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버섯균사체로 배양된 인삼 Saponin과 β-Glucan 함량 변화

        정은미,황인국,이현용,정재현,유광원,정헌상,Joung, Eun-Mi,Hwang, In-Guk,Lee, Hyeon-Yong,Jeong, Jae-Hyun,Yu, Kwang-Won,Jeong, Heon-Sa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8 No.8

        인삼을 배지로 사용하여 목질진흙버섯(Phellinus linteus), 영지버섯(Ganoderma lucidum) 및 노루궁뎅이버섯(Hericium erinaceum) 균사체를 접종 배양하여 얻어진 균사체 인삼배양물과 원료 인삼에 대한 사포닌과 $\beta$-glucan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원료인삼의 구성사포닌 함량은 22.47mg/g이었으나 균사체로 배양된 인삼의 사포닌 함량은 목질 진흙버섯이 39.78 mg/g, 영지버섯이 55.88 mg/g 그리고 노루궁뎅이버섯이 32.69 mg/g으로 원료인삼에 비해 증가하였다. 균사체 인삼배양물의 사포닌은 PPT계는 감소하였고 PPD계는 증가하였다. 구성사포닌 중 ginsenoside Rd는 원료인삼에 비해 균사체 인삼배양물에서 각각 17, 30 및 12배 증가하였다. 3종의 균사체와 균사체 인삼배양물들의 총 glucan 함량은 각각 46.24, 34.74 및 34.02% 그리고 28.77, 17.78 및 21.77%이었다. $\beta$-glucan 함량은 균사체에서는 각각 29.14, 19.44 및 23.39%이었고 인삼배양물에서는 각각 8.85, 5.46 및 5.51%로 나타나 목질진흙버섯이 균사체와 인삼배양물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nges of saponin and $\beta$-glucan content on the cultured ginseng with mushroom mycelia of Phellinus linteus (PL), Ganoderma lucidum (GL), and Hericium erinaceum (HE). Cultured ginsengs with mushroom mycelia were extracted with 80% ethanol, fractionated with n-buthanol, and analysed for ginsenosides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Crude saponin content of raw ginseng was 4.11% (d.b) but cultured ginseng with mushroom mycelia of PL, GL, and HE were increased to 6.74, 6.77 and 6.23% (d.b), respectively. Ginsenoside-Rd, among the 12 ginsenosides which were available for analysis, was remarkably increased to 13.61, 24.26, and 32.69 mg/g, respectively (raw ginseng: 0.80 mg/g). The $\beta$-glucan content of cultured ginseng with mushroom mycelia of PL, GL, and HE were decreased to 8.85, 5.51 and 5.46% rather than mushroom mycelia of 29.14, 19.44, and 23.39% (d.b), respectively.

      • SCOPUSKCI등재

        산업체 적용을 위한 양파껍질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정은미(Eun Mi Joung),정광호(Kwang Ho Jung) 한국식품과학회 2014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6 No.3

        양파가공부산물인 양파껍질을 이용하여 산업체에서 활용 가능한 추출공정으로 다양한 항산화활성 변화를 확인 하였다. 양파껍질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OPME-1에서 233.90 mg/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DPPH법에 의한 항산화활성의 IC<SUB>50</SUB>값은 OPMPE-1에서 1.15 mg/mL로 가장 높은 radical 소거활성을 나타났다. ABTS에 의한 총 항산화력은 OPM에서 432.78 mg AA eq/g으로 높은 항산화활성을 나타냈으며, 환원력은 OPMPE-1에서 1.69 A<SUB>700</SUB>으로 높게 나타났고, ORAC 지수는 OPMPE-1에서 318,509 μM TE/mL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실제 산업체에서 양파껍질 추출물을 제조할 때 활용 가능한 추출공정은 여러 번 반복 추출을 하는 것보다 1회 추출만 하는 공정이 항산화 활성 결과 기능성 식품소재 원료로 활용이 더 유리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activity of onion peels extracted from onion byproducts by hot water treatment. Hot water extraction of freeze dried onion peel powder was analyzed for total polyphenol content, 2,2-diphenyl-1-picryllhydrazyl (DPPH), and 2,2-azino-bis(3-eht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reducing power,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the highest (233.90 mg/g) in onion peel extract mix with ethanol (OPME-1).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C50), reducing power, and ORAC obtainbed from onion peel extract mix with ethanol precipitation (OPMPE-1) were the highest at 1.15 mg/mL, 1.69 A700, and 318,509 μM TE/mL, respectively. The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the highest at 432.78 mg amino acids (AA) eq/g in the OPM.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onion peel extracts have marked antioxidant activity, which can have significant health benefits.

      • KCI등재

        배양기간에 따른 버섯균사체 인삼배양물의 항산화활성

        정은미(Eun Mi Joung),김현영(Hyun Young Kim),황인국(In Guk Hwang),정재현(Jae Hyun Jeong),유광원(Kwang Won Yu),이준수(Junsoo Lee),정헌상(Heon Sang Je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9 No.9

        인삼의 천연배지에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 영지버섯(Ganoderma lucidum) 및 노루궁뎅이버섯(Hericium erinaceum) 균사체를 접종한 후 10, 20, 30, 40, 50일 동안 배양된 인삼발효물 80%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활성을 살펴보았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149.63~205.91 ㎎/g범위로 영지버섯 균사체 인삼배양물에서 가장 높았다. DPPH법에 의한 항산화활성의 IC??값은 1.16~6.48 ㎎/mL범위로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 인삼배양물에서 가장 높았고, ABTS에 의한 총 항산화력은 1.37~4.03 ㎎ AA eq/g 범위로 상황버섯 균사체 인삼배양물이 가장 높았다. α-Glucosidase 억제활성은 50일 배양된 상황버섯 균사체 인삼배양물에서 92.51%로 가장 높게 나타내었으며, tyrosinase저해활성은 40일 배양된 영지버섯 균사체 인삼배양물에서 13.2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인삼을 균사체로 배양할 경우 40일 정도 배양하면 항산화활성이 증가된 인삼제품을 만들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cultured ginseng with mushroom mycelia (Phellinus linteus (PL), Ganoderma lucidum (GL), and Hericium erinaceum (HE)) during cultivation periods of 10, 20, 30, 40, and 50 days. The lyophilized powder from the cultured ginseng with mycelia was extracted with 80% ethanol, and then evaluated for antioxidant activities. Total phenolic contents ranged from 149.63 to 205.91 ㎎/g, and the highest value was 80% EtOH extract from the cultured ginseng with GL at 30 days.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IC??) for DPPH was 1.16 ㎎/mL in the cultured ginseng with HE at 40 days, and total antioxidant activity for ABTS was the highest value of 4.03 ㎎ AA eq/g in PL cultivation at 30 days.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was the highest value of 92.51% in EtOH extract from the cultured ginseng with PL at 50 days,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was highest value of 13.21% in GL cultivation at 40 days. These results suggest that mushroom mycelium cultivation period for enhancement of antioxidant activity might be 40 days.

      • KCI등재

        버섯균사체로 배양된 인삼 Saponin과 β-Glucan 함량 변화

        정은미(Eun Mi Joung),황인국(In Guk Hwang),이현용(Hyeon Yong Lee),정재현(Jae Hyun Jeong),유광원(Kwang Won Yu),정헌상(Heon Sang Je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8 No.8

        인삼을 배지로 사용하여 목질진흙버섯(Phellinus linteus), 영지버섯(Ganoderma lucidum) 및 노루궁뎅이버섯(Hericium erinaceum) 균사체를 접종?배양하여 얻어진 균사체 인삼배양물과 원료 인삼에 대한 사포닌과 β-glucan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원료인삼의 구성사포닌 함량은 22.47㎎/g이었으나 균사체로 배양된 인삼의 사포닌 함량은 목질 진흙버섯이 39.78 ㎎/g, 영지버섯이 55.88 ㎎/g 그리고 노루궁뎅이버섯이 32.69 ㎎/g으로 원료인삼에 비해 증가하였다. 균사체 인삼배양물의 사포닌은 PPT계는 감소하였고 PPD계는 증가하였다. 구성사포닌 중 ginsenoside Rd는 원료인삼에 비해 균사체 인삼배양물에서 각각 17, 30 및 12배 증가하였다. 3종의 균사체와 균사체 인삼배양물들의 총 glucan 함량은 각각 46.24, 34.74 및 34.02% 그리고 28.77, 17.78 및 21.77%이었다. β-glucan 함량은 균사체에서는 각각 29.14, 19.44 및 23.39%이었고 인삼배양물에서는 각각 8.85, 5.46 및 5.51%로 나타나 목질진흙버섯이 균사체와 인삼배양물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nges of saponin and β-glucan content on the cultured ginseng with mushroom mycelia of Phellinus linteus (PL), Ganoderma lucidum (GL), and Hericium erinaceum (HE). Cultured ginsengs with mushroom mycelia were extracted with 80% ethanol, fractionated with n-buthanol, and analysed for ginsenosides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Crude saponin content of raw ginseng was 4.11% (d.b) but cultured ginseng with mushroom mycelia of PL, GL, and HE were increased to 6.74, 6.77 and 6.23% (d.b), respectively. Ginsenoside-Rd, among the 12 ginsenosides which were available for analysis, was remarkably increased to 13.61, 24.26, and 32.69 ㎎/g, respectively (raw ginseng: 0.80 ㎎/g). The β-glucan content of cultured ginseng with mushroom mycelia of PL, GL, and HE were decreased to 8.85, 5.51 and 5.46% rather than mushroom mycelia of 29.14, 19.44, and 23.39% (d.b), respectively.

      • KCI등재

        열처리 온도에 따른 수경재배인삼의 화학성분과 효소활성

        황초롱(Cho Rong Hwang),정은미(Eun Mi Joung),이상훈(Sang Hoon Lee),황인국(In Guk Hwang),김용범(Yong Bum Kim),정재현(Jae Hyun Jeong),이준수(Junsoo Lee),정헌상(Heon Sang Je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2 No.6

        열처리에 따른 수경재배인삼과 잎줄기의 화학성분과 효소활성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90, 110, 130 및 150℃에서 2시간 열처리한 후 갈변도, 5-HMF, 유리당, 유기산 함량, 효소활성을 살펴보았다. Tyrosinase와 ACE 저해활성 등 효소활성은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그 활성이 증가하였다. Maillard 반응의 중간 및 최종 단계의 생성물인 5-HMF, 유리당, 유기산의 함량은 열처리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5-HMF 함량은 수경재배인삼과 잎줄기 모두 대조구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지만 열처리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유리당은 수경재배인삼에서는 fructose, glucose 및 sucrose 3종류의 당이 검출되었다. Sucrose는 열처리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fructose 및 glucose 함량은 증가하였다. 열처리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이당류가 단당류로 분해되고 지속적인 열분해로 인하여 HMF, furfural 및 5-methyl furfural 등과 유기산으로 분해되기 때문에 유기산 함량 또한 증가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기능성 식품소재로의 이용을 위하여 다양한 열처리 조건을 검토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changes in the chemical components and enzyme activities from hydroponic-cultured ginseng roots (HGR) and leaves (HGL) with various heating temperatures (90, 110, 130, and 150℃) for 2 hours. The UV-absorbance and browning intensity of heated ginseng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heating temperature. 5-HMF contents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asing heating temperature. The free sugars (fructose, glucose, and sucrose) were detected and sucrose content decreased, but fructose and glucose content increased with increasing heating temperature. Malic, citric, lactic, and oxalic acid contents were 817.52, 722.25, 122.06, and 18.43 mg%, respectively, in HGR and 682.84, 338.21, 90.37, and 0 mg%, respectively, in HGL at 150℃. Tyrosinase and ACE inhibitory activitie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heating temperature. These results show that various components and activities of HGT and HGL significantly increase with heating temperature.

      • KCI등재

        버섯균사체로 발효시킨 인삼 추출물의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

        김현영(Hyun Young Kim),정은미(Eun Mi Joung),황인국(In Guk Hwang),정재현(Jae Hyun Jeong),유광원(Kwang Won Yu),이준수(Junsoo Lee),정헌상(Heon Sang Je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9 No.1

        상황버섯, 영지버섯 및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로 발효된 인삼추출물이 암세포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위암세포(MKN-45), 대장암세포(HCT116), 유방암세포(MCF-7), 폐암세포(NCIH460), 전립선암세포(PC-3) 및 간암세포(HepG2)에 농도별(0.25~1.5 ㎎/mL)로 처리하여 암세포 성장억제율을 측정하였다. 전립선암 세포에서의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는 영지버섯 균사체발효 인삼추출물이 1.5 ㎎/mL 농도에서 3.07%로 가장 낮은 생존율을 나타내었으며, 상황버섯 균사체발효 인삼추출물이 35.05%, 노루궁뎅이 버섯 균사체발효 인삼추출물이 44.29%의 생존율을 보였다. 폐암세포에 대한 세 가지 버섯균사체발효 인삼추출물의 1.5㎎/mL 농도에서 영지버섯 균사체발효 인삼추출물은 5.31%로 우수한 항암활성을 나타낸 반면, 상황버섯 균사체발효 인삼추출물이 53.52%,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발효 인삼추출물이 35.27%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영지버섯 균사체로 발효시킨 인삼추출물이 다른 균사체 인삼 발효물보다 다양한 암세포에 대한 성장억제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ermented ginseng extract by mushroom mycelia on antiproliferation of cancer cells. Phellinus linteus, Ganoderma lucidum, and Hericium erinaceum mycelia were inoculated to ginseng. The effects of fermented ginseng extract on antiproliferation of stomach (MKN-45), colon (HCT116), mammary (MCF-7), lung (NCIH460), prostate (PC-3), and liver (HepG2) cancer cells were investigated by MTT assay. Fermented ginseng extract showed significant antiproliferation effects compared with fresh ginseng extract. Fermented ginseng extract by P. linteus, G. lucidum, and H. erinaceum mycelia showed growth-inhibitory effect of 44.50, 17.75 and 43.98% viability at 1.5 ㎎/mL on the MKN-45 cell line, 62.86, 3.73, and 54.55% at 1.5 ㎎/mL on the HCT116 cell line, 41.81, 7.01, and 37.84% at 1.5 ㎎/mL on the MCF-7 cell line, 53.52, 5.31, and 35.27% at 1.5 ㎎/mL on the NCIH460 cell line, 35.05, 3.07, and 44.29% at 1.5 ㎎/mL on the PC-3 cell line, and 59.57, 6.34, and 4.97% at 1.5 ㎎/mL on the HepG2 cell line,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fermented ginseng by G. lucidum mycelium showed the highest antiproliferation effect against various cancer cells.

      • KCI등재

        한국산 발아 벼 추출물의 여러 가지 암세포주에 대한 증식 억제 효과 비교

        김현영(Hyun Young Kim),황인국(In Guk Hwang),정은미(Eun Mi Joung),김태명(Tae Myoung Kim),김대중(Dae Joong Kim),박동식(Dong Sik Park),이준수(Junsoo Lee),정헌상(Heon Sang Je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9 No.3

        한국산 벼 6종(일품벼, 백진주벼, 설갱벼, 고아미2호, 거대배아벼 및 흑광벼)의 발아 및 무발아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암세포주 증식 억제효과를 위암세포주(MKN45), 대장암세포(HCT116) 및 폐암세포(NCI-H460)에 대하여 살펴 본 결과 일부 품종의 경우 발아 후에 1 ㎎/mL 농도에서 암세포증식 억제효과가 증가하였다. 대장암세포주에 대한 성장억제 효과가 가장 좋았던 품종은 흑광벼로 발아 에탄올 추출물 18.89%의 생존율을 보였으며, 폐암세포주에 대해서는 일품, 고아미2호, 백진주 및 설갱벼 발아 에탄올 추출물은 5~10%의 생존율을 보였다. 위암세포에 대해서는 일품, 고아미2호, 백진주 및 설갱벼에 대하여 5~10%의 생존율을 보여 대조군에 비해 암세포주 증식 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벼를 발아시킬 경우 항암활성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으며, 발아 후 벼의 성분분석 및 추후 항암실험의 다양한 지표를 활용하여 항암활성을 입증하는 연구가 수행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70% ethanol extracts of various germinated-rough rice cultivars: (‘Ilpum’, ‘Goami2’, ‘Keunnun’, ‘Sulgaeng’, ‘Baegjinju’, and ‘Heugkwang’) on proliferation of human cancer cell lines (MKN-45, HCT116 and NCI-H460). Antiproliferation effects of rough rice on different cancer cell lines were higher in after germination than before germination. The viability of HCT-116 colon cancer cells was lowest at 18.89% in after germination of ‘Heugkwang’ at 1.0 ㎎/mL. The cell viability of MKN-45lung cancer cells and MKN-45 stomach cancer cells were in the range of 5~10% in after germination of ‘Ilpum’, ‘Goami2’, ‘Baegjinju’, and ‘Sulgaeng’, and ‘Heugkwang’ at 1.0 mg/mL. These results suggest that germinated rough rice might have a potential preventive effect on human cancer cells.

      • KCI등재

        열처리 무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 활성

        이상훈(Sang Hoon Lee),황인국(In Guk Hwang),이연리(Youn Ri Lee),정은미(Eun Mi Joung),정헌상(Heon Sang Jeong),이희봉(Hee Bong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8 No.4

        열처리에 따른 무의 성분 및 항산화활성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무를 110, 120, 130, 140 및 150℃에서 2시간 열처리하고 70% 에탄올로 추출한 다음 용매분획을 실시하고 각각에 대한 색도, 갈변도, 유리당, 총 폴리페놀 및 항산화활성 변화를 살펴보았다. 열처리 무 에탄올 추출물의 색도는 열처리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L값은 감소하였으며,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은 증가하였다. 갈변도는 열처리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fructose와 glucose 모두 열처리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에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150℃ 처리에서 256.26±9.61 ㎎/100 g으로 가장 높았으며(대조구: 27.90±1.28 ㎎/100 g), DPPH법에 의한 항산화활성의 IC??값은 150℃에서 1.34±0.004 ㎎/㎖으로 가장 낮았고(대조구: 34.93±0.039 ㎎/㎖), ABTS에 의한 총 항산화력의 AEAC 값도 150℃에서 53.10±1.155 ㎎ AA eq/g으로 가장 높았다(대조구: 6.721±0.122 ㎎ AA eq/g). 용매분획물의 각 처리온도구간에서 총 폴리페놀 함량은 140℃ 에 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133.62±3.197 ㎎/100 g으로 가장 높았다. DPPH법에 의한 항산화활성의 IC??값도 150℃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0.39±0.001 ㎎/㎖로 가장 낮았고 ABTS에 의한 총 항산화력의 AEAC 값은 140℃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183.72±5.929 ㎎ AA eq/g으로 가장 높았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nges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heated radish (Raphanus sativus L.). Raw radish was heated at various temperatures (110~150oC) for 2 hr. The heated radish was extracted with 70% ethanol and then fractionated with hexane, ethyl acetate, and aqueous. Total polyphenol contents, IC?? value of electron donating ability (EDA), and total antioxidant activity (AEAC) increased with increasing heating temperature. The maximum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256.26±9.61 ㎎/100 g at 150℃ (control: 27.90±1.28 ㎎/100 g), IC50 value was 1.34±0.004 ㎎/㎖ at 150℃ (control: 34.93±0.039 ㎎/㎖), and AEAC was 53.10±1.155 ㎎ AA eq/g at 150℃ (control: 6.721±0.122 ㎎ AA eq/g). The ethyl acetate fraction showed higher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stronger antioxidant activities than hexane and aqueous fractions.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133.62 ㎎/100 g (at 140℃), IC50 values of EDA and AEAC content were 0.39 ㎎/㎖ (at 150oC) and 183.72 ㎎ AA eq/g (at 140℃), respectively.

      • KCI등재

        목련(Magnolia denudata Desr.) 꽃 추출물의 생리활성

        노진우(Jin Woo Nho),황인국(In Guk Hwang),정은미(Eun Mi Joung),김현영(Hyun Young K),장성준(Seong Jun Chang),정헌상(Heon Sang Je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8 No.11

        목련 꽃 에탄올 추출물과 용매분획물에 대한 항산화활성, 항암활성 및 항염증활성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목련꽃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216.14 및 86.93 ㎎/g이었고, DPPH법에 의한 항산화활성의 IC50값은 0.232 ㎎/mL이었으며, 용매분획물 중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우수한 항산화활성을 보였다(IC??: 0.197 ㎎/mL, AEAC: 0.90 ㎎ AA eq/100 ㎎). 또한 에탄올 추출물 및 용매분획물은 대장암, 폐암 그리고 간암세포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낮은 농도에서 증식억제효과를 보였으며, 클로로포름 분획물은 리포폴리사카라이드 유도 일산화질소 생성 저해효과를 보였다(IC??: 49.5 ㎍/mL). The antioxidant, antiproliferation, and nitrate synthesis inhibitory effects of Magnolia denudata extracts (ME) were evaluated. The ME was extracted with 70% (v/v) ethanol and fractionated with solvents of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n-buthanol and aqueous. The ethyl acetate fraction contained the highest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of 427.10 ㎎ garlic acid eq/g and 356.05 ㎎ catechin eq/g, respectively. The ethyl acetate fraction showed strong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ith a 50% inhibition concentration (IC??) of 0.20 ㎎/mL and total antioxidant activity was 0.90 ㎎ AA eq/100 ㎎. From the results of cytotoxic effects of HCT116, NCL-H460, and HepG2 human cancer cells by MTT assay on the ME and its solvent fraction, chloroform fraction showed the highest cytotoxic effect (IC?? value: 0.14, 0.37, and 0.41 ㎎/mL, respectively). Nitrate synthesis inhibitory effect of ME and its solvent fractions on nitric oxide synthase activity in LPS stimulated RAW 264.7 cells were decreased in dose-dependent manners, and IC?? value of hexane and chloroform fractions were 0.39 and 0.49 ㎎/mL, respectively.

      • KCI등재

        유자씨 추출물의 생리활성과 암세포 성장 억제효과

        이윤정(Yoon Jeong Lee),황인국(In Guk Hwang),정은미(Eun Mi Joung),김현영(Hyun Young Kim),박의석(Eui Seok Park),우관식(Koan Sik Woo),정헌상(Heon Sang Je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8 No.12

        유자씨 종피와 배유부분에 대한 n-hexane 및 ethanol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활성, ACE 저해활성, α-glucosidase 억제활성 및 항암활성을 살펴보았다. 항산화활성은 종피 nhexane 추출물(CSH1), 배유 n-hexane 추출물(CSH2), 종피 70% ethanol 추출물(CSE1) 및 배유 70% ethanol 추출물(CSE2) 가운데 CSE1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CSE1의 용매분획물 가운데 ethylacetate 층이 2 ㎎/mL의 농도에서 라디칼소거능이 73.81% 그리고 총항산화력이 56.64 ㎎ AA eq/g으로 우수한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ACE 저해활성과 α-glucosidase 억제활성도 CSE1이 각각 31.63% 및 45.17%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각각의 추출물에 대한 유방암, 간암, 폐암, 대장암 및 전립선암 세포에 대한 증식억제효과는 모든 암세포에 대하여 5 ㎎/mL의 농도에서 종피 ethanol 추출물(CSE1)이 가장 높은 암세포 증식억제효과를 보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total polyphenol, total flavonoid content, antioxidant activity,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ACE) inhibitory activity,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and antiproliferation activity of the citron seed. The citron seed were separated to hull and embryo, and extracted with n-hexane and 70% ethanol.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 was higher than that of n-hexane extract. IC50 value for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ethanol extract of hull (CSE1) and embryo (CSE2) were 3.18 and 8.43 ㎎/mL, and those of total antioxidant activity were 19.96 and 11.28 ㎎ AA eq/g, respectively. ACE inhibitory activity and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on CSE1 showed the highest values of 31.61 and 45.17%, respectively. Antiproliferation effects on the MCF7, HepG2, H460, HCT-116, and PC3 cell line showed the highest values of 14.09, 19.12, 12.29, 9.78, and 9.12% in extract concentration of 5 ㎎/mL,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citron seed can be used for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 material which have biological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