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 애착유형이 그룹과제수행에 대한 자신감과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

        정선영(Joung Sun-Young),허영림(Hur Young-Rim)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8 한국청소년연구 Vol.1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애착유형이 사회적 상호작용을 요구하는 일반적인 그룹과제수행상황에서의 자신감과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러한 애착유형이 그룹과제수행에 대한 자신감과 만족감을 설명하는 모형을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으로는 378명의 서울시내 K대의 대학생이 참여했으며, 애착유형을 알아보기 위해, Bartholomew와 Horowitz(1991)의 성인애착질문지를, 그룹과제수행에 대한 자신감과 만족감을 알아보기 위해, Keller(1989)의 학습동기측정검사지에서 자신감과 만족감 부분만을 연구목적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애착유형을 Bartholomew와 Horowitz(1991)에 의한 자기-타인의 이원모델에 따라 안정형, 회피형, 양가형, 공포형의 4가지로 분류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피험자의 약 60%가 안정애착유형을, 약 25%가 양가애착유형을, 나머지 10% 미만이 각각 회피와 공포의 애착유형을 보였다. 또한, 애착유형은 사회적 상호작용을 요구하는 그룹과제수행의 상황에 대한 자신감과 만족감에 유의한 영향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그룹과제 수행의 상황에서 집단구성원을 조직하고, 학습자가 선호하는 학습방법을 선택하는데 유의한 정보를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ttachment styles of university students on the confidence and satisfaction levels toward group project performance, involving their social interactions with others. In addition, it also sought to establish a model for predicting confidence and satisfaction levels in a group project performance environment. 378 university students at Kuniversity in Seoul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as subjects. For the research instruments themselves, the researchers used revised versions of the adult attachment questionnaire (Bartholomew & Horowitz, 1991) and the learning motivation measurement instrument (Keller, 1989).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pproximately 60% of the subjects exhibited a secure attachment style, approximately 25% of them exhibited an ambivalent style, and less than 10% of them exhibited an avoidant and controlling style respectively. These attachment style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levels of confidence and satisfaction in group project performance at alpha of .05. The current research results provide useful guidance in regards to effectively organizing group members in group project performance environments and selecting appropriate learning methods based on learner's preferences.

      • 청소년의 애착유형과 자기조절학습능력인식간의 관계 연구

        정선영(Sun Young Joung),김진영(Jin Young Kim) 국민대학교 교육연구소 2010 교육논총 Vol.29 No.-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애착유형과 자기조절학습능력 인식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으로는 347명의 경상북도 포항시 D중학교 1~3학년생이 참여했다. 검사도구로는 애착유형을 알아보기 위해, Bartholomew와 Horowitz(1991)에 의한 성인애착질문지, 양명희(2000)에 의한 자기조절학습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애착유형이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전반적으로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소인 인지조절능력, 동기조절능력, 행동조절능력에 있어서도 각각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인지조절과 동기조절 능력에서는 안정애착과 공포애착과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양가나 회피애착유형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행동조절능력에서는 안정애착과 양가 및 공포애착유형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회피애착유형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The purpose of curr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juvenile attachment,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347 D middle school students in Kyungsang province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as subjects. For the research instrument, the researchers used the revised adult attachment questionnaire (Bartholomew & Horowitz, 1991) to analyze ones' attachment styles questionnaire by Yang(2000),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questionnaire by Yang (2000).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secure attachment also showed higher self-regulated learning skills in general as well as in the cognitive, motivative, and behavioral self-regulation. Specifically, the secure attachment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 in cognitive and motivative self-regulation than the fearful-avoidants but not than the avoidants or ambivalents The secure attachment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 in behavioral self-regulation than the fearful-avoidants and ambivalents but not than the avoidants.

      • KCI등재

        예비유아 교사의 메타인지와 사회적 문제해결기술의 관계연구

        정선영(Joung Sun young),김진영(Kim Jin 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1 No.3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가 인지하는 메타인지와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 문제해결 기술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으로는 211명의 T광역시의 예비유 아교사가 참여했으며, 메타인지 검사도구로는 Schraw와 Dennison(1994)이 제작한 Meta-cognitive Skill 측정도구를, 사회적 문제해결기술은 D\ zurilla 와 Nezu(1990)가 제작한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척도(SPSI: Social Problem-Solving Inventory)를 취하 여 본 연구에 부합되게 여러 차례 전문가 검토와 수정 및 보완 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메타인지가 높은 집단은 메타인지가 낮은 집단에 비해 사회적 문제 해결기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메타인지의 하위요인인 계획하기, 정보관리하 기, 모니터링하기, 수정하기, 평가하기 모두 사회적 문제해결기술을 유의하게 예측하 는 요소로 나타났으며, 그 중 모니터링이 가장 유의한 핵심요소로 분석되었다. 메타 인지의 하위요소가 사회적 문제해결기술의 하위요소인 문제규정, 대안산출, 의사결 정, 실행확인을 예측하는 설명력을 알아본 결과 제규정을 예측하는 핵심요소는 정보 관리하기였고, 대안산출과 의사결정 및 실행확인을 예측하는 핵심요소는 모니터링 하기였다. 따라서, 메타인지의 5가지 하위요소 중 모니터링하기가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 문제해결에서 가장 중요하게 작용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에서 예비유아교사를 양성하는 프로그램과 교육과정을 계획하고 실천하는데 유용한 시사점을 준다 The curr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meta-cognition and social problem solving skills. The research subjects were 211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in T-city. For the measurement of meta-cognition, the Meta-cognitive Skill inventory developed by Scharaw and Dennison(1994), for the measurement of social problem solving skills, SPSI(Social Problem-Solving Inventory) developed by D zurilla and Nezu(1990) were used after expert reviews and several revisions to meet the research goal.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he groups with higher meta-cognition solved the social problems better than those with lower meta-cognition. Among the sub-components of meta-cognition, planning, information-managing, monitoring, debugging, and evaluating, all of them appeared to be significant factors. Particularly, monitoring w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The results of investigating the prediction power of sub-components of meta-cognition, information management was the core predictor for problem definition. Also, monitoring was the most powerful predictor for solution generation, decision-making, and performance confirmation. Accordingly, meta-cognition, particularly monitoring among five sub-components of meta-cognition, is the most important predictor for social problem-solving. The current research suggests useful advices in planning and practicing educational programs and curriculum for kindergarten teacher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이스라엘 하브루타 원리에 기초한 온라인 토론활동의 상호작용패턴 분석

        정선영(Joung, Sun young),최현(Choi, Hyun 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0

        본 연구에서는 이스라엘 하브루타 원리에 기초한 온라인 토론활동에서 나타난 학습자의 상호작용을 질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하브루타 온라인 상호작용의 유형 및 특성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의 K대학에서 교육공학 과목을 수강하는 대학생 16명을 대상으로 2015년 3월부터 6월까지 이스라엘 하브루타 원리에 기초한 온라인토론을 실시하였다. 상호작용을 분석하기 위해 12주 동안 5개의 주제로 이루어진 토론활동의 자료들을 수집하여 범주화하여 상호작용 유형을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하브루타 원리에 기초한 온라인 토론활동에서 나타난 상호작용의 유형은 주장을 주의 깊게 들여다보기, 차이를 발견하고 탐색하기, 설득력 있는 근거 제시하기, 의미 절충하고 확장하기, 변화와 도전 및 협력하기 등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하브루 타 토론활동을 통해 학습자들에게 지속적인 질문과 답변을 통한 질 높은 상호작용의촉진을 돕고, 교수자들에게 온라인 하브루타 토론활동의 교수학습에 대한 새로운 전략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국내외 하브루타 토론활동의 활용 및 적용에 있어 교육현장에 많은 의의와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rising emphasis of innovation and creativity in education has shed light on a unique Jewish teaching method, known as havruta. Havruta is Israel’s traditional form of Jewish debating, in which two persons examine, analyze, discuss, and facilitate arguments whilst thinking through answers and questions repetitively with each oth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online discussion by analyzing those of interaction patterns peformed based on the principles of Israeli’s Havruta.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6 students, who registered for educational technology certificate-related courses at K University in Seoul. The subjects participated in online discussion activities on five different topics, and it was carried out for 12 weeks. To analyze the interaction patters of online discussion, Gunawardena et al’s (1997) Interaction Analysis Model was adapted.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he type of interaction that was indicated by online discussion activities based on Israel s havruta principle were diverse - ranging from being attentive to arguments and opinions, discovering differences and investigating, proposing credible evidences, meaning negotiation and extension, open to changes, challenges and cooperation etc. By utilizing online havruta’s discussion activities, it is expected that interactions through questions and answers to the learner will be promoted extensively, and provide new strategies and new way of learning for online havruta discussional activities for scholars. In addition, this study of the online discussion activities based on the principle of Israel s havruta will give influence to education in South Korea, opening up as a momentous educational outbreak both nationally and internationally.

      • KCI등재

        예비유아 교사의 셀프리더십과 사회적 문제해결기술의 관계

        정선영(Joung Sun young),김진영(Kim Jin 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2 No.3

        The curr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self-leadership and problem-solving. The research subjects were 203 pre-service preschool teachers in T-city. For the measurement of self-leadership, RSLQ(Revised meta-cognition Questionnaire) by Houghton and Neck(2002), which was validated for Korean college students by Shin, Kim, and Han(2009); and for the measurement of social problem solving skills, SPSI(Social Problem-Solving Inventory) developed by D\ zurilla and Nezu(1990) were used after expert reviews and several revisions to meet the research goal.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he groups with higher self-leadersip had higher social problem-solving skills than those with lower self-leadership. Among the sub-components of self-leadership, behavior centered strategy and innovative thinking strategy except from natural compensation strategy appeared significant factors. Particularly, behavior centered strategy w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The results of investigating the prediction power of sub-components of self-leadership on social problem-solving,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for problem definition was behavior centered strategy; that for solution generation was innovative thinking strategy; that for decision making was behavior centered strategy, that for execution confirmation was behavior centered strategy. The current research suggests useful advices in planning and practicing educational programs and curriculum for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가 인지하는 셀프리더십과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 문제해 결기술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으로 203명의 T광역시에 거주하 는 예비유아교사가 참여했으며, 셀프리더십 검사도구로는 Houghton과 Neck(2002) 이 제작한 RSLQ(Revised Self-Leadership Questionnaire)를 신용국, 김명소, 한영석 (2009)이 우리나라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타당화 한 척도를 바탕으로 하고, 사회적 문 제해결기술은 D\ zurilla 와 Nezu(1990)가 제작한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척도(SPSI: Social Problem-Solving Inventory)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 부합되게 여러 차례 전문 가 검토와 예비검사를 통해 수정 및 보완 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셀프 리더십이 높은 집단은 셀프리더십이 낮은 집단에 비해 사회적 문제해결기술이 더 높 은 것으로 나타났다. 셀프리더십의 하위요소 중 자연보상전략을 제외한 행동중심전 략과 건설사고전략이 사회적 문제해결 기술을 예측할 수 있는 유의한 요소로 나타났 으며, 그 중 행동중심전략이 가장 핵심적인 요소였다. 또한, 셀프리더십의 하위요소 가 사회적 문제해결기술의 하위요소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사회적 문제해결 기술의 하위요소인 문제규정을 예측할 수 있는 가장 핵심적인 요소는 행동중심전략 이었다. 사회적 문제해결기술의 하위요소인 대안산출을 예측할 수 있는 가장 핵심적 인 건설사고 전략이었다. 사회적 문제해결기술의 하위요소인 의사결정기술을 예측 할 수 있는 유일한 요소는 행동중심전략이었다. 사회적 문제해결기술의 하위요소인 실행확인을 예측할 수 있는 가장 핵심적인 요소는 행동중심전략이었다. 본 연구결과 는 예비유아교사의 교육프로그램 및 교육과정개발에 유용한 시사점을 줄 것이다.

      • KCI등재

        제3차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영아용 예술경험활동 평가도구 연구

        박현(Park, Hyoun-Joung),현숙(Jeong, Hyun-Suk),정선영(Joung, Sun-Young)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4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89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어린이집에서 영아를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는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6영역 중 예술경험 영역 활동을 기초로 예술경험 평가도구를 개발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에 소재한 22곳의 어린이집 영아 283명이었다. 예술경험활동 평가도구 초안은 3영역 60문항이었고, 전문가 내용타당도 검증과 요인분석 후에 3영역 18문항이 추출되었다. 최종 추출된 문항은 아름다움 찾아보기 4문항, 예술적 표현하기 10문항, 예술 감상하기 4문항이었고, 개발된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는 모두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어린이집에서 적용할 수 있는 타당화된 예술경험활동과 평가항목을 추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 measurement instrument used to assess the development of two-year-old children after they experienced an art activity based on the third standard care program. The subjects were 283 young children registered at 22 day-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s. After their assigned teachers observed the young children’s activities, the teachers used the given development measurement tool to assess the children’s development level as a consequence of the art experience. As a result of this study, three factors and 18 items were extracted from the initial 60 items after two expert validity examinations and several factor analyses. Those final items comprised four items from browsing beauty, ten items from artistic expression, and four items from art appreciation. The final instrument had high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because valid art experience activities and their evaluation instrument were identified as applicable to two-year-old children in day-care centers.

      • KCI등재

        멀티미디어학습에서 캐릭터 에이전트의 활용이 사회적 실재감에 미치는 영향

        김은주 ( Eun Joo Kim ),정선영 ( Sun Young Joung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8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멀티미디어 학습 환경에서 캐릭터 에이전트가 학습자의 사회적 실재감 증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멀티미디어 학습 교육콘텐츠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프로그램을 실제 학교현장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멀티미디어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와 교사와의 면대면 상호작용의 부재로 인한 심리적 거리감은 학습자에게 고립감과 외로움 등을 유발시켜 누군가와 학습을 같이 하고 있다는 사회적 실재감을 유발시키기 어렵다. 이를 위한 대안으로 교사를 연상시키는 실사 동영상 캐릭터 에이젼트를 활용한 멀티미디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초등학습자가 사회적 실재감을 어떻게 느끼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실험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소재 C초등학교 2학년 2개 학급 80명을 대상으로 1개 학급은 실험집단, 1개 학급은 통제집단에 배치하였다. 통제집단의 멀티미디어 프로그램은 텍스트와 나레이션을 통해 학습내용을 제시하였으며, 실험집단의 멀티미디어 프로그램은 텍스트와 나레이션과 더불어 캐릭터 에이젼트를 통해 학습내용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초등학교 2학년 아동들은 동일한 멀티미디어 학습자료라 할지라도 캐릭터 에이전트의 활용유무에 따라 사회적 실재감에 다른 결과를 보였다.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실재감의 평균은 실험집단의 평균이 통제 집단의 평균보다 높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멀티미디어 학습에서 사회적 실재감을 증진시키기 위해, 캐릭터 에이전트의 활용을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 effect on the sense of social presence in multimedia learning environmen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haracter agent effects in the multimedia learning environment, the researchers developed multimedia learning contents, and implemented the program at the actual school environments. It is likely to difficulty for learners to feel social presence in the multimedia learning environment due to the psychological distance, caused by the lack of face-to-face interactions. The study, therefore, investigated how the elementary students feel the sense of social presence when they study with the multimedia learning program, utilizing an animated character agent imitating a real instructor. The subjects were 80, second grad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rolled in two classes, randomly selected from the C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Kyung-gi province. The multimedia program under the control group presented the learning contents through texts and narrations. That of treatment group, on the other hand, presented the learning contents through a character agent in addition to the texts and narrations. The researcher conducted the experiment for three weeks by assigning the subjects in one class to the control group, those in the other class to the treatment group. According to the experiment results, although subjects both in the control and treatment groups studied the same multimedia learning contents, they sensed the social presense differently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average score of the sense of social presence under the treatment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with statistical difference. The study, therefore, concludes that the use of character agent in multimedia learning environment is effective in providing more sense of social presence.

      • KCI등재

        예비중등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배성아(Bae Sung Ah),정선영(Joung Sun 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2 No.1

        본 연구에서는 예비중등교사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을 토대로 한국 다문화 교육의 현황과 발전방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S시 소 재 한 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중등교사를 대상으로 설문과 인터뷰를 병행하였으며, 설문에 참여한 109명 중 20명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에 참여한 예비중등교사 중 다수가 다문화교육 경험이 없 었고, 경험이 있는 경우 그 경로는 다양했다. 둘째, 다문화교육 필요성 인식에서 인 문계전공 예비중등교사가 자연계전공 예비중등교사보다 다문화교육 전반에 대한 인 식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예비중등교사가 다문화교육의 필요성을 높게 인 식하고 있을 때 다문화교육 인식 또한 전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터 뷰 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다문화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다는 것은 평 소의 다문화에 대한 관심도를 반영하는 것이며 관심이 많은 학생들은 생활 속에서 다문화교육에 대해 숙지하고 경험하려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예비중등교사들은 현재 교사양성 기관에서 다문화교육을 더욱 활성화할 필요가 있 으며, 다문화교육관련 강좌나 프로그램이 예비교사들의 다문화교육 인식수준에 맞 게 다각적으로 접근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on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multiculture education. For the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bout survey and interviews; 109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in survey and 20 preservice out of the 109 randomly selected for interview. As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ly, the most of the preservice teachers had no experience related to multicultural education and for the rest of participants experienced multicultural education through diverse ways (e.g. courses and mass media). Secondly, preservice teachers majoring in humanities courses presented higher perception on multicultural education than preservice teachers majoring in a science track. Thirdly, preservice teachers who are highly aware of implement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showed high perception on multicultural education. This result well presented through interviews of preservice teachers. Lastly, preservice teachers perceived that current preservice teacher programs need to more focus on multicultural education for preservice teachers.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considered that curriculum of pre-service teachers creates opportunities for pre-service teachers to develop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field of secondary education.

      • KCI등재

        제3차 표준보육과정 활동프로그램에 기초한영아용 의사소통 척도 타당화 연구

        신경옥(Kyoung Oke Sin),정선영(Sun Young Jo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9 No.5

        본 연구는 제3차 표준보육과정 중 의사소통영역을 기초로 만 2세용 의사소통 척도를 개발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및 경기 지역에 소재 어린이집 22곳의 영아 286명이었으며, 담당 보육교사가 평가도구를 활용하여 의사소통영역을 관찰한 후 평가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결과로 초기의 4영역 88문항은 2차례의 전문가 내용타당도 검증과 9차례 요인분석 및 전문가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해 최종 4개 영역 21문항이 도출되었고, 구체적으로 듣기 6문항, 말하기 6문항, 읽기 6문항, 쓰기 3문항이었고 타당도와 신뢰도가 모두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영유아 교육현장에서 제3차 표준보육과정의 의사소통 활동과 일관성 있게 활용할 수 있는 발달 척도를 개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n instrument for measuring communication skill development among two-year-old children on the basis of the third standard activity-based care program. Participants consisted of 286 two-year-olds registered at 22 daycare centers in the Seoul and Gyeong-gi provinces. Their teachers assessed their level of communication skills using an instrument. The instrument as initially implemented had 88 question items covering four areas of communication, while the final version retained only 21 items across the four areas after several expert validity examinations and factor analyses. Among the retained items, six were for listening, six for speaking, six for reading, and three for writing; all had high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tandardized activity-based care programs with consistent evaluation instru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