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시대 응급구조(학)과 융복합 교과목 개발을 위한 연구

        정상우,고봉연,이정은,홍성기,김수태,Jung, Sang-Woo,Koh, Bong-Yeun,Lee, Jung-Eun,Hong, Sung-Gi,Kim, Soo-Tae 한국응급구조학회 2021 한국응급구조학회지 Vol.25 No.2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direction of university education according to job type and investigate the types of knowledge required for employment after graduation for departments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in preparation for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a converged society. Methods: From June 3 to June 10, 2019,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tructured questionnaires from 90 paramedics working in firefighting, hospitals, different industries, and emergency patient transporta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oftware SPSS version 18.0. Results: For employment after graduation in departments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character and sincerity education should be strengthened. To prepare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ducational innovations such as improving the field practice system and devising a convergence curriculum are needed. Preparation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hould be accomplish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convergence subjects such as forensic scienc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and safety engineering. Ninety percent of the study respondents indicated their need for convergence subjects. Conclusion: The demands of future society should be responded to flexibly by holding and conducting convergence subjects. Furthermore, preparations should be made in anticipation of a shortage of 120,000 college freshmen for the 2024-2025 school year by increasing the competitiveness of departments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 KCI등재

        생물모니터링 및 환경유전자(eDNA)를 이용한 침입외래종 미국가재(Procambarus clarkii)의 한국분포 현황

        정상우,이재하,김필재,김수환,Jung, Sang Woo,Lee, Jae-Ha,Kawai, Tadashi,Kim, Phil-Jae,Kim, SuHwan 한국환경생태학회 202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6 No.4

        국내 침입외래종 미국가재(Procambarus clarkii)의 생물모니터링을 환경유전자 분석과 함께 2021년 2월부터 10월까지 완주군, 함평군, 나주시, 구례군 청주시, 5지점에서 수행하였다. 조사방법은 우산형통발과 둥근뜰채를 이용하였으며, eDNA 분석을 위해 8~10 L의 물을 채수하였다. 조사지 내의 동소종인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과 함께 과거 분포기록 및 국내 가재류 유통 현황도 분석하였다. 조사결과 미국가재는 총 122개체가 확인되었으며, 함평군에서 59개체(48.36%)로 가장 많은 개체수와 높은 환경유전자(eDNA)가 검출되었고 계절상 5월달에 출현 빈도가 가장 높았다. 암컷과 수컷의 비율은 21:5로 암컷이 우세하였으며, 크기는 암컷이 72.2±21.1 mm, 수컷이 80.5±15.6 mm, 어린개체가 25.3±9.8 mm이었다. 국내에 유입된 미국가재는 남서쪽 지역을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과거에 출현 기록이 있는 서울지역에서는 확인되지 않았다. 미국가재에 외부공생하는 끈거머리지렁이류는 확인되지 않았으며, 국내의 출현한 미국가재는 일본에서부터 수입된 개체로 추정되었다.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외래 가재류는 8종 이상이었으며, 이중 마블가재(Procambarus virginalis)는 2021년에 환경부에서 유입주의 생물로 지정된 종으로 파악되었다. 미국가재 조사지역 일대에 서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은 총 3문 5강 39과 69종이 출현하였으며, 잠자리목이 24.62%, 딱정벌레목과 노린재목이 각각 16.92%로 우세하게 나타났다. 이 중 한반도고유종 1종, 적색목록 범주의 준위협(NT)으로 구분되는 1종, 갑각류는 총 6종이 출현하였다. 섭식기능군에서는 잡아먹는무리가 서식기능군에서는 기어오르는무리가 전체적으로 우세하여 출현하였다. 조사지역 내의 미국가재는 수초와 수변부 식생이 풍부한 지역을 선호하며, 수질이 탁한 곳에서도 내성이 강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잡식성인 미국가재는 동소종에서 우세하게 출현하는 육식성 저서생물과 상호 경쟁관계를 유지할 것으로 보이며, 먹이사슬에 따른 생태계 교란이 지속적으로 일어날 것으로 판단된다. Biomonitoring of an invasive alien crayfish species, Procambarus clarkii (Girard, 1852), was performed from February to October 2021, along with environmental DNA analysis, at five locations including Wanju-gun, Hampyeong-gun, Naju-si, Gurye-gun, and Cheongju-si. For the investigation, an umbrella-shaped trap for adults and a hand net for young crayfish were used, and 8 to 10L of freshwater was collected for eDNA analysis. The current status and past distributional records of crayfish in Korea were analyzed along with benthic macroinvertebrates at each survey site.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a total of 122 individuals were identified, and Hampyeong-gun recorded the largest number of populations with 59 individuals (48.36%) and the highest environmental DNA (eDNA). The frequency of appearance of P. clarkii was highest in May. The ratio of females to males was 21:5, and the body size was 72.2±21.1mm for female, 80.5±15.6mm for male, and 25.3±9.8mm for young crayfish. P. clarkii introduced into Korea is mainly spreading in the southwest region and it has not been observed in Seoul where there had been a record of appearance in the past. No external symbiosis (Branchiobdellida) of P. clarkii has been identified, and P. clarkii that has appeared in Korea was presumed to be imported from Japan. There are more than eight kinds of exotic crayfish distributed in Korea, and among them, the marbled crayfish (P. virginalis) was identified as a harmful species to the ecosystem of Korea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n 2021. The identified specie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habiting the survey area where P. clarkii has appeared were 69 belonging to 39 families, 15 orders, five classes, and three phyla. Among them, Odonata were the most abundant (16 spp.; 24.62%), followed by Coleoptera (11 spp.; 16.92%) and Hemiptera (11 spp.; 16.92%). In the survey area, one Korean endemic species (Rhoenanthus coreanus), one species (Helophorus auriculatus) classified as Near Threatened (NT) on the Korean Red List, and six species of Crustaceans appeared. In the functional feeding group, the predators appeared predominantly while in habitat oriented group, the climbers appeared to be abundant. It was confirmed that P. clarkii in the survey area prefers an area rich in aquatic vegetation with waterside vegetation, and has high resistance to turbid water quality. The omnivore invader P. clarkii is expected to maintain a competitive relationship with carnivorous benthic macroinvertebrates that are predominant in the same species, and is expected to continue to generate ecosystem disturbance along the food chains.

      • 소규모 집합주거지의 필지단위 건축 계획에 관한 연구

        정상우(Jung, Sang-Woo),김형우(Kim, Hyung-Woo) 대한건축학회 2012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3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crease the quality of life through the improvement of residential environment by looking into problems related to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multi-family housing dense areas in Korea and by suggesting an architectural alternative. For this study, a relationship between housing lots and their surrounding land; a relationship between housing lots and streets, which are not adjacent to roads; and a relationship between housing lots and public land are analyzed to investigate problems of multi-family housing dense areas and to suggest development of Urban Plots measures for multi-family housing dense areas.

      • 한반도 비무장지대(DMZ)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생물다양성

        정상우 ( Sang-woo Jung ),민홍기 ( Hong-ki Min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6 No.2

        Benthic macroinvertebrates were investigated from DMZ (Demilitarized zone) area in Korean peninsula. Field investigations were conducted using hand net (mesh size 1mm) and aquatic kick net (mesh size 0.5mm) at 21 site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from July (19~24) to November (13~18) in 2015. As a result, a total of 153 species belonging to 71 families, and 18 orders were recognized: 41 Ephemeroptera species (26.80%), 16 Odonata species (10.46%), 15 Plecoptera species (9.80%), 9 Hemiptera species (5.88%), 7 Coleoptera species (4.58%), 1 Megaloptera species (0.65%), 17 Diptera species (11.11%), 28 Trichoptera species (18.30%), and 19 non-Insecta species (12.42%). Among Insecta, Ephemeroptera and Trichoptera represented the major richness groups; whereas Megaloptera, Coleoptera, and Hemiptera were relatively less diverse. In this study, we found that two endangered species (Lethocerus deyrollei (Vuillefroy) and Libellula angelina Selys), seven Korean endemic species (Rhoenanthus coreanus (Yoon & Bae), Ephemera separigata Bae, Drunella aculea (Allen), Pteronarcys macra Ra et al., Kamimuria coreana Ra et al., Goera jaewoni Park & Bae, Psilotreta locumtenens Botosaneanu) and 15 species belonging to the management of exportable group (Semisulcospira gottschei (v. Martens), Cambaroides similis (Koelbel), Rhoenanthus coreanus (Yoon & Bae), Ephemera separigata Bae, Drunella aculea (Allen), Aeshna caerulea (Strom), Boyeria maclachlani (Selys), Davidius lunatus Bartenef, Libellula angelina Selys, Amphinemura coreana Zwick, Pteronarcys macra Ra et al., Kamimuria coreana Ra et al., Stenopsyche bergeri Martynov, Goera jaewoni Park & Bae, Psilotreta locumtenens Botosaneanu) are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lso, unidentified or rare eight species (Torleya sp., Labiobaetis sp., Scopura sp., Acroneuria sp., Stenelmis sp., Atrichops sp., Tinodes sp., Oecetis sp.) were collected in Eastern North area. This present paper provides the first comprehensive study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 streams of DMZ based on a survey of natural ecosystems by field investigation in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 KCI등재

        국제협약 관점에서 본 우리나라 문화유산 보호 법제도의 과제

        정상우 ( Sang Woo Chong ),정필운 ( Pil Woon Jung ) 한국법정책학회 2011 법과 정책연구 Vol.11 No.3

        최근 문화재보호는 국제적 기구와 국제적 규범들을 통하여 국제화되고 있다. 특히 유네스코를 비롯하여 세계유산위원회, 문화재반환촉진정부간위원회, 국제문화재보존복원센터 등 국제기구와 다자간 협의체, 민간기구가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또한 보편적 가치를 지닌 문화재의 보호 및 불법반출입된 문화재의 반환을 둘러싼 분쟁을 해결하기 위하여 많은 국제협약이 제정되어 시행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이러한 국제기구에서 활발한 활동을 하면서 문화재보호법이 국제적 규범 수준에서 집행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현행 문화재보호법은 국제적 규범과 다소 간의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차이를 극복하고 문화재 보호의 법정책이 보다 발전할 수 있도록 국제적 규범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문화재보호법의 실천 과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Recently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becomes a globalized issue by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international regulation.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UNESCO, WHC(World Heritage Committee), ICPRCP(Intergovernmental Committee for Promoting the Return of Cultural Property), ICCROM(International Centre for the Study of the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of Cultural Property), multilateral consultative bodies, and private organizations are working in various fields. Furthermore, many international are made for resolving issues on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and restitution of cultural treasures. Korean government tries to implement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Act in accordance with international regulation, and to take an active role in international organizations. However, the current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Act of Korea differs a little from international regulation. This thesis suggests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Act`s aims to achieve for the development of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polices and laws.

      • 태안군 일대의 수서곤충 다양성 및 특이종 분포 양상

        정상우 ( Sang Woo Jung ),민홍기 ( Hong Ki Min ),황호성 ( Ho Sung Hwang ),서예지 ( Ye Ji Seo ),배연재 ( Yeon Jae Bae ),백운기 ( Woon Kee Paek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5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5 No.2

        태안군은 충청남도 서해안에 위치(36°23′47″~36°58′42″N, 126°06′36″~126°26′48″E)하고 있으며 강한 조류 및 북서풍의 영향으로 대부분 모래 퇴적지형으로 나타나고 부분적으로 니질(mud) 퇴적물이 우세하게 분포하고 있다(한국해양연구소, 1989). 연평균기온 12.49℃, 연강수량 1,423mm로 몬순기후(monsoon climate)에 속하며 국내 유일한 해안국립공원(328.99㎢)과 천연기념물(제 431호)의 해안사구 및 람사르습지로 지정(2007)되어 있는 두웅습지가 있어 다양한동·식물상 뿐 만 아니라 희귀 동·식물의 서식처로도 알려져있다. 최고해발고도의 백화산(284m)을 제외하면 대부분 해발 100m 안팎의 완만한 경사의 구릉성 산지로 유량이 많은큰 규모의 하천이 발달하지 못하고 대부분 염분이 있는 저수지 형태의 담수생태계를 구성하고 있다. 수서곤충은 담수생태계에서 개체수가 풍부하고 종다양성이 높으며, 다양한 수환경에 적응하여 나타나는 분류군이다. 이에 따라 저차 소비자로서의 먹이사슬 연구, 기후변화연구, 생태독성 평가, 수질환경을 대표하는 지표생물 개발등 다양한 응용연구에 이용되고 있다. 또한 정수지역에 높게분포하는 딱정벌레목(Coleoptera), 노린재목(Hemiptera), 잠자리목(Odonata)은 서식처의 먹이 풍부도에 따라 서식처를 이동하는 무리로 수서곤충이 살아가는 먹이순환 및 환경을 평가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생물이다. 국내 수서곤충의분류 및 생태적인 연구는 1960년대부터 시작되었지만 본격적으로 1980년 후반부터 활발히 연구가 시행되었다. 하지만 유충 분류의 어려움 및 소수의 전공자들로 아직까지 생태학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는 분류군의 분포 및 생태학적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번에 조사된 태안반도지역은 태안군 전체에 위치하고있는 담수생태계를 중점으로 수행하였으며 태안구역 15개지점(태안 St.1~St.15), 안면도구역 10개 지점(안면 St.1~St.10)으로 1차(2015년 6월 8일~6월 11일), 2차(2015년 8월 24일~28일)에 걸쳐 실시하였다. 조사 방법으로는 태안반도 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원형뜰채(Hand net, mesh size = 1.0 mm)와 사각뜰채 (40 × 20cm, mesh size = 0.2mm)를 이용하여 가능한 다양한 미소서식처에서 채집하였다. 수환경조사는 일부 지역에서 수질측정기(YSI Professional WQM, USA)를 이용하여 수온(Water Temperature), 수소이온농도(pH), 용존산소(DO), 염도(Salinity)를 측정하였다. 채집된 표본은 현장에서 96% Ethanol에 고정한 후, 연구실에서 걸러내기(Sorting) 및 동정(Identification) 과정을거친 후 80% Ethanol에 보관하였다. 채집된 수서곤충의 동정은 윤 등(1988, 1995), 원 등(2005), 박 등(2008), 정(2011), 김 등(2013), 권 등(2013)을 참조하였으며, 연구에사용된 모든 표본은 국립중앙과학관 수장고 안에 보관하였다. 조사결과 태안군 전체에서 수서곤충은 총 6목 30과 72종이 조사되었다. 이중 정수지역에 출현빈도가 높은 잠자리목(Odonata)이 22종(30.56%)으로 가장 많은 종수가 출현하였으며, 다음으로 딱정벌레목(Coleoptera) 21종(29.17%), 노린재목(Hemiptera) 17종(23.61%), 파리목(Diptera) 8종(11.11%) 순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하천에서 풍부하게 서식하는 하루살이목(Ephemeroptera), 날도래목(Trichoptera)는 각각 2종(2.78%)로 매우 낮게 출현하였으며, 청청수역을 대표하는 강도래목(Plecoptera)과 유수지역에 서식하는 뱀잠자리목(Megaloptera)는 출현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출현양상은 일반 내륙지역의 수서곤충상과는 다른 해양생태계에 인접한 태안군 담수지역의 독특한 수서곤충상을 반영하고 있다. 수서곤충 전체의 섭식기능군(Functional Feeding Groups: FFGs)과 서식기능군(Habitat orientation groups: HOGs)을 분석한 결과 하천과는 달리 정수지역에 서식하는 잠자리목(Odonata), 딱정벌레목(Coleoptera), 노린재목(Hemiptera)이 우세하게 출현하여 Predators(48종, 66.67%)가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하천에서 대부분 출현하는Shredders, Scrapers, Filtering-Collecters는 출현 빈도가 매우 낮게 나타났다. 서식기능군에서는 Swimmers(24종, 33.33%), Climbers(18종, 25.0%), Sprawlers(12종, 16.67%)가 대부분 차지하였으며, 이는 대부분 섬(Island)과 같은 정수지역에 서식하는 무리의 구성으로 내륙지역의 수서곤충 무리와는 단절된 구성을 나타냈다. 주목할 만한 종들은 환경부적색목록(2013) 범주에 각각 위기(Endangered, EN), 준위협(Near Threatened, NT), 취약(Vulnerable, VU) 범주에 포함되어 있는 “동쪽애물방개(Cybister lewisianus Sharp), 투구물땡땡이(Helophorus auriculatus Sharp), 단발날도래(Agrypnia pagetana Curtis)” 3종이 번식하며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뿐만 아니라 국외반출승인종 2종(Ceriagrion auranticum Fraser, Paracercion melanotum (Selys)), 기후변화 생물지표종(Ischnura elegans (Van der Linden)), 분포특이종 3종(Diplonychus esakii Miyamoto & Lee, C. lewisianus Sharp, H. auriculatus Sharp)의 서식처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주요 분포특이종 및야생에서 높은 절멸 위기에 직면해 있는 4종에 대해서는 환경부 전국자연환경조사(2006년~2012년) 자료를 포함하여 국내 전국의 분포지도를 작성하였다. 이번 태안군 일대의 수서곤충의 종구성 및 분포 자료는 국내 내륙지역과 섬지역의 수서곤충 분포 및 비교 활용자료로 그 가치가 높으며, 독특한 해양기후에 적응하여 나타나는 수서곤충의 생물다양성, 지리적 이동 및 진화관계를 규명할 수 있는 중요한 기본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