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전라북도 지역의 민속식물

        전영문 ( Young-moon Chun ),박문수 ( Moon-su Park ) 한국환경생물학회 2014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32 No.3

        본 연구는 전라북도에서 이용되는 민속식물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3년 3월부터 2014년 7월까지 수행하였다. 11개 시ㆍ군지역의 주민 59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885건의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 민속식물은 총 66과 137속 140종 2아종 12변종으로 총 15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지역별로는 완주시가 135분류군으로 가장 많았고, 고창군이 128분류군, 무주군 104분류군, 진안군 103분류군, 부안군 87분류군, 정읍시 69분류군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용도별 이용은 식용 112종류, 약용 62종류, 관상4종류, 염료 3종류, 유지 3종류, 향료 1종류, 수액 1종류,향신료 1종류, 기타 9종류로 식용과 약용의 이용 빈도가높았으며, 이용부위로는 잎, 열매, 줄기, 뿌리, 전체 순으로 나타났다. 표준식물명과 각 시.군별 지방명의 일치에서는 무주 (59.4%), 완주 (51.8%), 부안 (51.0%), 고창(50.4%), 순창(46.3%)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민속식물의 이용정보는 대부분 구전으로 습득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from March 2013 to July 2014 with the aim of examining folk plants used in Jeollabuk-do Province. The analysis of 885 surveys collected from 59 residents of 11 cities and counties shows that a total of 154 taxa composed of 137 genera, 140 species, 2 subspecies and 12 varieties belonging to 66 families are currently used in the province. Regionally, Wanju had the greatest variety with 135 taxa, followed by Gochang with 128, Muju with 104, and Jinan with 103. In terms of their use, the plants were most frequently used as food and medicine, with 112 taxa of edible, 62 taxa of medicine, 4 taxa of ornamental, 3 taxa of dye, 3 taxa of oil, 1 taxa of aroma, 1 taxa of sap, 1 taxa of spice, and 9 taxa of miscellaneous use. Regarding plant parts, leaves were used most often, followed by fruits, stems and roots. The coincidence degree betweenthe standard names of plants and their local names was the highest in Muju at 59.4%, followed by Wanju at 51.8%, Buan at 51.0%, Gochang at 50.4% and Jinan at 46.3%. The information on how to use folk plants was almost always orally transmitted.

      • KCI등재
      • KCI등재

        지리산국립공원 구상나무개체군의 식생구조와 동태 모니터링

        전영문 ( Young-moon Chun ),김상민 ( Sang-min Kim ),박은희 ( Eun-hee Park ),박선홍 ( Sun-hong Park ),이호영 ( Ho-young Lee ),김진원 ( Jin-weon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202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5 No.4

        지리산 구상나무개체군의 쇠퇴 요인과 군락의 변화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7개 지역에 조사구를 설치하여 2009년부터 2018년까지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세석조사구를 제외한 6개 조사구의 층상구조는 4층구조를 나타내었으며, 조사구 전체를 대상으로 한 구상나무의 중요치는 2009년 55.7%에서 2018년 39.8%로 2009년 대비 28.5%라는 큰 폭의 감소율을 보였다. 흉고직경 5cm 이상의 개체수에서는 조사구 전체 평균이 2018년 711개체/ha 이며, 2009년부터 2018년까지의 누적 고사율 평균은 10.8% 이다. 고사 유형에서는 서서 고사하는 유형(Dead Standing, DS)이 조사구 전체의 82.4%로 가장 우세하게 나타났으며, 입지의 경사도가 35° 로 높은 반야봉1 조사구의 경우 DS유형을 제외한 기타 유형이 44.2%로 높게 나타났다. 구상나무개체군의 직경급 분포 유형은 세석평전에서 역 J자형을 보이고 있어 안정적인 군락 유지가 가능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전체 조사구를 대상으로 한 비대생장값의 평균은 1.09mm/year 였으며, 주로 아교목상의 개체들이 수관층을 형성하고 있는 세석평전에서 가장 왕성한 생장을 나타내었다. 나이테 조사 결과, 벽소령과 반야봉1 조사구에서 구상나무의 평균 수령은 102년과 91년으로 추정되었으며, 활력은 2013년 이후 대체로 감소 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We established and monitored survey sites in seven regions of Mt. Jiri to investigate population decline and change of the Korean fir (Abies koreana) over a ten-year period from 2009 to 2018. With the exception of one site (Seseok), the six remaining ones all showed a four-layer stratification structure. The importance value of Korean firs in all of the survey areas decreased significantly by 28.5%, from 55.7% in 2009 to 39.8% in 2018. The average population of objects with a diameter at breast height (DBH) of 5cm or more in all survey sites was 711 objects/ha in 2018, and the cumulative death rate from 2009 to 2018 was 10.8%. Among the death types, DS (dead standing) was the most dominant, comprising 82.4% of the total survey area. However, in Banyabong 1, which had a high gradient of 35°, the death types other than DS accounted for 44.2%. We estimate that A. koreana can maintain a stable population as its distribution type for each diameter class in the Saeseokpyeongjeon site showed a reverse-J shape. The average annual ring growth in all survey sites was 1.09 mm/year, with the most abundant growth observed in the Seseokpyeongjeon site, which was formed mainly by a subtree layer. The growth ring survey showed the estimated average age of A. koreana population in the Byeoksoryeong and Banyabong 1 sites to be 102 and 91 years, respectively, a general downward trend of vitality since 2013.

      • KCI등재

        A study on stock price prediction through analysis of sales growth performance and macro-indicator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Sunghyuck Hong 중소기업융합학회 2021 융합정보논문지 Vol.11 No.1

        주가는 그 기업의 미래 가치의 척도이기 때문에 주가를 분석할 때 기업의 성장성인 매출과 이익 등을 고려하여 주식을 투자한다. 기관투자자들은 종목 선정 기준을 잡기 위해서 현재 산업의 트렌드와 거시경제 지표를 보고 성장 가능한 관련 분야를 먼저 정하고 관련 기업을 선정한 후 기업에 대한 분석을 하고 목표가를 설정 후에 매수를 하고 목표가에 도달하면 매도하는 방식으로 주식 매매를 실시한다. 하지만, 일반 개인 투자자들은 경제에 대한 지식이 기관이나 외국인 투자자에 비교하여 부족하고, 기업에 대한 재무재표 분석이나 성장성에 대한 분석 없이 전문가나 지인의 추천종목을 따라 투자를 하여 기관투자자나 외국인 투자자들 보다 수익률 면에서 낮은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성장성인 매출과 이익 등을 고려한 지표인 ROE를 분석하여 저평가된 종목을 선택하고, 선택된 종목의 주가 흐름을 딥러닝 알고리 즘을 통하여 예측하는 연구방법을 제안하여 투기가 아닌 건전한 투자에 도움이 되기 위해 본 연구를 진행한다. Since the stock price is a measure of the future value of the company, when analyzing the stock price, the company's growth potential, such as sales and profits, is considered and invested in stocks. In order to set the criteria for selecting stocks, institutional investors look at current industry trends and macroeconomic indicators, first select relevant fields that can grow, then select related companies, analyze them, set a target price, then buy, and sell when the target price is reached. Stock trading is carried out in the same way. However, general individual investors do not have any knowledge of investment, and invest in items recommended by experts or acquaintances without analysis of financial statements or growth potential of the company, which is lower in terms of return than institutional investors and foreign investors. Therefore, in this study, we propose a research method to select undervalued stocks by analyzing ROE, an indicator that considers the growth potential of a company, such as sales and profits, and predict the stock price flow of the selected stock through deep learning algorithms. This study is conducted to help with investment.

      • KCI등재

        황칠나무군락의 식생구조와 입지환경 분석을 통한 생육가능지역 추정

        전영문 ( Young Moon Chun ),이은혜 ( Eun Hye Lee ),이재석 ( Jae Seok Lee ) 한국환경생물학회 2010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28 No.1

        남해안 고흥, 해남, 완도, 보길도지역에 분포하는 황칠나무개체군 생육지의 군락구조와 종조성, 그리고 입지환경 등을 조사하였으며, 자생지의 기상요인을 분석하여 생육가능지역을 추정하였다. 황칠나무군락은 종조성의 차이에 의해 구실잣밤나무군과 서어나무군으로 구분되었다. 상대기여도에 의한 우점도값은 전체적으로 동백나무(100.0), 붉가시나무(88.6), 구실잣밤나무(55.8), 황칠나무(41.4), 마삭줄(23.8), 사스레피나무 (19.9), 광나무(11.5) 등 상록활엽수의 분포가 높게 나타났다. 개체군 분포는 서어나무군이 흉고직경 5 cm 미만의 개체가 전체의 94.2%로 구실잣밤나무군(54.2%)에 비하여 대부분 소경목과 유목의 개체로 구성되어 있었다. 생육지의 토양환경은 약산성의 토양산도, 유기물과 토양함수량이 양호하며 배수성이 좋은 지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생육지의 분포 범위는 대체로 연평균기온이 13℃ 이상, 일 최저기온이 7.4℃ 이상, 온량지수(WI) 100℃?month 이상, 그리고 연강수량은 1,344 mm 내외로서 우리나라 서남부 도서와 해안에 인접한 상록활엽수림대 지역들이 해당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황칠나무의 자연생육지에서 확인된 연평균기온 13℃를 토대로 한 생육가능 등치선은 군산-정읍-광주-진주-포항-영덕을 잇는 선으로 나타났다. We researched community structure, species composition, and habitat environment of Dendropanax morbifera populations distributed in Goheung, Haenam, Wando (I.), and Bogildo (I.) at south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Our research was also estimated possible area for growth of Dendropanax morbifera by analyzing meteorological factors of the habitat thereof. Dendropanax morbifera community divided into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group and Carpinus laxiflora group by difference of species composition. Broad-leaved evergreens showed high dominance value in view of rNCD in Dendropanax morbifera community as follows: Camellia japonica (100.0), Quercus acuta (88.6),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55.8), Dendropanax morbifera Lev. (41.4), Trachelospermum asiaticum var. intermedium (23.8), Eurya japonica (19.9) and Ligustrum japonicum (11.5). In the population distribution, 94.2% of Carpinus laxiflora group consisted of sapling and small size class that are less than 5 cm in DBH while 54.2% of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group did. The soil environment of habitat showed low soil acidity, good organic matter and water content, and good drainage. The distribution area of Dendropanax morifera habitat had 13℃ or more in annual mean temperature, 7.4℃ or more in daily minimum temperature, 100℃ ?month or more in warmth index, and approximately 1,344 mm in mean annual precipitation. Dendropanax morifera habitat corresponded to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zone located in islands and coast in the southwest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 northern limit line of Dendropanax morifera community was determined as Gunsan-Jeongeup-Gwangju-Jinju-Pohang-Youngdeok line based on 13℃ in annual mean temperature that was confirmed in natural habitat of Dendropanax morifera community.

      • KCI등재

        월악산 신갈나무 ( Quercus mongolica ) 림의 종조성과 토양환경

        이호준,전영문,김창호 ( Ho Joon Lee,Young Moon Chun,Chang Ho Kim ) 한국환경생물학회 1998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16 No.2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loristic composition and soil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Quercus mongolica forest on Mt. Worak was investigated from May 1993 to February 1997. The Quercus mongolica -Lespedeza maximoiwiczii community was classified into two subcommunity of Quercus variabilis and Artemisia stolonifera. The dominance sequences on each stratum determined by the coverage index showed that Quercus mongolica was most dominant in tree-1 layer with 7569.6, and in tree-2 layer with 1211.4, Lespedeza maximoiwiczii in shrub layer with 896.9, and Ainsliaea acerifolia in Herb layer with 1480.8 value. The highest value of diameter breast height (DBH) was distributed in the range of 11 ∼ 20 ㎝ (41.1%) in Quercus mongolica forest and it showed a bell-shape distribution. Except soil water content, almost every data showed the lower value at 600∼850m than any other altitude. Species dominance was eminently Sasu borealis. Carex lanceolata at 400∼600m, Carex humilis at 600∼850 m and Fraxinus rhynchophylla, Acer pseitdo-sieboldianum, Ainsliaea acerifolia, Carex siderosticta at 860∼1060m, respectively. Soil conditions in NE-NW slope was more favorable than in SE-SW slope. In summary, Quercus mongolica, Acer pseudo-sieboldianum. Carex siderosticta, and Ainsliaea acerifolia were dominant in NE-NW slope, while Quercus mongolica, Fraxinus rhynchophylla, Spodiopogon sibiricus, and Carex humilis dominant in SE-SW slope.

      • KCI등재

        강원도 설악산의 식물상(1)

        홍문표 ( Moon Pyo Hong ),이호준 ( Ho Joon Lee ),전영문 ( Young Moon Chun ),홍보람 ( Bo Ram Hong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0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4 No.4

        설악산에 자생하는 관속식물상을 1984년부터 2010년까지 조사한 결과, 총 109과 463속 814종 1아종 122변종 57품종 총 994분류군이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사된 994분류군 중 한국특산식물은 53분류군,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은 60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은 Ⅴ등급 42분류군, Ⅳ등급 27분류군, Ⅲ등급 58분류군, Ⅱ등급 57분류군, Ⅰ등급 64분류군 등 총 248분류군이 분포하였다. 그리고 귀화식물은 60분류군이 확인되었는데 국화과가 전체의 31.7%로 가장 높게 분포하였으며, 귀화율은 6.0%로 나타났다. 또한 생활형조성은 반지중식물(27.6%), 지중식물(25.0%), 지상식물(21.8%) 등이 높게 나타났다. The vascular flora of Mt. Seorak had been researched from 1984 to 2010, and this research revealed 994 taxa in total, including 814 species, 1 subspecies, 122 varieties and 57 forms in 463 genera, 109 families. Among them were 53 taxa of Korean endemic species, 60 taxa of rare and endangered species, and 248 taxa of specially designated species in view of floristics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which includes 42 taxa of grade V, 27 taxa of grade IV, 58 taxa of grade III, 57 taxa of grade II, and 64 taxa of grade I. With regard to the naturalized plants, 60 taxa were recognized, and Compositae taxa was distributed in highest ratio, accounting for 31.7%, and naturalization ratio was found to be 6.0%. Furthermore, hemicryptophytes (27.6%), geophytes (25.0%) and phanerophytes (21.8%) showed high proportional ratio in life form spectrum.

      • SCOPUSKCI등재

        대구 인접 지역 삼림식생의 진행천이와 잠재자연식생

        정흥락,전영문,이호준,Choung, Heung-Lak,Chun, Young-Moon,Lee, Ho-Joon 한국생태학회 2006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ol.29 No.3

        대구 인접지역 삼림식생에 대한 진행천이의 메카니즘과 잠재자연식생을 추정하였다. DCA 에 의한 요인 분석에서는 해발 고도 및 습도구배에 따라 각 군락의 특성이 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토양의 수분 함량과 유기물 함량 및 전질 소량은 군락이 발달함에 따라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관 연관분석에서는 2개의 종집단으로 크게 구분되었으며, 이들 두 집단의 유형을 결정하는 요인은 기온 및 토양의 수분 요인으로 판단되었다. 특히, 두 종집단은 천이의 진행에 따라 종조성이 달라지는 군락의 발달단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보이며, 생활형 조성도 이를 뒷받침하였다. 입지요인 및 종조성에 따라 소나무 군락, 굴참나무군락, 상수리나무군락 및 떡갈나무군락은 졸참나무군락이나 신갈나무군락으로 각각 천이가 진행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본 조사지역의 잠재자연식생은 종조성, 토양환경 및 지형요인에 의하여 산지 중 상부의 신갈나무군락, 계곡부의 고로쇠나무-까치박달군락, 산지 중 하부는 졸참나무군락 의 3개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그리고 신갈나무군락과 고로쇠나무-까치박탈군락은 현존 식생이면서 잠재자연식생이며, 소나무군락은 현재의 종조성 및 해발 영역을 토대로 신갈나무군락과 졸참나무군락으로 각각 발달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This study represents the mechanism of progressive succession and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on the forest vegetation in and surrounding Daegu. As a result of DCA, the feature of community was determined by an altitude and humid gradients. The soil moisture, contents of organic matter and total nitrogen increased as the community developed. In the interspecific association analysis, the forest vegetation was divided into two species groups and they were influenced by temperature and soil moisture. Especially, each two groups showed different stages of vegetation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progressive succession and life form composition supported those results. It was predicted that Quercus variabilis, Q. acutissima, Q. dentata and Pinus densiflora communities would develop into Q. serrata community or Q. mongolica community depending on their location or species composition. In the study area, the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was divided into 3 communities by biogeographical gradients such as species composition, soil environment, and geographical features: 1)Q. mongolica community in the middle-upper area of the mountain, 2)Q. serrata community in the middle-lower area of the mountain and 3)Carpinus cordata-Acer mono community in the cove area. It is suggested that the Q.mongolica and C.cordata-A.mono communities become actual vegetation and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But it is also suggested that the P. densiflora community would be changed into the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of the Q. mongolica community and Q. serrata community on the basis of the present species compos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