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시대 궁궐 후원 농경지(農耕地) 조영의 특성

        정우진,심우경,Jung, Woo-Jin,Sim, Woo-Kyung 한국조경학회 2012 韓國造景學會誌 Vol.40 No.4

        본 연구는 조선시대 궁궐 내에 조성된 농경지 조영의 양상과 공간적 특성을 분석하여 유교적 농본 중심의 시대상이 궁궐 안에서 특수한 권농의 공간으로 반영되었음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대상지는 경복궁 후원, 창경궁 후원과 경복궁 신무문 밖 후원이 되며, 문헌조사를 중심으로 수행되었다. 궁궐 후원 농경지는 "농사직설"의 편찬, 친경례와 기곡제의 설행으로 대변되는 조선 통치집단의 권농정책의 연장선상에서 임금이 자신의 거주지인 궁궐 안에 한 해 농사의 풍흉을 가늠할 포지를 조성한 것이며, 국초부터 일제 강점기 직전까지 각 궁궐에서 운영되었다. 조선시대 후원 농경지 4개소에 대한 분석 결과로는 첫째, 세종 때 조성된 경복궁 후원 농경지는 현 향원지 내부에 존재하고 있었으며, 선진농법을 확인하기 위한 시험포지로 조성되었다. 성종이 조영한 창경궁 후원 농경지는 조선 최초의 친경례 직후에 조성되어 적전친경의 맥락으로 이해해 볼 수 있다. 인조는 경덕궁이 임시로 거처했던 시어소임에도 불구하고, 체류의 기간이 장기화되자 정전의 뜰을 파고 농포로 조성하였는데, 조선시대 정치사에서 후원 농경지의 비중이 매우 높았다는 것을 시사한다. 고종이 조성한 경농재 일곽의 농포는 선대의 권농행보를 계승하면서 창경궁 후원 농경지의 공간 구성을 그대로 가져온 특성을 보이고 있다. 둘째, 관수와 수체계, 관경대의 명칭, 입지에 있어서 일정한 공통점이 도출되었는데, 이는 조선시대 농본공간의 보편적 형식으로 판단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후원 농경지 외에 궁궐 내에서 내관들에 의해 관리되던 채전과 국가의 큰 제사에 쓰일 과일을 위한 궁궐 내 과수원의 운영 양상을 고찰하여 조선시대 궁궐 조경이 엄숙함, 질서정연함이나 장식성에만 치중되지 않고,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실용적 생산적 조경공간으로 존재하고 있었음을 밝힐 수 있었다. 또한 궁궐에서 왕실의 주도로 생산적 조경의 다양한 활동이 전개되고 있었고, 임금이 솔선수범하여 선진농법을 시험하였다는 점은 우리의 고유한 궁궐조경의 일면이 되며, 조선의 독자적인 궁궐문화로서 그리고 여타의 유교 국가에는 없었던 유일한 애민농본의 조경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onfucian-oriented agriculture phase of the Joseon Dynasty, which was reflected at the palaces, by analyzing constructional aspects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farmlands at the palace rear gardens. The objective sites were the rear gardens of Gyeongbok Palace, Changkyung Palace, and the outside of Sinmoomoon(神武門) This study was based on literature reviews. The farmlands at the palace rear garden were constructed to self-estimate the year's harvest condition within the palaces. It was a part of the agriculture encouragement policy on governing the group of Joseon like publishing the Nongsajiksul(農事直說) and establishing the Chingyeongnye(親耕禮: king's own cultivation ceremony) and Kikokje(祈穀祭: the rite of praying for grain). In addition, farmlands of the rear garden were operated from the beginning of the state almost until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Gyeongbok Palace rear garden's farmland which begin at the reign of Sejong(世宗) existed at the present Hyangwonji(香遠池) area. It was constructed in order to check the advanced agricultural technologies. The rear garden's farmland in Changkyung Palace, which was executed during the reign of Seongjong(成宗), was constructed right after the initial Chingyeongnye of the Joseon Dynasty. Therefore, it might be understood as the context of the king's own cultivation of the Jeokjeonchinkyung(籍田親耕). Injo(仁祖) dug for farmland in the ground of the Gyemgdeok Palace(慶德宮) though there was some stay palace, when his stay dragged out for too long. This bespeaks that those farmlands at the palace rear gardens were of great importance in the Joseon political history. The farmland near Gyeongnongjae(耕農齋), which was made during the reign of Gojong(高宗), inherited predecessor's walks of the promoting agriculture and exhibited spatial compositions such as the rear garden's farmland at Changkyung Palace. Secondly, irrigation, its water systems, the name of observatory to study farming[觀耕臺] and location requirements for farmland had something in common. It was assumed as universal forms of physiocracy-space in the Joseon Dynasty. In this study, by considering aspects of operating about vegetable garden managed by eunuchs and of the orchard in palace to cultivate fruits for national ceremonies, it could be assumed that landscape architecture of royal palace in the Joseon Dynasty did not only focus on solemnity, orderliness and fanciness but also on the practical and productive which was helpful in life. In addition, the diverse activities of productive landscape architecture led by the royal family in palaces, and the initiatively tested advanced agricultural technologies by the king were considered as an aspect of the Korean traditional specific royal palace landscape architecture. That is considered sole landscape not only to love of the people but also the 'agriculture-first' principle which were absent from other nations.

      • 후인두강에 발생한 거대 신경초종 1례

        정우진,김인경,이현석,이동욱,Jung, Woo-Jin,Kim, In-Kyeong,Lee, Hyun-Seok,Lee, Dong-Wook 대한기관식도과학회 2005 大韓氣管食道科學會誌 Vol.11 No.2

        Neurofibromatosis type II is an autosomal dominant, highly penetrant disease whose hallmark is bilateral vestibular schwannoma. Hearing loss is the most symptom in Neurofibromatosis type II. The patient can also present with tinnitus, disequilibrium, and headache. Cranial nerve symptoms, such as facial numbness or weakness, dysphagia, or hoarseness, can also be present. The authors experienced a case of neurofibromatosis type II having huge retropharyngeal mass, retropharyngeal abscess, and bilateral acoustic neuromas. The infection was controled with aggressive antibiotics with drainage. The huge neurilemmoma in retropharyngeal space was removed successfully via transoral approach. The authors report the case with literature review.

      • KCI등재

        고군산 선유팔경(仙遊八景)의 설정과정과 집경(集景) 특성

        정우진,황국웅,Jung, Woo-Jin,Hwang, Guk-Woong 한국전통조경학회 2019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7 No.4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circumstances around the establishment of the Seonyu Eight Scenic Spots (仙遊八景) in Gogunsan Island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ndscape of each viewing point. The study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since the scenic spots were first established in 1969, their content and sequences have been changed several times, and their names have also been changed to some extent. Until the 1970s, these scenic spots did not have official names for them and were often specified as 'Gogunsan Eight Scenic Spots', and excluded 'the Musan Twelve Peaks (巫山十二峰)'. In addition, viewing points of the eight scenic spots varied across periods. This suggests that, for the early form of Seonyu Eight Scenic Spots, the picturesque scenery of Gogunsan Islands, and Seonyudo Island in particular, was chosen, while eight scenic spots in its vicinity were regarded. Second, the Seonyu Eight Scenic Spots of the early 2000s, which has all eight scenic spots of now, follows the nomenclature of the traditional eight scenic spots by specifying the sequence number with a refined name in four syllables. Its first scenic spot was Mangju Waterfall (望主瀑布) and its eighth scenic spot was Seonyu Sunset (仙遊落照); currently, the first scenic spot is Seonyu Sunset and the second scenic spot is Mangju Waterfall. Such change in the sequence of viewing points resulted from differences in representative landscape resources between the periods. Third, the lack of structure and finesse due to continuous changes is directed related to the identity issue of the Seonyu Eight Scenic Spots. Above all, it is unclear by whom and when Seonyu Eight Scenic Spots was established, and there are clear traces of following the eight scenic spots in the neighboring areas such as Okgu (沃溝) and Impi (臨陂)'s Eight Scenic Spots. Moreover, it is evaluated to have an unrefined, incomplete structure due to the lack of clarity in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about viewing objects, when to view, and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 Fourth, the first scenic spot, Seonyu Sunset, has the image that dominates the entire Eight Scenic Spots. The temporary landscape, the sunset, became the best view because it was perceived as the entirety of the landscape created by the fusion of the beautiful natural elements of Seonyudo Island. Therefore, there is ample room for raising the value of other landscape resources of Gogunsan Islands by utilizing the existing perception of exploring the entire landscape of Seonyudo Island and Gogunsan Islands starting with Seonyu Sunset. This likely requires additional work to imbue each viewing point with identity and completion. 본 연구는 고군산 선유팔경이 설정된 경위와 각 경점의 경관특성을 고찰한 것으로 요약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1969년 이래 설정된 경점은 수차례 그 내용과 순서가 바뀌었고 표제어 또한 일정한 변천과정이 확인된다. 70년대까지 알려진 팔경은 공식적인 팔경명이 없거나 고군산팔경으로 명명된 경우가 많았으며, 무산십이봉이 제외된 구성을 보인다. 또한 팔경의 경점이 시기별로 제각각인 유형도 나타나는데, 따라서 선유팔경의 초기 형태는 인근 지역의 팔경을 참조하되, 고군산군도 특히 선유도의 경승이 취사선택된 것이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현재와 같은 팔경 요소가 모두 충족되어 나타나는 2000년대 초의 선유팔경은 순번이 명시되어 있고 표제어가 네 글자로 정제되어 있어 전통적인 팔경의 명명법을 따르고 있다. 이때 제1경이 망주폭포로 설정되고 선유낙조가 제8경으로 구분되기도 하였는데, 현재는 제1경이 선유낙조, 제2경이 망주폭포의 순서로 확정되었다. 이러한 경처 순서의 변화는 시기별 대표 경관자원이 달랐다는 점을 잘 보여준다. 셋째, 정체성과 완결성이 약한 점은 선유팔경에 내재된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무엇보다 설정주체와 설정시기가 모호하며, 선행되는 옥구팔경, 임피팔경 등 인근 지역의 팔경사례를 답습한 흔적이 역력하다. 또한 경관대상에 대한 지식정보, 조망하는 시점의 명시, 역사·문화적 배경 등이 모호하여 정제되지 않은 불완전한 체계를 갖는 것으로 평가된다. 넷째, 제1경 선유낙조는 전체 경점을 대표하는 것을 넘어 팔경 전체를 지배하는 주도적인 이미지를 갖는다. 일시적 경관인 낙조가 제일의 경관이 될 수 있었던 것은 그것이 선유도의 아름다운 자연적 요소들이 융합하여 만들어진 경관의 총체로 인식되었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선유낙조를 기점으로 선유도 및 고군산군도 전체 경관을 탐색해 보고자 하는 기왕의 인식을 활용하여, 다른 고군산군도 경관자원의 가치 고양시킬 여지는 충분하다고 판단되며, 이를 위해서 각 경점의 정체성과 완결성을 강화하는 작업이 추가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하이브리드 모바일 앱 프레임워크 설계 및 구현

        정우진,오장훈,윤동원,Jung, Woo-Jin,Oh, Jang-Hoon,Yoon, Dong-Weon 한국정보통신학회 2012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6 No.9

        In this paper, in order to improve the execution performance and serviceability of cross-platform applications frameworks based on the existing web applications, we design and implement a new hybrid application framework named as WApplE.js, which enables direct control of native UI(User Interface) of mobile operating systems and various resources via JavaScript. We first present the design results for the overall software structure and the configuration of every layer of WApplE.js, and then analyze the processes for calling and handling APIs in the implemented hybrid application framework. In addition, the results of comparison of features to the existing frameworks are presented. 본 논문에서는 기존 웹앱 기반의 하이브리드 모바일 앱의 실행 성능 및 사용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각 모바일 운영체제가 지원하는 네이티브 UI(User Interface) 및 각종 자원을 자바스크립트(JavaScript)를 이용하여 직접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하이브리드 모바일 앱 프레임워크인 WApplE.js를 설계하고 구현한다. WApplE.js 프레임워크의 전체 소프트웨어 구조 및 레이어별 구성에 대하여 설계 결과를 제시하고, 구현된 하이브리드 앱 프레임워크에서 사용자의 API 호출 및 처리 프로세스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며, 기존 프레임워크들과 특징을 비교하여 그 결과를 제시한다.

      • KCI등재후보

        고용안정성과 삶의 질 간의 관계에서 고용 관련 만족도의 매개효과 검증 : 고령 근로자를 중심으로

        정우진,정승철,Jeong, Woo Jin,Jung, Sung Cheol 한국벤처혁신학회 2020 벤처혁신연구 Vol.3 No.1

        본 연구에서는 노인 일자리의 고용 안정성과 노인의 전반적인 삶의 질이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지 살펴보고 나아가 고령층의 고용 안정성과 전반적인 삶의 질 사이에서 임금 만족도, 근무 환경 만족도, 전반적인 직무 만족도의 변인으로 이루어진 고용 조건 만족도의 매개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7차 고령화연구조사패널(KLoSA) 조사 데이터에서 임금 근로자만을 추출하여 변인들 사이의 상관관계와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고용 안정성과 고용 조건 만족도는 정적관계를 가진 반면, 고용 안정성과 고용 조건 만족도 모두 전반적인 삶의 질과는 부적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고용 안정성이 향상될수록 고용 조건에 대한 만족도는 올라가지만, 전반적인 삶의 질은 하락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고령층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진행할 경우 다른 연령층과는 다른 시각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점과 노인 일자리의 질적 측면을 통하여 고령층의 삶의 질을 분석하려고 했다는 점에서 기존의 연구들과의 차별성 및 시사점을 가진다. In this article, we investigated the overall relationship between the employment stability of senior wage earners and their quality of life. Moreover, we analyzed a mediated effect of satisfaction variables: income satisfaction, work environment satisfaction, and overall job satisfaction. For the research, we used the data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KLoSA) and analyzed the data set of 1,318 senior wage earners.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exist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job stability and job satisfaction, while the overall quality of life has a negative relation with both the job stability and job satisfaction. This study showed a contradictory result from previous studies that claim that the quality of employment such as job stability and job satisfaction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quality of life, and the result implies that the research on senior wage earners requires perspectives different from those on other age groups and social classes.

      • KCI등재

        하중속도 및 수분포화가 암석의 파괴인성에 미치는 영향

        정우진,Jung. Woo-Jin 한국방재학회 2011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1 No.4

        본 연구에서는 하중속도 및 수분포화가 암석의 파괴인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건조 및 수분포화상태의 3종류의 암석을 대상으로 정적 및 충격하중하에서 세브론 휨시험(CB시험)을 실시하였다. 충격하중 시험에서의 하중속도는 충격추의 높이를 변화시켜 조절하였다. 시험결과, 암석의 동적파괴인성은 하중속도가 증가됨에 따라 비교적 크게 증가하였다. 수분포화의 영향으로 응회암의 동적파괴인성은 크게 감소하였으나, 사암과 화강암은 건조상태와 포화상태와의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The fracture toughness of rock was measured by Chevron bend Tests. In order to make sure the effects of loading rate and water saturation on the fracture toughness of rocks, Chevron bend tests under static and impact loading using three different types of rocks in both saturated and dry states. In the Impact loading test, the loading rate was adjusted by changing the drop-height of a drop hammer. the testing results showed that dynamic fracture toughness of rocks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loading rates. Water saturation induced a substantial decrease in both the dynamic and static fracture toughness of Tage tuff, while we coul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ynamic and static fracture toughness for Kimachi sandstone and Inada granite between dry and saturated states.

      • KCI등재

        고종 연간에 조성된 궁궐 후원 다용도 공지(空地)의 활용양상

        정우진,권오만,심우경,Jung, Woo-Jin,Kwon, Oh-Man,Sim, Woo-Kyung 한국조경학회 2013 韓國造景學會誌 Vol.41 No.3

        본 연구는 조선시대 궁궐 후원에 위치한 다용도 공지의 조영역사를 구명하고, 이와 내적 맥락을 같이 하는 고종 연간의 다용도 공지를 고찰한 것으로서, 중건 경복궁 및 경운궁 임어기에 후원 공지를 조성한 배경과 그 이용에 관한 조사가 이루어졌다. 궁궐 내의 다용도 공지는 조선의 정치무대에서 매우 중요한 기능적 공간이자, 국가운영의 기반시설이 되었다. 조선이 성립된 후로 창덕궁에서 왕실의 행사를 거행하는 공지로는 광연루(廣延樓)와 해온정 사이의 공터, 열무정(閱武亭) 일대, 서총대와 춘당대(春塘臺)가 조사되었으며, 여기서 활쏘기, 과거시험, 군사훈련과 다양한 연회가 이루어졌다. 고종 즉위 후에는 중건 경복궁에 경무대(京武臺)가 조성되었고, 경운궁에 환어한 고종 34년 뒤에는 경희궁이 영외 후원처럼 사용되었다. 두 공간의 특징으로, 신무문(神武門) 밖 후원의 경무대는 창덕궁의 공간구성이 이입된 특성이 있으며, 경희궁의 경우 원활한 공간 연계를 위해 운교(雲橋)가 설치되었다. 특히 고종 시대 후원 다용도 공지는 과거시험이나 시사(試射)와 같은 이전에도 있었던 국가적 행사장의 의미를 넘어서 제국주의 열강의 조선 침탈이 가속화 되는 시점에서 일국의 자주독립을 대내외적으로 과시하고, 국왕의 위엄과 권위를 보여주는 장소로 기능하였다. 또한 다용도 공지가 대규모 인원을 동원한 관병식(觀兵式) 등의 군사조련장으로 주로 활용된 사실은 시대성을 반영한 결과로 간주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onstruction background of multi-functional vacant grounds in the rear gardens of Kyeongbok Palace and Kyeongun Palace, by understanding the building history of multi-functional vacant ground during the Joseon Dynasty with a special reference to the places formed in the period of King Kojong. The multi-functional vacant grounds in the Palace were the important element from the political aspect of Joseon Dynasty, and became an infrastructure of a state - run organization. The vacant space between Kwangyeonlu(廣延樓) and Haeonjeong, the whole region of Yeolmujeong(閱武亭), Seochongdae(瑞蔥臺), and Chundangdae(春塘臺) were investigated as the multi-functional places, where the events were held for the royal family in the Changdeok Palace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Joseon Dynasty. Various events such as the archery competition, official examination and military training were held at the places. After the inauguration of King Kojong, Kyeongmudae(京武臺) was made in the process of the reconstruction of the Kyeongbok Palace. The Kyeonghee Palace was used as the off-palace rear garden after the year that King Kojong returned to the Kyeongun Palace. The characteristics of two spaces were to apply the space organization of the Changdeok Palace into the rear garden outside of Sinmumun(神武門), Kyeongmudae at Kyeongbok Palace and the pedestrian overpass was established to connect the spaces efficiently in Kyeonghee Palace. Especially, the multi-functional vacant ground in the rear garden during the period of King Kojong functioned as the place to show off the internal and external independence of a nation and to show the authority and dignity of King at the point of time that accelerated the plundering Joseon Dynasty by Japanese imperialism powers, beyond the meaning of national event space that had existed before, such as official examination or archery test. In addition, the fact that the multi-functional vacant ground used as training place for military exercise where many people were mobilized was considered to reflect the contemporary situation.

      • KCI등재

        조선시대 성균관 반수(泮水)의 연원과 특성

        정우진,심우경,Jung, Woo-jin,Sim, Woo-Kyung 국립문화재연구원 2012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5 No.3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about the Bansu which surrounded the Sunggyungwan(成均館), national university in the Joseon Dynasty to get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landscape at Korean traditional school campus by analyzing cultural meaning and historical origin. The earliest record about the Bansu was in "The Book of Odes(詩經)" as Bansu was the water flowing near the Ban palace(泮宮). But, in the following time, Bansu has become the symbol of the school which was built by the feudal lords and one of very important elements in the temple-school(廟學) landscape. The Bansu of Sunggyungwan at Joseon Dynasty was the streams flowing at the east and west of the school campus and get together at the south. Sunggyungwan was located in the sacred place which followed the special organization of Bansu at the beginning of the Joseon Dynasty. And, Bansu in Joseon Dynasty was influenced by the Bansu in Song Dynasty(宋), but it was different from the Bansu in Ming and Qing Dynasty which has been formulated as the halfround pond in front of the school. This research tried to find the reason why in the Josenon Dynasty the stream flowing around the school was regarded as the Bansu. Bansu was also regarded as an important element in the public school, Hyanggyo(鄕校) and the private Seowon(書院). According to this research, the streams which flows around the Seowon or the Hyanggyo were found as called Bansu. Water stream around the Hyanggyo and the Seowon in the Joseon Dynasty has to be reconsidered under the deep research on the organization of Ban-su. 본 연구는 조선시대 성균관을 끼고 도는 물인 반수의 역사적 기원과 문화적 함의에 대한 고찰을 통해 한국 전통조경에서 학교 조경의 특질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반수를 기록한 최초의 문헌인 "시경"에서 반수는 반궁 곁에 흐르는 하천으로 묘사되어 있었다. 그러나 후대에 반수는 제후의 학교인 반궁(泮宮) 조영에 있어 필수적인 조경시설이 되었고, 묘학의 중요한 위상을 점유한 수계로 인식되었다. 조선시대 성균관 반수의 개념은 학교 동서로 물이 흐르고 남쪽에서 합류되는 물길을 말하며, 성균관은 국초에 개성 성균관의 공간구성을 답습하여 이러한 지세가 있는 곳에 입지되었다. 또한 고려시대의 반수제도는 송대의 반수개념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여겨지는데, 이것은 묘학 내부에 반원형의 반지를 조성하는 명 청시대 이후 정형화된 중국의 전범과는 달리, 조선시대 성균관이 묘학 외부의 수계를 반수로 이용하게 된 원인으로 판단된다. 조선시대의 반수 조영관은 몇몇 향교와 서원의 택지에 있어서도 중요한 조건으로 고려되었던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조선시대 창건된 향교와 서원에서 학교 둘레를 흐르는 물길은 반수 조영관에 입각하여 재고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북한산 이계구곡(耳溪九曲)의 위치비정과 집경(集景) 특성

        정우진,노재현,이희영,Jung, Woo-Jin,Rho, Jae-Hyun,Lee, Hee-Young 한국전통조경학회 2017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5 No.3

        본 연구는 이계 홍양호가 설정하고 그의 손자 관암 홍경모가 경영한 이계구곡의 향유거점을 문헌 및 현지조사를 통해 실증적으로 추적하는 한편, 구곡의 형식 및 집경방식에 나타난 특징을 검토하는 것이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우이동은 조선시대에 도성의 영역에 속한 땅이자 지금도 행적구역상 서울특별시에 속한 곳이다. 따라서 이계구곡은 예나 지금에나 수도에 있는 유일한 구곡이었다는 특별한 의미로 받아들여진다. 이계구곡은 우이천 상류의 만경폭을 제1곡으로 시작하여 계곡을 따라 내려오며 제2곡 적취병, 제3곡 찬운봉, 제4곡 진의강, 제5곡 옥경대, 제6곡 월영담, 제7곡 탁영암, 제8곡 명옥탄, 제9곡 재간정으로 구성된다. 이중에서 만경폭, 찬운봉, 옥경대는 그 위치를 확정할 수 있을 정도로 특징적인 경물상이 명확히 드러나 있었으며, 진의강, 월영담, 명옥탄, 재간정 터는 구곡기의 묘사와 현지의 지표상황을 통해 유력한 추정지를 찾을 수 있었다. 그러나 적취병, 탁영암의 경우 비근한 영역 내에 기문의 내용과 유사한 복수의 지점들이 나타났는데, 지형 경관 경물의 현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제1의 추정지를 판단하였다. 이로서 1곡에서 9곡까지 총거리 2.1km의 선적 경로와 구조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점은 구곡이 5리(약 1.96km)에 지나지 않는다는 관암의 설명과도 근사하다. 2. 18세기 말에 설정된 이계구곡은 홍양호가 우이동을 풍산 홍씨의 소유로 귀속시킨 뒤 선영의 묘소가 있는 터전을 가문의 공간으로 만드는 일련의 작업에서 비롯되었다. 이계구곡은 구곡이 상류에서부터 하류방향으로 전개된다는 점과, 거점지가 8곡에 위치하는 등 구곡의 일반적인 형식과 적지 않은 차이점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는 가문의 영역을 우이동 초입에 위치한 타 가문의 세력권과 분리시켜 우이동을 점유하려는 원심적 구성으로 해석되지만, 한편으로 우이동을 대표하는 경물인 미륵폭포[만경폭]부터 계곡의 주요 승경에 곡의 순서를 정하고 8곡에 위치한 자신의 거처를 사실상 구곡의 지향점으로 삼는 구심적 공간 만들기의 결과로도 판단된다. 3. 이계구곡에는 여타의 구곡에 비해 설정자와 경영자가 남긴 기문과 시문이 다량 제작된 반면, 구곡도, 각자 등 동반되는 시각적 매체가 전무하다. 그러나 관암의 문집에 수록된 "이계구곡대자첩(耳溪九曲大字帖) 발미(跋尾)"에는 각자를 새기려고 했던 시도가 있었음이 나타나 있다. 본 연구는 송시열 글씨로 알려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미공개 필첩이 홍양호의 구곡명 유묵을 성첩한 "이계구곡대자첩" 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mpirically trace the junctures of Yigye-gugok managed by Gwan-am Hong Gyeong-mo, a grandson of Yigye Hong Yang-ho who originally designed Yigye-gugok, while reviewing the features of the forms and patterns of gugok.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1. Ui-dong was part of the domain of the capital during the Chosun dynasty, which also is located in the city of Seoul as a matter of administrative zone. Likewisely, Yigye-gugok is taken as a special meaning for it was one and only gugok. Starting with Mangyeong Waterfall as the $1^{st}$ gok, Yigye follows through the $2^{nd}$ gok of Jeokchwibyeong Rock, the $3^{rd}$ gok of Chanunbong Peak, the $4^{th}$ gok of Jinuigang Rock, the $5^{th}$ gok of Okkyeongdae Rock, the $6^{th}$ gok of Wolyeongdam Pond, the $7^{th}$ gok of Tagyeongam Rock, the $8^{th}$ gok of Myeongoktan Stream, and the $9^{th}$ gok of Jaeganjeong Pavilion. Of these, Mangyeong Waterfall, Chanunbong Peak, and Okkyeongdae Rock are distinct for their locations in as much as their features, while estimated locations for Jinuigang Rock, Wolyeongdam Pond, Myeongoktan Stream, and Jaeganjeong Pavilion were discovered. However, Jeokchwibyeong Rock and Tagyeongam Rock demonstrated multiple locations in close resemblance to documentary literatures within secretive proximity, whereas geography, scenery, and sighted objects were considered to evaluate the 1st estimated location. Through these endeavored,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e shipping routes and structures for the total distance of 2.1km running from the $1^{st}$ gok to the $9^{th}$ gok, which nears Gwanam's description of 5ri(里), or approximately 1.96km for gugok. 2. Set towards the end of the $18^{th}$ century, Yigye-gugok originated from a series of work shaping the space of Hong Yang-ho's tomb into a space for the family. Comparing Yigye-gugok to other gugoks, numerous differences are apparent from beyond the rather more general format such as adjoining the $8^{th}$ gok while paving through the lower directions from the upper directions of the water. This gives rises to the interpretation such that Yigye-gugok was positioned to separate the doman of the family from those of the other families in power, thereby taking over Ui-dong. Yet, the aspect of the possession of the space lends itself to the determination that the location positioned at the $8^{th}$ gok above Mangyeongpok Waterfall representing Wooyi-dong was a consequence of the centrifugal space creation efforts. 3. While writings and poetic works were manufactured in such large quantities in Yigye-gugok whose products of setters and managers seemed intended towards gugok-do and letters carved on the rocks among others, there is yet a tremendous lack of visual media in the same respect. 'Yigye-gugok Daejacheop' Specimens of Handwriting offers the traces of Gwanam's attempts to engrave gakja at the food of Yigye-gugok. This research was able to ascertain that 'Yigye-gugok Daejacheop' Specimens of Handwriting was a product of Hong Yang-ho's collections maintained under the auspices of the National Central Museum, which are renowned for Song Shi-yeol's penmanship.

      • KCI등재

        도시집단기억에 의한 서울미래유산의 유형분석

        김일림 ( Kim Il Rim ),정우진 ( Jung Woo Jin ) 한국사진지리학회 2021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31 No.2

        서울미래유산은 서울의 근현대 문화유산 중에 문화재로 등록되지 않고, 미래 세대에게 전달할 유·무형의 가치 있는 유산을 의미한다. 이는 도시집단기억에 의해 시민들의 자발적 참여를 기초로 하고 있으며, 서울시는 2012년부터 기획하여 현재 489건으로 분과별 시민생활 152건, 문화예술 114건, 도시관리 108건, 산업노동 68건, 정치역사 47건을 선정하였다. 유산분포는 서울 중심의 중구와 종로구가 각각 100여 건으로 가장 높고, 성북구와 용산구가 20여 건이 넘으며, 그다음은 서울시 교통발달 노선에 따른 시민생활의 활동 동선과 맥을 같이하고 있다. 초기에는 시행착오로 이탈 소유자들이 있었지만 현재는 운영, 관리 및 지원 등에 완성도가 높아지고 있다. 관련 콘텐츠 개발사업은 시민 대상으로 매달 답사 및 주제별 사진공모전, 전시 등 다양한 행사를 시민체험형으로 개최하고 있다. 향후 서울 미래유산은 산·학·관·민의 체계적인 아카이브 구축, 보존 관리와 지원, 콘텐츠 개발과 활용이 요구된다. Seoul Future Heritage means a valuable heritage, both tangible and intangible, to be passed on to future generations, not registered as cultural assets among the modern and contemporary cultural heritages of Seoul. This is based on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citizens through the urban collective memory, and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has been planning since 2012 and currently 489 cases were selected by division, 152 cases of civic life, 114 cases of culture and arts, 108 cases of urban management, 68 cases of industrial labor, and 47 cases of political history. The distribution of heritage is the highest in Jung-gu and Jongno-gu in the center of Seoul with about 100 cases each, followed by Seongbuk-gu and Yongsan-gu with more than 20 cases, followed by the flow of civic life activities along the transportation development route of Seoul. In the beginning, there were owners who left by trial and error, but now the level of perfection in operation, management and support is increasing. The related content development project holds various events such as monthly visits, subject-specific photo contests, and exhibitions for citizens as a citizen experience type. In the future, Seoul Future Heritage requires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atic archive jointly with industry, academia, government, and the public, preservation management and support, and content development and util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