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中國 一流大學 育成政策에 따른 敎授要員 人的資源 開發硏究- 985工程을 中心으로-

        전춘련(Quan, Chun-li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2

        이 연구는 세계일류대학을 지향하는 중국의 ‘985공정’대학의 사례분석을 통해 세계일류대학 육성을 위한 교수요원 인적자원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세계일류대학 육성을 위한 법적인 근거와 제 도적 장치를 마련하여 구조화된 분배제도를 효율적인 직위보수체제로 전환하였다. 둘째, 전문성 신장과 수월성 추구를 목표로 한 인재유치 및 양성제도는 안정적인 교수집단 확보와 함께 교수의 전문성을 전반적으로 향상시켰다. 셋째, 신규임용에서 외부전문가를 초빙하여 평가를 실시한 것은 임용후보자에 대한 공정성과 투명성을 높여주었다. 넷째, 경쟁 원칙의 보수제도는 교수의 잠재력을 개발하고 수월성을 제고하였다. 이와 달리 심층면담에서 교수들은 인재 유치․결과에 있어서 명확한 기준 과 사후관리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한다고 인식하였고, 직위임용제는 합리적이며 과학적인 심사기준 설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특히 교수평가에서는 양과 질을 동시에 강조할 것을 요청하였고, 성과급에 의한 직위보수제도는 양극화를 초래하였다고 인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inese policy of developing human resources for professors and related cases and evaluation about developing human resources for professors to nurture top-notch universities in China. To gain the goal, the researcher carried on the case study and had in-depth interviews on six professors in universities. The cases were about three attractions and how to cultivate excellent talents in universities, appointment, promotion and evaluation, and also the pay system. First, regarding the government’s policy to develop human resources, legal grounds and institutional devices have been established to nurture world’s top-notch universities in China, and the structuralized distribution system grounded on the idea of equality preferentially has been changed to an efficient position and pay system. Second, concerning the system to attract and cultivate excellent talents with a goal of improving expertise and pursuing excellence, professors’ expertise has been enhanced generally along with the stable securing of professors. Third, the induction of the appointment system to invite experts from outside to evaluate candidates in new appointment has enhanced fairness and transparency. Fourth, the pay system grounded on the principle of encouragement and competition has developed professors’ potential and elevated their excellence, too. Meanwhil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in-depth interviews, professors think it is needed to build clear criteria and post-management systems for attracting talents and also the results and stress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reasonable and scientific examination criteria about the position-based appointment system. Particularly, they emphasis on quantity and quality in professors’ evaluation and deem that the position-based pay system grounded on the performance-related pay system has resulted in bipolarization in income distribution. Based on the results, this author suggests implications about developing human resources for professors to nurture world’s top-notch universities.

      • KCI등재

        한·중 대학 항공서비스 학과 교육과정 비교

        전춘련(Quan, Chunlian) 대한관광경영학회 2019 觀光硏究 Vol.34 No.8

        본 연구의 목적은 한·중 양국의 4개 대학 사례연구를 통하여 항공서비스학과의 교육과정이 인재양성 목표를 근거로 핵심역량을 어떻게 설정하고 있으며, 교육과정은 어떻게 편성·운영되고 있는지를 비교 분석하여 그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중 양국의 미래지향 글로벌 인재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는 4개 대학을 선정하여 사례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한·중 사례 대학 모두 학교의 설립이념 및 인재양성 목표에 근거하여 핵심역량을 설정하고 있었으며 역량을 도출하였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었으며, 한국대학은 핵심역량기반의 교육과정을 체계적으로 편성하고 운영함과 동시에 자체적인 핵심역량 평가도구를 이용하여 측정한 성과지표를 교육과정에 반영하고 있었다. 이와 반면 중국대학은 핵심역량에 기반한 교육과정을 구성 및 운영에는 미흡하였으며 사례 대학 모두 자체의 평가도구는 없고 ‘CSSA’에 근거하여 학생들의 질적 수준을 평가하는데 그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국가적 차원의 핵심역량 강화의 필요성이 제기되며, 대학들은 자체만의 핵심역량 측정도구를 개발함과 동시에 측정의 성과를 차기의 교육과정에 반영할 것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comparative analysis to see how the curriculums of air service departments are establishing core competencies based on the cultivation of talent and how they are organizing and managing their curriculums through case studies of 4 universities in Korea and China and to present implications. Therefore, 4 universities aiming to cultivate future-oriented global talent in Korea and China were selected and cases were comparatively analyzed.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all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cases established core competencies based on school ideologies of establishment and talent cultivating goals and all drew out capabilities but Korean universities systematically organized and managed core competency-based curriculums and simultaneously they were applying performance indexes measured using their own core competency evaluation tools to their curriculum. On the other hand, Chinese universities were insufficient in their construction of systematic core competencies and in their application to curriculums and both universities simply evaluated the capacities of students based on ‘CSSA’ developed by Tsinghua University. Based on such research results, the need is raised for reinforced core competencies on a national level in the higher education of China and universities should develop their own core competency measurement tools and at the same time, apply measured performance to following curriculums.

      • KCI등재

        한·중 대학 핵심역량교육 비교연구

        GAO CHUNYU,전춘련(QUAN, CHUNLI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0

        This study attempts to present implications for class quality enhancement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educational course organization and management processes based on key competencies and the key competency establishment of 4 universities in Korea and China. For this, the cases of 2 universities in capitals area which aim to be world class universities in Korea and China and 2 universities aiming towards the cultivation of creative global leaders were comparatively analyzed.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first, all the selected Korean and Chinese universities established key competencies based on concepts of talent and deduced associated sub-competencies. Second, Korean universities were managing educational courses based on key competencies through systematic organization but Chinese universities were insufficiently applying key competencies to educational courses and constructing structure. Third, Korean universities developed key competency measurement tools to make measurements every year periodically and associated results were being used as performance indicators of educational courses and were being reflected onto subsequent educational courses but Chinese universities were making measurements for each university using the national unit study ‘CSSA’ and this was being used as base learning material for students as big data. It is suggested that these research results can be used for the quality management of education in general such as by Korean universities in strengthening utilization plans of comparative educational course management results and by Chinese universities in the development of autonomous measurement tools. 본 연구는 한·중 4개 대학의 핵심역량 설정과 핵심역량을 기반으로 하는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과정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해 수업 질 향상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중 양국의 세계일류를 지향하는 수도권 2개 대학과 창의성 글로벌 리더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는 2개 대학을 선정하여 사례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선정 된 한·중 대학 모두 인재상에 기반하여 핵심역량을 설정하고 이에 대한 하위역량을 도출하였다. 둘째, 한국대학교는 핵심역량에 기반 한 교육과정을 체계적으로 편성하여 운영하고 있었으나, 중국대학교는 핵심역량을 교육과정에 적용하고 체계를 구축하는데는 미흡하였다. 셋째, 한국대학은 핵심역량측정도구를 개발하여 매년, 주기적으로 측정하고 있었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교육과 정에 성과지표로 활용되어 차기 교육과정에 반영하고 있었으나, 중국대학은 국가 단위별 연구 ‘CSSA’를 활용하여 대학별 측정이 이루지고, 이것이 빅데이터로 학생 학습기초 자료로 활용되고 있었다.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한국대학은 비교과교육과정운영 결과에 대한 활용 방안 강화, 중국대학은 자체적인 측정도구를 개발하여 전반적인 교육의 질 관리에 활용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 KCI등재

        한.중 핵심역량 기반 고등학교 체육 교육과정 비교 연구

        封烽(Feng Feng),전춘련(Quan, ChunLi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0

        목적 한국⋅중국의 핵심역량 기반 체육 교육과정과 그 운영 사례를 비교 분석하여 특징을 도출하고, 운영 사례에서 나타난 문제들에 대한 개선점을 제언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례 연구, 비교 연구, 면담 방법 등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는데 구체적으로 한⋅중 양국의 수도권 영재학교와 일반 학교 총 4개 학교를 선정하여 한⋅중 고등학교 체육교과의 역량에 관한 전반적인 교육과정 비교 및 핵심역량 교육과정 체계, 교육과정 운영의 사례를 분석하였고 관련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하여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결과 우선 한⋅중 양국의 고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은 양국 모두 국가 수준의 개정 교육과정에서 인재상과 교육목표에 맞는 핵심역량을 설정하였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으며 고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에 총론의 핵심역량의 하위 역량의 개념으로 체육과의 교과역량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한⋅중 양국의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의 문서 체제와 내용 체계가 거의 동일하다. 특히, 국가 교육과정 수준의 핵심역량과 체육과 교육과정의 교과 역량이 서로 유기적 관계를 맺고 있다. 교육방법은 학습자 중심 교육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개정되었고, 양국 모두 체육 과목을 필수 교과목 형태로 운영하고 있으며,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은 학습자 중심 교수⋅학습 방법에 따라 과정 평가와 형성평가, 종결평가 또는 종합평가를 병행하고 있다. 결론 교과 역량이 교육과정 총론 수준의 핵심역량으로 어떻게 발전될 수 있는지에 대한 핵심역량 성취 로드맵을 체계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으며,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이라도 교과목 선택과 교육과정 내용 선정 및 조직에 대한 자율권을 최대한 보장해 주는 방향으로 교육과정을 운영해야 한다. 또한 학생 중심 교육에 적합한 체육과 교육과정의 내용을 개발하고 그에 따르는 교수⋅학습 및 평가 방법을 구안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목표 수준에 따른 수준별 수업’과 함께 교수⋅학습방법과 평가방법에 교과 역량과 핵심 개념이 녹아 있어야 함은 당위적 명제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characteristics by comparing and analyzing Core competence-based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courses and their operating cases in Korea and China, and to suggest improvements for problems in operating cases. Method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research methods such as case studies, comparative studies, and interviews were specifically conducted on four schools in Seoul and Beijing, including elite schools and general school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gather opinions from related experts to compare the overall curriculum and analyze the core competency in curriculum system. Results both Korea and China have similarities in setting core competencies for educational goals in the revised curriculum. The education method was revised to strengthen student-centered education, and the contents of education were changed to focus on various physical activities, and both countries operate physical education as a required curriculum. In addition, the achievement criteria of the curriculum combine process evaluation, formative evaluation, closure evaluation or comprehensive evaluation according to the student-centered teaching method.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propose a roadmap to achieve core competence in order to establish core competence-based curriculum, and even national curriculum should ensure the selection of curriculum contents and organization in operating. In addition, the contents of physical education and curriculum suitable for student-centered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and the corresponding teaching and teaching methods should be devised. Moreover, it is a legitimate proposition that the teaching capabilities and core concepts should be reviewed in the teaching method and evaluation method, along with “class divided according to target level.”

      • KCI등재

        역량강화를 위한 메이커 교육 활성화 사례 연구

        류경숙(Ru, kyoung suk),전춘련(Quan, ChunLi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9

        목적 본 연구는 메이커 교육에 대한 사례 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여 역량강화를 위한 메이커 교육을 활성화하고자 하는 데 있다. 방법 사례 연구, 비교 연구, 면담 방법 등 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서울시 소재 메이커 모델학교인 고등학교 4개 학교를 대상으로 사례 분석 및 비교 분석을 하였고, 메이커 교육 관련 담당자와 전문가를 대상으로 2021년 6월 7일부터 7월 6일까지 질문지를 사용하여 인터뷰 면접(FGI)을 진행하였다. 결과 교육 내용(프로그램) 편성⋅운영 측면에서, 4개 학교 모두 각 학교의 특성과 교육목표에 맞추어 정규교과와 연계하여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었으며 각 학교의 여건을 고려한 정규교과에 맞춘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 내용 편성, 창의적 체험 활동을 운영하고 있다. 인프라 구축 측면에서, 기존의 특정 공간을 메이커 교육할 수 있는 공간으로 변경하여 수요에 맞는 전문성을 갖춘 새로운 시설을 정비하였다. 교원의 전문성 신장 및 역량강화 측면에서, 전문가들을 통한 디지털 기기 활용 및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수, 기존의 교사에 대한 재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운영 성과 공유⋅확산(환류) 측면에서는, 메이커 교육 문화 확산을 위해 지역사회와 함께 메이커 교육의 성과와 결과를 함께 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성과나 결과에 대한 평가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지 않다. 결론 메이커 교육은 정규교육과정과 연계한 다양한 교육 내용(프로그램)을 개발함과 동시에 메이커 교육 확산을 위한 학교와 지역사회 간의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 또한 역량강화를 위한 메이커 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 교사의 전문성 및 역량을 강화해야 하며 정부, 학교, 지역사회는 공동으로 메이커교육의 결과 및 성과를 공유⋅확산(환류) 체제를 구축하는 것이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revitalize maker education to strengthen competency by deriving problems and suggesting improvement measures through case analysis on maker education. Methods Research methods such as case study, comparative study and interview methods were utilized. Four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were selected as model schools for case study. Interviews (FGI) were conducted from June 7 to July 6, 2021 using structuralized questionnaires for maker education officials and experts. Results In terms of the compilation and operation of educational programs, the four case schools have developed educational content and carried out creative activiti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objectives of each school, combined with the regular curriculum operation programs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each school to strengthen the students competencies. In terms of infrastructure construction, the existing specific space was changed into a space for maker education, and new professional facilities were improved to meet the needs. In order to enhance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strength, experts were invited to re-educated the teachers while using of digital machines and also the schools developed various projects to provide training to teachers. In terms of sharing and spreading(feedbacking) the results of the operation, various programs were designed to share with local communities in order to promote maker education culture. But so far, the system to evaluate the performances or outcomes has not been established. Conclusions Maker education should develop various educational contents (programs) linked to regular curriculum while establishing infrastructure between schools and communities to spread maker education. In addition, teachers expertise and capabilities should be strengthened to revitalize maker education to strengthen the competency, and the government, schools and communities should jointly share and disseminate the results and performance of maker education.

      • KCI등재

        교육의 기회균등 관점에서의 중국 소수민족 대학입시제도 우대정책 발전방안

        Zhou, Mimi(Zhou, Mimi),전춘련(Quan, ChunLi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3

        중국은 다민족국가라는 특수성 때문에 정부는 소수민족이 사회에 적응하고 조화로운 사회통합을 이룰 수 있는 다양한 우대정책을 시행하고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소수민족 대학입시 우대정책이다. 현재 중국정부는 경제가 낙후한 지역의 소수민족에게 대학입시 가산점부여, 입학조건 완화 등 대학입시 우대정책을 시행하고 있지만, 정책의 신뢰성 및 선발과정에서의 공정성 등 아직도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남아 있다. 때문에 이 연구에서는 어떻게 하면 우대정책이 정책수요자의 입장에서 신뢰를 받을 수 있을지, 어떠한 방법으로 수혜대상자에게 기회균등을 보장할 수 있을지에 대한 방안을 찾기 위해서, 현재 시행하고 있는 소수민족 대학입시 우대정책을 교육 평등 및 교육기회균등의 관점에서 문제점을 분석하였고,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소수민족 대학입시 교육관련 법률 제정, 소수민족 교육전반에 걸친 우대정책 제정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소수민족 지역특징에 맞는 차별화된 우대정책 구축, 교육기회균등을 위한 중앙정부의 감독ㆍ관리시스템 구축을 제안하고 있다. With the special situation of China as it is a multi-ethnic state, the government has implement various preferential policies for minority races to adapt to the society and establish harmonious social integration and one of such policies would be the affirmative action in the university entrance system. Currently, the Chinese government implements the affirmative action in the university entrance system, such as granting of additional score for the university entrance, moderation of entrance requirements and so forth, for the minority races in the economically deteriorated regions, but there are issues of reliability for the policy, fairness in screening process and so forth that there are issues yet to be solved. If so, in order to find out the clues on how to obtain the reliability on the preferential policy as in the position of the policy users and how the equal opportunity is guaranteed to the beneficiaries under the affirmative action in the university entrance system for the minority races after analyzing the policy with the point of view of education equality and equal opportunity in education, and then, it presents the need to enact laws related to the university entrance education for minority races, and establish the preferential policy through overall education of minority races to supplement the foregoing issues. And it proposes to structure the differentiated preferential policies as appropriate to the local characteristics of minority races and structure the supervisory and management system of the central government for equal opportunity in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