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만성 활동성 B형 간염 질환 환자의 요추간판 탈출증 치험례

        정유진,강경래,이민수,최아련,강아현,한동근,송우섭,이형철,Jung, You-jin,Kang, Kyung-rae,Lee, Min-su,Choi, A-ryun,Kang, A-hyun,Han, Dong-kun,Song, Woo-sub,Lee, Hyung-chung 대한한방내과학회 2016 大韓韓方內科學會誌 Vol.37 No.2

        Objective: Although the incidence of chronic hepatitis B has decreased around the world due to widespread national preventative control measures, mortality from the same condition can increase if the condition leads to liver cancer or liver cirrhosis. In most cases, herbal medicine does not show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related to liver damage, but preconceptions do exist that herbal medicine can be toxic and cause such liver damage. To investigate this situation, this study therefore investigated a patient with hepatitis B who had combined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herapy and the use of analgesic drugs during a hospitalization period.Method: A patient with hepatitis B was given combined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herapy and the use of analgesic drugs during a hospitalization period.Results: Within 26 days, the patient was free from liver damage during the hospitalization period. She was followed up with a liver function test and was discharged after her condition improved; she also reported decreased back pain.

      • KCI등재

        말초성 안면마비 환자의 한방치료 치험례

        정유진,최아련,한동근,강아현,서혜진,성재연,송우섭,이형철,엄국현,김수연,Jung, You-jin,Choi, A-ryun,Han, Dong-kun,Kang, A-hyun,Seo, Hye-jin,Sung, Jae-yeon,Song, Woo-sub,Lee, Hyung-chul,Eom, Gook-hyun,Kim, Soo-yeon 대한한방내과학회 2017 大韓韓方內科學會誌 Vol.38 No.5

        Objective: Facial nerve palsy is caused by damage to the 7th cranial nerve. It is the main symptom of facial muscle paralysis on the affected side. Usually, recovery from this disease begins 2-3 weeks after onset and most patients recover in 4-8 weeks. If the patients cannot receive proper treatment, severe permanent impairments, both physical and mental, may remain, so this disease should be treated appropriately. In this study, a patient with facial nerve palsy was admitted to the Korean medicine hospital for treatment. We report on the patient's progress and the effects of treatment. Methods: We cured the patient with herbal medicines, acupuncture, herbal acupuncture therapy, and physical therapy. We used a numerical rating scale, the House Brackmann grading system, and a weighted regional grading system to assess symptom changes. Result: The patient with facial nerve palsy was hospitalized for 23 days and recovered from symptoms without significant problems on the face or in motor function.

      • 뇌졸중 환자에서 견갑골 설정(Scapula Setting) 중재가 상지와 보행 기능에 미치는 영향

        정유진 ( You Jin Jung ),정경만(책임저자) ( Keyoung Man Jung ) 대한신경치료학회 2013 신경치료 Vol.17 No.1

        Background and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function of scapula setting intervention and its effect on stroke patients`` upper limbs`` functions and walking function on the basis of rehabilitation remedy. Subjects and Methods The case study was performed for 16 stroke patients. The experimental group of patients were selected on the following basis. Patients understood doctors`` directions well, and were able to walk without any help along a stretch of more than 10 meters. they had no functional limit in their upper limb region. The patients of the control group had had general therapy once a week, for 30 minutes, up to a total of 15 times for 3 weeks.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 1) The hemiplegia patients of the experimental group had enhanced their upper limbs`` functions after scapula setting(p<.05). 2) Scapula setting intervention had helped the hemiplegia pati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ith their faster walking speed(p<.05). 3) scapula setting intervention had helped the hemiplegia pati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ith their increase walking ability(p=.001).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s thus indicate that scapula setting intervention helps stroke patients enhance upper limb as well as posture control functions. We can thereby conclude this technique will again in the future be very useful for stroke patients in this context.

      • KCI등재

        중도·중복 장애 학생 관련 국내 중재연구의 동향: 1990년-2016년

        정유진 ( Jung You-jin ),정주영 ( Jeong Joo-young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7 지적장애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중도·중복 장애 학생 관련 국내 중재연구를 분석하여 전반적인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중재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990년부터 2016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총 64편의 분석논문을 선정하였고, 5가지 종속변인 주제(의사소통 및 상호작용, 문제행동, 감각운동, 학업, 기능적 생활 기술)에 따라 선정된 논문의 일반적인 특성 및 중재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연구대상의 연령은 초등학령기 학생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주 장애 특성은 지적장애를 수반한 지체장애 학생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연구설계는 단일대상연구방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연구환경은 특수학교 환경에서 가장 많이 실시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재 특성을 분석한 결과, 의사소통 및 상호작용 주제의 독립변인은 보완·대체의사소통 훈련, 보완·대체의사소통훈련과 대화 상대자 훈련의 결합, 가정 협력 중재, 기타 중재와 같은 네 가지 범주로 구분되었다. 문제행동 주제의 독립변인은 긍정적 행동지원, 감각통합 훈련, 기타 중재와 같은 세 가지 범주로 구분되었다. 감각운동 주제의 독립변인은 동작훈련, 운동교육과 같은 두 가지 범주로 구분되었다. 학업 주제의 독립변인은 읽기 교육, 수학 교육, 쓰기 교육과 같은 세 가지 범주로 구분되었다. 기능적 생활 기술 주제의 독립변인은 보조공학 활용, 지역사회 환경 교수, 기타 중재와 같은 세 가지 범주로 구분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논의 및 후속 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intervention studies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nd present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in the field. For this, 64 studies were identified through the electronic database searches and they were published in Korea between 1990 to 2016. The general and intervention characteristics of selected articl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five dependent variable subjects(i.e.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problem behavior, sensorimotor, academic, and functional life skill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sis of general characteristic, the age of elementary school was mainly studied in the age of subject and the physical disability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was primarily studied in major disability characteristic. single-subject research is mostly used in study design and the environment of special educated school is carried the most in study environment. second, as a result of analysis of intervention characteristic, the independent variable of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is classified into four types such as AAC training, combination of AAC and communicative partner training, collaborative families, etc. The independent variable of problem behavior is categorized into three type such as positive behavior support, sensory integration training and etc. The independent variable of sensorimotor is divided into two types of motor controling training and movement education. The independent variable of academic, classified into three types such as reading education, mathematics education and writing education. Lastly, the independent variable of functional living skills is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such as assistive technology, community-based teaching and etc.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several discussion points will be presented for future study.

      • KCI등재

        그림 검사가 활용된 국내 연구동향 분석

        정유진(You Jin Jung),신지현(Ji Hyun Shin)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2022 연극예술치료연구 Vol.- No.16

        이 연구는 그림 검사가 활용된 국내 연구동향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그림 검사가 임상 현장에서 검사 도구로 사용되는데 있어서 타당성과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한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2017년부터 2021년까지 학술지 논문 70편과 학위논문 78편으로 총 148편이다. 연구 분석기준은 그림 검사 연구의 연도별, 그림 검사 종류별, 연구대상별, 연구방법별, 연구주제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근 5년간 그림 검사에 대한 연구는 꾸준히 지속되고 있으나 2019년부터 연구량이 차츰 줄어들고 있다. 둘째, 국내 연구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그림 검사는 PITR, PPAT, DAS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대상별로는 성인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가장 많았다. 넷째, 연구 방법별로는 반응특성 연구가 석사학위와 학술지 논문에서 주를 이루고 있고, 박사학위논문에서는 타당화 연구만 발표되었다. 다섯째, 연구주제별로는 정서를 주제로 하는 연구가 가장 많았고, 최근 5년간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는 전혀 발표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research to secure the validity and objectivity in the future use of drawing tests as an examination tool in clinical settings by analyzing domestic research trends in which drawing tests were used. The subjects of research are 148 papers, including 70 journal articles and 78 theses from 2017 to 2021. The analysis criteria were categorized by years of study on drawing tests, types of drawing tests, study subjects, research methods, and research topics.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on drawing tests has consistently continued for the past 5 years, but the amount of research has been gradually decreasing since 2019. Second, the most frequently used drawing test in domestic studies was PITR, followed by PPAT, and DAS. Third, concerning study subjects, the largest number of studies were conducted on adults and college students. Fourth, concerning research methods, research on response characteristics is mainly performed in master's theses and journal papers, and only validation studies are published in doctoral theses. Fifth, concerning research topics, most of the studies were on emotion, and no research on infants was published in the last 5 years.

      • KCI등재

        발달장애학생의 성문제 행동에 대한 특수교사의 경험과 지원요구

        정유진(Jung, You-Jin),전혜인(Jeon, Hae-In)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5 특수교육 Vol.14 No.1

        본 연구는 발달장애학생의 성문제 행동에 대한 특수교사의 경험과 지원요구를 살펴보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자신이 담당하는 학급에서 성행동 문제를 갖는 학생을 가르친 경험이 있는 특수교사 6명을 심층면담 하였다. 수집된 면담자료를 질적 분석한 결과 4개의 주제와 10개의 부 주제로 나타났다. 첫째, ‘성문제 행동 마주하기’주제에서 교사들은 성문제 행동을 자연스러운 현상, 고쳐야 하는 문제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둘째, ‘내가 해줄 수 있는 일’주제에서는 성문제 행동을 지켜봐주기, 적극적으로 지도하기의 지도 방식으로 나타냈으며, 셋째, ‘성문제 행동 지도의 장벽’ 주제에서는 지도하기 어려운 아이들, 내가 하는 게 맞는 걸까, 가정의 비협조와 같은 어려움 등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바라는 지원’이라는 주제 하에 함께 해요, 환경의 변화, 활용 가능한 실제와 같은 부 주제들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에 따라 장애학생의 성문제 행동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과 어려움을 제시하고, 학교현장에서 발달장애학생의 성문제 행동을 지도하는데 있어 실제적이고 활용가능한 지원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and the support need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dealing with sexual problem behaviors of development disability. For this, we had an in-depth interviews with six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have taught students with sexual problem behaviors. In the result of the qualitative analysis for collected data, four themes and ten sub-themes came up as follows. First, in the theme of encountering the sexual problem behaviors, teachers recognize the sexual problems as natural behavior and the problem that needs to be fixed. Second, in the theme of the thing what I can do for that, two sub-themes were turned up such as observe the situation and guide positively. Third, in the theme of an obstacle to the guidance of sexual problem behaviors, three sub-themes were showed such as difficult students to guide, what I am doing is right, the family noncooperation. The last, under the theme of wanted support, there were three sub-themes that are join us, environmental change, applicable practices. According to this result, we discussed that it is necessary for teachers to guide such students with substantial and applicable support in school.

      • KCI등재

        집단미술치료에서 미술치료사의 매체 활용 경험에 대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 연구: 정신건강의학과 보호병동 중심으로

        정유진(Jung, You-jin),이은주(Lee, Eun-joo) 한국미술치료학회 2020 美術治療硏究 Vol.27 No.5

        본 연구는 정신건강의학과 보호병동 집단미술치료에서 미술치료사들의 매체 활용 경험을 탐색하고 임상현장에서의 실증적인 자료를 수집하여 매체를 활용함에 있어 치료적 활용을 연구 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확보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정신건강의학과 보호병동에서 집단미술치료 경험이 있는 미술치료사 12명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사는 보호병동 집단미술치료에서 매체를 선정함에 있어 병동의 환경적 특성, 환자의 다양한 증상적 특성, 매체 활용 방법의 다양성, 치료사의 특성, 치료목적을 고려하여 선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매체가 효과적으로 사용되었던 경험으로는 환자들의 사회적 경험이 간접적으로 이루어지거나 환자들의 미술치료 참여 욕구를 자극하였을 때라고 하였다. 셋째, 매체가 환자에게 미친 영향으로는 환자들의 자기표현을 자극하게 되어 긍정적인 변화를 미칠 수 있는 경험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호병동 집단미술치료에서 매체 활용 시 어려움과 대처에 있어 치료 환경과 환자의 증상적 특징으로 인해 어려움이 있었고, 준비과정과 회기 진행과정에서 치료사의 적절한 대처 경험을 탐색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정신건강의학과 보호병동 임상현장에서 매체 활용을 이해해볼 수 있었으며, 추후연구와 임상에서 매체 활용연구의 기초자료로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research aims to gather a basic data to study the clinical use of art materials based on collected clinical empirical data from art therapists who have experience using group art therapy within a mental health care ward. The study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12 art therapists, divided into two different groups based on their clinical experienc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First, art materials were selected by art therapists with thorough consideration based on clinical setting, severity of patients’ symptoms, use of art materials, art therapist s style, and purpose of art therapy. Second, art materials were used most effectively when art therapists provided indirect social experience or encouraged participation from their patients. Third, the art therapists experienced that art materials created positive changes in patients via amplified self-expression. Fourth, the use of art materials in group art therapy had difficulties due to different clinical settings as well as various patients symptoms. However, proper handling by art therapists was observed during the preparation and program activities. This study indicates how art materials apply to clinical practice in a mental health care ward, and this may be useful as basic data on clinical use of art materials and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국방 R&D기술 등급평가 방법론 개발 연구

        정유진(You-Jin Jung),김준영(Joon-Young Kim),정태윤(Tae-Yun Jou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2

        본 논문에서는 국방 R&D기술 평가에 적용 가능한 기술등급평가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국방 R&D기술 등급평가를 위해서 첫째,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한 기술료수입 예측 모델을 설계하여 기술수익지수가 도출되도록 하였다. 모델을 통해 예측된 기술료수입이 커질수록 기술수익지수도 커진다. 둘째, 계층분석방법을 이용하여 기술에 대한 전문가 의견을 다각적으로 반영하는 기술력평가지수가 산출되도록 하였다. 기술력평가지수 평가항목 개발을 위해 델파이기법을 사용하여 전문가 의견을 종합하였고, 요인분석 및 AHP를 사용하여 평가항목을 구조화하였다. 마지막으로 기술수익지수와 기술력평가지수의 가중평균의 크기에 따라 적절한 기술 등급이 도출되도록 하였다. 각 지수별 가중치는 전문가 의견을 종합하여 설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국방 R&D기술 등급평가 방법론은 국방기술을 등급으로 평가가능하게 한 최초의 방법론이다. 다른 분야와 마찬가지로 국방 분야에서도 기술의 연구개발 초기단계에는 불확실성이 크기 때문에 화폐단위로 표시되는 가치평가결과의 정확성이 매우 떨어진다. 따라서 특히 실무적인 관점에서 볼 때 R&D기술 부문에서는 기술등급평가 기법이 긴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방법론을 실무에 적용하게 되면, 국방 연구개발 관련 정책담당자에게 과학적이고 정량적인 기술의 가치 판단기준을 제공하여 효율적인 R&D예산 배분에 기여할 수 있으며, 국방 R&D분야의 기술이전 활성화 업무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This paper presents the technology rating methodology that is applicable to defense R&D technology. First, a technology profitability index was develop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forecast the revenue from technology transfer. Secondly, the technology evaluation index was derived using hierarchical analysis with expert opinion. Finally, the weighted average of the technology profitability index and technology evaluation index were calculated to derive the technology rating.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first attempt to evaluate defense R&D technology by rating. If the defense R&D technology rating methodology is applied in practice, it can contribute to efficient R&D budget allocation. In addition, it will help in the vitalization of technology transfer in the defense R&D sector.

      • NFT 기반 예술시장 동향분석 및 디지털 무용작품 시장의 가치와 전망

        정유진 ( Jung You-jin ) 국제문화&예술학회 2023 국제문화예술 Vol.4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NFT(Non-Fungible Token)란 무엇이며 예술상품의 권리증명으로서의 NFT의 특성을 파악한 뒤 NFT 기반 예술 시장의 동향을 분석하여 무용 작품의 디지털 시장 확장 가능성에 대해 전망해 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NFT 관련 선행연구 분석 및 문헌을 통한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이론적 배경을 서술하고 그 후 현재 온라인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디지털 예술작품의 NFT 거래 사례를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해 내는 통합 질적 연구이다. 연구결과: 첫째, NFT는 블록체인 상에서 유통되는 고유의 값이 있는 토큰으로 무용 창작 작품을 NFT로 소유권을 가질 경우 그 작품에 코드값을 부여받게 되고 이를 블록체인에 기록함으로써 온전히 본인의 창작품으로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작품의 소유권을 가진 원작자의 작품은 경제적 가치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작품을 복제하거나 위조 및 조작이 불가능한 블록체인의 특성 때문이다. 둘째, NFT 디지털 아트 플랫폼 현황을 살펴보니 플렛폼은 6개로 Open Sea, Nifty Gateway, Super Rare, Rarible, Strmnft 등이다. 이러한 NFT 플랫픔은 서로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사용자 친화적으로 가상화폐를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NFT는 저작물로서 또 예술 작품의 투자 수단으로도 각광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현재 희소성에서 가치를 지니는 고유한 디지털 자산 시장이 수요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고유성과 독창성을 가진 NFT 기술은 온라인상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전망하게 한다. NFT의 가치로는 토큰화 된 아이템의 저장 위치와 NFT의 콘텐츠의 사용 환경 그리고 NFT의 사용을 제한하는 라이선스 계약 등이다. 그러나 NFT의 이러한 가치 전망에도 불구하고 무용작품의 경우 NFT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넷째, 무용작품의 디지털 시장이 확장될 것이란 가능성이 크다. 영상을 통한 디지털 무용작품화와 이를 디지털 자산으로서의 가치를 따져볼 때 NFT는 무용작품 창작이나 매매 등의 새로운 방식이 될 수 있으므로 앞으로 무용작품의 디지털 시장이 확장될 것으로 본다. 결론: 오늘날 예술은 디지털 기술이 인공지능시대에 예술이 되었다고 할 만큼 기술이 중요하다. 또한 앞으로의 미래사회는 문자보다는 영상이나 이미지에 더욱 집중할 것이라는 예측을 가능케 한다. 이러한 예측은 무용작품의 디지털 시장이 확장될 것이란 가능성과 함께 앞으로 무용 안무가들은 NFT 무용작품의 필요성이나 활용성 그리고 무엇보다 NFT 기술에 대한 이해와 교육이 필요하다. Purpose: In this study, what is NFT (Non-Fungible Token) and the characteristics of NFT as proof of rights to art products were identified.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trends of the NFT-based art market, we intend to predict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digital market for dance works. Methods: The theoretical background is described based on the analysis of NFT-related preceding studies and literature research through literature. After that, it is an integrated qualitative research that draws results by analyzing cases of NFT transactions of digital artworks currently being conducted online. Result: First, NFT is a token with a unique value circulating on the blockchain. If you take ownership of a dance creative work as NFT, the work is given a code value, and by recording it on the block chain, it can be completely recorded as your own creation. In addition, the work of the original author who owns the work can have economic valu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block chain, which cannot be duplicated, counterfeited or manipulated. Second, looking at the current status of NFT digital art platforms, there are six platforms, including Open Sea, Nifty Gateway, Super Rare, Rarible, and Strmnft. Although these NFT platforms are sligh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y are equipped with a user-friendly system for using virtual currency, and it can be seen that NFTs are in the limelight as copyrighted works and as an investment method for works of art. Third, the current digital asset market is increasing in demand, and NFT technology with uniqueness and originality opens up new possibilities online. However, in spite of the prospect of NFT’s value, in the case of dance works, various studies on NFT are needed. Fourth, since NFT can be a new way of creating or selling dance works, it is expected that the digital market for dance works will expand in the future. Conclusion: Today’s art is so important that digital technology has become art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dict that the future society will focus more on video or image rather than text. These predictions, along with the possibility that the digital market for dance works will expand, will require future dance choreographers to understand the necessity and utilization of NFT dance works and, above all, NFT technology and education.

      • KCI등재SCOP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