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에스트로겐이 T 림프구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전성욱,정경천,구승엽,Chun, Sung-Wook,Chun, Kyung-Chun,Ku, Seung-Yup 대한생식의학회 2009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6 No.2

        SLE 등의 자가면역질환 병인론에 있어서 $CD4^+$ T 조력 림프구 (T helper cell)의 기능과 항상성 조절의 이상이 중요하다는 것은 알려진 사실이지만 $CD4^+$ T 조력 림프구 (T helper cell)의 발달과 기능에 대한 성호르몬의 정확한 역할에 대하여는 아직 확립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에스트로겐의 $CD4^+$ T 림프구에 대한 여러 방면의 작용에 대한 결과는 에스트로겐 매개 신호가 전달되는 정황에 매우 의존적이라고 할 수 있으며, 또한 에스트로겐이 B 림프구와 항원발현세포들 같이 T 림프구 기능을 변화시킬 수 있는 다른 분획 세포들의 기능에 대해서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을 고려한다면, 에스트로겐이 $CD4^+$ T 림프구매개반응에 미치는 작용은 매우 복잡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로선 이런 과정들과 관련된 에스트로겐의 정확한 기전에 대한 연구 성과는 현재로선 아직걸음마 단계에 지나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일부 분자학적 표적들의 발견에도 불구하고 ER-$\alpha$와 ER-$\beta$, 또는 이런 표적들의 조절에 대한 유전자적 또는 비유전자적 경로의 상대적 역할에 대해서는 현재로선 알려진 바가 많지 않은 것 또한 사실이며, T 림프구 자체의 미세 환경과 ER 매개 전사반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방법 역시 아직까진 알려진 바가 없다. 따라서 에스트로겐의 $CD4^+$ T 림프구에 대한 다각적 영향을 규명하는 데 있어 이런 경로들에 대한 보다 체계적이고 상세한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 최근 골다공증의 병인에 있어 에스트로겐에 의한 TNF 및 RANK-RANKL계 억제에 대해 연구가 심도 있게 진행됨으로써 결과적으로 다른 시토카인과 면역세포들에 대한 영향이 간접적으로 규명되고 있는 점은 매우 고무적인 현상이라고 여겨진다. 이러한 연구들은 추후 에스트로겐의 면역 및 염증체계에 대한 특징적 작용을 규명하는데 있어서 밑거름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호르몬 자체, 또는 SERM 같은 준호르몬제제들이 면역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자학적으로 규명함으로써 향후 이러한 지식들이 또한 류마티스성 자가면역질환이나 만성염증성질환, 또는 전신성 감염질환에 있어 면역글로불린이나 기타 다른 기존 치료 약제들을 대체 보완할 수 있는 호르몬 치료로 이어질 수 있는 결정적인 단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외음부에 생긴 연골육종

        전성욱 ( Sung Wook Chun ),전균호 ( Gyun Ho Jeon ),조현진 ( Hyun Jin Cho ),지용일 ( Yong Ii Ji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4 No.9

        Vulvar cancers comprise less than 5% of gynecologic malignancies, and vulvar sarcomas are rare tumors, comprising 1.5% of all vulvar cancers. Extraskeletal chondrosarcoma is a rare tumor and vulvar chondrosarcoma has not been reported in Korea yet. We report here the first case of vulvar chondrosarcoma in Korea.

      • KCI등재후보

        기저 골밀도 및 이전 호르몬 치료 골반응에 따른 호르몬 치료 골반응

        전성욱 ( Sung Wook Chun ),김미란 ( Mee Ran Kim ),이병석 ( Byung Suk Lee ),윤병구 ( Byung Koo Yoon ),강병문 ( Byung Moon Kang ),최훈 ( Hoon Choi ),박형무 ( Hyoung Moo Park ),김정구 ( Jung Gu Kim ) 대한폐경학회 2012 대한폐경학회지 Vol.18 No.1

        연구목적: 한국폐경여성에서 기저 골밀도 및 이전 호르몬 치료 후 골반응에 따른 호르몬 치료 후 골반응과, 호르몬치료에 대한 비반응군의 빈도 및 임상적 특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7개 대학병원에서 호르몬 치료를 받은 총 1,836명의 환자에 대해 후향적 리뷰를 시행하였고, 호르몬 치료 전과 치료 1년, 2년 및 3년째 요추, 대퇴골 경부, 대퇴골 전자 및 총관골의 골밀도 자료를 얻었다. 모든 환자들은 기저 골밀도에 따라 정상 골밀도, 골감소증, 골다공증군으로 분류되었다. 결과: 모든 골밀도 측정 부위에서 호르몬 치료 1년째 골밀도 감소가 클수록 2년째 골밀도 증가율이 높았다. 호르몬 치료 3년째 골밀도 변화는 1년째 골밀도 변화와 무관하였다. 호르몬 치료 1년째 평균 골밀도 증가는 네 부위 모두 골다공증군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나 2년째 평균 골밀도 변화는 요추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는 세 군간 차이가 없었다. 호르몬 치료 중 1년간 골밀도가 3% 이상 감소한 경우를 비반응군으로 정의할 때, 호르몬 치료 첫해 비반응군의 빈도는 정상 골밀도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요추, 대퇴골 경부 및 전자 세 부위에 대한 2년연속 비반응군의 경우 부위별 평균 기저 골밀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던 반면, 세 부위 3년 연속 비반응군의 경우는 대퇴골을 제외하면 부위별 평균 기저 골밀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호르몬 치료 후 골반응은 전년도 호르몬 치료에 대한 골반응이 떨어질 경우 오히려 증가되는 경향을 보인다. 비반응군의 빈도는 기저 골밀도가 높은 군일수록 높으며, 기저 골밀도가 낮은 환자일수록 호르몬 치료에 보다 나은 골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보인다. Objectives: To investigate bone responses to hormone therapy (HT) according to basal bone mineral density (BMD) and previous responses to HT, as well as the frequency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HT non-responders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a total of 1,836 postmenopausal women who received HT from seven university hospitals. BMD data at the lumbar spine (LS), femur neck (FN), femur trochanter (FT) and total hip (TH) before HT, and at one, two, and three years after HT were collected. All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basal BMD: normal, osteopenia, and osteoporosis. Results: Women with a greater loss of BMD during the fi rst year of HT were more likely to gain BMD in the second year at any of the four skeletal sites. Bone responses to HT during the third year were not related to the responses during the first year. Mean BMD changes during the fi rst year were signifi cantly higher in the osteoporosis group, but mean BMD changes during the second year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ree groups except in LS. The frequency of non-responder (annual BMD losses more than 3%) during the fi rst year was signifi cantly higher in the normal basal BMD group. Mean basal BMDs were higher in the twoyear consecutive non-responder group at LS, FN and FT, but those of the three-year consecutive non-responder group were not signifi cantly higher except in FN. Conclusion: Most women who lose BMD after HT are likely to gain BMD during the next year. The frequency of non-responders is higher in the higher basal BMD group, and patients with lower basal BMD will be likely to respond better to HT.

      • KCI등재후보

        열성 홍조와 기타 폐경 증상 및 폐경기 만성 질환과의 연관성

        전성욱 ( Sung Wook Chun ) 대한폐경학회 2013 대한폐경학회지 Vol.19 No.2

        열성 홍조는 폐경기 여성에서 가장 흔하게 호소하는 증상 중 하나이며, 야간 발한과 함께 혈관운동성증상으로 불려진다. 저자는 본 논문에서 열성 홍조와 다른 폐 경 증상 및 폐경기 연관 만성 질환간의 연관성에 대하여 현재까지 알려진 결과들을 요약 정리하였다. Hot flush is one of the most commonly reported symptoms during menopause and it is referred to as vasomotor symptoms along with night sweats. I have summarized the current available knowledge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hot flush to other menopausal symptoms and the related chronic diseases to menopause in this article. (J Korean Soc Menopause 2013; 19:54-63)

      • KCI등재후보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혈액암 환자에서 조기난소기능부족증 예방을 위한 성선자극호르몬분비호르몬작용제의 병합 사용

        전성욱 ( Sung Wook Chun ),지용일 ( Yong Il Ji ),주영돈 ( Young Don Joo ) 대한폐경학회 2013 대한폐경학회지 Vol.19 No.2

        연구목적: 혈액 암으로 진단 받고 항암화학요법을 시행 받는 환자에서 난소 기능 보존을 위한 성선자극분비호르몬작용 제 병합요법의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2010년 3월부터 2012년 2월까지 대학병원에서 혈액 암으로 처음 진단 받고 항암화학요법을 시행 받은 폐경 전 젊은 여성을 연구 대상에 포함하였다. 결과: 29명 (15-39세)의 환자가 연구 대상에 포함되었으며, 이 중 5명은 항암화학요법 중 leuprolide를 병합투여 받았고 24명은 항암화학요법만 시행 받았다. 항암화학요법만 단독으로 시행 받은 24명 중에서 17명이 치료 종료 1년 이내 조기난소기능부족 증으로 진단 받았으며 leuprolide 병합 투여군 5명 중에서는 1명만 치료 종료 1년 이내 조기난소기능부족 증으로 진단 받았으나, 두 군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P = 0.054). Leuprolide 병합 투여 군에서 혈청 항뮐러리안호르몬 농도는 치료 전 (5.57 ± 0.18 ng/mL)에 비해 치료 후 (1.84 ± 0.22 ng/mL)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P < 0.001). 결론: 성선자극분비호르몬작용 제는 조기폐경 예방을 위해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으나 아직까지 그 효과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향후 충분한 추적관찰 기간을 가지는 대규모의 다기 관 전향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 of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GnRH) agonist co-treatment for gonadal protection in patients with hematologic neoplasms undergoing chemotherapy. Methods: Young premenopausal women who were diagnosed with leukemia or lymphoma between March 2010 and February 2012 and undergoing chemotherapy in a university hospital were included in this study. Results: Twenty-nine patients aged 15-39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mong the patients, five patients were receiving leuprolide concomitant with chemotherapy, and twenty-four patients were receiving chemotherapy alone. Seventeen patients in the chemotherapy alone group stopped menstrating and were diagnosed with primary ovarian insufficiency (POI) within one year after chemotherapy; and only one patient had POI in the chemotherapy plus leuprolide group, but these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054). In the chemotherapy plus leuprolide group, serum anti-mullerian hormone (AMH)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basal serum AMH levels (5.57 ± 0.18 ng/mL) (P < 0.001) after treatment (1.84 ± 0.22 ng/mL). Conclusion: GnRH agonist may be a promising option for the prevention of POF, but the effectiveness of GnRH agonist is still debatable. A large prospective multi-center trial with adequate follow-up is needed. (J Korean Soc Menopause 2013; 19:93-100)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폐경여성에서 Tumor Necrosis Factor (TNF), TNF 수용체 (TNFR) 유전자 다형성에 따른 전혈세포에서의 TNF와 용해성 TNFR 생산과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전성욱 ( Sung Wook Chun ),김훈 ( Hoon Kim ),김용진 ( Yong Jin Kim ),지병철 ( Byung Chul Jee ),구승엽 ( Seung Yup Ku ),서창석 ( Chang Suk Suh ),김석현 ( Seok Hyun Kim ),최영민 ( Young Min Choi ),문신용 ( Shin Yong Moon ),김정구 ( 대한폐경학회 2008 대한폐경학회지 Vol.14 No.3

        연구목적: 한국 폐경여성에서 TNF와 TNFR 유전자 다형성과 전혈세포에서의 TNF, sTNFR 생산 사이의 연관성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67명의 한국 자연폐경여성에서 PCR-RFLP, Taqman 측정법, 직접 염기서열분석법을 이용하여 TNF-α G(-308)A, C(-857)T, C(-863)A, T(-1031)C 유전자다형성, TNF-β A252G 유전자다형성, TNFR1 A36G 유전자다형성과 TNFR2 T676G, A1663G, C1690T 유전자 다형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LPS로 자극한 전혈세포에서 TNFα, TNFβ, sTNFR1, sTNFR2 생산을 효소면역법으로 측정하였다. 결과: TNFα와 TNFβ 유전자 다형성에 의한 단일 유전자형에 따른 전혈세포에서의 TNFα, TNFβ의 생산과 TNFα 유전자 다형성에 의해 구성된 haplotype에 따른 전혈세포에서의 TNFα, TNFβ의 생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TNFR1, TNFR2 유전자 다형성에 의한 전혈세포에서의 sTNFR1 및 sTNFR2생산과 TNFR2 유전자 다형성에 의해 구성된 haplotype에 따른 전혈세포에서의 sTNFR1, sTNFR2의 생산 또한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결론: 조사된 TNF, TNFR유전자 다형성은 전혈세포에서의 TNFα, TNFβ, sTNFR1, sTNFR2생산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tumor necrosis factor (TNF)-TNF receptor (TNFR) gene polymorphisms and the production of TNF and soluble TNFR (sTNFR) by whole blood cells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Methods: The TNF-α G(-308)A, C(-857)T, C(-863)A, T(-1031)C, TNF-β A252G, TNFR1 A36G, and TNFR2 T676G, A1663G and C1690T polymorphisms were analyz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restriction enzyme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FLP) analysis, Taqman assay and direct DNA sequencing in 67 Korean postmenopausal women. The production of TNF-α, TNF-β, sTNFR1, and sTNFR2 by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whole blood cells were also measured. Results: The production of TNF-α and TNF-β by whole blood cells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TNF-α G(-308)A, C(-857)T, C(-863)A, T(-1031)C and TNF-β A252G polymorphisms, and haplotype genotypes of these polymorphism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roduction of sTNFR1 and sTNFR2 by whole blood cells in relation to the TNFR1 A36G, and TNFR2 T676G, A1663G and C1690T polymorphisms, and haplotype genotypes of these polymorphisms. Conclusion: The TNF and TNFR gene polymorphisms do not affect the production of TNF-α, TNF-β, sTNFR1, and sTNFR2 by LPS-stimulated whole blood cells.

      • KCI등재

        비구 이형성증 환자의 관절경적 소견과 술 전 Labral Test의 유용성

        유명철(Myung Chul Yoo),조윤제(Yoon Je Cho),김강일(Kang Il Kim),전성욱(Sung Wook Chun),박경준(Kyoung Jun Park)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2

        목적: 비구 이형성증 환자의 관절경 소견과 술 전 labral test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7월부터 2004년 11월까지 비구 이형성증으로 관절경을 시행 받은 3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 7예, 여자 30예였고 평균 연령은 38.8세였다. 술 전 CE각은 평균 6.54°였고 방사선학적으로 28예는 관절염 소견이 없었고, 9예는 관절염 소견이 있었다. 관절경상 관찰된 비구순 및 연골의 상태와 방사선 소견 및 labral test와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결과: 관절염 소견이 없던 28예 중 25예에서 비구순의 병변이 있었고 연골은 16예에서 이상 소견을 보였다. 관절염 소견이 있던 9예에서는 전예에서 비구순과 연골의 이상 소견을 보였다. 또한 술 전 labral test 양성 소견을 보였던 33예 중 30예에서 비구순의 병변을 보였다. 결론: 비구 이형성증에서는 방사선학적으로 변화가 나타나기 전에도 관절경 소견상 비구순 및 연골에 병적 과정이 진행되고 있었다. 또한 술 전 labral test는 비구순의 병변을 의심할 수 있는 유용한 검사로 생각된다. Purpose: To report the arthroscopic findings in symptomatic dysplastic hips and to clarify the efficacy of a labral test.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uly 2001 and Nov 2004, arthroscopy was performed on 37 dysplastic hips. There were 7 males and 30 females and the average age was 38.8 years. The average center-edge angle was 6.54°. Radiographically, 28 hips were prearthritic and 9 hips showed arthritic changes. The arthroscopic findings of the labrum and cartilage and the efficacy of labral test were compared. Results: Labral lesions were found in 25 cases, and cartilage lesions were found in 16 cases of 28 prearthritic hips. All patients with radiographic evidence of osteoarthritis had both labral and cartilage lesions. Labral lesions were found in 30 out of 33 cases with a positive labral test. Conclusion: This study identified the pathologic processes of acetabular labrum and cartilage in most cases, even though there was no radiographic evidence of osteoarthritis. Preoperative labral test is a useful physical examination in those suspected of having labral les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