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Duals in Tandem 기어에 의한 공항콘크리트 포장 응력의 해석

        정진훈,조윤수,이재훈,유주호,Jeong,Jin Hoon,Jo,Yoon Soo,Lee,Jae Hoon,Yoo,Joo Ho 한국방재학회 2014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4 No.1

        국내 공항 콘크리트 포장은 FAA 150/5320-6D에서 제시하는 설계법에 따라 설계대상항공기로 등가 환산된 교통량을 설계에 반영해 왔으나, 2006년에 개정된 FAA 150/5320-6E에서는 운항이 예상되는 모든 항공기의 연평균 이륙횟수를 설계에 반영하고 있다. 개정된 설계 기준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기어형상을 반영하는 것이 실제 교통량을 반영할 수 있으므로 더 합리적인 설계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Duals in Tandem(2D) 기어형상의 교통하중을 환산하기 위한 응력회귀식을 개발하였으며, 선행연구(김연태, 2013)인 Double Duals in Tandem(2D/2D2) 기어의 응력 회귀 모형 개발 절차에 따라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환경하중에 의한 응력 영향을 반영하기 위해 기존에 개발된 `지역별 슬래브 두께에 따른 등가선형 온도차이(홍동성, 2012)`를 사용하여 국내 기후특성을 반영하였다. 우선, 응력 회귀식 모형을 산출하기 위해 공항포장 설계에 필요한 각각의 설계인자들의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영향력이 큰 주요 인자들의 설계적용 범위를 정의 한 후, 선별된 설계 변수들을 유한요소 해석 프로그램(FEAFAA)에 적용하여 다양한 경우에서 유한요소해석(FEM)을 실시하였다. 또한, 해석결과인 최대인장응력을 종속변수로 적용하고, 해석에 적용한 설계인자들을 독립변수로 적용하여 다중회귀분석(SPSS)을 실시한 결과, 교통 및 환경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최대인장응력 회귀식을 산출할 수 있었다. 개발된 회귀식은 각각 교통하중에 의한 응력회귀식, 환경하중과 교통하중을 동시에 고려한 응력회귀식이며, 입력변수로는 줄눈간격, 슬래브두께, 복합지지력계수, 등가선형온도차이, 교통하중이 있다. 또한, 회귀식 검증을 위해, 각각의 회귀식 변수를 변화시키며 유한요소해석 결과와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 KCI등재

        대퇴 경부 골절을 위한 다발성 유관 나사 고정술의 컴퓨터를 이용한 재현 및 임상적 적용을 위한 해부학적 특징

        정진훈 ( Jin-hoon Jeong ),정구희 ( Gu-hee Jung ) 대한골절학회 2018 대한골절학회지 Vol.31 No.2

        목적: 대퇴 경부 골절을 위한 다발성 유관 나사 고정술을 컴퓨터로 가상 재현하여 임상적 적용을 위한 해부학적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30개의 사체 대퇴골을 컴퓨터 단층 촬영 후 Mimics® 프로그램으로 3차원 근위 대퇴골 모델을 만들고 7.0 mm 유관 나사를 3차원 스캔으로 제작하여 대퇴 경부 골절을 위한 다발성 유관 나사 고정술을 컴퓨터를 이용하여 재현하였다. 3개의 유관 나사를 피질골 지지가 가능한 변연부에 위치시켜 전후면 및 축면 영상에서 골내 나사 위치를 평가하였다. 결과: 3개의 유관 나사들은 전통적인 역삼각형의 형태가 아닌 전방 나사가 첨부를 이루는 기울어진 삼각형 배열이었으며 중앙 나사는 소전자부 중앙 및 약간 후방에 위치하였고 후방 나사는 전자 와에 의해 높이가 제한되어 대퇴근 능선보다 높지 않았으나 전방 나사는 10예에서 대퇴근 능선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하였다. 축면상에서 전방 및 후방 나사의 최대 간격을 얻기 위해서는 대퇴근 능선의 직하방에서 각각 피질골에 근접하여 경부와 평행하게 위치시켜야 했다. 결론: 피질골 지지가 가능한 유관 나사들은 불규칙한 삼각형 배열이었고 중앙 나사의 이상적 위치는 소전자부 중앙 높이에서 경두부 연결부위로, 전방 및 후방 나사는 대퇴근 능선 직하방에서 최대 간격으로 경부와 평행하게 하는 것이었다. Purpose: To identify the anatomic features for clinical applications through a computational simulation of the fixation of three cannulated screws for a femoral neck 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Thirty cadaveric femurs underwent computed tomography and the images were transferred to the Mimics® program, resulting in three-dimensional proximal femur models. A three-dimensional scan of the 7.0 mm cannulated screw was performed to enable computerized virtual fixation of multiple cannulated screws for femoral neck fractures. After positioning the screws definitively for cortical support, the intraosseous position of the cannulated screws was evaluated in the anteroposterior image and axial image direction. Results: Three cannulated screws located at the each ideal site showed an array of tilted triangles with anterior screw attachment and the shortest spacing between posterior and central screws. The central screw located at the lower side was placed in the mid-height of the lesser trochanter and slightly posterior, and directed toward the junction of femoral head and neck to achieve medial cortical support. All the posterior screws were limited in height by the trochanteric fossa and were located below the vastus ridge, but the anterior screws were located higher than the vastus ridge in 10 cases. To obtain the maximum spacing of the anterior and posterior screws on the axial plane, they should be positioned parallel to the cervical region nearest the cortical bone at a height not exceeding the vastus ridge. Conclusion: The position of cannulated screws for cortical support were irregular triangular arrangements with the anterosuperior apex. The position of the ideal central screw in the anteroposterior view was at the mid-height of the lesser trochanter toward the junction of the femoral head and neck, and the anterior and posterior screws were parallel to the neck with a maximal spread just inferior to the vastus ridge.

      • KCI등재

        투시 영상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제2형 항회전 근위 대퇴정의 이상적 삽입점의 결정: 해부학적 연구

        정진훈 ( Jin-hoon Jeong ),정구희 ( Gu-hee Jung ) 대한골절학회 2017 대한골절학회지 Vol.30 No.4

        목적: 골다공증성 대퇴 전자부 골절에서 제2형 항회전 근위대퇴정을 이용하여 고정 시 이상적 삽입점의 위치를 한국인 사체 대퇴골의 형태를 기반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골절 및 수술의 흔적이 없는 43개의 사체 대퇴골과 제2형 항회전 근위 대퇴정을 영상 증폭기로 전후면과 측면사진을 촬영하였다. 그리고 이미지 합성 프로그램을 이용해 촬영된 영상 이미지를 합성하여 이상적인 삽입점의 위치를 전후면 사진에서는 대전자 첨부, 전자간 연결선과 비교하여 확인하였고 측면 영상에서는 경부와 전자부의 전후 폭과 비교하여 확인하였다. 결과: 이상적 삽입점은 전후면 영상에서 대전자부 첨부보다 내측으로 평균 9.1 mm (범위, 7-15 mm)에 위치하였다. 측면영상에서 금속정의 중심은 경부의 후방 피질골을 기준으로 30% 지점(범위, 21%-44%), 전자부 후방 피질골을 기준으로 38% 지점(범위, 26%-48%)에 위치하였다. 또한 이상적 삽입점은 대퇴 전자부 연결선의 연장선상에 위치하였다. 결론: 제2형 항회전 근위 대퇴정을 이용하여 대퇴 전자부 골절을 고정 시 이상적 삽입점은 투시 영상 전후면 영상에서 대전자 첨부의 내측, 그리고 측면 영상에서 대퇴 경부와 전자부의 후방에 위치하고 있으며 또한 대퇴 전자부 연결선의 연장선상에 있음을 알 수 있다. Purpose: This study seeks to determine the anatomically optimal entry point of proximal femoral nail antirotation-II (PFNA-II<sup>®</sup>) according to geographic features of Korean cadaveric femoral trochanters for successful reduction of osteoporotic proximal femoral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Forty-three adult cadaveric femurs without previous fractures or surgeries were included. Anteroposterior (AP) and lateral images of all femurs and PFNA-II<sup>®</sup> were taken with an image intensifier. Using the image synthesis process via the image editing program (Adobe Photoshop CS6), the optimal entry point was verified and compared with the tip of the greater trochanter (GT) and the cervicotro-chanteric junction on AP images, as well as the width of the trochanter and the neck on lat-eral images. Results: The optimal entry point of PFNA-II<sup>®</sup> was an average distance of 9.1 mm (range, 7-15 mm) medially from the tip of GT on AP images. The center of the nail was located at an average of 30% (range, 21%-44%) area from the posterior margin of the middle neck, which is an average area of 38% (range, 26%-48%) from the posterior cortex of the trochanter on lateral images. Furthermore, the ideal entry point was at the extended line of the cervico-trochanteric junction. Conclusion: The optimal entry point, which was found to be medial to the tip of the GT and posterior to the center of the middle femoral neck and the trochanter, was at on the extended line of the cervico-trochanteric junction.

      • KCI등재

        수분증발 방지에 의한 콘크리트 포장 스폴링 파손의 감소

        정진훈(Jeong Jin Hoon) 대한토목학회 2007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Vol.27 No.3D

        Initially high humidity at concrete surface is continued for a long time by raising curing effectiveness, and smaller difference in the humidity between top and bottom of the slab is maintained as the result. Shear stress can be minimized if the humidities at top and bottom of the slab are maintained at almost same level by raising the curing effectiveness because the humidity variation with the slab depth causes the shear stress. If delamination is not formed in the slab by maintaining the shear stress below the shear strength, spalling due to loads and turning forces of vehicle wheels applied to the delaminated pieces will not develop. A mechanistic approach to minimize the delamination which develops at the slab depth of the greatest humidity change and consequently the spalling by controlling moisture evaporation from surface of the newly placed concrete is explained in this paper. In addition, a tool calculating the shear stress in the slab due to the moisture evaporation was developed and validated by using a series of laboratory test data. 재령 초기 콘크리트 표면에서의 높은 습도는 양생효율을 높임으로써 오랫동안 거의 일정한 수준으로 지속되고, 이로 인하여 슬래브 상하부 사이의 습도차이는 작게 유지된다. 깊이에 따른 콘크리트 습도의 변화는 슬래브 내부에 전단응력을 유발하므로 양생효율을 높여 슬래브 상부와 하부의 습도를 비슷한 수준으로 오랫동안 유지한다면 전단응력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전단응력이 전단강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관리하여 슬래브 내부에서의 박층균열을 억제한다면 궁극적으로는 이 박층균열이 차륜의 하중 및 회전력에 의하여 스폴링 파손으로 발전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타설 직후 콘크리트 표면으로부터 증발하는 수분을 적절히 억제함으로써 슬래브 내부 습도의 변화가 가장 큰 깊이에서 발생하기 쉬운 박충균열과 이로 인한 스폴링 파손을 최소화하는 역학적 개념을 설명하였다. 또한, 수분의 증발에 의하여 슬래브 내에 발생하는 전단응력을 계산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였으며, 실내실험에서 측정된 자료를 이용하여 그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 KCI등재

        폴리머 콘크리트 박막 교면포장 적용을 위한 실제 교량 정적 해석

        정영도(Jeong Young Do),김준형(Kim Jun Hyung),이석홍(Lee Suck Hong),정진훈(Jeong Jin Hoon) 대한토목학회 2011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Vol.31 No.3D

        본 논문에서는 폴리머 콘크리트 박막 교면포장의 적용성을 알아보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SMA(Stone Mastic Asphalt) 교면포장으로 시공된 실제 교량 및 이와 동일한 조건에서 교면포장을 박막의 폴리머 콘크리트로 대체한 가상의 교량에 대해 정적 해석을 실시하였다. 다양한 교량형식에 대한 평가를 위하여 SMA 교면포장으로 시공된 PSC(Prestressed Concrete) 거더교, 강박스 거더교, PSC 박스 거더교, RC(Reinforced Concrete) 라멘교를 해석하고 비교하였다. 바닥판과 교면포장은 완전히 접착된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시공 중 발생한 응력과 처짐은 무시하고 교면포장의 자중과 차량하중으로 인하여 발생된 응력과 처짐을 분석하였다. 해석 결과 가벼운 단위중량과 앓은 두께로 포장지중이 더 작았던 폴리머 콘크리트를 사용한 교량의 응력과 처짐은 SMA를 시용한 교량보다 작은 것으로 해석되었다. 차량하중으로 인해 폴리머 콘크리트를 사용한 교량에 발생한 응력과 처짐은 앓은 포장 두께로 인한 단면이차모멘트의 감소 때문에 SMA를 사용한 교량보다 크게 나타났다. 포장의 지중과 차량하중이 동시에 작용하는 경우에는 지중 감소효과가 지배적으로 작용하여 폴리머 콘크리트를 사용한 교량의 응력과 처짐이 더 작게 나타났다. 향후 교면포장의 공용성 조사와 경제성 분석을 통한 비교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paper, actual bridges constructed with SMA (Stone Mastic Asphalt) deck pavement and virtual bridges substituted the deck pavement with polymer concrete under the same conditions were statically analyzed to investigate applicability of the thin polymer concrete bridge deck pavements. PSC (prestressed Concrete) girder bridge, steel box girder bridge, PSC box girder bridge, and RC (Reinforced Concrete) rahmen bridge constructed with the SMA deck pavement were analyzed and compared to evaluate various types of the bridge. The bridge deck and pavement were assumed to be fully bonded and the stress and deformation during the construction were ignored while those due to pavement weight and vehicle loading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stress and deformation of the bridges using the polymer concrete due to the pavement weight were smaller than those using the SMA because of smaller self weight due to lighter unit weight and thinner thickness of the pavement. The stress and deformation of the bridges using the polymer concrete due to the vehicle loading were larger than those using the SMA because of the smaller area moment of inertia due to the thinner pavement thickness. In case that the pavement weight and vehicle loading applied simultaneously, the stress and deformation of the bridges using the polymer concrete were smaller because effect of self weight reduction was more dominant. Investigation of performance of the bridge deck pavement and analysis of economical efficiency are warranted.

      • 인천국제공항 줄눈콘크리트 슬래브의 초기재령 특성분석

        썬런쥬안,정진훈,천성한,임진선,Sun. Ren Juan,Jeong. Jin-Hoon,Cheon. Sung-Han,Lim. Jin-Sun 한국방재학회 2007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07 No.1

        A jointed plain concrete pavement(JPCP) slab was tested in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construction work to study the early-age property of JPCP slab. The temperature and moisture data of the concrete slab had been collected and analyzed. The setting time of the concrete was decided by using the maturity method. The initial setting time is 2 hours 40 minutes after the placement of the slab. The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the slab began from the initial setting time. The strains of different locations and different depths of the slab show different variation character. 줄눈콘크리트 슬래브의 초기 재령특성 분석을 위하여 인천국제공항 건설 현장에 설치된 슬래브에 온도와 습도를 측정 후 해석하였다. 성숙도 방법을 이용하여 결정한 콘크리트 슬래브의 초기경화시간은 콘크리트 타설 후부터 약 2시간 40분이었다. 콘크리트 슬래브 변형률의 변화는 초기경화 시간 이후부터 시작되었고, 이는 센서가 설치된 각 위치와 깊이에서 서로 다른 값을 나타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