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파트 외부공간의 감성적 요소가 주거소비행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은혜,정준현,Jung, Eun-Hye,Jeong, Jun-Hyun 한국주거학회 2011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22 No.3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analyzing how the emotional factors of the external apartment design can be influenced by the consumers' emotional reaction, and analyzing how the emotional reaction of the consumers will affect the expenditure of the apartment in the upcoming future. For this purpose, first, external surrounding factors of the apartment are extracted and then classified into three major design categories (instinctive, behavioral, and reflective design), and each factor is evaluated by the emotional evaluation. The scope of the research is restricted to the apartments in Daegu city which are built by Top 3 construction companies from the analysis of construction-working rank (May, 2010). The residential-expenditure data are extracted from D-univ. students, in accordance with the satisfaction of the external surroundings and emotional-reaction against the emotional-design factors of the apartment. This research is done by the statistic analysis program SPSS17.0. This shows that difference of emotional design by the apartment external space requisites will be significance as fundamental data for development of application and planning and apartment external space of emotional design by the apartment external space in the future.

      • KCI등재

        양극산화법에 의한 니오븀 산화물 나노로드 제조

        정은혜,장정호,정봉용,Jung, Eun-Hye,Chang, Jeong-Ho,Jeong, Bong-Yong 한국전기화학회 2011 한국전기화학회지 Vol.14 No.4

        본 연구에서는 니오븀 산화물을 비교적 저온에서 단시간 동안의 양극산화법을 통해 제조하였다. 이때, 전해질로는 NaF와 HF를 혼합하여 사용하였으며, 20~120 V의 다양한 전압 조건에 따라 생성되는 니오븀 산화물의 미세구조를 관찰하였다. 일반적으로 니오븀 금속의 양극산화 시 초기에 생성된 니오븀 산화물은 무정형 구조이나 반응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결정형 산화물로 성장하게 된다. 이러한 산화물은 XRD 분석을 통하여 결정형의 $Nb_2O_5$ 임을 확인하였고, FE-SEM 분석결과, 그 표면은 매우 밀집된 형태의 나노로드로 이루어진 마이크로콘 산화물임을 알 수 있었다. 적절한 공정변수로 제조된 니오븀 산화물은 마이크로콘 구조 전체 표면에 걸쳐 동일한 크기를 갖는 나노로드 다발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나노 구조는 또한 넓은 표면적을 기대할 수 있어 염료감응 태양전지나 바이오 소재 등에 대한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formation of niobium oxide microcones on niobium substrates was investigated in NaF to the HF electrolytes. This condition builds on the uniqueness of the microstructures niobium oxide. The dimensions and integrity of the bulk microstructures were found to be strongly dependent on potential, temperature, electrolyte composition, and anodization time. The anodic oxide was initially amorphous at all temperatures, but crystalline oxide nucleated during anodization. From XRD patterns of the anodized specimens, the microcones consisted of crystalline $Nb_2O_5$. We demonstrated niobium oxide microcone structures with nanorods. The anodized niobium oxide microcone texture revealed nanorod bundles. The surface of $Nb_2O_5$ microcones is very regular and has a nano-scale. The surface morphologies of the nanorods were examined using FE-SEM. EDS analyses show that the anodically prepared niobium oxide consists of $Nb_2O_5$.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condition of forming the favorable nanorods by anodization method.

      • KCI등재

        국내 예비특수교사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정은혜 ( Eun Hye Jeong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4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5 No.3

        이 연구는 국내에서 이루어진 예비특수교사와 관련된 논문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예비특수교사에 관한 연구의 방향과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대상으로 선정된 논문은 국내 학술지 72편이었으며, 연구 대상, 연구 유형, 연구 주제, 접근법 측면으로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은 전공을 구분하여 제시하지 않은 기타, 연구 유형은 조사연구와 질적연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주제는 교육실습을 다룬 연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접근법은 규범적 차원, 구조적 차원, 구성적 차원, 기술적 차원의 4가지 차원으로 구분하여 결과를 기술하였다. 규범적 차원에서는 실제 발표된 논문의수가 거의 전무하여 보다 적극적인 연구 수행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조적 차원에서는 수업관찰 분석도구 개발, 동료코칭 모형개발, 로봇활용교육 등의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주제 가 다루어졌다. 구성적 차원에서는 교직 입문 전 예비특수교사 개인이 가지는 구체적인 경험또는 인식에 대한 관심이 강조되었으며, 기술적 차원에서는 예비특수교사의 변화와 효과를 검증하려는 시도가 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추후 연구에서는 예비특수교사와 관련된 교육내용과 방법적인 측면에서의 다양화를 시도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providing with the direction and implication for the study of prospective teacher for special education by analyzing existing studies in Korea of prospective teacher for special education. Total 72 studies were chosen for the analysis. The analysis was done by the aspects in study object, study type, study theme and approach method.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ing. First, regarding the study object, Other majors are frequently not presented separately. Regarding the study type, there were more investigative studies and qualitative studies. Object on research majored research as teaching practice. Second, regarding the approach metho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tated in the four dimensions of norms, structure, composition and technique. There was no study, which was done in normative dimension; therefore, more active study in normative dimension is urgently required. Regarding the structure, themes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s such as development of tools for class observation and analysis, development of colleague-coaching model and an education utilizing a robot were studied. Regarding the composition, the interest on the concrete experience or awareness of a prospective teacher for special education before becoming a teacher was emphasized. Regarding the technique, more studies attempted to examine the effect of education on prospective teacher for special education and the change of the teachers by the education. Based on this study result, this study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attempt more diversification in the content and method for prospective teacher for special education.

      • KCI등재후보

        유아 및 특수교육 : “직업” 프로젝트 활동이 유아의 진로 인식에 미치는 영향

        정은혜 ( Eun Hye Jeong ),최일선 ( Il Sun Choi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4 한국초등교육 Vol.2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직업’ 프로젝트 활동이 유아의 진로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 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대상은 경기도에 위치한 A 유치원 만 5세반 유아 25명과 인근에 있는 B 유치원 만 5세반 유아 25명을 각각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 유아들에게 ‘직업’ 프로젝트 활동을 주 2∼3회씩 8주 동안 총 17회에 걸쳐 시행하였다. ‘직업’ 프로젝트 활동은 다양한 집단유형의 활동으로 40분 내로 이루어졌으며, 3번의 가정 연계 협조 활동을 함께 진행하였다. 프로젝트 활동 전후에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대상으로 진로 인식 검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 인식의 하위 영역 중 부모의 일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 인식의 하위 영역 중 자아인식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 인식의 하위 영역 중, 일의 세계에 대한 이해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에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진로 인식의 하위 영역 중, 일의 가치 및 중요성에 대한 인식의 살펴보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직업’프로젝트 활동이 유아의 진로 인식의 변화에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occupation‘ project on the young children`s career awaren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year-old children of two kindergarten in the Gyeonggi province. 25 children of a kindergarten were allocated to the experiment group, and 25 children of the other kindergarten were allocated to the comparison group. The occupation project was performed by the experiment group 17 times for 8 weeks and 2 to 3 times per week. The occupation project was consisted of tangible various group activities within 40 minutes, activities of 3 times which were connected with family and cooperation activity. Before and after 8 weeks` projects, the children of two groups were interviewed by their teachers with career awareness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and comparison group in the career awareness regarding occupation of parent. Second, the experiment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lf-awareness. Third, the experiment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nderstanding of the changing world of occupation. Last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and comparison group in values of occupation and awareness regarding importance. According to these findings, ‘occupation’ project had a positive effect on young children`s career awareness as an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

      • KCI등재

        오령산(五岺散)으로 호전된 여성 하부 요로감염증 환자 치험 4례

        정은혜 ( Eun Hye Jung ),유정은 ( Jeong Eun Yoo ),최경희 ( Kyung Hee Choi ),유동열 ( Dong Youl Yoo ) 대한한방부인과학회 2012 大韓韓方婦人科學會誌 Vol.25 No.4

        Purpose: This paper aims to report the effects of Oryeong-san on lower urinary tract infection. Methods: Four women were admitted to Dunsan Oriental Hospital with chief complaint that was not supposed to be a symptom of urinary tract infection. During the admission, urine test showed pyuria with white blood cell and their chief complain also accompanied. We prescribed Oryeong-san three times a day, and then took follow-up 4 days later. Results: After treatment, symptoms of lower urinary tract infection were decreased and the results of urine test improved also. Conclusions: These cases indicate that Oryeong-san is effective in treatment of the lower urinary tract infection.

      • KCI등재후보

        EGCG의 Viral Hemorrhagic Septicemia Virus (VHSV) 감염에 의해 유도되는 산화스트레스 억제를 통한 세포 생존 효과

        정은혜(Eun-Hye Jeong),조세영(Se-Young Cho),권요셉(Joseph Kwon),박근형(Keun-Hyung Park),문제학(Jae-Hak Moon),오명주(Myung-Ju Oh),김선재(Seon-Jae Kim),김두운(Duwoon Kim) 한국차학회 2014 한국차학회지 Vol.20 No.2

        EGCG의 viral hemorrhagic septicemia virus (VHSV) 감염에 의해 유도되어지는 산화스트레스 억제를 통한 세포생존 효과를 알아보고자 EGCG 처리 시의 세포생존 활성, ROS 생성 저해, DNA fragmentation 저해 평가 등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VHSV를 포함하는 많은 바이러스들은 세포에 감염 시 ROS와 같은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한다. 100 μM 수준에서 EGCG는 다른 4종의 catechin류에 비해 무처리 대조구 대비 1.4배의 높은 세포생존 활성을 지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EGCG의 ROS 생성 감소 효과를 확인하고자 DCFH-DA를 세포 내에 잔존하는 활성산소종과 반응시켜 형광도를 측정한 결과 EGCG 비처리구에서는 VHSV에 의해 ROS가 1.7배 증가되었고, 100 μM의 EGCG를 12시간 처리 시 1.3배로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ROS는 DNA fragmentation을 일으켜 세포 사멸을 유도하므로, 어류 세포인 FHM 세포를 이용하여 EGCG의 DNA fragmentation저해 효과를 확인해본 결과, 100 μM의 EGCG를 12시간 처리 시 비처리구에 비해 DNA의 fragmentation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들로부터, EGCG는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유발되어지는 산화적 스트레스를 억제함을 통해 세포 생존율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Many viruses, including viral hemorrhagic septicemia virus (VHSV), initiate oxidative stresses such as generation of ROS, and the depletion of reduced thiols in virus infected cells. In this study, epigallocatechingallate (EGCG) showed the highest antiviral activities against the VHSV. The cell viability of EGCG was exposed to 1.4 times higher than any that of the other catechins at 100 μM compared to the control. The DNA fragmentation and ROS generation inhibition effect of EGCG in FHM cells, upon exposure to 0.2 moi VHSV for 42 h was examined. In regard to the cellular redox status and oxidative DNA damage to FHM cells infected with the VHSV, a treatment with 100 μM EGCG produced a 1.3-fold lower ROS generation and DNA fragmentation than the control, indicating that EGCG may increase the cell viability by suppressing the oxidative stress induced by a virus infection.

      • KCI등재

        정서,행동장애연구 : 자폐성 장애아동의 비디오 모델링 연구 동향

        정은혜 ( Eun Hye Jeong ),임경원 ( Kyoung Won Lim ),전병운 ( Byung Un Jeon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2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8 No.4

        이 연구는 자폐성 장애아동의 비디오 모델링에 관련된 선행 연구 중에서 단일 대상연구방법을 이용한 연구의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연구를 위한 방향과 시사점을 얻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1989~2012년 사이에 국내·외 학술지에 게재된 선행연구 중 선정기준에 맞는 57편의 연구를 연구대상, 중재목적, 중재방법, 중재환경, 메타분석 측면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연구대상 연령은 6∼12세(초등), 대상자 수는 3명, 성별은 남학생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비디오 모델링 중재목적은 의사소통 기술, 사회적 기술, 문제행동감소, 학업기능 기술, 일상생활 기술에 대한 연구들이었다. 중재방법에서 설계방법은 중다기초선 설계가 많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중재특성은 비디오 모델링과 기타중재를 혼합하여 적용한 것 보다 비디오 모델링만을 중재한 연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델 유형은 타인이 등장하는 비디오 모델링이 비디오 자기 모델링보다 비교적 많이 사용되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신뢰도는 충실히 측정된 연구가 많았으나, 중재충실도와 사회적 타당도를 측정하지 않은 논문이 많았다. 중재환경은 학교(유치원)가 일반적이었고, 국내의 경우치료실에서 이루어진 연구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비중복 비율기법(PND)을 활용하여 중재 효과성 크기 분석을 실시한 결과, 비디오 모델링 중재(PND=88.7%)는 중간 정도의 효과가 있었으며, 유지(PND=95.7%)와 일반화(PND=93.4%)는 높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에서는 국내외를 비교하여 정리하고,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포함하였다. This study is the analysis the trend of existing study literatures on the video modeling study of children with autistic disorders using the single subject research method and done in order to offer directions and implications for the future studies. For this, among the existing studies published in the journals in Korea and overseas during the years 1989 to 2012, 57 research papers meeting the selection criteria were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s of research subjects, intervention purpose, intervention method, the setting and meta-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suggested that study subjects ages are between 6 years old and 12 years old in elementary schools, average number of subjects is three person and there were more boy students than girl students. The purposes of video modeling intervention were improvement in communication skill, social skill, mitigation of problematic behavior, learning function skill and daily living skill. As for intervention method, multiple-baseline across subjects method was most used on study design. As for intervention characteristic, more studies intervened by only video modeling than the studies mixed video modeling and other interventions. As for model type, video modeling of self was more used than video modeling in which others appear. Most studies faithfully measured the reliability; however, many papers did not measure the intervention fidelity and social validity. As for intervention environment, schools(kindergartens) were common while therapy rooms were also used in domestic studies. The intervention effectiveness magnitude analysis was done by PND(percentage of non-overlapping data) method. The results suggested that video modeling interventions(PND=88.7%) had intermediate level of effect while keeping(PND=95.7%) and generalization(PND=93.4%) had high level of effect. Based on such results, researches from Korea and overseas were compared and summarized in discussion and include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 KCI등재

        자폐성 장애학생의 한글 깨치기 실행 연구

        정은혜(Jeong Eun Hy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국어과 교육의 한 방법으로 초등학교 1학년에 입학한 자폐성 장애학생 에게 기초 문식성인 한글 깨치기를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실 행 과정을 통해 나타난 학생, 교사, 학부모의 변화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충청남도에 소재한 Y초등학교에 입학한 1학년 자폐성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2014년 4월부터 11월까지 여름 방학을 제외한 매주 3회 40분씩 한글 깨치기 수업을 실행하고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차 실행 연구에서는 음절표의 음절을 소리 내어 읽도록 하였고, 점차적으로 음 절표 중심의 의미 있는 글자를 읽고 쓰도록 지도하였다. 연구 결과 자폐성 장애학생 은 받침 없는 한글을 깨우칠 수 있었고, 8칸 공책에 글자를 보면서 쓰기를 할 수 있 었다. 하지만 글자 쓰는 것에 집착하면서 반복적으로 쓰려고 하는 경향이 나타났으 며, 글씨를 너무 크게 쓰거나 손에 힘을 너무 쥐면서 글씨를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2차 실행 연구에서는 받침 있는 한글을 깨우칠 수 있도록 교과서 단원과 관련된 그 림책을 선정하여 한글 지도를 하였다. 연구 결과 자폐성 장애학생은 받침 없는 한글 을 어느 정도 아는 순간 받침 있는 한글도 빠르게 익혀 나갈 수 있었다. 또한 연필을 바르게 잡고 적절한 크기와 비율로 글자를 쓸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자폐성 장애학생의 한글 깨치기 경험을 통하여 초기 문식성 지도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earching for an effective application plan of a basic literacy Hangeul-learning, as a part of national language subject education, of a student with autism disorder who entered the 1st grade of an elementary school and exploring the changes in the student, teacher and parents of the student during the action research. A student with autism disorder who entered the 1st grade of Y Elementary School in Chungcheongnam-do attended a Hangeul-learning class of 40 minutes per class for 3 times a week from April to November of 2014 excluding summer vacation. The result was analyzed and the analysis result is as following. At the 1st action research, the student read the syllables in a syllable table aloud. Then the student gradually learned how to read and write some meaningful letters mainly in the syllable table. The result was that the student with autism disorder could learn Hangeul without final consonant and write letters from textbook in an 8-space notebook. However, the student showed the trend of being too much obsessed by writing and wrote the letters repeatedly. The student also wrote the letters too large and applied too much force on writing. At the 2nd action research, the student learned Hangeul with final consonant by way of a picture book related to the chapter in the textbook. The result was that the student with autism disorder could learn Hangeul with final consonant fast when the student learned Hangeul without consonant to some extent. The student could also hold the pencil in correct way and wrote letters at proper size and ratio. It is possible to say that the result of the study proved the possibility of initial period literacy education on a student with autism disorder by way of Hangeul-learning exper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