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간 단뇌 세포에서 분화된 신경줄기세포를 이용한 백서의 척수 재생

        김상림(Sang-Rim Kim),정광훈(Kwang Hoon Chung),이광복(Kwang-Bok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0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2 No.3

        ??목적: 인간 단뇌에서 분화된 신경 줄기세포의 척수 재생에 대한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br/> ??대상 및 방법: 생후 8주의 암컷 백서(n=20, 171-237 g)에게 척수 손상 모델 중 완전 절단(transection model)을 선택한 후 척수의 자가 재생(spontaneous healing)을 방지하기 위해 플라스틱 막(0.2×0.1×0.3 ㎝)을 삽입하여 1차 수술하였다. 대조군(n=6)은 2차 수술 시 삽입된 플라스틱 막을 제거 후 media만 삽입하였고, 실험군 (n=14)은 media와 신경줄기세포(l×10?)를 이식한 후, 5주째 척수 손상 부위를 얻어 면역조직화학 염색으로 신경세포의 재생 여부를 확인하였다. 임상적 결과는 2차 수술 후 1주째부터 1주 간격으로 5주째까지 BBB (Basso-Beanie-Bresnahan) locomotor scale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br/> ??결과: 면역조직화학 염색 상 대조군은 신경세포의 재생은 없었고, 실험군에서 이식한 인간 신경줄기세포의 생존 및 신경원세포와 성상세포로 분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BBB locomotor scale은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회복을 보였고, 술 후 2주에서 3주째까지 점수가 상승되다가, 술 후 3주째부터는 큰 변화는 없었다.<br/> ??결론: 인간 줄기세포를 이용한 백서의 척수 재생 정도는, 이식된 신경줄기세포의 생존 및 신경원 세포나 성상 세포로 분화가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임상적으로는 어느 정도 근력 회복을 보이나 기능적 수준의 회복은 보이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Purpose: To evaluate the effect of neural stem cells differentiated from a human telencephalon on the neural regeneration in the severed spinal cord. Materials and Methods: The 1<SUP>st</SUP> surgery involving the insertion of plastic membrane in the transected cord was performed to prevent spontaneous healing of adult female rats (n=20, 171-237 g) with a complete spinal cord transection. The media was inserted only after removing the previously inserted plastic membrane in the control group (n=6). In the experimental group (n=14), media and neural stem cell (1×) were transplanted after removing the membrane,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was performed. The experimental group was perfused transcardially 5 weeks after the 2<SUP>nd</SUP> surgery, and the level of neural cell regeneration determined b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In behavioral analysis, the Basso-Beatie-Bresnahan (BBB) scores of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 were compared weekly from immediately after the injury until 5 weeks post-injury after the 2<SUP>nd</SUP> surgery. Results: Immunohistochemical stain revealed no neural regeneration in the control group. On the other hand, the survival of transplanted human neural stem cells and remarkable neural regeneration (differentiate to neuron and astrocyte) were observed in the experimental group. In the BBB locomotor scale,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recovery in terms of control; and the score increased from postoperative 2 weeks to 3 weeks, and reached a plateau from 3 weeks to 5 weeks. Conclusion: The effect of neural stem cells differentiated from human telencephalon on cord regeneration does not produce functional recovery in the BBB locomotor scale, but there is slight recovery of the muscle function. The survival of transplanted human neural stem cells and the possibility of differentiation to neurons or astrocytes were observed.

      • KCI등재

        고관절 주위 골절 환자에서 골시멘트를 사용한 양극성 고관절 반치환술

        김상림(Sang-Rim Kim),정광훈(Kwang-Hoon Chung),이광복(Kwang-Bok Lee),이성락(Sung-Rak Lee),이봉진(Bong-Jin Lee),박종태(Jong-Tae Park),하용찬(Yong-Chan Ha) 대한정형외과학회 200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2 No.1

        목적: 제주도 지역 내 50세 이상의 고령 환자에서 발생한 고관절 주위 골절에 대해 다 기관 연구를 통하여 골 시멘트를 사용한 양극성 대퇴 골두 부분 치환술을 시행하여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인 결과를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1월부터 12월까지 50세 이상 환자에서 고관절 주위 골절로 인해 제주도 내의 병, 의원에서 양극성 대퇴 골두 치환술을 받았던 88예(87명) 중 32명이 사망하였고, 7명이 방문을 거부하였으며, 무 시멘트 양극성 대퇴 골두 치환술을 시행한 2명(2예)를 제외하고, 최소 2년 이상 추시된 49예(48명)를 대상으로 하였다. 경부 골절 39명(40예), 전자간 골절 9명(9)예였고, 수술 시 환자의 평균 연령은 77.7세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2.7년이었다. 결과 분석은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으로 시행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상 술 후 고관절 점수는 평균 70.1점이었고 양호이상의 결과를 보인 예는 22예(45%)였다. 술전 정상 활동을 유지하였던 42명 중 최종 추시상 정상 활동이 가능한 경우는 28명이었다. 내과적인 질환이 많을수록 정신질환이 있을수록 고관절 점수가 불량하였다. 방사선적 소견상 골 시멘트기법은 대부분 우수한 소견이 보였으며, 대퇴 삽입물의 이완 및 침강이 1예에서 있었으나, 재수술은 없었다. 결론: 지역사회에서 시행되는 시멘트형 양극성 인공관절 부분 치환술 후 단기 추시 결과 양호 이상이 45%로 낮은 결과를 보였다. 고관절 주위 골절환자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술 후 활동성과 기저질환의 종류 및 의식의 변화가 관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This multicenter study was carried out to estimate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of cemented bipolar endoprosthesis replacement arthroplasty of a hip fracture in patients aged over 50 years in Jeju Island. Materials and Methods: Eighty-eight hips underwent bipolar endoprosthesis in 2002. Thirty-two patients died during the follow-up period and 7 patients refused a radiological evaluation or an interview. Two patients who underwent cementless bipolar endoprosthesis were excluded. Forty-nine hips (48 patients) completed the average 27 months follow-up. A neck fracture was involved in 40 hips (39 patient) and an intertrochanteric fracture was involved in 9 hips (9 patients). The average age was 77.7 years. The results were evaluated using clinical and radiological methods. Results: At the last follow-up, the average Harris hip score was 70.1 and 22 hips (45%), which indicated excellent and good results, respectively. Among the 42 patients with normal activity at the preoperative period, 28 patients were still active at the final follow-up. The number of medical illnesses and the severity of mental deterioration were also associated with the poor Harris hip scores. The pressurization cementing technique was found to be excellent at the radiological evaluation. One femoral stem appeared to have loosened and subsided but there was no revision surgery. Conclusion: The clinical result of the cemented bipolar endoprosthesis in multicenter study showed that the only 45% of patients showed results >good. The major factors influencing the results were the postoperative activity, the number of medical illnesses, and the severity of the mental changes.

      • KCI등재후보

        환축추간 경관절 고정 시 후방 나사못 삽입을 위한 전산화 단층 촬영

        정성수(Sung-Soo Chung),이종서(Chong-Suh Lee),정광훈(Kwang-Hoon Chung),이종열(Jong-Yul Lee),오일빈(Irvin Oh) 대한정형외과학회 200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39 No.3

        목적: 환축추간 고정에 있어서 가장 든든한 생역학적 안정성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은 환축추간 경관절 나사못 삽입이지만, 삽입에 따른 동맥이나 신경 등의 손상이 염려된다. 이러한 위험을 피하고 이상적인 나사못 삽입을 설정하기 위하여 횡축 및 나사못 삽입방향으로 전산화 단층 촬영을 하여 나사못의 길이 및 삽입방향 등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경추 질환의 병력이 없는 20명의 건강한 지원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10명, 여자가 10명이었으며 평균나이는 각각 25.4세,27.4세였다. 시상면에 대한나사못의 삽입 방향을 축추의 후면 추궁판과 후방 관절 사이의 이행부를 삽입지점으로 하여, 환추 전방환의 피질골의 중심을 지나는 연장선이 향하는 각도로 정하고, 이 각도로 전산화 단충 촬영을 축방향으로 삼차원 재구성(3-D reconstruction)하여 영상을 얻은 후 나사못의 길이, 협부 내측 및 외측 피질골의 직경과 더불어 환추 전방환의 가장 앞쪽에 위치한 피질골과 환추 외측괴의 중앙 전방 피질골 사이의 길이 및 각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나사못의 길이는 남자의 경우 평균 37.6 ㎜ (35.1-40.5 ㎜)였고 여자는 37.2 ㎜ (33.6-43.4 ㎜)였다. 협부 내측 피질골의 직경은 남자의 경우 4.3 ㎜ (3.3-5.2 ㎜)였고 여자의 경우는 4.0 ㎜ (2.8-5.6 ㎜)였다. 환추 전방환의 가장 앞쪽에 위치한 피질골과 환추 외측괴 중앙 전방 피질골 사이의 길이는 남자와 여자에서 각각 6 ㎜와 5.7 ㎜였다. 모든 계측치에서 남녀에 따른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 결론: 환축추 해부의 개인적 차이, 특히 축추 협부의 피질골 직경 크기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환축추간 경관절 나사못 삽입에 있어서 삼차원 재조합 전산화 단층 촬영은 상당히 유용할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o avoid neurovascular injuries and to establish the ideal trajectory of screw insertion, a computed tomographical evaluation was conducted. Materials and Methods: Twenty volunteers without cervical disease were employed for this study. Axial and oblique CT scans were selected for evaluation. Oblique CT scans were obtained in the direction of provisional screw insertion, starting from the junction of the lamina and the inferior articular facet of the axis and extending to the center of anterior tubercle of the atlas. In the axial and oblique recon-structed views, the screw length, the diameters of the medial and lateral cortexes of the isthmus, the vertical distance, and the angle of C1 were measured. Results: The screw lengths averaged 37.6 ㎜ (35.1-40.5 ㎜) in males and 37.2 ㎜ (33.6-43.4 ㎜) in females. The diameters of the medial cortex of the isthmus were 4.3 ㎜ (3.3-5.2 ㎜) in males and 4.0 ㎜ (2.8-5.6 ㎜) in females. No measurement was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males and females. Conclusion: Due to individual variations of atlantoaxial anatomy, especially in terms of the size of cortl-cal diameter of the isthmus, 3-D reconstruction CT is a useful tool for planning transarticular C1-2 screw insertion.

      • KCI등재
      • KCI등재

        국립과천과학관의 테슬라코일 전시물 설명판에 대한관람객의 주목도 분석

        이일 ( Il Lee ),유준희 ( Jun Hee Yoo ),정광훈 ( Kwang Hoon Chung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2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2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factors which influence visitors` attention on exhibition panels by analyzing visitors` attention according to topic types and visitor group type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are exhibition panels of a Tesla Coil exhibition in the Gwacheon National Science Museum. The exhibition panels` topic are basic concepts, explanations of phenomena, operating principles, applications and historical background. These topics are selected through a survey of visitors` intellectual needs for a Tesla Coil. Five new exhibition panels according to the topics are developed and visitor groups` behaviors in front of the panels are recoded in natural situations. The total participant groups are 586 groups, which includes individual student (30.0%), individual adult (20.6%), student group (28.2%), adult group(2.4%), and family group (18.8%). Visitors` attention to exhibition panels is sub-categorized into attracting power and holding power. Attracting power is defined by the percentile of group numbers who attend to an exhibition panel more than 3 seconds to the total group numbers who attend to an exhibition panel for more than a glance. Holding power is defined by average attention time and decay time. The attracting powers of historical background and application panels are 72.3% and 68.8% respectively, while that of the basic concept panel is 47%. Average attention times of explanation of phenomena and operating principle are 37.0 and 34.2 seconds, while those of historical background and application panels are 25.4 seconds. The decay times of each panel shows the same patterns of average attention times. Attracting powers of panels easy to approach and holding powers of panels with in-depth scientific concepts seems to be high. Attracting powers of the individual adult, family, and student group are 66.9%, 66.4% and 62.4% respectively, while the attracting power of the adult group and individual student are 57.1%, and 55.7%. Average attention times of the student group, family, adult groups are 34.0, 33.0, 31.6 seconds respectively, while that of individual student is 19.5 seconds. The decay times of each group shows the same patterns of average attention times. Both of attracting powers and average attention times of the student group and family group are high, while both of individual student are low. Tentatively, attracting powers of exhibition panels seems to be influenced more by topic types of panels, and holding power seems to be influenced more by group type. But these results are very limited and further studies are needed.

      • KCI등재후보

        일측성 접근법과 양측성 접근법에 의한 후방 요추 추체간 유합술의 비교

        이종서(Chong-Suh Lee),정성수(Sung-Soo Chung),정광훈(Kwang-Hoon Chu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0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39 No.6

        목적: 후방 추체간 유합술에서 일측성 및 양측성으로 접근하였을 때 임상적 결과와 방사선학적 결과에 대해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이분절 이하의 후방 요추 추체간 유합술 및 척추경 나사못 고정술을 시행한 후 1년 이상 추시 관찰이 가능 하였던 일측성 접근법에 의한 일분절 유합술군 12예, 이분절 유합술군 10예와 양측성 접근법에 의한 일분절 유합술군 16예, 이분절 유합술군 10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환자에게서 수술 중 실혈량, 수술시간 및 수술 후 배액량, 수혈량을 조사하였고, 임상적 결과 판정은 Kirkaldy-Willis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방사선학적으로는 유합률과 수술 전 후 및 최종 추시 관찰 시 측정한 유합분절의 추간판 높이와 추간판각의 변화 그리고 요추 전만도를 각각 조사하였다. 결과: 추시 중 유합률, 유합분절의 추간판 높이와 추간판각의 변화 그리고 요추 전만도는 일측성 접근법과 양측성 접근법 사이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임상적 결과에 있어서도 양호 이상의 결과가 일측성 접근법의 경우 82%, 양측성 접근법의 경우 81%로 나타나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 수술 중 실혈량 및 수술 시간에 있어서는, 이분 절 유합술군의 경우 일측성 접근법과 양측성 접근법 사이에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다. 결론: 일측성 접근법에 의한 추체간 유합술은 양측성 접근법에 비해 방사선학적 결과와 임상적 결과에서 차이가 없었고, 수술 중 실혈량 및 수술시간은 특히 이분절 유합술 시 일측성 접근법에서 유의하게 적었다. 따라서 이분절 이상의 다분절 유합술이 필요할 경우 일측성 접근법에 의한 요추 추체간 유합술을 사용하면 실혈량과 수술 시간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A comparison of the unilateral and bilateral approaches for 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was made by measuring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Materials and Methods: The clinical outcomes of 22 cases of the unilateral approaches and 26 cases of the bilateral approaches to the lumbar spine were analyzed using Kirkaldy-Willis method. The amount of intraoperative blood loss, surgery time, transfusions as well as postoperative drainage and transfusions were also investigated. The fusion rate, the changes in the height and angles of the disc in the fused segments and lumbar lordotic angles were analyzed radiologically. Results: Radiological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the fusion rate, the changes in the disc height and angles in the fused segments and lumbar lordotic angels. Good or excellent results were observed in 82.1% and 81% of the unilateral and bilateral approach group, respectively. A longer surgery time was needed and the amount of blood loss was larger in the two level bilateral approaches groups. Conclusion: In a comparison of the unilateral versus bilateral approaches, similar radiological and clinical outcomes were obtained, but significantly less blood loss and surgery time occurred using the unilateral approaches in the two-level fusions. Therefore, a unilateral approaches is particularly useful in multilevel fusion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이상 척추 시상 만곡의 발현에 있어서 Pelvic Incidence가 가지는 의의

        이종서(Chong-Suh Lee),정성수(Sung-Soo Chung),정광훈(Kwang-Hoon Chung),김상림(Sang-Rim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2

        목적: Pelvic incidence에 의해 정해진 시상 만곡의 형태가 향후 연령이 증가하면서 나타나게 되는 이상 만곡의 발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비정상적인 척추 시상 만곡을 지닌 50세 이상의 한국 성인 79명과 정상 척추 시상 만곡을 보이는 50세 이상의 한국 성인 2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상 만곡의 형태는 척추의 시상변상 정렬 및 전략 추체에 따라 요추부의 전만이 흉요추 이행부 상부까지 연장된 그룹(제1군), 하요추부에는 후만이 존재하지만 전만이 상요추부에서 흉요추 이행부 상부까지 연장되는 그룹(제2군), 흉추부의 후만이 하요추까지 연장된 그룹(제3군), 흉추부의 후만이 상요추부까지 연장되고 하요추부에 전만이 남아 있는 그룹(제4군), 네 군으로 나누어 각각의 군에서 천추 경사, 골반 기울기(천추-골반 각) 및 pelvic incidence를 측정하여 각 군 간 지표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Pelvic incidence는 상요추부 이상에서 전만의 형태를 보이는 제1, 2군(61.6도, 58.5도)에서는 정상군(52.5도)보다 컸으며(p<0.001), 후만의 형태를 보이는 제3, 4군(44.5도, 47.2도)은 정상군보다 작았다(p<0.00l). 천추 경사는 정상군에서는 31.5도였으며 제1군에서는 34.5도, 제4군에서는 25.1도, 제2군에서는 20.1도, 제3군에서는 9.2도 순이었으며, 제1, 2군 중 하요추부에서 후만으로 바뀌는 제2군이 전만을 유지하는 제1군에 비하여 작았고(p<0.001), 제3, 4군 중 하요추부에서 전만으로 바뀌는 제4군이 후만을 유지하는 제3군보다 컸다 (p<0.001). 골반 기울기는 제2, 3군(38.4도, 35.3도)이 제1, 4군(27.1도, 22.1도)보다 컸으며(p<0.001), 정상군(21도)은 제1, 4군보다 작았다(p<0.001). 결론: Pelvic incidence는 노년층에서 이상 시상 만곡의 발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인자 중 하나로 생각되며, 이들 지표의 측정이 향후 척추 시상 정렬의 변화를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게 해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pelvic incidence influences the development of an abnormal curvature,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lvic incidence and the development of an abnormal curvature. Materials and Methods: Twenty-two adults with a normal curvature and seventy-nine adults with an abnormal curvature were enrolled in this study. All subjects were older than fifty years of age at the time of the study. The patients were classified based on the alignment of the spine and the strategic vertebrae as follows: extension of the lordosis of the lumbar spine to the upper part of the thoracolumbar transitional portion (Group 1), kyphosis on the lower lumbar area but an extension of the lordosis from the upper lumbar area to the upper part of the thoracolumbar transitional portion (Group 2), extension of the kyphosis from the thoracic spine to the lower lumbar area (Group 3), the presence of lordosis on the lower lumbar portion but an extension of the kyphosis from the upper lumbar portion to the upper portion of the thoracolumbar area (Group 4). In each group,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sagittal alignment, pelvic tilt, sacral slope and pelvic incidence were evaluated, and the changes in the numerical figur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Results: In the normal group the average pelvic incidence was 52.5 degrees. The average pelvic incidence was higher in groups 1 and 2 (61.6 and 58.5 degrees, respectively) than in groups 3 and 4 (44.5 and 47.2 degrees, respectively) (p<0.001). The average sacral slope was 31.5 in the normal group, 34.5 in group 1, 25.1 in group 4, 20.1 in group 2, and 9.2 in group 3. In groups 1 and 2, group 2 showed a lower sacral slope compared with group 1 (p < 0.001). In groups 3 and 4, group 4 had a larger sacral slope than group 3 (p<0.001). The average pelvic tilt was 21 in the normal group. Groups 2 and 3 showed a larger pelvic tilt (38.4 and 35.3, respectively) than that of groups 1 and 4 (27.1 and 22.1, respectively). Conclusion: In the elderly with an abnormal lordotic curve, the sagittal alignment of the spine is associated with the pelvic tilt, sacral slope and pelvic incidence, in a similar manner to that in normal adults with a normal lordotic curve. Therefore, measuring these figureswould help in making an estimate of the perspective changes in the sagittal alignment of spine.

      • KCI등재

        고관절 주위골절로 인한 사망률 및 활동성

        이성락(Sung-Rak Lee),김상림(Sang-Rim Kim),정광훈(Kwang-Hoon Chung),고동오(Dong-Oh Ko),조세현(Se-Hyun Cho),하용찬(Yong-Chan Ha),김병기(Byung-Gi Kim),김장락(Jang-Rak Kim),김신윤(Shin-Yoon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0 No.4

        목적: 2002년 한 해 동안 제주도에 거주하는 만 50세 이상 인구를 대상으로 고관절 주위골절이 된 149명(150예)에 대하여 사망률 및 활동성 변화에 대하여 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고관절 주위골절로 제주도내의 정형외과 병의원을 방문한 만 50세 이상의 환자 150명(151예) 중 149명(150예)을 대상으로 평균 2년간 추시하였고 얻어진 정보는 지역 내 동일 연령군의 일반 사망률과 비교하였다. 결과: 전체 150예(149명) 중 남자가 35예(35명), 여자가 115예(114명)였으며, 환자의 평균 나이는 77.1세(범위, 50-98세)였다. 수상 후 평균 2년 추시상(최소 1년 6개월-최대 2년 6개월) 전체 42명(28.2%)이 사망하였으며, 1년 이내에 25명 (16.8%)이 사망하였고, 수술 후 6개월 이내에 18명(12.1%)이 사망하였다. Halpin 분류법에 의한 분류상 수술 후 활동성이 불량으로 분류된 예는 11명에서 37명으로 26명(25.2%)이 야외활동이 불가능한 상태였으며, 수술 전 정상생활을 유지 하였던 61명 중 최종추시상 정상생활이 가능한 예는 16명에 불과하였다. 결론: 평균 2년 추시상 28.2%의 높은 사망률 및 25.2%의 야외활동이 불가능한 수술후 활동성을 고려해 볼 때, 고관절 주위골절은 노인의 생명에 심각한 위협요소이므로 낙상 등의 골절 예방에 대한 노력이 요구된다. Purpose: This prospective study conducted to estimate mortality and activity of hip fracture among persons over 50 years of age, in Jeju island, Korea during the year 2002. Materials and Methods: One hundred forty-nine patients among 150 patients over 50 years of age who lived in Jeju island and sustained a femoral neck or intertrochanteric fracture during the year 2002 were followed-up for average 2 years. Standardized annual mortality ratio was calculated and comparison was made between hip fracture patients and general population in Jeju island. Results: One hundred forty-nine patient were followed-up (35 in men, 114 in women). The mean age of patients was 77.4 years (range 50-98 years). Mortality at 2 years (range, 1.6-2.6 years) was 28.2% (42 patients), mortality at 1 year was 16.8% (25 patients) and mortality at 6 months was 12.1% (18 patients). Patients who were classified as poor (Halpin grade Ⅲ and Ⅳ) increased in number from preoperative 11 patients to postoperative 37 patients. Conclusion: Considering 28.2% of high mortality and 25.2% of poor activity who can not do outside activity at average 2 year follow up, the hip fracture is life threatening risk factor of elderly. Prevention of falling and hip fracture risk is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