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섭식 문제 행동에 대한 효과적인 행동전략

        정경미,Chung, Kyong-Mee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8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11 No.suppl1

        It is relatively common to have various feeding problem during infancy and childhood, even for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reatment outcome studies for pediatric feeding disorder consistently reported that applied behavior analaysis (ABA), a type of behavior intervention, is very effective and efficacious. Interdisciplinary team approach is necessary for severe feeding problems, but similar methods could be used through parent training for moderate and mild feeding problems. This article introduced assessment procedure to identify feeding problems as well as specific methods to deal with diver feeding issues. Each strategy can be used effectively only when it is combined with several other strategies including environmental rearrangement and should be developed individually upon each child's feeding issues. In addition, systematic and continuous parent trainings are mandatory. At the end, several treatments related issues were addressed. 조사에 의하면 정상적으로 발달하는 유아 아동의 25%~40%정도가 발달의 어떤 단계에서 섭식에 문제를 보일 수 있다고 한다. 많은 경우에 특별한 전문가적 도움없이 발달 과정을 거치면서 문제가 저절로 해결되는 경우도 있으나, 그 중 일부는 성장과 발달 및 가족 생활에 큰 스트레스가 될 정도의 섭식문제를 보이며 심한 경우 그 문제가 오랫동안 지속될 수 있다. 섭식문제는 섭식 그 자체의 문제뿐 아니라 음식거부를 위한 다양한 문제행동을 수반하게 되는데, 기존의 연구 결과는 행동수정의 한 형태인 응용행동분석이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이라 보고한다. 문제가 극심한 경우엔 다학제적 팀으로 구성된 전문적인 치료가 필수적이나, 중경도의 문제는 그 종류에 따라서 부모교육을 통해 해결될 수 있기도 하다. 섭식 치료에는 문제를 규명하는 평가 절차가 가장 먼저 선행되어야 하며, 이를 근간으로한 치료책을 개발하고 적용할 때 가장 효과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치료는 보이는 문제 유형에 따라 달라져야 하는데, 유아 아동들이 가장 빈번하게 보이는 섭식문제 종류와 그에 적절한 구체적인 방법들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부모교육을 통해 유아 아동의 섭식문제를 다룰 때 전문가들이 고려해 주어야 하는 사항들에 대해서 열거해 보았다.

      • KCI등재

        행동원인규명척도(FAPB)를 활용한 문제행동 유형 및 관찰자 유형 변인에 따른 문제행동 기능 규명

        정경미(Chung, Kyong-mee),진동주(Chin, Dongjoo) 한국행동분석학회 2021 행동분석․지원연구 Vol.8 No.3

        본 연구는 관찰자 유형과 문제행동 유형에 따른 문제행동 기능파악을 위해 실시되었으며, 이를 위해, 부모, 교사, 그리고 치료사 및 기관종사자의 세 집단을 대상으로 선정 기준을 충족한 총 473명의 참가자를 모집하여 행동원인규명척도와 인구통계학적 자료를 수집하였다. 독립변인은 관찰자 유형과 문제행동 유형, 종속변인은 문제행동의 기능으로 설정하여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두 변인 사이의 상호작용 효과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관찰자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관찰자 변인 사이의 평균을 비교하기 위한 사후분석 결과, 부모 집단에서 요구 기능이 가장 적게 나타났다. 문제행동 유형은 유의한 효과가 관찰되었는데, 떼쓰기, 공격, 자해 행동의 경우 요구와 회피 기능이, 상동행동의 경우 자기자극 기능이 유의미하게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어 선행연구와 비교적 일관된 결과를 보였다. 관찰자 변인과 문제행동 유형 변인 사이의 상호작용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추후 임상 현장에서의 본 연구 결과 활용 방법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을 하였다. Although identification of the function of problem behavior can be influenced by observers or types of problem behaviors, there is lack of studies analyzing these fac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hich is focused on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s to identify the functions of problem behaviors reported by three different groups of caregivers(teachers, staff/therapists, and parents), and types of problem behaviors(self-injurious, attack, destroy, stereotype, tantrum, others). Total of 473 participants answered basic information record and Functional Assessment for the Challenging/Problem Behaviors (FAPB). Results show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unction of problem behavior across observers, but the main effect of the problem behavior type was observed. As a result of post-analysis of observer variables, demand was reported the least in the parent group. Attack and self-injurious behavior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demand and avoidance, which was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interaction between two independent variables was not significant. Utilization of the result in the clinical field and further research was suggested.

      • KCI등재

        ASD 아동 및 청소년을 위한 앱 기반 얼굴인식 및 사회성 증진 프로그램(Look At Me)의 효과성 검증:

        정경미(Chung, Kyong Mee),오향경(Oh, Hyang Kyeong),서유민(Seo, Yu Min) 한국자폐학회 2018 자폐성 장애연구 Vol.18 No.1

        최근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가 보이는 사회적 상호작용의 어려움을 얼굴 지각과 눈맞춤 측면에서 설명하는 이론이 발표됨에 따라 이에 근거한 사회성 증진 훈련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효과성이 검증되기 시작하였다. 주로 전자기기를 사용하는 이 새로운 형태의 사회성 증진 훈련 프로그램은 비록 그 수는 매우 제한되지만, 비용 효율적이고 접근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얼굴인식 및 사회성 향상을 중점으로 하는 앱 반 훈련 프로그램(Look At Me)을 개발하고, ASD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예비 연구를 실시함으로써 실제 훈련 프로그램으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가자는 ASD 진단 기준을 충족한 28명의 참가자였다. 모든 참가자들은 8주(56일) 동안 훈련을 실시하였으며, 훈련의 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해 보호자를 대상으로 훈련 전, 후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자폐 성향 설문지 상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사회적 반응성 설문지 및 반구조화 설문 중 눈맞춤, 정서이해 및 표현 등 하위 영역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논의하고, 추후 지각 수준의 사회성 훈련 패러다임의 근거 기반 치료와 및 향후 얼굴 지각 훈련 프로그램 제작 방향을 제시하였다. Recently, the difficulty in social interaction in those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has been explained in terms of face perception and eye contact. Appropriately, based on this theory, the effectiveness of social enhancement training programs is now being researched. This new form of social enhancement training program which primarily uses electronic devices, is limited in number but has the advantage of being cost-effective and highly accessible. In this study, we developed an application-based training program(Look At Me) focusing on face perception and social enhancement, and conducted a preliminary study o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SD to explore the actual applicability of the training program.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28 study participants who met the ASD diagnostic criteria. Participants were trained through the application-based program for 8 weeks(56 days) and parents completed questionnaires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results in terms of the questionnair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utistic symptoms, but there was significant improvement in sub-domains such as the social reaction questionnaire and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eye-contact, and emotional understanding, expression and etc. Taking these results into consideration, the effectiveness of the training program is discussed, and evidence-based social training for social improvement and direction of future face perception training programs are suggested.

      • KCI등재

        섭취 문제가 있는 영유아 아동에 대한 부모설문조사

        김혜진,정경미,박미정,최연호,Kim, Hye-Jin,Chung, Kyong-Mee,Park, Mi-Jung,Choe, Yon-Ho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8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11 No.2

        목 적: 섭취문제는 정상발달 아동에게 흔한 문제이며, 아동의 신체, 행동 및 인지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섭취문제와 관련된 요소들을 파악하고자 부모를 대상으로 섭취 관련 설문을 실시하였다. 방 법: 2006년 8월부터 2008년 4월까지 상계백병원, 삼성서울병원 소아과 외래를 방문한 아동의 부모 379명 및 서울 경기지역의 만 1~12세 지역사회 표집 아동의 부모 417명을 대상으로 저자들에 의하여 개발된 섭취관련 질문지 및 아동 섭취행동검사를 실시하였다. 섭취문제에 대한 부모의 주관적 보고에 따라 집단을 분류하고 이에 대한 신뢰성을 아동 섭취행동검사와 비교하여 확인하였으며, 아동이 보이는 섭취문제의 종류, 심각도, 식사 중 문제행동, 부모의 대처방안 및 치료적 필요성에 대하여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부모의 섭취문제에 대한 주관적 보고에 따른 문제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 간에 아동섭취행동검사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p<0.01) 부모의 보고에 따른 섭취문제 집단 선별이 신뢰할 만한 것이라는 것을 입증하였다. 나이가 어릴수록 섭취문제를 보고한 부모의 비율이 높았으며(p<0.01),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p>0.05). 모든 연령대에서 가장 흔하고 심각하다고 평가된 섭취문제는 편식(81.7%) 및 지나치게 긴 식사시간이었으며(43.1%), 절반 이상의 아동은 식사 도중 문제행동을 나타냈다. 식사 중 부모는 역기능적인 방법을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섭취문제로 부모의 40.0%가 스트레스를 경험하였고, 부모의 34.7%는 아동에게 이와 관련한 치료성을 느낀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 론: 영유아기 섭취문제는 우리나라에서도 매우 흔하며, 아동이 어릴수록 그 문제는 더욱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의 치료 요구도 높았다. 따라서 섭취문제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담은 부모를 위한 행동지침서 및 치료 매뉴얼의 개발이 필요하다. Purpose: Feeding problems are common for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nd have negative effects on physical, behavioral, and cognitive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factors related to childhood feeding problems for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via parental reports. Methods: The feeding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authors and the Childhood Eating Behavior Inventory (CEBI) were administered to 796 parents of children who recruited from 2 pediatric outpatient clinics (n=379) and community (n=417). Problem eaters (PE) were identified by parental report and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for types of feeding problems and its severity, problem behaviors during mealtime, the feeding methods of the parents, and the need for treatment. Results: The CEBI scor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PE and non-problem eaters (NPE), which suggests that the parental reports were reliable. The younger children had more feeding problems than the older children. The most frequent and severe feeding problems were selective eating and longer mealtimes across all age groups. One-half of the children had more than one problem behaviors during mealtime. Most parents of PE used ineffective methods to deal with children's behaviors during meal time, such as cajoling, which was related to their increased level of stress. Many parents reported their children need professional help for the feeding problems. Conclusion: Feeding problems are prevalent among children, especially younger children. Children with feeding problems showed a number of problem behaviors during mealtime and parental coping methods appeared to be ineffective. The need for treatment was considerable, thus the characteristics of this population must be acknowledged for providing proper treatment and advice.

      • KCI등재

        자폐 스펙트럼 장애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의 영상을 이용한 얼굴 표정 복합 정서 인식 비교 연구

        이지훈(Lee, Jihoon),정경미(Chung, Kyong-mee) 한국자폐학회 2019 자폐성 장애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국내 자폐 스펙트럼 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ASD) 청소년 집단의 복합 정서 인식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캠브리지 감정 읽기 배터리(Cambridge Mindreading Face Battery)를 참조하여 정서 읽기 동영상 과제를 제작하고, 이를 통해 ASD 청소년의 얼굴 표정을 통한 복합 정서 인식 능력이 첫째, 일반 청소년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둘째, 두 집단의 차이가 있다면 긍정적/부정적 정서종류에 따라 다른지, 셋째, 연령, 지능, 자폐적 특성에 따라 다른지 조사하였다. 연구의 참가자는 ASD 진단 기준을 충족한 13-17세의 청소년 22명과 연령을 매칭한 일반 청소년 22명으로, 모든 참가자를 대 상으로 18가지의 복합 정서 인식 능력을 평가하는 컴퓨터 과제를 실시하였으며, ASD 청소년 집단을 대상으로 추가적으로 자폐적 특성 설문지(AQ)를 실시하였다. 통계 분석 방법은 비모수 검정 방법인 Mann-Whitney U 검증과 Pearson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ASD 청소년 집단이 일반 청소년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은 정서 인식 총점, 인식 정확도 점수를 보였다. 또한 긍정적 정서 및 부정적 정서 모두 ASD 청소년 집단이 일반 청소년 집단에 비해 정서 인식 점수가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ASD 청소년 집단에서 긍정적 정서와 부정적 정서 인식 능력에 유의미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ASD 청소년 집단의 정서 인식 총점은 연령, 지능, 자폐적 특성과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연구적, 임상적 함의와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is to assess the complex emotion recognition ability for adolesc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ASD) in Korea. For this, the Mindreading Video Task was developed based on the Cambridge Mindreading Face Battery(CAM). We demonstrated, first if the difference existed in adolescents with ASD and the typically developing adolescents in facial emotion recognition abilities, and second, whether if the difference was influenced by their negative or positive emotions, and third, whether the emotion recognition abilities in adolescents with ASD were associated with their age, intelligence and autistic characters or not. In this study, 22 subjects with ASD aged between 13 and 17 and 22 typically developing controls, matched for age, were chosen to compare emotion recognition abilities. For the all subjects, a computer assignment which evaluates 18 complex emotion recognition ability was performed, and Autism-Spectrum Quotient(AQ) was administered additionally for the ASD adolescents.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 nonparametric Mann-Whitney U test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yielded that the ASD group had scored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controls on the emotion recognition scores and the recognition accuracy scores. Furthermore, the ASD group scored lower than the controls on both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but their positive emotion recognition abiliti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ir negative emotion recognition abilities. Last, the total scores gained by the ASD group in the emotion recognition ability test did not show the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age, intelligence and autistic characters. Based upon the finding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n this research were furtherly discussed.

      • KCI등재

        지적장애 및 자폐성 장애 아동 대상 과제 수행에 미치는 분산 강화와 누적 강화의 효과 비교

        박찬솔(Park, Chansol),정경미(Chung, Kyong-mee) 한국행동분석학회 2021 행동분석․지원연구 Vol.8 No.2

        지적 및 발달장애 집단을 대상으로 강화 분배의 효과를 비교한 연구들은 분산 강화에 비해 누적 강화가 효과적임을 보여주지만 사용한 과제의 난이도, 강화물의 종류, 참가자의 특성이 한정적이다. 본 연구는 만 7세 이상 11세 미만의 지적장애와 자폐성 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음식 강화물을 이용한 분산 및 누적 강화가 난이도가 높은 과제의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고, 이러한 효과가 진단 특성에 따라 상이한지 조사하였다. 참가자는 총 33명(지적장애 19명과 자폐성 장애 아동 14명)으로, 각 강화 조건 모두에서 시각 작업기억 과제를 수행하였고 종속변인은 정답률, 분당 정답 수, 분당 응답 수였다. 연구 결과, 누적 강화 조건에서 정답률과 분당 정답 수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폐성 장애 집단은 분산 강화에 비해 누적 강화 조건에서 유의하게 높은 정답률을 보였으나, 지적장애 집단은 조건 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지적장애와 자폐성 장애 아동은 누적 강화 조건에서 높은 수행을 보이며, 자폐성 장애의 특성이 누적 강화의 효과와 특히 관련이 있을 가능성에 대해 시사한다. Previous studies comparing the effectiveness of the distributed and accumulated reinforcement on the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y concluded that accumulated reinforcement is more effective. However, the task difficulty, types of reinforcer, and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of previous studies were limited. The present study compared the effectiveness of distributed and accumulated reinforcement on the difficult task using food reinforcer and examined whether theses effects depend on participants’ diagnostic characteristics. A total of 33 participants(19 intellectual disability and 14 autism spectrum disorder(ASD)) conducted the visuospatial working memory task under both reinforcement conditions.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accuracy rate, correct response per minute, response per minut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ccuracy rate and correct response per minut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accumulated reinforcement. In addition, the ASD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accuracy rate in accumulated reinforcement than distributed reinforcement, but the intellectual disability group showed no differences between condit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ASD show a better performance under the accumulated reinforcement, and the characteristics of ASD are relevant to the effects of accumulated reinforcement.

      • KCI등재

        강화의 분배 방법이 과제의 난이도에 따라 지적장애 아동의 수행 및 선호도에 미치는 효과 비교

        진동주(Chin, Dongjoo),정경미(Chung, Kyong-mee) 한국행동분석학회 2021 행동분석․지원연구 Vol.8 No.1

        지적장애를 대상으로 강화의 분배 방법에 따른 훈련의 효과를 조사한 선행연구는 과제의 난이도와 참가자 특성을 통제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제한된다. 본 연구는 만 7세 이상 13세 미만의 지적장애를 가진 아동을 대상으로 분산과 누적 강화의 효과가 과제의 난이도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지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선정 기준을 충족한 77명의 지적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네 개 조건(쉬운 과제에서의 분산 강화와 누적 강화, 어려운 과제에서의 분산 강화와 누적 강화)에서의 시각 작업기억 과제의 수행(정답률, 분당 응답수, 분당 정답수)과 선호도(3점 척도 자기 보고, 강화 조건 선택 비율)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쉬운 과제에서는 강화 조건에 따른 수행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어려운 과제에서는 누적 강화 조건에서의 분당 응답수 및 분당 정답수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선호도의 경우 네 개 조건에서의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누적 강화 조건에서 지적장애 아동이 과제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며, 이러한 차이는 과제의 난이도가 높을 때에만 유의함을 시사한다. The effectiveness of accumulated reinforcement on participa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s been emphasized over distributed reinforcement, but the generalized effect of accumulated reinforcement is hampered in part by lack of controlling task or participant characteristics. The present study evaluated if the performance of, and preference for distributed and accumulated reinforcement were different between two task difficulties of a visuospatial working memory task. Participants wer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were between 7 and 13 years old. 77 participants conducted four sets of visuospatial working memory task(distributed and accumulated reinforcement in an easy task, distributed and accumulated reinforcement in a difficult task). The performance was evaluated by accuracy rate, response rate per minute, and correct response rate per minute. Preference was evaluated by three-point likert scale and selection ratio between distributed and accumulated reinforcement. The increase of response rate per minute and correct response rate per minute in the accumulated reinforcement was greater than the distributed reinforcement for the difficult task,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preference. Findings in the current study suggest that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performed more efficiently at accumulated reinforcement condition, which is only applicable to difficult task.

      • KCI등재

        부모교육을 통한 섭식장애 아동의 행동치료

        양소정 ( Soh Jeong Yang ),정경미 ( Kyong Mee Chung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07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3 No.4

        아동기 섭식장애는 정상발달과 장애아동 모두에게서 비교적 높은 비율로 보고되는 문제이며, 미숙아 생존율과 함께 증가하고 있는 추세임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임상상황에서 정확히 분류나 진단이 되지 않거나 체계적인 치료사례가 극히 드문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성장장애(Failure-to-thrive) 진단을 받은 정상발달 여아 두 명을 대상으로 응용행동분석을 이용한 행동치료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치료에는 선행사건 조작(유아용 식탁의자, 식사시간 조절 등), 정적 강화, 문제행동의 소거(Non-Removal of Spoon), 자극 용암법과 같은 기법이 사용되었고, 모델링, 리허설, 피드백을 통하여 아동의 어머니를 치료 자로 활용함으로써 비용을 최소화시키고 가정에서의 자연스러운 일반화를 돕고자 하였다. 비교설계를 활용하여 치료 전후의 평균적인 섭취량, 음식 받아들임, 문제행동, 식사소요시간을 비교해본 결과, 두 아동 모두 개인차는 있으나 섭취량과 음식을 받아들이는 비율은 증가하고 문제행동과 1g당 식사소요시간은 감소하였다. 본 연구에 따른 임상적 함의와 한계점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Applied behavioral analysis was used for treating 2 typically developing girls with Failure-to-thrive. Mothers were served as a therapist to minimize costs and to increase generalization. Using an AB-design, the mean amount of food, acceptance, problem behavior, and meal duration time were compared. Treatment components used in this program were positive reinforcement, extinction, NRS, stimulus fading, and mealtime management and parental training was conducted via modeling, rehearsal, and feedback. After four days of intensive treatment at hospital, treatment was continued at home by parents via weekly consultation for 4 months. Though having individual differences, the amount of food intake and acceptance were increased, and problem behaviors and meal duration time were decreased. Both girls gained weights; one reached the normal range. Limitations as well as clinical and research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