섭취실태 관련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가 높은 24개의 평가항목으로 구성된 전국단위 조사용 체크리스트를 개발하였다. 전국단위 조사는 시도별 집락별로 층화추출된 중고등학생 1,547명에 대해 구조화된 설문지로 면대면 조사를 수행하였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수행하여 청소년 영양지수의 평가 항목을 19개 항목의 5개 요인으로 분류하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해 평가 항목의 구성타당도를 검증하고 추정된 경로계수를 가중치로 적용하였다. 청소년 영양지수를 위한 5개의 요인과 가중치는 각각 균형 0.25, 다양 0.15, 절제 0.25, 환경 0.15, 실천 0.20이었다. 균형 영역에는 과일 섭취 빈도, 흰 우유 섭취 빈도, 콩류 섭취 빈도, 생선 섭취 빈도의 4개 항목이 포함되었고, 다양 영역은 채소 반찬 섭취 빈도, 반찬 골고루 먹는 정도, 편식 정도의 3개 항목, 절제 영역은 과자 또는 달거나 기름진 빵 섭취 빈도, 가공 음료 섭취 빈도, 라면 섭취 빈도, 카페인 음료섭취 빈도, 야식 섭취 빈도, 길거리 음식 섭취 빈도의 6개 항목, 환경 영역은 아침식사 빈도, 식탁에 앉아서 식사하는 정도, TV·핸드폰·컴퓨터 사용 시간의 3개 항목, 그리고 실천 영역은 영양 표시 확인 정도, 음식 먹기 전 손 씻는 정도, 운동 빈도의 3개 항목이 포함되었다. 전국단위 조사대상자의 영양지수 (NQ-A) 평균 점수는 56.0점이었고, 세부 영역별로는 균형 58.6점, 다양 55.6점, 절제 48.1점, 환경 70.6점, 실천 52.1점이었다. 영양지수 점수와 각 영역별 등급은 전국 조사 결과의 백분위수 분포를 기준으로 75~100 백분위의 경우 ‘상’ 등급, 25 ~ <75 백분위의 경우 ‘중’ 등급, 0 ~ <25 백분위는 ‘하’ 등급으로 분류하였다. 영양지수의 경우 63.1~100점은 ‘상’ 등급, 49.0~63점은 ‘중’ 등급, 0~48.9점은 ‘하’ 등급으로 판정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청소년을 위한 영양지수는 19개 항목으로 구성된 식행동 체크리스트를 통해 영양지수 점수와 균형, 다양, 절제, 환경, 실천 영역의 점수를 산출할 수 있으며, 상대적인 NQ 등급 부여를 통해 식사의 질과 식행동이 양호한 지를 판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청소년용 영양지수 (NQ-A)가 청소년의 식사의 질과 식행동 평가 및 영양교육의 효과 평가 등에 많이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nutrition quotient for adolescents (NQ-A) to assess overall dietary quality and food behavior of Korean adolescents. Methods: Development of the NQ-A was undertaken in three steps: item generation, item reduction, and validation. Candidate items of the NQ-A checklist were selected based on literature reviews, results of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dietary guidelines for Korean adolescents, expert in-depth interviews, and national nutrition policies and recommendations. A total of 213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a one-day dietary record survey and responded to 41 items in the food behavior checkli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responses to the checklist items along with nutritional status of the adolescents were calculated. Item reduction was performed, and 24 items were selected for the nation-wide survey. A total of 1,547 adolescents from 17 cities completed the checklist questionnaire. Exploratory factor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were performed to develop a final NQ-A model. Results: Nineteen items were finalized as the checklist items for the NQ-A. Checklist items were composed of five factors (balance, diversity, moderation, environment, and practice). The five-factor structure accounted for 47.2% of the total variance. Standardized path coefficients were used as weights of the items. The NQ-A and five-factor scores were calculated based on the obtained weights of the questionnaire items. Conclusion: Nutrition Quotient for adolescents (NQ-A) would be a useful instrument for evaluating dietary quality and food behavior of Korean adolescents. Further research on NQ-A is needed to reflect changes in adolescent"s food behavior and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