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DICOM(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s in Medicine) 표준을 사용한 PACS 연동 구현 사례

        정준수,Jeong, Jun-Su 대한디지털의료영상학회 1996 대한디지털의료영상학회논문지 Vol.2 No.1

        DICOM 표준은 의학 영상 장비를 Network으로 연결하여 사용을 원하는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만들어 졌다. 이것은 영상 장비가 출력하는 정보의 표준화를 통하여 영상 정보는 물론 환자 및 검사 정보 교환을 가능케 하여 장비의 효율적인 운용을 목표로하고 있다. 이런 목적외에도 장기 저장 매체의 저장 방식 및 지원되는 영상 장비의 개념을 확대하여 기존의 방사선과 장비는 물론, Endoscopy, Pathology, 및 Dematology를 포함하는 포괄적 영상 장비 연동을 위한 표준화 작업이 진행중에 있다. 본문에서는 DICOM 표준을 적용하여 시스템간의 연동을 구현한 사례로 PACS 와 RIS 연동과 같은 Text-based 연동과 DICOM Gateway를 사용하여 서로 다른 시스템간의 Image 연동을 위한 Image-based 연동으로 구분하여 예를 들었다. 결론적으로 DICOM 표준을 사용하면 서로 다른 형태의 영상 정보를 가지는 장비들를 Network으로 연결하여 정보 전달이 가능해 지고 이와 같은 연동은 서로 다른 시스템의 정보의 무결성을 보장하며 정보의 중복 저장을 방지할수 있게 되어 전체 시스템의 운용 효율을 증가 시킬수 있다.

      • KCI등재

        직무불만족 탈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정준수(Jeong, Jun-Su)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7 비판사회정책 Vol.- No.57

        본 연구는 직무불만족 상태에 있던 임금근로자가 직무불만족 상태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지원방안을 마련해 보고자, 직무불만족 탈출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노동패널의 11~18차 조사 자료를 결합하고, 이산시간위험모델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는 여자가 남자보다 직무불만족 탈출가능성이 높았다. 심리ㆍ건강관련 특성에서는 사회적 친분관계 만족도가 높을수록, 여가활동 만족도가 높을수록 직무불만족 탈출 가능성이 높았다. 근로(직무)환경 특성에서는 월평균 임금이 많을수록, 현재하는 일이 자신의 기술수준과 맞는 경우가 낮은(기술과잉) 경우보다, 사회보험에 많이 가입할수록 직무불만족 탈출가능성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보험 미 가입 실태와 원인 파악, 두루누리사회보험의 대상과 영역 확대, 최저임금 현실화, 근로장려금 대상과 급여확대 등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set out to conduct a dynamic analysis of escape process from job dissatisfaction, thus proposing supportive measures to help paid workers with job dissatisfaction grow out of the state. For that purpose, the study put together the data of 11th~18th survey of KLIPS(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and analyzed them with a discrete time hazard model.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women were more likely to escape from job dissatisfaction than men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When the psychological and health characteristics were considered, the more satisfied they were with their social relationships and leisure activities, the more likely they were to escape from job dissatisfaction. In terms of working(job) environment characteristics, the possibility of escaping from job dissatisfaction increased when they earned more monthly salaries in average, found their current jobs fit for their skill levels rather than lower than their skill levels(excessive skills), and bought more social insurance plans. Based on those findings, the study made proposals of examining the uninsured of social insurance and their causes, expanding the target and scope of Durunuri social insurance, making minimum wages happen, and increasing the beneficiaries and amounts of employment subsidies.

      • KCI등재

        둘째자녀 출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정준수(Jeong, Jun-Su)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8 비판사회정책 Vol.- No.61

        본 연구는 저출산 · 고령화가 심화되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저출산으로 인한 노동인구 감소, 노인부양부담 증가, 국가경쟁력 및 성장잠재력 약화 등과 같은 부정적 영향을 완화해 보고자, 둘째자녀 출산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의 1~8차 조사 자료를 결합하고, 생명표분석과 콕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는 연령이 적을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부의 양육참여가 매우 높은 경우보다 보통 수준인 경우에 둘째자녀 출산 가능성이 높았다. 심리 · 정서적 특성에서는 결혼만족도가 높을수록, 정서적 자녀가치가 높을수록 둘째자녀 출산 가능성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첫째 만혼화가 심화되지 않도록 사회적 분위기와 기반을 조성할 필요가 있으며, 둘째 양성 평등한 가사노동 분담과 자녀양육 환경을 조성하고, 부부 간 여가활동을 공유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보급할 필요가 있으며, 셋째 모의 양육효능감을 향상하고, 가족 간 유대감과 정서적 교류를 확대하며, 지역사회 내 긍정적 자녀가치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홍보와 캠페인을 실시하고, 교육프로그램을 개발 · 보급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set out to analyze the influential factors of second child birth to mitigate the negative impacts of low birth rates including the reduction of labor population, increasing burden of supporting the elderly, and weakening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growth potential in the reality of intensifying low birth rates and aging. For this purpose, the study put together the data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1~8 and conducted life table analysis and Cox regression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possibility of having a second child rose according to lower age of mother, higher education level of mother, and the medium level of father’s participation child rearing among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psychological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higher satisfaction with marriage and greater emotional child value led to the higher possibility of having a second child.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made the following proposals: first, there is a need to create a social atmosphere and foundation to prevent late marriage from getting worse; second, it is needed to create an environment of dividing household chores and bringing up children based on gender equality and develop and distribute a program to help couples share leisure time; and finally, there is a need to do promotions and campaigns and develop and distribute programs to increase the parenting efficacy of mothers, expand connectedness and emotional exchanges among family members, and form a positive child value within the community.

      • KCI우수등재

        생애주기별 우울진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정준수(Jeong, Jun Su),이혜경(Lee, Hye-Gyeong) 한국사회복지학회 2017 한국사회복지학 Vol.6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우울진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세대별로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생애 주기별 우울 예방의 실천적 전략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의 3~10차 조사 자료를 결합하여, 성년층과 중년층, 노년층의 우울진입 영향요인을 이산시간위험모델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3세대 공통적으로 여자가 남자보다,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수입 만족도와 가족관계 만족도가 낮을수록 우울진입 가능성이 높았다. 또한 세대별로 차이를 나타낸 변수는 연령과 교육수준, 건강상태, 만성질환유무, 취업여부, 권역별지역, 여가생활 만족도였다. 성년(20~39세)의 경우 나이가 적을수록, 만성질환이 있는 경우에, 미취업자가 취업자보다 우울진입 가능성이 높다. 반면 중년층(40~64세)의 경 우 나이가 많을수록, 건강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에, 만성질환이 없는 경우에, 여가생활 만족도가 낮은 경우에 우울진입 가능성이 높다. 마지막으로 노년층(65세 이상)은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건강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에, 도농 복합군이 서울보다, 여가생활 만족도가 낮을수록 우울진입 가능성이 높다. 이 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우울진입을 예방하기 위해 세대별로 드러난 특성이 반영된 지원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entry of depression by generations and to present a practical strategy for preventing of depression by life-cycle.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depression of adults,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through the discrete-time hazard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ower the self-esteem, the lower the income satisfaction and the family satisfaction people have, the higher the likelihood of entering the depression they have. In addition, age, educational level, health status, presence of chronic diseases, employment status, regional area, and leisure life satisfaction were variables that showed difference by generation. In the case of adulthood(aged 20 ~ 39), unemployed persons are more likely to enter the depression than younger workers. On the other hand, the middle-aged(40 ~ 64 year olds) are more likely to enter the depression if they are older, have poor health status, have no chronic disease, and have low leisure satisfaction. Finally, older people(aged 65 and over) are more likely to enter the depression when the education level is higher, the health condition is worse, and the leisure satisfaction is lower. If they lived in an urban and rural complex, they are more likely to enter the depression.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upport plan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revealed by generations in order to prevent the entry of depression.

      • KCI등재

        아동ㆍ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초등학교 4학년과 중학교 1학년 비교를 중심으로

        정준수 ( Jeong Jun Su ),이혜경 ( Lee Hye Kyung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20 청소년복지연구 Vol.22 No.4

        본 연구는 아동ㆍ청소년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일반사용, 잠재적 위험, 고위험) 현황과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해 보고, 이를 바탕으로 지나친 스마트폰 사용으로 나타날 수 있는 신체, 심리ㆍ정서, 사회적 문제의 예방을 위한 실천 전략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위해 2018년 한국아동ㆍ청소년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공격성, 학업열의, 보호자의 스마트폰 중독 고위험은 초등학교 4학년과 중학교 1학년의 스마트폰 중독 잠재적 위험과 고위험 가능성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학업성취만족도와 부정적 양육행동은 초등학교 4학년과 중학교 1학년의 중독에 영향을 미치기는 하였으나, 중독수준에는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성별, 사회적 위축, 긍정적 양육행동, 보호자의 잠재적 위험, 주관적 경제수준은 특정 집단의 스마트폰 중독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아동ㆍ청소년기의 발달과업과 특성을 고려한 스마트폰 중독 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하고, 스마트폰 중독 예방 프로그램을 제공할 때 보호자를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 예방과 치료 프로그램을 함께 제공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status of smartphone addic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general use, potential risk, and high risk), and factors influencing their smartphone addiction. For doing this, a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Data from the 2018 Korean Child and Youth Panel Survey were analys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ggression’, ‘academic enthusiasm’, and ‘high risk of addiction to smartphone in parents’ had an effect on both the risk of addiction to smartphone in 4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1st-grade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 other hand, academic achievement satisfaction and negative parenting behavior affected addic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bu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addiction. ‘Gender’, ‘social withdrawal’, ‘positive parenting behavior’, ‘potential risk of caregivers’, and ‘the subjective level of economic differences’ had been shown to affect only certain groups’ smartphone addiction.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proposed to develop a smartphone addiction prevention program considering the developmental tasks and characteristics in children and adolescence.

      • KCI등재
      • KCI등재

        장애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준수(Jeong, Jun-su),이혜경(Lee, Hye-kyung)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6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노인의 자살문제를 예방하고자 장애노인이 자살생각으로 이행하는 과정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의 6차 조사부터 10차 조사까지의 종단자료를 결합하여 생명표분석과 콕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는 연령이 낮을수록 장애노인이 자살생각을 할 가능성이 높았고, 신체심리적 특성에서는 우울 정도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장애노인이 자살생각을 할 가능성이 높았으며, 사회경제적 특성 중에서는 비수급가구가 수급가구보다, 사회적지지가 낮을수록 장애노인이 자살생각을 할 가능성이 높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장애노인의 자살생각을 예방하기 위한 생애전환기 자살생각 예방프로그램 등 구체적인 실천전략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on the suicidal ideation of the disabled elderly. For this the researchers conducted life table analysis and Cox regression analysis by combining the data from 6th to 10th survey of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first of all, the lower the age was, the disabled elderly were more likely to have suicidal ideation. Secondly, the higher the degree of depression was and the lower level of self-esteem they had, the disabled elderly were more likely to have suicidal ideation. Finally, the public assistance non-recipients were more likely to have suicidal ideation than the public assistance recipients. And those who have lower social support were more likely to experience suicidal ideation. These findings give us significant practical implication for prevention strategy of the suicidal ideation.

      • KCI등재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장애인 우울진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정준수 ( Jeong Jun Su )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023 한국과 국제사회 Vol.7 No.6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장애인의 우울 진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시기별 차이를 살펴보고 향후 감염병 확산 시 장애인의 우울진입(정상상태에서 우울진단으로 이동)을 예방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조사 15~17차 자료를 결합하여 생존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1년 후까지(2020년 기준 2021년까지)는 여자가 남자보다, 대구·경북, 대전·충남, 강원·충북에 살고 있는 경우가 서울에 거주하고 있는 경우보다, 사회적지지를 적게 받을수록, 사회적친분관계만족도가 낮을수록 우울진입 가능성이 높았다. 한편 2년 후까지(2020년 기준 2022년까지)는 여자가 남자보다, 강원·충북에 살고 있는 경우가 서울에 거주하고 있는 경우보다,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사회적친분관계만족도가 낮을수록, 미취업자가 취업자보다 우울진입 가능성이 높았다. 이를 바탕으로 감염병 확산 시 장애인의 우울진입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기간에 따라 차별적인 대안을 마련하고 적용할 필요성 등이 있음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differences in factors influencing the entry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to depression by the period under the situation of the COVID-19 pandemic and propose plans to prevent their entry into depression(migration from a normal state to a depression diagnosis) during the spread of a future infectious disease. For these purposes, the study put together the data of the 15th~17th Korea Welfare Panel Study and conducted a survival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people with disabilities had higher possibility of entry into depression until one year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when they were female than male, lived in Daegu & Gyeongbuk, Daejeon & Chungnam, and Gangwon & Chungbuk than Seoul, received less social support, and had lower satisfaction with social acquaintances. They had a higher possibility of entry into depression until two years after the outbreak when they were female than male, lived in Gangwon & Chungbuk than Seoul, had lower self-esteem, had lower satisfaction with social acquaintances, and were unemployed than employed.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oposed a need to prepare and apply differential alternatives according to different periods to prevent people with disabilities from entering depression during the spread of an infectious disease.

      • KCI등재후보

        장애인 1인 가구에 대한 ‘커뮤니티 케어’ 적용과 방향성 모색

        이경준(Lee, Kyong Jun),임수정(Lim, Soo Jeong),김승용(Kim, Seung Ryong),신희정(Sin, Hee Jung),정준수(Jeong, Jun Su) 한국장애인평생교육복지학회 2021 장애인평생교육복지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장애인 1인 가구에 대한 커뮤니티 케어의 방향성 모색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우선 양적 연구는 한국복지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장애인 1인 가구의 실태와 장애인 가구의 동태적 변화에 따른 욕구 현황을 파악하였다. 질적 연구는 장애인복지 현장의 전문가들에 대한 초점집단인터뷰를 통해 커뮤니티 케어에 대한 인식, 장애인 1인 가구와 커뮤니티 케어, 커뮤니티 케어에 대한 현장의 요구 등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중·고령장애인 1인 가구에 대한 사회적 돌봄 필요성, 정신전강복지영역 서비스 제고 및 사회적 통합거주모형 개발, 심리정서적 위기관리 및 지자체 대응방안, 고용안정과 맞춤형 정보 및 서비스 제공, 커뮤니티 케어 수행 모델 개발, 통합사례관리 체제 제고, 팬데믹과 같은 상황 대비 장애인 기초 통게체제 구축 등을 제언함으로써 이들에 대한 커뮤니티 케어 접목과 방향성을 모색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to seek the direction of Community Care for single-person households with disabilities. First of all, using the data of Korea Welfare Panel as a quantitative research. In addition, as a qualitative study, the core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for the experts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for disabled, to discuss awareness of Community Care, single-person household with disabilities and Community Care, the needs on Community Care from the field. Based on these results, the relative inferiority and problematic status of single-person households with disabilities in the community were identified, and Community Care grafts and directions were presented for them. As a result, social care needs for single-person households with middle and elderly disabilities, enhancement of mental health services and development of a social integrated residence model, psychological crisis management and response to local governments, job security and customized information and services, development of Community Care performance models, the Integrated Care Management system and the establishment of a basic statistical system for the disabled compared to the situation such as pandemics, we explored the integration and direction of community care for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