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哲學 : 孔子的仁禮和諧思想

        정상봉 ( Sang Bong Jeong ) 한국중국학회 2010 國際中國學硏究 Vol.13 No.-

        孔子說過: "志於道, 據於德, 依於仁, 遊於藝。"(《論語·述而》) 其意思是說: 立志於實現貫穿於天人的終極原理;待人處事應該根據於種種稟德; 爲內聖外王的一切道德實踐依고於仁此一首要之德;人倫日用的日常生活需要悠遊於禮樂射禦書數的六藝。``道``是以天所代表的終極原理和人類的價値趨向。``德``是人們所生而得之於``天``的道德本性。兩者之間有體用本末的關係。再者``仁``是指人們所先天具有的內在本質的德性, 而``禮``就指外在文飾的形式。``仁``與``禮``如``道``與``德``一般亦有相攝相應的關係。從此孔子則指出"文質彬彬"。所謂``文``與``質``各表示文彩性的``禮``和實質性的``仁``, 兩者之中缺一不可。仁禮和諧卽文質彬彬的君子, 在個人層次上是做人處事的理想典範, 同時他在社會層次上能구扮演使得人人和合的角色, 進而促使整個社會充滿道德文化。

      • KCI등재

        다산의 인간관과 효(孝),제(弟),자(慈)의 실천

        정상봉 ( Sang Bong Jeong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4 한국 철학논집 Vol.0 No.43

        이 논문은 인간의 본성에 대하여 형이상학적 설명을 한 주자의 관점을 비판하였던 다산이 어떻게 인간을 이해했는가, 그리고 인간의 윤리실천에 대하여 어떤 주장을 하였는가를 밝히고자 한다. 다산에 따르면, 신체와 정신의 결합체인 인간은 신체적 성향과 도덕적 성향을 타고난다. 특히 선을 좋아하고 악을 싫어하는 성향은 인간 존재의 본질이다. 이것은 상제로서의 하늘이 인간에게만 부여해 준 것이다. 또한 인간은 자율적 판단능력과 주체적 실천의지인 자주지권(自主之權)을 갖추고 있다. 향선(向善)의 경향성이 있지만 자율적이고 주체적인 인간의 행실은 선하기도 하고 악하기도 하다. 이에 상제(上帝)는 인간의 동기와 행위의 선악 여부를 언제 어느 때고 감찰한다. 상제의 목소리는 인간의 도심(道心)을 통해 울려나온다. 이것이 윤리실천의 외적 동인(動因)이요, 내적동인이다. 인간의 제반 실천윤리는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 속에서 이루어진다. 이것을 표상한 개념어가 바로 인(仁)이다. 즉 인간은 부모와 자식·형과 동생·임금과 신하·남편과 아내·친구 등의 관계에서 자신의 위상에 합당한 도리의 실천을 통하여 인(仁)의 덕을 쌓아간다. 인(仁)의 덕(德)을 이루는 데는 효(孝)·제(弟)·자(慈)가 기본이다. 이 천륜에 관한 윤리에는 유가윤리의 쌍무적 정신에 대한 존중이 담겨 있다. 효(孝)를 바탕으로 임금을 섬기고, 제(弟)를 바탕으로 어른을 섬기며, 자(慈)를 바탕으로 백성을 부려야 하는 것이다. 이 효(孝)·제(弟)·자(慈)를 토대로 한 윤리실천의 방법이 바로 ‘서(恕)’다. 서(恕)는 나의 마음을 미루어 타인의 마음을 헤아리는 추서(推恕)로서 신체적 성향에 관한 것과 도덕적 성향에 관한 것을 두루 포괄한다. 전자의 경우, 자기 욕구의 절제나 양보가 필요하다. 후자의 경우는 공동체 사회내의 당위의 구현을 목표로 삼는다. 결론적으로 다산의 윤리학은 도덕적 성향과 자주지권을 갖고 타고난 인간은 상제의 뜻이 투영된 도심(道心), 즉 도덕적 양심에 귀 기울여 효(孝)·제(弟)·자(慈)의 윤리를 서(恕)의 방법에 따라 실천해 나감으로써 인(仁)의 덕(德)을 쌓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이것이 인간의 도리를 다하는 것이요, 또한 상제인 하늘을 섬기는 길인 것이다. 이에 다산은 수사지학(洙泗之學), 즉 공맹철학의 핵심사상은 바로 여기에 있다고 보았다. Tasan Chong Yak-yong has criticized Zhu Xi`s metaphysical viewpoints of human being. Therefore he revealed his viewpoint of human being and the theory of moral practice through his thoughts about the Lord of Heaven and human nature with spiritual inclination toward goodness. He has drawn the Lord of Heaven into Confucianism again. Heaven as the Lord endows human being with a nature that enjoys virtues and detests vices. It watches human being`s good and evil. Here we can say Heaven is a outer efficient cause of moral behavior. According to Tasan, human being has its own ‘self directed weight’自主之權 so that he can make a judgment and decision about what to do. Therefore we have to do manifest this moral inclination which is a inner efficient cause of moral behavior. That is to say, we must follow the order of daoxin道心inside our mind. If we did go against it, our mind would be uncomfortable. Now through the method of so-called shu恕we need to put filial piety孝·fraternal respect弟· compassion慈into practice. These three moral practices represent the spirit of reciprocity in Confucianism. These lead us to make an achievement of ren仁, representative virtue in the theory of moral practice. Our moral practice means the fulfillment of humanity. This is the way to serve Heaven. Tasan insists that theses are the core thoughts of Confucius and Mencius.

      • KCI등재

        한국철학 : 퇴계의 주자철학에 대한 이해와 그 특새 - 이(理)의 동정(動靜),발(發),도(到)를 중심으로-

        정상봉 ( Sang Bong Jeong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3 한국 철학논집 Vol.0 No.37

        일반적으로 퇴계가 주자철학을 계승 발전시켰다고 평가를 한다. 그러나 평가의 내막을 구체적인 살펴보면 연구자들 사이에 원전자료에 대한 해석의 차이부터 취하는 관점에 이르기까지 편차가 너무도 크다. 물론 주자성리학 자체에 다양한 논의가 가능한 여지가 있고 퇴계철학 또한 상이한 해석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퇴계이후의 유학자들부터 오늘날의 연구자에 이르기까지 퇴계철학에 대하여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는 것은 대 부분 리(理) 동정(動靜)과 리(理)의 발(發), 그리고 리(理)의 도(到)에 대한이해가 다르기 때문이다. 주자 서거후 300년이 훨씬 넘어 활동하였던 퇴계는 주자가 말했듯이 무정의(無情意)ㆍ무계탁(無計度)ㆍ무조작(無造作)의 측면을 들어 리(理)가 운돋(mition)하지 않는다는 것을 인정하면서도 리(理)가 능발능성(能發能生)한다는 점을 들어 리의 형이상적 활동(activity)을 긍정하였다. 이것은 그으의 우주론에서 인식론에 이르기까지 그 이론적 토대를 마련해 주었다. 그는 주자철학에서 제기된 리(理)의 동정(動靜)에 대하여 우주론적 의를 부각시켰고 리(理)의 발(發)에 대해서는 본체론적 의미를 토대로 심성론적 의미를 부여하였으며, 마침내 리도(理到: 리의 자기발현)로써 물격(物格)의 인식론적 의미를 밝히게 됨에 따라 마침내 이론 정합적 체계를 정립하였다. 이와 같이 퇴계는 주자의 철학을 충실하게 계승하면서도 주자 당시에 미처 이론화하지 못했던 문제에 대하여 이론 정합적으로 체계화함으로써 주자철학을 발전시켰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gure out Toegye`s philosophy and its characteristics in comparison with Zhuzi`s. Toegye is well-known as the representative of Neo-confucianism in Korea. But his posterior scholars and even contemporary scholars have various viewpoints about his philosophy. So they give him some different evaluation. After Zhuzi`s death 300 years later, Toegye has accepted Zhuzi`s philopophical thoughts. In addition, he has added his own philosophical insights on them. First, he indicates concretely the metaphysical activity of li through lidong that Zhuzi has mentioned in some measure. Second, under the ontological aspect of li, he explains that Four beginnings come from li. It implies that li manifests and qi follows. Finally he points out lidao?i.e. li manifests itself, about wuge in his epistemology. Here we can say that whatever his metaphysics/the theory of mind and hdasrt, and epistemology, the whole system of Toegye`s philosophy has its theoretical coherence. He has succeeded Zhuzi`s philopophical thoughts thoroughly and furthermore developed Neo-cinfucian theory in East Asia that has not made before.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인성교육과 그 철학적 기초

        정상봉 ( Jeong Sang Bong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6 한국 철학논집 Vol.0 No.51

        이 논문은 한국 인성교육의 철학적 이론 기초에 대한 고찰을 목표로 삼고 있다. 연구 배경으로는 한국에서 2015년 7월 21일부터 「인성교육진흥법」이 시행되고 있지만 사람의 존재본질로서의 인성의 정확한 함의가 무엇인지 대부분의 사람들이 정확히 모른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물론 몇몇 선행 연구논문들은 인성함양의 교육 프로그램 연구에 초점이 맞춰져 있지만 우리에게 공동의 인식기반은 제공해 주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가 한국 인성교육의 실질적 성과를 산출해 내기에는 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보인다. 이에 우리는 인성교육의 기본 토대부터 상호 인식의 틀을 마련해야 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사람의 잠재적 역량으로서 덕(德: arete)를 실천적 행동을 통해 실현해 내야 한다고 하였다. 그는 이것이 자아실현의 길이라고 보았다. 다산은 주자철학에서 말하는 것처럼 인의예지의 도덕본성이 사람의 마음에 선천적으로 구비되어 있다고 보는 인성본선론을 비판·부정하였다. 그는 향선(向善)의 경향성을 잘 살려서 선(善)을 실현해 낼 것을 강조하였다. 향선의 경향성을 살리는 실천적 노력을 통해 사람은 덕을 갖춘 선한 사람이 될 수가 있다고 보았다. 다산의 관점은 아리스토텔레스의 관점과 유사하다. 이처럼 가능태를 현실태로 바꾸는 노력에 의해 사람은 인성을 함양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에 다산의 인성향선론을 한국 인성교육의 이론적 토대로 제시하고자 한다. 물론 인성향선론에 맞는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찾고 그것을 교육과정 전체적으로 시행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at investigating the philosophical theory for the foundation of humanity education in Korea. As for the research background, we can point out that although the law for the promotion of humanity education from on July 21st in Korea, few people has no idea of humanity education. A few research articles have been focused on the educational program for cultivating human nature. They indicate the various viewpoints about humanity education. But they did not give us the theoretical co-understanding basement for humanity. It is not easy for us to make some practical achievements for humanity education in Korea. So we have to make the co-understanding frame about the humanity education. Aristotle argues: Human being has the arete as the potentiality. Therefore we have to make a practice repeatedly so that the arete can be realized. He has considered it as the way toward the self-realization. Da San has critisized and denied the theory of mind and heart of Zhu Xi`s philosophy that human being has the Ren·Yi·Li·Zhi as the apriori innate humanity. Da San insists that human being has the inclination or disposition toward goodness. So if we made a cultivation for this inclination, we can be a good person that has a good virtue. Da San`s viewpoint is very similar to Aristotle`s. That is to speak, if we tried to let the potentiality make the actuality, everybody can make a cultivation for humanity. So now and here I suggest Da San`s the theory of human nature toward goodness for humanity education in Korea. It is necessary for us to find the diverse education programs fitted for the theory of human nature toward goodness and carry out them through the entire education procedure.

      • KCI등재

        중국철학 : 정명도(程明道)의 천리와 인성에 대한 이해

        정상봉 ( Sang Bong Jeong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4 한국 철학논집 Vol.0 No.40

        북송의 유학자 명도(明道) 정호(程顥)는 유가철학(儒家哲學)의 세계관과 인성론에 관한 이론체계를 새롭게 정립하는 데 커다란 역할을 하였다. 그는 천리(天理)라는 개념어를 통하여 세계 내의 형이상의 보편적 이치가 만물의 끝없는 생성과정에 내재함을 논하였다. 보편 이치로서의 천리는 순선(純善)하다. 그러나 세상의 사물의 실질적 사태나 상황에는 좋고 나쁨이 있다. 그가 “천하의 선악(善惡)은 모두 천리다.”라고 말한 것은 바로 이러한 맥락 속에서 언급된 것이다. 그리고 기(氣)의 품수에 따라 사람의 기질적 품성(稟性)도 다르다. 이에 “악(惡)도 성(性)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한 것이다. 이와 같이 천리나 인성의 측면에서 악(惡)을 언급한 부분은 그 맥락적 의미를 살펴야만 한다. 왜냐하면 명도는 공맹유학이 표방한 사람의 본성은 선(善)하다는 대전제를 따르고 있기 때문이다. 즉 인(仁)이 바로 천리요, 덕성을 대표한다. 생기충만(生氣充滿)한 봄기운·연못에서 노니는 물고기·삐약 거리며 뛰어 다니는 병아리·뛰는 맥박, 그리고 사람과 사람 사이에 나누는 사랑의 마음 모든 것은 존재생성(存在生成)과 가치현현(價値顯現)의 보편 원리인 인(仁)이 온전히 세계 내에 드러난 것이다. 다시 말해 존재(存在)와 당위(當爲), 사실(事實)과 가치(價値)의 구분은 이제 하나의 지평 속에 녹아들게 되었다. 소위 만물일체라는 것도 바로 타자화 내지 대상화 차원을 넘어서 자기화 또는 일체화의 의미를 밝힌 것이다. Mingdao Chenghao(1032-1085) has played a great role to establish the new theory of the world and human nature in Confucianism. He insists that there is a metaphysical and universal law called Tian-li through the endless becoming of all things. Tian-li is purely good. But some states of affairs or situations are good or bad. From this context he points out that all goodness or badness is Tian-li. And according to the endowment of Qi,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his or her characteristics. The statement like "Badness also has to be called human nature." represents these differences. Mingdao who follows Confucius and Mencius indicates that all human beings have good virtues inherently. The representative virtue, i.e. Ren[仁] is Tian-li. For example, vital energy of spring·a fish swimming in a pond·a little running and singing chicken·beating pulse and lovely warm-hearted mind, these are the revelation of Ren as the universal law through the process of beings-becoming and values- manifestation. the difference between ``Is`` and ``Ought`` or fact and value is going to be melted into the horizon of the whole ``Oneness``. So called "Wan-wu-yi-ti[萬物一體]" has its practical meaning in this procedure of ``Oneness`` beyond ``Otherness`` or ``Objectiveness``.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개인과 공동체의 관계에 대한 유가적 성찰

        정상봉(Jeong, Sang Bong)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5 통일인문학 Vol.61 No.-

        우리나라는 일원적 사회에서 다원적 사회로 이행되면서 공동체 중심에서 개인 중심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 오늘날 개체로서의 한 사람이 공동체 내에서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라는 문제는 여전히 우리가 풀어야 할 과제이다. 만약 개인과 공동체 문제에 있어서 양극단의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는 균형적 관계를 추구한다면, 공자가 말한 ‘화이부동(和而不同)’을 지표로 삼을 만하다. ‘화이부동’은 기본적으로 개별자의 존재가치가 인정되고 존중되면서 개별자 사이에 전체적인 조화를 이루는 것이다. 바꿔 말하면, 개인 한 사람 한 사람이 등가의 고유 권리를 가지면서 동시에 공동체 전체가 화합하고 조화로운 것이다. 그것은 마치 음악에서 각각의 음이 고유의 음가를 가지면서 전체적인 조화 속에 가락을 완성하는 것과 같다. ‘화이부동’의 실천은 우선 개인 자신이 덕성의 담지자임을 자각하고 또한 자신의 덕성을 함양해야 한다. 그리고 인(仁)의 마음이 실린 예(禮)로써 타인을 대하게 되면 공동체 성원 전체의 화합을 이루어 낼 수가 있다. ‘화이부동’의 구체적 실천 방법으로는 ‘서(恕)’를 꼽을 수 있다. ‘서’는 타인의 마음도 내 마음과 같음을 헤아리고 나서 타인을 배려하는 것이다. 이러한 개인 간의 존중과 배려는 마침내 공동체 전체의 화합과 조화를 수반한다. 따라서 현대 한국사회가 ‘화이부동’의 정신을 진작시킨다면 다민족 · 다문화 · 다종교 사이의 사회적 갈등도 줄어들고 남북 간의 이념적 대립까지도 완화될 것이다. 이것이 열린 마음으로 타자를 대함으로써 상대를 존중하고 배려하며 포용하는 ‘화이부동’의 참 정신을 현대사회에서 구현하는 길이다. As Korea has been transferred from one-dimensional society to multi-dimensional society, there is a naturalistic shift from community-centrism to individual-centrism. Now and here we have the problem how one person as an individual should make a living in the community including the country and the world. If we try to keep a balance between individual and community, not to be biased, then we can find one way from Confucius’ saying of Hwa-yi-bu-dong和而不同. Hwa-yi-bu-dong basically means that one should acknowledge the other"s value of existence and respect for him or her. That is to say, every person has his own rights and simultaneously all people in the community make a harmony each other. It is similar to the musical harmony, which implies each sound has its own sound value and there is a harmony between all sounds. How can we do that Hwa-yi-bu-dong? First of all, we need to understand our innate humanity i.e. Ren仁 by ourselves and cultivate it. So if we treat others with Li禮 based on humanity Ren仁, then our society may proceed to its whole harmony stage. Seo恕 is its practical method. Seo indicates that because one person knows that other person"s mind is the same with his or hers, he or she cares for other person. Therefore the harmony of the whole community can be accomplished through this Seo. Now if Korean society stir up the idea of Hwa-yi-bu-dong, many conflicts caused by multi-nations, multi-cultures, and multi-religions will be decreasing gradually. Besides the ideological tension of Korean Peninsula also will ease off. These are ways to realize the idea of Hwa-yi-bu-dong that implies the open-mindedness, respect for others and social harmony.

      • KCI등재

        Hegel이 본 중국유가철학

        정상봉(Jeong, Sang Bong)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4 통일인문학 Vol.57 No.-

        헤겔은 이성과 사변을 중시하였다. 그에 따르면, 철학은 변증법적 사고를 통하여 이성의 수준 즉 사변적 사유까지 이해의 수준을 끌어 올릴 필요가 있는 것이다. 정신(Geist)의 실체 내지 본질은 자유이다. 자유야말로 정신의 유일한 진리라는 것이 사변철학의 기본 인식이다. 헤겔은 중국의 종교는 자연종교의 단계, 즉 소위 실체에 관한 종교에 머물러 있다고 보았다. 그는 중국에서 천(天)은 분화되지 않은 우주라고 보았다. 그러나 사실 고대 중국인들은 천을 물질적 존재의 근원이며 인성의 근본이라고 여겼다. 남송의 신유학자 주희의 경우는 천을 리(理)로 대체하였는데, 이때 리 개념은 창생의 근원, 궁극 본체 등의 다양한 함의를 갖고 있다. 그리고 헤겔은 공자의 가르침은 윤리적이지만 사변적 사유는 결여되었다고 하였다. 또 중국인들이 일찍이 『주역』의 음양 부호와 같이 추상적 사유를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음양이라는 추상적 개념으로부터 팔괘로의 전개는 사변적 사유가 없으며 단지 직관 내지 지각에 호소할 뿐이라고 보았다. 헤겔의 중국종교와 철학에 대한 몇 가지 관점과 평가절하는 잘못되었다. 그것은 오늘날까지 전세계의 학자들에게 커다란 부정적 영향을 끼쳤다. 차제 에 우리가 해야 할 일은 중국의 철학적 사유에 대하여 정확히 알고 그것에 대하여 객관적인 평가를 하는 것이다. Hegel puts stresses on reason and speculation. Philosophy demands the elevation of understanding through dialectical thinking to the level of reason or speculative thought. Hegel asserts that Chinese religion remains at the stage of nature religion, namely the religion of substance. Tian in China is conceived as undifferentiated universal. In fact, the ancient Chinese people have considered tian as the origin of all material things and the root of haman nature. Zhuxi, neo-confucianist in southern Song dynasty, substituted tian for li. The concept of li has various implications, i.e. creative origin, ultimate entity etc. And Hegel says Confucius’ teachings belong to moral ethics but are lack of speculative thoughts. Hegel also points out that Chinese people have already focused on abstract thinking like the symbol of yin(- -) yang(―) in the book of Yijing. but its unfolding progress from the abstract concept of yinyang to eight trigram has no speculative thoughts. It just appeals to intuition or perception. Now we can say that Hegel’s some viewpoints and devaluation of Chinese religion and philosophy is not correct. It has made lots of negative influence on the worldwide posterior scholar till now. It is necessary for us to understand Chinese philosophical thoughts correctly and give them an objective evalu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