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ATM ABR의 공평성들을 위한 새로운 스케쥴링 알고리즘

        정경택,박준성,박현,전병실,Chung, Kyung-Taek,Park, Jun-Seong,Park, Hyun,Chon, Byoung-Sil 대한전자공학회 2002 電子工學會論文誌-TC (Telecommunications) Vol.39 No.4

        The WRR scheduling algorithm is widely used in ATM networks due to its simplicity and the low cost of hardware implementation. It guarantees minimum cell rate according to the weight of each queue. The fairness is a important factor for ABR service. That is, scheduling algorithm allocates network resources fairly to each VC. However, WRR algorithm shows worse performance on bursty traffic. Because it schedules input traffics according to predetermined weight, it can not satisfies fairness criteria, MCR plus equal share and Maximum of MCR or Max-Min share, defined by ATM Forum TM 4.1 specification. The Nabeshima et al algorithm is not adapt to network status rapidly because it is not compensate the weights of unused bandwidth to VCs and assign the unused bandwidth to VCs by RR method. In this paper, we propose a scheduling algorithm for satisfying the two fairness criteria, MCR plus equal share and Maximum of MCR or Max-Min share, among the six criteria defined by ATM Forum TM 4.1 specification. The WRR, Nabeshima et al, and the proposed scheduling algorithms are compared with respect to fairness and convergence time throughout experimental simulation. According to the simulation results, the proposed algorithm shows higher fairness and more rapid convergence than other algorithms. WRR 스케줄링 알고리즘은 계산의 단순성과 저 비용 구현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서 고속 패킷 스위칭 네트워크에서 널리 쓰이고 있지만 버스티한 트래픽에 대해서는 입력 트래픽을 일정 비율로 스케쥴링하기 때문에 효율성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WRR 알고리즘은 ABR 서비스 클래스의 공정성 기준인 MCR plus equal share와 Maximum of MCR or Max-Min share 공평성을 만족시키지 못한다. 또한 Nabeshima et al의 기법은 여분 대역에 대한 weight 값을 보정하지 않고 RR 방식으로 각 VC에 할당을 해주기 때문에 네트워크의 변화에 신속하게 적응하지 못할 뿐 만 아니라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지 못한다. 따라서 ABR 서비스를 위한 공평성 기준을 만족시키고 빠르게 적응할 수 있는 스케줄링 알고리즘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ABR 서비스를 위한 6가지 공평성 기준들 중 MCR plus equal share와 Maximum of MCR or Max-Min share 두 기준을 만족시키는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이 공평성 기준을 만족시키고, 네트워크 자원을 각 ABR VC들에게 신속하고 공평하게 할당해 주는지를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WRR, Nabeshima et al 알고리즘들과 비교, 분석한다.

      • 히트파이프형 이중진공관 태양열집열기의 배열 방식에 따른 열특성의 실험적 연구

        정경택(Chung Kyung-Taek),김병기(Kim Byoung-Gi),장환영(Jang Hwan-Young),서정세(Suh Jeong-Se) 한국태양에너지학회 2006 한국태양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 No.-

        The thermal performance of solar systems for hot water service usually depends on the solar collectors. Evacuated tube solar collector with heat pipe has been developed to improve the thermal efficiency of solar energy collector. In solar energy system, collector modules should be arranged in series and/or parallel pattern. The experiment i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thermal performance for the module of solar collector in series and parallel, respectively.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ill be presented as the basic data for the arranging pattern of many solar collectors.

      • 러시아연방과 자치공화국에서의 러시아 어의 위상

        정경택(Chung, Kyung Taek) 고려대학교 러시아 CIS연구소 2011 Acta Russiana Vol.3 No.-

        Эта статья посвящена статусу русского языка в РФ и Республике Татарстан, которая одна из 21 субъектов(=республик) в стране. Русский язык как единственный и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в РФ и 21 субъеках в территории РФ утверждён в Конституции РФ и в Законе “О языках народов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Но в этой Конституции написаны следующие: Республики вправе устанавливать свои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е языки. В органах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й власти, органах местного самоуправления, государственных учреждениях республик они употребляются наряду с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м языком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И Российская Федерация гарантирует всем её народам право на сохранение родного языка, создание условий для его изучения и развития. И в законе “о языках народов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содержано одно и то же. Кроме Конституции РФ и закона “О языках народов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у каждой республики свои республикансая конституция и закон о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м языке. Например, у Республики Татарстан тоже своя конституция и в этой утверждается, что татарский язык является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язык наряду с русским языком. И в договоре “о разграничении предметов ведения и полномочий между органами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й власти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и органами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й власти Республики Татарстан 2007 года”написано следующее содержание: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ми языками в Республике Татарстан являются русский и татарский языки, статус и порядок использования которых определяются Конституцией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Конституцией Республики Татарстан, федеральным законом и законом Республики Татарстан. Но такие утверждения ещё не реализируются в Татарстане, потому что многие русские живут в этой республике и они не довольны политикой распространения правительства республики, хотя бы русские признают татарский язык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м языком республики. А Татары считают, татарский язык как государсьвенный является символом возрождения татарской народной сущности. Эта сложная ситуация, которая исходится из двух государственных языка в республике, не будет изменяться.

      • KCI등재

        리투아니아의 언어 관련법과 러시아어의 상황

        정경택 ( Kyung Taek Chung )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14 슬라브연구 Vol.30 No.2

        본 연구는 발트 지역의 세 나라 중 리투아니아의 언어 상황을 살펴 러시아어의 지위 규정 부재와 사용 영역 축소를 살펴본다. 리투아니아는 발트 지역에서 면적이 가장 크고 인구가 많지만 다른 두 나라와는 달리 언어정책이 가장 유연하고 국제적으로도 소수민족 인권과 이들의 언어 권리를 존중한다고 인정을 받고 있다. 이의 원인 중 가장 중요한 것이 러시아 본토와 접경하지 않으며 러시아인과 러시아어사용자 수와 비율이 발트 지역에서 가장 작고 러시아인보다 폴란드인의 수가 많다는데 있다. 그렇지만 리투아니아는 헌법과 소수민족법에서 소수민족의 언어와 문화를 존중한다고 규정하고 있지만 소수민족의 범주를 분명하게 정하지 않고 국어법과 국적법, 그리고 교육법에서는리투아니아어와 리투아니아 민족만을 중시하고 러시아어와 러시아인들을 배제시키는 규정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독립 전후로 러시아인들과 러시아어 사용자들의 많은 수가 이 나라를 떠나 이들의비율은 현재 전 인구의 5%를 넘지 못하고 있고 남은 자들도 리투아니아에 동화되어 가까운 장래에 언어와 같은 민족 정체성을 상실 할 것으로 보인다. 즉 러시아인의 정체성과 러시아어의 보전 및 발전은 소수민족, 소수민족언어로서의 한계로인해 그 목표를 달성하기 어렵고 러시아어는 먼 장래에는 리투아니아에서 사용되지 않을지도 모르지만 러시아인과 러시아어사용 공동체와 러시아연방 본국 정부의 관심 집중으로 그 시기를 늦출 수는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language policy and Russian language in Lithuania. Lithuania is located in Baltic region like Latvia and Estonia. These Baltic Statesgained independence of nation after 1st World War and were building ethnocentricnation. But in 1940 USSR occupied and absorbed 3 states. From this momentthe Balitic States had been ruled by Moscow controlled, but in the late 1980swith Gorbachev``s Perestroika and Glasnost`` 3 Baltic states gained some autonomy,they made law on languages or states language. Especially the Constitution and Law on Minorities of Lithuania stipulate articlesthat respect and support development of languages and culture of all minoritieswho live in the country. And with independence from Soviet Union, Lithuaniangovernment granted all residences to preserve regardless of the nationalities. But after that time Lithuanian Government continues make laws that attachgreater importance to Lithuanian identity and language than to other minorities. Depending on the situation at home and abroad Government can use articles andprovisions advantageous to itself. The population of Russian native speakers and Russophone minorities inLithuania is much fewer than other 2 Baltic states. It lead to flexible implementof policies on minorities, including Russians and Russian language. Now there occur assimilation of Russians to Lithuanian, also Russian languagehas reduced using sphere. And eventually Russian language may disappear inLithuania. But depending on efforts of Russians and Russophones, supports of RussianFederation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 Russian language may maintain as oneof the most important foreign languages in Lithuania.

      • KCI등재

        발트 3국의 언어정책

        정경택 ( Kyung Taek Chung )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14 슬라브연구 Vol.30 No.4

        본 연구는 발트 3국의 언어정책을 러시아어의 상황을 고찰하여 파악하는데 목표를 둔다. 발트 3국인 라트비아, 에스토니아, 리투아니아에서는 1991년 독립 이후 토착주도민족의 증가와 러시아어 사용자들의 감소로 민족분포에서의 커다란 변화가 나타났는데, 이는 전쟁으로 파괴된 산업의 복구, 국경의 경계설정, 스탈린의 대숙청과 민족재배치 정책에 기인한 소련 당시의 상황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킨 독립국의 정책 때문이었다. 라트비아와 에스토니아에서는 러시아어 사용자들이 여전히 많은 수를 차지하고 러시아어의 사용도 여전히 변화가 없지만 리투아니아에서는 러시아인들이 소수이고 러시아어의 사용도 많지 않다. 발트 3국은 모두 헌법과 언어법(국어법)으로써 토착주도민족어에만 국어의 지위를 부여했지만 러시아어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을 하지 않고 오직 외국어 중의 하나로서만 간주한다. 이에저항하여 라트비아의 러시아어 사용자들은 러시아어에 제2국어의 지위를 부여하는 국민투표 실시를 주장했고 국민투표 결과 부결되었다. 이에 반해 리투아니아에서는 러시아인의 세력이 크지않고 동화정책에 의해 불만이 가시적으로는 표현되지 않고 있다. 3국은 법적 지위 규정 외에 교육시스템에서도 러시아어의 역할을 축소, 배제하는 국가정책을 취하고 있어 러시아어로 교육하는 학교와 학생 수가 크게 줄었고 러시아에 대해 비우호적, 심지어는 적대적인 국가로 느끼게 한다. 또한 3국은 국적법을 채택하여 러시아인을 비롯한 러시아어 사용자들을 토착주도민족에 동화시키거나 이주유출을 꾀하고, 궁극적으로는 러시아어 사용을 완전히 배제하고 있다. 라트비아와 에스토니아의 경우 국적 취득을 어렵게 하였지만 리투아니아는 유연한 국적 취득을 보장하고 있다. 결국 발트 3국에서 러시아어가 어려운 상황에 처해있지만 라트비아와 에스토니아의 경우 여전히 러시아어 사용자가 많아 러시아어 사용영역 축소와 구사력의 하락을 막기 위한 러시아 본국으로부터의 특별한 관심이 요구된다. 리투아니아의 경우 훨씬 복잡한 상황이 전개되고 있는데, 러시아어가 일상생활과 공공활동의 언어, 민족 간 의사소통 수단에서 가정 언어, 폐쇄적인 러시아인 공동체 내 에서만의 언어로 전락할 위험이 크다. 이에 따라 젊은 층에서 러시아어의 대중화와 질적 구사 수준의 향상을 도모해야 한다. 특히 라트비아와 에스토니아에서는 러시아어의 폭넓은 사용과 토착주도민족의 러시아어의 높은 구사 수준을 고려하여 국가나 지역의 공식어 제정을 고려 할 수 있지만 현재의 언어정책으로 볼 때 거의 불가능하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and compare language policies in Baltic 3 Staes. Baltic 3 states gained independence of nation after 1st World War and were building ethnocentric nations. But USSR occupied and absorbed 3 states in 1940. From this time the 3 Baltic States had been ruled and controlled by Soviet central government, but in late 1980s with president of USSR Gorba.ev``s Perestroika and Galsnost`` this 3 states pursued regain some autonomy, so they made law on language (law on state language). Baltic 3 countries, which consist of Latvia, Estonia, and Lithuania showed a large change after independence in the mid-1991 in the ethnic distribution due to increase of indigenous peoples and reduction of Russian users. This resulted from the policies of the independent countries, which are fundamentally differentiated from those of the Soviet Union in order to recover destroyed industry, to demarcate the border, and to protest Stalin’s ethnic purges and the relocation policy. There are still many numbers of Russian in Latvia and Estonia and they still speak Russian, but on the other hand, Russian people are minor in Lithuania. Both the Constitution and language laws (national language law) of Baltic states acknowledge only an indigenous language as a national language, not mentioning and considering Russian. Russian users in Latvia argue that Russian language should be granted as the second language of the state but the resistance was rejected by referendum results. This kind of complaint is not represented in Lithuania due to the assimilation policy and minority of Russian people. In addition to legal provisions, Baltic countries have taken the position that the role of the Russian language should be minimized, and therefore Russian schools are significantly decreased and people in the countries started to feel unfriendly and hostile towards Russia. The nationality legislation makes Russian people to follow the law or to leave the country, and rules out the Russian language use. Also it is difficult to acquire nationality and citizenship guarantees in Latvia and Estonia, but it is flexible in Lithuania. Russian faces threats and challenges, but in Latvia and Estonia, there are still many Russian residents who needs special attention from Russia to prevent Russian-speaking regions from being reduced. In case of Lithuania, it faces more complex situations so that Russian would be used only at home, only within a closed Russian community for a daily life. Thus Russian proficiency of young generation should be improved in terms of popularization and qualitative improvement. Especially considering high-quality of Russian proficiency and its wide use, Latvia and Estonia could establish Russian as the official language of the country or region, but it is almost impossible with the current language policy.

      • KCI등재

        캅카스 3개국 언어정책과 러시아어 상황 연구

        정경택 ( Kyung Taek Chung )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16 슬라브연구 Vol.32 No.2

        캅카스 3개국은 각각 인도유럽어족의 아르메니아어, 카르트벨리어족의 조지아어, 그리고 알타이어족의 아제르바이잔어를 사용하는 토착주도민족들이 고유의 언어정책을 가지고 있지만, 독립초기부터 강력한 국어지위확립과 사용 확대, 상대적으로 러시아어의 지위 격하와 사용영역 축소, 결국 러시아어를 배제시키려 하는 것은 공통점이다. 그러나 3국의 여러 민족적, 언어적, 지정학적 원인에 의거 다음과 같은 차이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먼저 아르메니아는 소련시기에도 러시아인들의 수가 가장 적었기에 독립초기부터 단일민족국가 창건 이념을 내세워 러시아어 지위 삭제와 사용 배제정책을 강력하게 폈지만, 아제르바이잔과의 나고르노-카라바흐 전쟁에서 친 러시아 정책을 취해 1999년부터 국가계획으로 학교에서의 러시아어 교육의무, 심화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다수의 아르메니아인들이 러시아연방에 노동자로서 이주해있고 터키(무슬림)로부터의 오랜 기간 동안의 탄압, 러시아인들과 같은 종교를 신봉하는 등의 이유로 러시아어의 중요성을 인정하고 있다. 아제르바이잔은 독립초기에는 러시아와 러시아어에 대해 상대적으로 유연한 입장을 보였지만, 점진적으로 러시아어를 배제시켜왔는데, 이는 역시 나고르노-카라바흐 문제에 대한 러시아연방의 친 아르메니아 정책에 대한 반발이고 친 서방정책의 결과이다. 또한 러시아키릴문자를 사용하던 소련공화국들 중 가장 먼저 라틴표기로 전환하여 러시아어 사용자들의 사회활동을 불편하게 만들었다. 마지막으로 조지아는 단일민족국가 창건을 이유로 독립초기부터 조지아어 유일 국어사용 정책 등을 내세워 민족적 소수를 자극했다. 특히 민족적 소수 중 압하스인들과 오세트인들은 소련시기 각각 모어와 러시아어 이중언어사용자로서 이들은 조지아정부의 민족-언어정책에 대해 불만을 가지게 되었다. 결국 2008년 압하지야와 남오세티아에서 분규가 발생하여 두 지역은 사실상의 독립국이 되었는데, 이 두 지역에서는 러시아어가 국어 또는 사실상의 공식어로 남아있다. 캅카스와 같이 작은 면적에 고유한 3개 어족, 40개 이상의 언어사용 공동체가 있는 곳은 세계에서 유일한데, 소련시기 동안 러시아인들의 유입은 작았지만 민족 간 의사소통 언어로서의 러시아어의 지위와 사용은 중요했다. 3개국이 독립 이후 언어정책에서의 변화를 보이고 서로 다른 상황을 맞이하고 러시아어의 상황도 서로 다른 것은 바로 이런 민족적, 언어적, 지정학적 원인에 기인함을 알 수 있었다. The three Caucasian countries, Armenia, Georgia and Azerbaijan, develop their own language policies for the sake of their titular languages, even though they established them in common such as indigenization of the titular languages and prohibition of using Russian language. The differences in the language policies of the three Caucasian countries can be found based on various ethnic, linguistic, geopolitical reasons. Armenia established strong de-Russification policies from the beginning of its independence, applying the ideology of an ethnically homogeneous country, because Armenia was the least populous state of Russian people among the Post-Soviet countries. However, they started enforcing a pro-Russian policy after the Nagorno-Karabakh conflict, and thus Russian language has been taught obligatorily in Armenian schools since 1999. On the other hand, Azerbaijan becomes gradually de-Russified as opposed to their flexible stance toward Russian language in the early 1990s. It is caused by their pro-Western policies resisting the pro-Armenian attitudes of the Russian government after the Nagorno-Karabakh conflict. Furthermore, Latinization was introduced for the first time among the post-Soviet countries and the language rights of ethnic Russians were highly infringed. Finally, Georgia established a monolingual policy against ethnic minorities. Abkhazian and Ossetian minorities who are bilingual in Russian and their ethnic language expressed their complaints against the ethnic and language policies of the Georgian government. In 2008, Abkhazia and South Ossetia became recognized as independent nations, and Russian remains as their de-facto official language. The Caucasus region is a unique area in that it contains three language families and more than 40 language communities. The influx of Russians during the Soviet Union was not massive, but Russian language kept its status as a stable medium of communication. The difference in the language policies of the three countries are directly attributable to those linguistic and geopolitical reasons.

      • 승강기용 스프링작동식 로프브레이크의 실험적 연구

        정경택(Kyung-Taek Chung),김동복(Dong-Bok Kim) 대한설비공학회 2011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1 No.7

        As safety device of rope elevator, many kinds of equipments have been used. Especially, rope brake for ascending car overspeed protection(ACOP), placed near traction sheave, is acting in upward direction on suspension ropes. Brake force is generated by spring-loaded plates, which are kept open via electromagnetic coil placed on upper cross beam of car frame structure released by signal overspeed governor. At this experiment, we confirmed that developed rope brake operated conform to related regulations.

      • KCI등재

        카자흐스탄의 지명 변화를 둘러싼 문제 연구

        정경택(Chung, Kyung Taek)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4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41

        Kazakhstan has implemented a change of Russian place names (toponyms) into Kazah after its independence in 1991. At that time, a large number of Russian speakers expressed their concerns and criticism, but Kazakh government adopted a law (Zakon "Ob adminictrativnoterritorial"nom ustrojstve Respubliki Kazakhstan 1993) to justify replacing places of residence of the administrative areas. Thus from 1991 to 2005, 12 cities, 53 provinces(rajon), 7 city boroughs(rajon v gorode), 43 train stations, and 957 residences have been renamed, and also other 890 different physical-geographical objects and public names have been changed or created. Until now Kazakh nationalist-patriots argue that Kazakh names are placed on a restricted status when they still see the presence of Russian place names. For example, Petropavlovsk, Pavlodar, Semipalatinsk, and Ust"-Kamenogorsk survived during the massive renaming process in the 1990s. These cities are the symbol of the colonial period of the Soviet dictatorship to Kazakh people. The renaming policy temporarily ceased because the government was afraid of severe resistance and migration outflow of Russians in Kazakhstan. However, after the deadline for the moratorium of rename, Kazakhstan Parliament raised the issue of renaming Petropavlovsk, in order to reduce the use of Russian language and to exclude the Russian speakers. Although the majority of the Russian population in Petropavlovsk and some state legislators and city council (городский совет) opposed the renaming, but if a special law in which the opinions of inhabitants do not need be reflected in the renaming process, is adopted, the process will be inevitable. Now the status of Russian language in Kazakhstan is extremely complex. The concept of Kazakhization(Казахизация) has been publicized throughout the society. Furthermore, the claim of changing their writing system from Cyrillic to Latin came to the fore and thus it is more likely to be forced to comply with Kazakh language nor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