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부 초등학교 5,6학년생의 채소 선호도와 영양지식 및 건강관련 요인과의 관련성

        정은정 ( Eun Jung Chung ),이수현 ( Soo Hyun Lee ),안홍석 ( Hong Seok Ahn ) 대한영양사협회 2009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Vol.15 No.2

        With recent increases in demand for women`s social participation, children have tended to favor western-style foods and dislike vegetables (Veg.).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dietary behavior and Veg. intake in 612 elementary school children (339 boys; 273 girls) in Gyeonggi-do. 66.5% of the subjects reported that they liked Veg. The most frequent reason given for this preference in Veg. liking group was that vegetables were `delicious` (35.6%), followed by `nutritious` and `frequent intake`. The most frequent reason given for disliking Veg. in the Veg. disliking group was that vegetables are `not delicious` (94.6%). Approximately half of the subjects had correct knowledge about vegetables. The total score of general nutrition knowledge was 7.7 points (a perfect score is 10 points) and the majority of students generally had good dietary behaviors. The Veg. liking group scored higher on knowledge about Veg., general nutritional knowledge, dietary behavior, and Veg. preference than did the members of the Veg. disliking group (p<0.001). The ‘active’ group had the highest score for dietary behavior (p<0.001), and the scores for dietary behavior and Veg. preference increased with increasing self-rated health status (p<0.001). The score of normal BMI group for nutritional knowledge about Veg. was higher than that of the underweight group (p<0.05). The higher self-rated academic score group showed higher on knowledge about Veg., general nutrition knowledge, dietary behavior (p<0.001) and Veg. preference (p<0.05). Dietary behavior and preference of Veg.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nutritional knowledge. To improve health by increasing Veg. intake, education about the nutritional importance of Veg. should be needed, and continuous nutritional education is recommended to foster good food habits and Veg. preferences in children.

      • KCI등재

        식이 지방산이 흰쥐 뇌조직 Subcellular Fractions내 Oleic Acid(ω9) 조성에 미치는 영향

        정은정(Eun-Jung Chung),엄영숙(Young-Sook Um),이양자(Yang Cha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3 No.10

        ω3계 지방산이 부족한 SO군과 P/M/S 및 ω6/ω3 비율이 적절한 MO군으로 생후 9주까지 사육한 흰쥐의 적혈구와 뇌조직의 시냅토솜, 미토콘드리아 및 마이크로솜 내 oleic acid 조성 비율은 생후 3주에는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고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생후 9주에는 MO군에서 SO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실험식이 내 oleic acid 조성은 SO군이 MO군보다 매우 낮으나, SO군의 모유에서 oleic acid 조성비율이 식이에 비해 크게 증가된것으로 나타나, 모유가 뇌 성장ㆍ발달기간중의 뇌조직내 oleic acid의 주요 급원이 될 수 있음을 나타내주고 있다. 18:0에서 oleic acid의 de novo 합성 정도를 나타내는 간접지표인 Δ-9 desaturation index는 생후 3주에는 실험군간(시냅토솜 예외)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생후 9주에는 식이내 oleic acid가 풍부한 MO군의 시냅토솜에서 높게 나타났다. 한편 생후 9주 마이크로솜 분획에서 oleic acid 수준은 실험군 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Δ-9 desaturation index는 SO군에서 MO군보다 높아 뇌조직에서 oleic acid가 생합성될 수 있음을 간접적으로 설명해주고 있다. 따라서 흰쥐 뇌조직의 oleic acid는 식이와 모유 등의 이미 합성된 oleic acid가 뇌로 우선적으로 유입되는 부분과 뇌조직 자체에서 합성되는 부분에 의한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식이중 oleic acid가 부족하면 뇌 세포분획내의 oleic acid 수준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므로, 식이중 적절한 수준의 oleic acid가 정상적인 뇌발달에 필수적임을 다시 한번 강조하게 한다. In recent, the roles of oleic acid, most abundant fatty acid in myelin, were investigated in relation to the brain function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diets either with desirable ratios of ω6/ω3 and P/M/S (mixed oil-fed group: MO) or with defficient in ω3 series fatty acids (safflower oil-fed group: SO) on the oleic acid composition in RBC and brain synaptosomal, mitochondrial & microsomal phospholipids. The desirable fatty acid composition was computer-searched with different fats and oils to meet right ratios of both ω6/ω3 and P/M/S. Diets were fed 3 weeks before conception and new-born pups were fed maternal milk from the same mothers and same diets until 9 wks of age. At 3 wks of age, the compositions of oleic acid in brain subcellular fractions and red blood cells were constantly remained whatever the composition of dietary fatty acids. But at 9 wks of age, the composition of oleic acid in synaptosome and mitochondria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MO group than SO group. The composition of oleic acid in milk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O group than SO group, but in case of SO group, that of oleic acid was increased by 48%, in comparison with dietary fatty acid compositions. Δ-9 desaturase index (18:0 → 18:1) of brain synaptosom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O group than SO group at 3 and 9 weeks of ages, but that of brain microsome was higher in SO group than MO group at 9 wks of age. Taken together, the presences of oleic acid in the diet was important to maintain brain functions. The origins of oleic acid in brain may suggests two hypotheses;first, the central nervous system has priority for the uptake of oleic acid, and second the nervous system can synthesize all the oleic acid it needs, independently of its presence in the diet.

      • KCI등재

        콩 단백 성분 및 연령이 암컷 흰쥐의 혈장 지질 농도와 인지질 지방산 패턴에 미치는 영향

        정은정(Eun-Jung Chung),김수연(Soo-Yeon Kim),김지영(Ji-Young Kim),안지영(Ji-Young Ahn),박정화(Jung-Wha Park),차명화(Myung-Hwa Cha),이양자(Yang-Cha Lee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2 No.2

        혈중 지질농도는 식이단백질 종류보다는 연령의 영향을 많이 받아, young군보다 old군의 총 콜레스테롤, TG, HDL-콜레스테롤, LDL+VLDL-콜레스테롤 및 AI 모두 높았다. 한편 콩 단백질군에서 HDL-콜레스테롤 수준이 증가하고, LDL+VLDL-콜레스테롤와 AI는 감소하여, 심혈관질환에 대한 콩 단백질의 유익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식이단백질에 의해 유의한 영향을 받은 혈장 인지질의 지방산조성중 22:0, 18:1ω9, ∑MUFA 조성은 카제인군에서 콩 단백질군 보다 높았으며, 반대로 ∑SFA 조성은 카제인군에서 낮았다. 연령에 의해 혈장 인지질 지방산 조성에 있어 유의한 차이를 보인 지방산 중 22:0, 18:1ω9, 22:1, 18:3ω3 및 22:4ω6는 young군에서 높은 반면에, 22:6ω3, ∑ω3, 18:2ω6, 20:4ω6, ∑ω6 및 ∑PUFA의 조성비율은 old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식이 단백질의 종류보다 연령의 영향력이 더 많이 나타난 것은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이 식이 단백질보다는 연령의 영향을 더 크게 받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혈장 인지질 지방산의 대사지표 중 Δ7-desaturation index(16:0⇒16:1ω7)와 Δ9-desaturation index(18:0⇒18:1ω9)가 식이 단백질의 영향을 받아 카제인군에 비해 콩 단백질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Δ7- 및 Δ9-desaturation index만이 식이 단백질의 영향을 받은 것은 식이 단백질보다 desaturase 활성에 더 큰 영향력을 미치는 콜레스테롤이 식이에 첨가되었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Δ-4 desaturation index (22:4ω6⇒22:5ω6)는 young군에 비해 old군에서 높았으며, elongation index(20:4 ω6⇒22:4ω6)는 old군에서 낮았다. 대부분의 elongation과 desaturation 단계는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못하였으나, ω3계 지방산의 전체적인 elongation-desaturation 단계를 나타내는 ∑products-fatty acid(ω3)/α-LNA(ω3) 비율이 old군에서 young군보다 유의하게 높아, 연령에 따른 PUFA 대사의 변화가 관찰되었다. 이상에서와 같이, 콩 단백질의 섭취로 흰쥐 혈장 인지질의 ∑MUFA 조성은 낮고 ∑SFA 조성은 높아 다른 지질 강화성분의 섭취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이 높은 old군에서 체내 막조직의 유동성을 유지하기 위해 PUFA의 합성 특히 ω3계 지방산의 elongation-desaturation이 증가하여 총 PUFA 조성이 young군보다 높았다. 연구결과로 이소플라본을 포함한 콩 단백질의 혈중 지질저하 기전에 대해 체계적인 설명은할 수 없지만, 콩 단백질이 혈장 지방산의 조성을 변화시킴으로써 간접적으로 심혈관계 질환에 대해 유익한 효과를 미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이러한 혈관의 건강과 관련된 콩의 유익한 효과는 이소플라본과 같은 콩의 특정 성분의 단독효과라기보다는 콩 단백질과의 복합효과에 의한 것이라는 주장은 매우 설득력 있다고 생각된다. Effects of soy protein concentrate (SPC) containing isoflavone and casein diets on plasma phospholipid (PLs)-fatty acid patterns were investigated in 7- & 40- wk old female rats. Diets containing 16% SPC (soy/young: SY, soy/old: SO) and casein (casein/young: CY, casein/ old: CO) supplemented with 0.5% cholesterol were fed for 4 wks. Fatty acid compositions of plasma PLs were determined by TLC and GLC. Compared to the dietary protein effects, age effects on serum lipids were more profound. The levels of total cholesterol (Chol.), triglyceride, HDL-Chol., (LDL+VLDL)-Chol. and atherogenic index (AI) were higher in older groups (OC & OS) than younger groups (YC & YS). Soy groups had higher HDL-Chol. level and lower (LDL+VLDL)-Chol. and AI, compared with casein groups. The compositions of C22:0, C18:1ω9 and sum of MUFA in plasma P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asein group (CY & CO) than soy group (SY & SO), but those of sum of SFA were higher in soy group. The compositions of C22:0, C18:1ω9, C22:1, C18:3ω3 and C22:4ω6 were higher and those of C22:6ω3, sum ofω3, C18:2ω6 C20:4ω6, sum ofω6 and sum of PUFA were lower in plasma PLs of younger rats. The average P/S and ω3/ω6 ratio in older group was higher. The Δ-7 desaturation index (16:0⇒16:1ω7) and Δ-9 desaturation index (18:0⇒18 : 1ω9) were lower in soy group than casein group, while Δ-6 and Δ-5 desaturation index were not affected by dietary protein. The Δ-4 desaturation index (22:4ω6⇒22:5ω6) were higher and, elongation index (20:4ω6⇒22:4ω6) were lower in older group. The ratio of the products of ω3 fatty acid series/precursor of ω3 fatty acid series (C18:3) was significantly higher in older group, which in- dicated that age affected the plasma PUFA metabolism. On the other hand, older rats had higher serum cholesterol level compared with younger rats. Taken together, these changes in fatty acid composition might cause minimal changes in the membrane fluidity induced by the increase serum cholesterol level.

      • KCI등재

        경기지역 일부 대학생에서 나트륨의 주요 기여 음식과 변이 음식

        정은정(Eun-Jung Chung),유하(Ha-Jung Ryu),심유진(Eugene Sh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5 No.3

        본 연구에서는 경기지역 대학생 228명(남 71명, 여 157명)을 대상으로 음식빈도조사지(DFQ-125)를 이용하여 나트륨 섭취량을 조사하고 음식(군)별 나트륨 섭취량, 나트륨의 급원 및 변이 음식을 분석하였다. 남학생은 식사와 함께 섭취하는 국류(P<0.05), 어패류 반찬(P<0.05), 고기류(P<0.05), 콩류(P<0.05)에서 여학생보다 더 많은 나트륨을 섭취하고 있었다. 나트륨의 급원 음식 1, 2위는 남녀 모두 배추김치와 라면류였고 찌개/탕류 중에는 김치찌개가 급원 음식 순위 1위로 동일하였으나, 남학생은 라면으로부터 섭취하는 나트륨의 양이 상대적으로 높았고 여학생은 남학생과 달리 스낵과자가 급원 음식 중 5위로 높은 순위에 속하였다. 또한 급원 음식 20위 내에 국 종류가 속하지 않은 여학생과 달리 남학생에서는 고염군이 좋아하는 음식으로 알려진 국, 볶음이나 튀김음식이 포함되어 있었다. 남녀 모두에서 고염군은 저염군보다 김치류 및 김치를 이용한 음식, 국물음식 및 자반고등어 조림으로부터 많은 나트륨을 섭취하고 있었다. 개인의 나트륨 섭취량에 큰 영향을 주는 음식인 변이 음식의 종류와 순위는 남녀 간 큰 차이가 있었는데, 남학생의 경우 갈비탕> 생선(참치)통조림> 라면류> 순대+쌈장 순이었고 여학생의 경우 순대+소금> 닭볶음탕>, 된장찌개> 배추김치> 피자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변이 음식 1위는 남학생에서 갈비탕, 여학생에서 순대+소금이었는데 이들은 모두 기호에 따라 식탁에서 소금을 추가하는 음식으로, 대국민 저염 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이미 간이 맞춰진 음식에 소금을 더 첨가하지 않도록 하는 실천지침이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남학생은 여학생보다 총나트륨 섭취량, 체질량지수, 수축기혈압이 모두 높았으며 음료수류 섭취량(P<0.01)은 물론 음료수로부터 얻는 나트륨의 양도 많은 것으로 나타나 (P<0.01) 성별에 따라 나트륨 섭취량 및 음료수 섭취량과 혈압, 비만 간의 상호 관련성을 밝히는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추가로 효과적인 나트륨 저감 전략을 위해서는 나트륨과 혈압 간의 상관관계 연구로 대상자별 급원 음식뿐 아니라 변이 음식에 대한 조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etary sodium sources at the dish level in 228 university students (71 men, 157 women) in Gyeonggi-do. Daily sodium intake was estimated from a validated 125-dish frequency questionnaire. In men, body mass index, systolic blood pressure, and sodium intak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women. Men showed higher sodium intake from soups, fish or shellfish dishes, meat dishes, and soybean dishes than women. The dishes that most largely contributed to daily sodium intake were Napa cabbage kimchi and ramen in both men and women. In addition, relatively higher amounts of sodium from ramen were consumed in men, whereas cookies were the 5th highest sodium source in women. In both men and women, the high sodium intake groups consumed more sodium from kimchi, dishes cooked with kimchi, dishes with broth, and salted mackerel than the low sodium intake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jor dishes contributing to between-person sodium intake variations between men and women. Short rib soup for men and Korean sausage for women were the largest contributors to sodium variations, which are common dishes served with salt. Men consumed more drinks and also more sodium from drinks than women. In conclus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jor dishes contributing to absolute and between-person sodium intake variations in university students between men and women. Further studies on effects of gender on blood pressure, sodium and drink intake, and obesity are necessary.

      • KCI등재

        경기지역 대학생의 소금 관련 식행동 및 나트륨 섭취량

        정은정(Eun Jung Chung),심유진(Eugene Sh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7 No.5

        본 연구는 경기지역 대학생 218명(남 95명; 여 123명)을 대상으로 DFQ를 이용하여 나트륨 섭취량을 조사하고 관련된 식행동을 비교, 평가하였다. 수축기와 이완기혈압, DFQ-15 점수와 DFQ-125에 의한 나트륨 섭취량(남 6094.2 ㎎; 여자 4760.7 ㎎)은 모두 남자에서 더 높았다(p<0.01). 전체대상자를 DFQ-15에 의해 고염과 저염 섭취군으로 분류한 결과, 두 집단의 혈압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여자에서는 저염군의 수축기와 이완기혈압이 높았는데(p<0.05), 이는 여자 저염군에서 유의하게 높은 BMI 때문으로 생각된다. 고염 식태도 점수와 나트륨 섭취량은 고염군에서 매우 높았다(p<0.001). 식습관 비교 결과, 매일 단백질 음식을 먹거나 골고루 먹는 식습관 빈도는 저염군에서 높았으며(p<0.05), 튀김, 볶음요리 및 지방이 많은 육류를 자주 먹거나 식사시 소금과 간장을 더 넣는 부정적 식습관 빈도는 고염군에서 더 높았다(p<0.05). 고염군은 조린 음식 및 중식, 일식을 좋아하고 된장국을 자주 먹으며 튀김, 생선회는 간장에 듬뿍적셔 먹는 고염 식태도 빈도가 높았으며, 식탁에서 소금을 잘 넣지 않는 저염 식행동 빈도는 낮았다(p<0.05). 나트륨 섭취량을 기준으로 분류한 고염군은 볶음밥 등 별미밥과 조린 음식을 좋아하고 식사 전 습관적으로 소금을 더 넣는 고염 식태도 문항 점수가 높았고, 라면 국물을 남기거나 식탁에서 소금을 추가로 잘 넣지 않는 저염 식행동 문항 점수는 낮았다(p<0.05). 한편, 전체대상자에서 식품구매 시 영양표시를 확인하는 군의 고염 식태도 점수, DFQ-15 점수, 나트륨 섭취량은 비확인군에 비하여 모두 유의하게 낮았으며 저염 식행동 점수는 높았다(p<0.01). 특히, 영양표시 비확인군의 나트륨 섭취량(5669.1 ㎎)은 확인군(4241.9 ㎎)의 133.6%에 달해 영양표시 확인여부가 고염섭취의 위험요인인 것으로 생각된다. 남, 여 각 집단과 전체대상자에서 자신이 짜게 먹는 것을 선호한다고 스스로 평가한 군이 그렇지 않다고 한 군에 비하여 고염 식태도 점수는 높고 저염 식행동 점수는 낮았다(p<0.001). 하지만 여학생에서는 짜게 먹는 것을 선호한다고 답한 군의 나트륨 섭취가 매우 높은 반면, 남학생에서는 싱겁게 먹는 것을 선호한다고 답한 군의 나트륨 섭취가 매우 높아(p<0.05), 주관적으로 판단한 음식 간의 선호도가 실제 나트륨 섭취 수준을 잘 반영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남학생은 나트륨 섭취량이 여학생보다 높고 충분섭취량의 406.3%에 달해 고염 섭취의 위험군이라 할 수 있었다. 고염군의 식행동 특성에는 지방 함량이 높고 조린 음식을 좋아하고 식탁에서 소금 간을 자주하는 반면, 균형식을 실천하는 비율은 낮았다. 따라서 대학생 특히, 남학생을 위한 고혈압 영양교육에는 소금 감량에 관한 내용 외에도 기본적인 식품영양 지식과 올바른 식습관의 중요성 등에 관한 내용이 포함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ssociations of dietary sodium (Na) intake with salt-related dietary behaviors of 218 university students (95 men; 123 women) living in Gyeonggi area. Dish frequency questionnaire (DFQ) was used to identify salt-related dietary behaviors and to determine Na intakes. In men, systolic & diastolic blood pressures, Na intakes and DFQ-15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women. High-salt intake group (HS), classified by DFQ-15, had higher scores of high-salt dietary attitude and more Na intakes than low-salt intake group (LS). HS took protein foods and had balanced diets less frequently than LS (p<0.05). HS had fried dishes & fatty meats, and added salt to dishes more frequently (p<0.05). HS and LS had differences in preference of soy-boiled and Chinese or Japanese foods, in intake frequency of bean-paste soup, in use of soy sauce with fried food or raw fish, and in salt addition to dishes at the table (p<0.05). HS, classified by Na intakes, had high-salt dietary attitudes such as preference of seasoned rice & soy-boiled foods and habitual addition of soy sauce or salt to dishes at the table. The subjects using food labels when purchasing had better salt-related attitudes & behaviors, and lower DFQ-15 scores & Na intakes than the non-users (p<0.01). Self-assessed HS (SHS) had worse salt-related attitudes and behaviors (p<0.05). Male self-assessed LS (SLS) had higher Na intakes, which indicated that self-assessment of salt preference did not actually reflect Na intake. In summary, male university students belonged to a high-risk group of salt intakes, and HS preferred soy-boiled foods or fatty dishes, frequently added salt to dishes and rarely had balanced die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for university students should include fundamental dietetics and a balanced diet, in addition to a low-Na diet.

      • KCI등재
      • KCI등재

        여자 중,고등학생의 식품영양표시제 이용과 영양표시 이해도 및 식행동 조사

        정은정 ( Eun Jung Chung ),전진순 ( Jin Soon Jeon ),안홍석 ( Hong Seok Ahn ) 대한영양사협회 2010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Vol.16 No.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use and understanding of food and nutrition labels in 498 female adolescents (middle school students: MS 248, high school students: HS 250) in Gyeonggi-do. Fifty percent of the MS and 47.2% of the HS read food labels, and the most common reasons for reading labels were to find a product`s expiration date and price. The food label information considered most important by the subjects was the name of the manufacturing company and expiration date. Over 80% of the subjects read nutrition labels. The MS read nutrition labels to find nutrients and their amounts in foods, while the HS read labels mostly in an effort to control body weight. These subjects gave more attention to calories and fat, the nutrients related to body weight, than to other nutrients. The subjects were highly aware of the necessity and positive effects of nutrition labels, because they believed labels could make it easier for them to choose healthy foods. However, scores for understanding nutrition labels showed the subjects failed to understand label information accurately. Generally, the MS showed better dietary behaviors than HS. But the HS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MS for the item "know relative weight with height." Those that read food labels had significantly better BMIs, dietary behaviors, and awareness and understanding of nutrition labels.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among awareness & understanding of nutrition labels and subjects` dietary behaviors. The study findings can be utilized to better plan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aiming to improve use and awareness of food and nutrition labels among adolescents.

      • KCI등재

        Effect of Kale Juice on Serum Lipid Levels & Phospholipid Fatty Acid Composition in Hypercholesterolemic Men

        Eun Jung Chung(정은정),Eugene Shim(심유진),Soo Yeon Kim(김수연) 한국생명과학회 2012 생명과학회지 Vol.22 No.11

        고콜레스테롤혈증(총 콜레스테롤 농도 200 mg/dl 이상)인 성인 남자를 대상으로 12주간 케일녹즙 중재실험을 실시하여 실험 전과 후의 혈청 지질농도와 혈청 인지질 지방산 조성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혈청 총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 농도는 녹즙 섭취 전과 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HDL-콜레스테롤 농도는 녹즙 섭취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LDL-콜레스테롤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atherogenic index 역시 녹즙 섭취 후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대상자들은 녹즙 섭취 전ㆍ후로 BMI, 허리둘레, 혈압 등의 신체계측치와 흡연, 음주 등의 생활습관 및 영양소 섭취패턴에 유의한 변화 없이 12주 중재실험기간 동안 평상시 생활패턴을 유지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녹즙에 섬유소가 거의 함유되어있지 않으므로 혈청지질 개선효과는 녹즙에 풍부한 항산화 영양소에 의한 효과로 사료된다. 녹즙섭취 후에 유의한 변화를 보인 혈청 인지질 지방산 조성 중에서 12:0, 14:0, 18:1ω9, 18:3ω6 조성 및 총 단일불포화지방산 조성은 증가하고 22:4ω6 조성은 감소하였다. 특히 올레산(18:1ω9) 조성은 55∼58% 증가하였는데 다중불포화지방산 못지않게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를 감소시켜주며, 다중불포화지방산보다 LDL의 산화를 감소시켜 동맥경화증이나 관상심장질환의 위험을 줄여주는 지방산으로 알려져 있다. 12주간의 녹즙섭취는 혈청 인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크게 변화시키지 않지만 궁극적으로 지방조직의 지방산 조성에 변화를 초래하고 이로 인해 고콜레스테롤 환자의 혈중 지질농도를 개선시켜줄 것으로 사료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kale (Brassica oleracea acephala) juice supplementation on serum lipid levels and phospholipid (PL) fatty acid compositions in hypercholesterolemic men. Thirty-two men with hypercholesterolemia (>200 mg/dl) were recruited among the faculty and staff at Y University after annual health examinations. The subjects consumed 150 ml of kale juice per day for a 12-week intervention period. Dietary and anthropometric assessments were performed before and after supplementation, respectively, to ensure that the subjects maintained their usual diet and lifestyle throughout the intervention. Serum concentrations of HDL-cholesterol and the ratio of HDL-cholesterol to LDL-cholesterol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p<0.001) after intervention. Serum LDL-cholesterol concentration and atherogenic index were significantly reduced (p<0.001). Levels of 12:0, 14:0, 18:1ω9, 18:3ω6, and sum of monounsaturated fatty acids (MUFA) in serum pholspholipid (PL)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while 22:4ω6 level was significantly reduced (p<0.05). It can be speculated that kale juice, containing large amounts of antioxidant nutrients, contributes to changes of serum-PL-fatty acid compositions and the improvements of serum lipid profiles. This study demonstrates the supplementation of regular meals with kale juice may favorably affect serum lipid profiles and serum-PL fatty acid compositions and, hence, could lower the risks of coronary artery disease in men with hypercholesterolemia.

      • KCI등재

        케일녹즙 분말식이가 흰쥐의 혈중 지질, 엽산 및 호모시스테인 수준에 미치는 효과

        정은정(Eun-Jung Chung),김수연(Soo-Yeon Kim),남영주(Young-Ju Nam),박정화(Jung-Hwa Park),황혜진(Hye-Jin Hwang),이양자(Yang-Cha Lee-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4 No.8

        녹즙분말과 콜레스테롤 첨가식이로 8주간 사육한 흰쥐의 혈중 지질, 호모시스테인 및 엽산수준에 미치는 효과를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흰쥐의 혈중 총 콜레스테롤 농도는 녹즙이나 콜레스테롤 보충에 의해 유의한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중성지질 농도는 녹즙군에서 낮았다(p<0.001). HDL-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의 경우, 식이 콜레스테롤의 영향을 받아, HDL-콜레스테롤은 콜레스테롤군보다 무콜레스테롤군에서 높았으며(p<0.001), LDL-콜레스테롤은 콜레스테롤군에서 높았다(p<0.05). HDL-콜레스테롤 수준은 녹즙군에서 높았으며(p<0.05), LDL-콜레스테롤 농도는 콜레스테롤과 케일의 상호효과가 나타나 무콜레스테롤군에서만 녹즙에 의한 감소효과를 보였다. HDL/LDL 비율은 콜레스테롤 보충군에서 낮았으며(p<0.05), 녹즙보충군에서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혈청 엽산, 비타민 B₁₂ 및 혈장 호모시스테인 농도는 녹즙분말이나 콜레스테롤 보충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 혈중 엽산과 비타민 B₁₂ 농도사이에는 유의한 양의 상관성(r=0.5632, p< 0.001)이 관찰되었으나, 혈중 호모시스테인 농도는 혈중 엽산, 비타민 B₁₂ 및 콜레스테롤 농도 사이에는 모두 유의한 상관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엽산이 충분히 공급되는 경우, 녹즙보충시 나타나게 되는 심혈관계질환 예방효과는, HDL 농도의 증가 및 중성지방 농도의 감소에 의한 것이며, 녹즙내 엽산보충에 의한 호모시스테인 농도 변화와는 관련이 적은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een vegetable (kale) juice powder supplementation on lipid profiles, plasma homocysteine, folate and vitamin B₁₂ in rats fed cholesterol (Chol.) or Chol. free diet. 7-week old male Sprague Dawley rats (n=40) were divided into 4 groups, and experimental diets containing control diet group (CO), control diet plus 0.5 wt% Chol. (CC), control diet added with 5 wt% kale (KO), control diet added with 5 wt% kale plus 0.5 wt% Chol. (KC) were fed for 8 wks. Plasma homocysteine level was examined by amino acid analyzer and serum folate and vitamin B₁₂ level were measured by competitive radioimmunoassay methods. In various serum lipid profiles, TG level was lower in kale juice powder groups (KO, KC) compared to the corresponding groups (CO, CC) (p<0.001). In Chol. supplemented groups (CC, KC), HDL-Chol. level was lower (p<0.001) and LDL-Chol. level was higher (p<0.05) than Chol. free diet. HDL-Chol. level was higer (p<0.05) in kale juice powder groups. HDL/LDL ratio was lower in Chol. supplemented groups (CC, KC) and tended to be higher in kale juice powder groups (KO, KC). Serum folate and vitamin B₁₂ levels were not affected by dietary Chol. and kale juice powder supplementation. Plasma homocysteine level was not affected by dietary Chol. and kale juice powder supplementation, too. Serum folate level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rum vitamin B₁₂ level (r=0.5632, p<0.001), but plasma homocysteine level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ny serum folate, vitamin B₁₂ and Chol. levels, respectively. In summary, kale juice powder supplementation have improved serum lipid profiles by increasing the HDL level and decreasing the TG level and have not altered homocysteine level under the sufficient supply of folate and vitamin B complex relating with the homocysteine metabolism.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