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질경이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효과 및 항균활성

        정창호(Chang-Ho Jeong),배영일(Young-Il Bae),심기환(Ki-Hwan Shim),최진상(Jine-Shang Choi)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3 No.10

        질경이를 새로운 기능성 식품소재로 활용하기 위한 일환으로 차전초의 메탄올 추출물을 각종 용매를 이용하여 계통ㆍ분획한 후 DPPH 라디칼 소거효과, 환원력, 아질산염 소거효과 및 항균활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효과는 분획물 중 에틸아세테이트와 부탄올 분획물(400㎍/5 mL)에서 60% 이상 높은 라디칼 소거율과 금속에 대한 강한 환원력을 나타낸 반면, 물, 클로로포름 및 헥산 분획물은 낮은 소거효과를 나타내었다. 질경이의 각 분획물을 농도별로 첨가한 아질산염 소거효과는 에틸아세테이트와 부탄올 분획물 500 ㎍ 첨가시 70~80% 이상 높은 아질산염 소거 효과를 나타내었다. 항균활성은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및 부탄올 분획물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경우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및 Vibrio parahaemolyticus 등의 그람양성 및 음성균 모두 강한 항균효과를 나타내었다. To develop the functional food, methanol extracts of dried plantain (Plantago asiatica L.) was fractionated in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and aqueous fraction.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 reducing power, nitrite scavenging effec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se fractions were investigated. Ethyl acetate fraction among these fractions showed the highest effect of all experiments. Ethyl acetate fraction showed about 60% scavenging effect on the DPPH radicals at 400 ㎍/5 mL. Nitrite scavenging effect of ethyl acetate and butanol fraction was more than 70~80% at concentration above of 500 ㎍. Among various solvent fractions from methanol extracts of plantain, ethyl acetate fraction showed the highest inhibitory effect on the microorganism such as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and Vibrio parahaemolyticus at 5 mg/disc.

      • KCI등재

        개망초(Erigeron annuus)의 부위별 화학성분

        정창호(Chang Ho Jeong),남은경(Eun Kyeong Nam),심기환(Ki Hwan Sh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4 No.6

        개망초를 새로운 기능성 식품의 재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각 부위별 화학성분을 조사하였다. 개망초의 꽃, 잎, 줄기 및 뿌리의 가용성 무질소물의 함량은 각각 53.15, 55.79, 36.71 및 42.61%로 각각 나타났다. 조섬유의 함량은 줄기와 뿌리에서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꽃보다 잎에서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개망초에 함유되어 있는 주요 무기성분으로는 Na(19.55~33.78 ㎎/100 g), K(49.95~89.80 ㎎/100 g) 및 Ca(25.39~116.40 ㎎/100 g)으로 나타났으며, 개망초의 각 부위별 Ca의 함량은 꽃, 줄기 및 뿌리보다 잎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개망초에 함유되어 있는 주요 유리당으로는 sucrose(0.12~1.37%), glucose(0.68~1.08%) 및 fructose(0.56~1.66%)로 각각 나타났다. 개망초의 부위별 총 아미노산 함량은 꽃 2,509.74 ㎎/100 g, 잎 2,630.95 ㎎/100g, 줄기 889.54 ㎎/100 g 및 뿌리 1,201.41 ㎎/100 g으로 나타났으며, 꽃과 잎에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주요 아미노산으로는 glutamic acid, tyrosine 및 proline로 나타났다. 또한 줄기에서는 lysine, glutamic acid, aspartic acid로 나타났고, 뿌리에서는 lysine, glutamic acid 및 proline로 나타났다. 개망초에 함유되어 있는 주요 유기산으로는 succinic acid(4.78~19.72 ㎎/100 g), tartaric acid(3.90~6.91 ㎎/100 g) 및 citric acid(1.79~6.60 ㎎/100 g)로 나타났다. 개망초에는 총 9종의 지방산이 함유되어 있었고, 주요 지방산으로는 myristic acid(18.05~20.18%), oleic acid(18.50~32.91%) 및 linoleic acid(18.02~29.87%)로 나타났으며, 총 플라보노이드와 총 페놀성분은 꽃과 잎에서 다른 부위보다 높게 나타났다. The chemical components of different parts of Erigeron annuus were examined in order to use as a new functional food material. Nitrogen free extract contents of flowers, leaves, stems and roots were 53.15, 55.79, 36.71 and 42.61%, respectively. The contents of crude fiber in the stems and roots were similar, while those in leaves were lower than those in the flowers. Mineral components of Erigeron annuus were rich in Na (19.55~ 33.78 ㎎/100 g), K (49.95~89.80 ㎎/100 g) and Ca (25.39~116.40 ㎎/100 g). Among the portions of Erigeron annuus Ca contents was slightly higher level in the leaves than those of flowers, stems and roots. The major free sugars of Erigeron annuus were sucrose (0.12~1.37%), glucose (0.68~1.08%) and fructose (0.56~1.66%). The contents of total amino acid in Erigeron annuus were 2,509.74 ㎎/100 g in the flowers, 2,630.95 ㎎/100 g in the leaves, 889.54 ㎎/100 g in the stems, and 1,201.41 ㎎/100 g in leaves. Abundant amino acids in the flowers and leaves were glutamic acid, tyrosine and proline. And abundant amino acids of stems were lysine, glutamic acid and aspartic acid, and its root were lysine, glutamic acid and proline. Organic acid components of Erigeron annuus were succinic acid (4.78~19.72 ㎎/100 g), tartaric acid (3.90~6.91 ㎎/100 g) and citric acid (1.79~6.60 ㎎/100 g). Nine fatty acids in Erigeron annuus were identified and the major fatty acids were myristic acid (18.05~20.18%), oleic acid (18.50~32.91%) and linoleic acid (18.02~29.87%). Total flavonoid and phenol contents were higher in leaf and flower extracts than any other extracts.

      • KCI등재SCOPUS
      • 초등 도덕교육과 철학교육: 독일 초등학교의 ‘실천철학’ 교과 확대를 둘러싼 논쟁

        정창호 ( Chang Ho Jeong ) 한국인성감성교육학회 2018 인성·감성교육 Vol.1 No.1

        이 글은 우리나라 초등 도덕과 수업에서 철학함의 요소를 강화할 필요성을 주장하고 옹호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우리나라의 도덕과 교육과정은 학생들에게 단지 지식으로서의 도덕 규범을 넘어서 실제로 도덕적 삶을 살아가도록 교육할 것과 이를 위해서 학생들의 자립적인 사고능력과 판단능력 그리고 도덕적 감수성을 길러 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현장의 도덕교육은 이러한 교육과정 상의 요구를 제대로 실현하고 있지 못하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이러한 교육과정과 현장교육 간의 괴리는 시급히 해결되어야 할 과제라고 생각된다. 이에 이 글은 독일 초등학교에서의 도덕교육의 사례(노르트라인 베스트팔렌 주의 ‘실천철학’ 교과)를 검토함으로써 한국의 초등 도덕교육에도 철학함의 요소를 도입할 필요와 근거를 제시하려 했다. The moral education of South Korea needs to be accompanied by philosophy education. The national curriculum for moral and ethics make it clear that moral und ethics education in school should not be content with teaching students moral norms as any kind of knowledge. It should introduce them into the life of morality and therefore the school teacher must make his best for developing the capacity of independent thinking and judgment and moral sensibility of students. However, it is generally acknowledged that this claims of national curriculum are not fully realized in the moral and ethics classes of South Korea. I think that this unbalance between national curriculum and practice in schools must be solved as soon as possible. In this thesis, I have surveyed the case of ‘practical philosophy’ in Nordrhein-Westfalen, Germany, which is a new concept of moral and value education in Germany. The survey of this case, it is hoped, gives us som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Korean moral und personality education.

      • KCI등재

        동결건조 마늘 분말을 첨가한 생면의 품질 특성

        정창호(Chang-Ho Jeong),심기환(Ki-Hwan Shim),배영일(Young-Il Bae),최진상(Jine-Shang Choi)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7 No.10

        동결건조 한 마늘 분말의 일반성분과 밀가루 중량 100%를 기준하여 0.5, 1.0, 2.0 및 4.0% 첨가하여 제조한 국수의 품질특성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동결건조 마늘의 일반성분은 일반성분 중 수분 4.72±0.14%, 조단백질 19.46±0.28%, 조지방 1.21±0.10%, 가용성 무질소물 68.45±2.06%, 조섬유 2.38±0.05% 및 회분 3.78±0.06%이었다. 동결건조 한 마늘분말을 첨가하여 제조한 국수의 중량, 부피 및 함수율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국물의 탁도는 증가하였다. 조리 전 반죽의 색도는 동결건조 마늘분말을 첨가하였을 때 L, a 및 b값 모두 증가하였으며, 조리한 생면의 색도 중 L값은 감소하였으나, a값과 b값은 증가하였다. 동결건조 한 마늘 분말을 첨가하여 조리한 국수의 조직감은 밀가루만 첨가하여 제조한 대조구에 비하여 경도, 부착성, 탄력성, 검성, 씹힘성 및 응집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능검사 결과 동결건조 마늘분말 0.5% 첨가구에서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This study investigated proximate composition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wet noodles with the addition of freeze dried garlic powders prepared at 0.5, 1.0, 2.0, and 4.0% based on flour source, respectively. The moisture, crude protein, crude fat, nitrogen free extract, crude fiber, and crude ash of the freeze dried garlic powder were 4.72±0.14%, 19.46±0.28%, 1.21±0.10%, 68.45±2.06%, 2.38±0.05%, and 3.78±0.06%, respectively. The cooked weight, volume, water absorption of cooked noodles were decreased, but the turbidity of soup was increased with the addition of garlic powder. Increased of L (lightness), a (redness) and b (yellowness) values were caused as the amount of garlic powder increased in dough. Decrease of L value and increase of a and b value were shown with the increase of garlic powder in cooked noodle. The cooked noodles with garlic powder were significantly lower in hardness, adhesiveness, springiness chewiness, gumminess and cohesiveness than those of 100% wheat noodle. Sensory evaluation indicated that cooked noodles with 0.5% garlic powder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control.

      • 외부 미세먼지 유입 저감을 위한 지하주차장 진입로시스템의 적용 타당성

        정창호(Chang Ho Jeong) 대한설비공학회 2022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22 No.6

        Building have large openings where relatively large amounts of outdoor air can enter them. The driveway to the underground parking lot is a case in point. In this study, the impact of vehicle entry on fine dust concentration in underground parking lots was analyzed through field measurements. In addition, the feasibility of driveway system for underground parking lot to reduce fine dust when entering the vehicle was analyzed. As a result,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inside the underground parking lot was found to be more affected by vehicle entry in the case of PM2.5 than in PM10.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driveway system, it was found that the inflow of fine dust inside the underground parking lot was reduced.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국내 시판 블루베리와 라즈베리의 영양성분 분석 및 항산화 활성

        정창호(Chang-Ho Jeong),최성길(Sung-Gil Choi),허호진(Ho Jin He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7 No.11

        국내 시판되는 블루베리와 라즈베리의 영양성분 및 항산화 활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블루베리와 라즈베리 각각의 일반성분은 수분 10.47%와 22.67%, 조단백질 2.66%와 2.64%, 조지방 2.04%와 1.67%, 가용성물질소물 81.36%와 70.19%, 조섬유 1.48%와 0.85% 및 회분 1.99%와 1.98%였다. 총페놀화합물 함량은 라즈베리(5.340 ㎎/g)보다 블루베리(9.028 ㎎/g)가 높게 나타났다. 블루베리와 라즈베리의 주요 무기성분은 Ca(451.34 and 97.48 ㎎/100 g), K(355.40 and 215.20 ㎎/100 g), P(321.10 and 294.04 ㎎/100 g) 및 Na(137.58 and 137.67 ㎎/100 g)이었다. 블루베리와 라즈베리의 총아미노산 함량은 각각 2,011.44 ㎎/100 g과 2,098.82 ㎎/100 g이었으며, 주요 아미노산으로는 glutamic acid, aspartic acid 및 leucine이었다. 블루베리와 라즈베리 80% 메탄올 추출물의 DPPH 및 ABTS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 농도 5 ㎎/mL에서 각각 88.67%와 62.77%, 76.34%와 30.53%의 소거활성을 보였다. 블루베리와 라즈베리 80% 메탄올 추출물의 환원력을 이용한 항산화 활성은 농도의존적인 경향을 보였으며, β-carotene-linoleate와 FTC method를 이용한 항산화활성은 블루베리가 라즈베리보다 2배 높은 활성을 보였다. The nutritional composition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Korean commercial blueberry and raspberry were investigated. The proximate compositions were 10.47% and 22.67% in moisture, 2.66% and 2.64% in crude protein, 2.04% and 1.67% in crude fat, 81.36% and 70.19% in nitrogen free extracts, 1.48% and 0.85% in crude fiber, and 1.99% and 1.98% in ash of blueberry and raspberry, respectively. Total phenolics content were higher in blueberry (9.028 ㎎/g) than in raspberry (5.340 ㎎/g). Major elements of blueberry and raspberry were Ca (451.34 and 97.48 ㎎/100 g), K (355.40 and 215.20 mg/100 g), P (321.10 and 294.04 ㎎/100 g), and Na (137.58 and 137.67 ㎎/100 g). The total amino acid contents of blueberry and raspberry were 2,011.44 ㎎/100 g and 2,098.82 ㎎/100 g, respectively. Amino acid were mainly composed of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nd leucine. Th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the 80% methanol extract from blueberry and raspberry were 88.67% and 62.77%, 76.34% and 30.53% at a concentration of 5 ㎎/mL. The 80% methanol extract from blueberry and raspberry showed considerable antioxidative activity against reducing power in dose-dependent manner. Antioxidative activities using β-carotene-linoleate and FTC method were twice higher in blueberry than raspberry.

      • SCOPUSKCI등재

        조릿대 잎차의 영양성분 분석 및 기능성 평가

        정창호(Chang-Ho Jeong),최성길(Sung-Gil Choi),허호진(Ho Jin Heo) 한국식품과학회 2008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0 No.5

        조릿대 잎을 이용한 가공품 개발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잎차의 영양성분 및 기능성을 평가하였다. 일반성분은 수분 5.68%, 조단백 16.38%, 조지방 4.68%, 가용성 무질소물 32.37%, 조섬유 32.36% 및 회분 8.53%로 각각 나타났다. 주요 무기성분으로는 K 2,133.83, Ca 1,144.09 및 P 543.00 ㎎/100 g이었으며, 아미노산중 proline이 1,275.26 ㎎/100 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고, cystine이 71.49 ㎎/100 g으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다. 주요 지방산으로는 linoleic acid(50.52%), palmitic acid (18.52%) 및 oleic acid(14.16%)였으며, 관능검사 결과 80℃에서 추출한 조릿대 잎차가 가장 높은 기호도를 보였다. 80% 메탄올 및 열수추출물의 총 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한 결과 15.09, 7.69 ㎎/g과 12.03±0.67, 6.12±0.29 ㎎/g으로 각각 나타났다.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 80% 메탄올추출물 농도 1.25 ㎎/mL에서 각각 86.87%와 83.85%의 소거활성을 보였으며, 환원력 및 acetylcholinesterase(퇴행성뇌신경질환의 일종인 치매 유발 효소) 저해활성은 농도 의존적인 경향을 나타내었다. In this study, the nutritional components and functional activities of Sasa borealis leaf tea were evaluated. The proximate compositions were as follows; moisture 5.68%, crude protein 16.38%, crude fat 4.68%, nitrogen free extracts 32.37%, crude fiber 32.36%, and ash 8.53%, respectively. The mineral elements were as follows: K 2,133.83, Ca 1,144.09 and P 543.00 ㎎%, respectively. The amino acid contents of the Sasa borealis leaf tea were very rich in proline (1,275.26 ㎎/100 g) and deficient in cystine (71.49 ㎎/100 g). The major fatty acid components were linoleic acid (50.52%), palmitic acid (18.52%), and oleic acid (14.16%). Finally, based on our sensory evaluations, the 80℃ extracted Sasa borealis leaf tea evidenced the best overall quality. The contents of total phenol and total flavonoids of the 80% methanol and hot water extracts were 15.09, 7.69 ㎎/g and 12.03, 6.12 ㎎/g, respectively. Th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the 80% methanol extract from Sasa borealis leaf tea were 86.87% and 83.85% at a concentration of 1.25 ㎎/mL. The 80% methanol and hot water extracts evidenced reducing power and inhibitory effects against acetylcholinesterase in a dose-dependent manner.

      • KCI등재

        새송이 버섯 분말을 첨가한 스폰지 케이크의 품질 특성

        정창호(Chang Ho Jeong),심기환(Ki Hwan Sh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3 No.4

        국내산 새송이 버섯을 스폰지 케이크 제조에 이용하고자 열풍건조와 동결건조로 각각 가공된 두가지 새송이 버섯 분말을 케이크 배합비에 3%, 5% 및 7%의 비율로 첨가하여 케이크의 품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반죽의 비중과 점도 및 그에 따른 최종 케이크 품질 물리적 및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이들의 결과에서 건조방법이 다른 두 종류의 버섯 분말의 첨가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케이크 반죽 비중 및 점도는 증가하였고, 케이크의 부피와 높이는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색상은 새송이 버섯 분말의 첨가에 따라 표면과 내부의 색깔을 모두 어둡게 하였으며, 조직감은 새송이 버섯 분말의 첨가 증가에 따라 경도가 증가하였다. 새송이 버섯 건조방법이 스폰지 케이크의 관능검사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버섯 분말 3%와 5% 첨가구가 버섯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에 비하여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s with addition of mushroom (Pleurotus eryngii) powders prepared by different drying methods, hot air (HDMP: hot air dried mushroom powder) and freeze drying (FDMP: freeze dried mushroom powder). The specific gravities, viscosity, height, specific volume, color, texture and sensory evaluation of bread dough containing 3%, 5% and 7% mushroom powders were measured. The specific gravity and viscosity tended to increase according to the addition of mushroom powder. The height and specific volume tended to decrease according to the addition mushroom powder. Substituting mushroom powder for flour also resulted in decreased yellowness and lightness and increased redness of the cake crust. The hardness of cakes containing mushroom powders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without mushroom powders. The color of cake crust became darker as the amount of mushroom powders increased.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by QDA (quantitative descriptive analysis) to compare two different drying methods showed that overall acceptalility of sponge cakes containing 3% and 5% mushroom powder were higher than that of control without mushroom pow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