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oles of Distal Centralizer in Cemented Total Hip Arthroplasty

        장준동(Jun-Dong Chang),이상수(Sang-Soo Lee),유제현(Je-Hyun Yoo),서동현(Dong-Hyun Suh),김창영(Chang-Young Kim),전병혁(Byoung-Hyuk Jun) 대한정형외과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0 No.3

        목적: 대퇴 삽입물의 정렬을 향상시켜 시멘트 mantle의 두께를 확보하기 위하여 centralizer가 이용되고 있으나, 시멘트 mantle이 부적절하게 형성되는 경우들이 있다. 저자들은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에서 시멘트 mantle 두께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3세대 시멘트 기법을 사용하여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을 시행받은 환자 8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4가지 다른 형태의 대퇴인공 삽입물(각 형태당 20명씩)을 사용하였다: Centralign (Zimmer, Warsaw, IN), Precision (Howmedica, Rutherford, NJ), Omnifit (Osteonics, Allendale, NJ), Elite Plus (Depuy, Warsaw, IN). 대퇴 삽입물의 크기, 첨부의 직경, centralizer의 형태 및 크기, 방사선 사진에서의 시멘트mantle의 상태를 분석하였다. 결과: Barrack 분류에 따라 환자들을 Cl 이상(≥Cl; A, B 및 Cl, 69예)과 C2 (11예)의 두 군으로 나누었을 때, 두 군 간에 나이, 성별, 원인 질환, 사용한 스템의 크기, Dorr ratio, plug까지 시멘트의 길이는 차이가 없었다. 환자들 중 18예에서는 원위부 centralizer의 직경과 스템 첨부 직경의 차이가 2㎜ 미만이었고, 62예에서는 2㎜ 이상이었다. 직경 차이가 2 ㎜ 이상인 환자들에 비해 2㎜ 미만인 환자들에서 C2가 더 흔하게 관찰되었다 (22.2% .vs 11.3%). 그러나 직경 차이가 2㎜ 이상인 경우에서도 centralizer의 모양에 상관없이 모든 종류의 centralizer에서 C2가 발생하였다. 결론: 적절한 두께의 cement mantle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원위부 centralizer의 직경을 스템 첨부의 직경보다 최소한 2 ㎜ 이상 큰 크기로 선택하여야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비교된 centralizer들은 사용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성공적인 cement mantle 형성을 위해서는 개선된 형태의 centralizer가 요구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ind out the influencing factors on cement mantle thickness in cemented total hip arthroplasty. Materials and Methods: Eighty patients were randomly enrolled who received total hip arthroplasty with the third generation cementing technique. Four types of femoral prosthesis (20 patients in each type) were used: Centralign (Zimmer, Warsaw, IN), Precision (Howmedica, Rutherford, NJ), Omnifit (Osteonics, Allendale, NJ), and Elite Plus (Depuy, Warsaw, IN). Size of femoral prosthesis, diameter of stem tip, shape and size of centralizer, and the condition of cement mantle on the radiograph were analyzed. Results: Between the two groups of same or above C1 (≥C1; A, B, and C1, n=69) and C2 (n=11) by Barrack classification, there was no difference in age, sex, underlying disease, size of applied stem, Dorr ratio, and the distance between stem tip and plug. The difference of distal diameter between centralizer and stem was less than 2 ㎜ in 18 patients, and same or above 2 ㎜ in 62 patients. C2 was more frequently quently observed in patients with the diameter difference <2 ㎜ than in patients with the diameter difference ≥2 ㎜ (22.2% vs. 11.3%). However, C2 developed in all types of femoral stems, irrespective of their shapes, even the diameter difference was ≥2 ㎜. Conclusion: The diameter of distal centralizing device should be at least 2 ㎜ larger than that of stem tip for an optimal cement mantle thickness. In addition, centralizers investigated in this study should be carefully used, and more improved shape of centralizer is required for the successful cement mantle formation.

      • 단족지 신전근 도상 피판에 의한 족부 및 족관절부의 연부조직 수복

        최수중,전병혁,Choi, Soo-Joong,Jun, Byoung-Hyuk 대한미세수술학회 2005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Vol.14 No.2

        The extensor digitorum brevis (EDB) muscle island flap is a reliable, safe method for coverage of foot and ankle. There are many variation in approach such as curvilinear, zigzag, L-shaped or vertical longitudinal incision for exposure of the EDB muscle. These approaches use only single incision excluding the distal incision for exposure of the distal tendon. Since dorsalis pedis artery vascular bundle and sinus tarsi branch of the lateral tarsal artery both requires careful dissection, single incision alone may cause not only difficulty in exposure but also skin sloughing at donor site. So we tried to modify the approach into two parallel longitudinal incision, one for dorsalis pedis vascular bundle and the other for sinus tarsi branch exposure. The author treated 9 patient with EDB muscle flap. We used single incision in six patients, and two parallel incision in three patients. All the flap survived. In two parallel incision group, dissection was more easy and rapid. So we would like to suggest that two parallel longitudinal incision approach is better method than the single incision technique for exposure of the EDB muscle flap.

      • KCI등재

        화상 후 발생한 심부 화농성 관절염

        이상훈(Sang-Hun Lee),이동훈(Dong-Hun Lee),장동준(Jun-Dong Chang),전병혁(Byoung-Hyuk Jun) 대한정형외과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0 No.7

        목적: 중증 화상 후 발생한 심부 관절의 화농성 감염의 임상적인 특징 및 치료의 경험에 대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1월부터 2004년 6월까지 중증 화상 11,797명 중 화농성 관절염이 발생한 예를 대상으로 하여 화상의 정도, 진단시기, 미생물학 및 임상병리학적 검사 결과에 대하여 분석하였으며 손상된 피부를 통한 관절의 직접 감염은 제외하였다. 결과: 화농성 관절염은 총 22명, 26관절로 평균 연령 43.6세, 평균 추시 기간은 46개월이었다. 화상의 정도는 평균 34.7%였으며 전체 중증 화상 환자의 0.19%에서 나타났다. 침범 관절은 고관절 10예, 척추 5예, 견관절 5예 등의 순이었으며, 화상 후 증상 발현은 평균 4.1주, 감염의 진단까지는 평균 6.3주였다. 원인 균주는 혈액 배양과 관절배양에서 Methicillin 내성 포도상 구균이 각각 58%와 61%로 가장 많았다. 22관절에서 수술을 시행하였으며 감염의 재발이나 지속되는 동통으로 환자의 72%가 만족스럽지 못한 임상 결과를 나타내었다. 결론: 화상은 화농성 관절염이 합병되는 주요 위험인자의 하나로 생각되며 동반된 연부조직 손상과 감염으로 조기 진단이 어렵고 임상 경과도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심한 임상적 관찰로 화농성 관절염 발생을 조기 진단하여 합병증이 속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최선의 대책으로 판단된다. Purpose: To report the clinical findings and the results of treatment on hematogenous pyogenic arthritis after major burn injury.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made of 11,797 major burn injury patients from January 1996 to June 2004. Severity of burn by involved body surface area, time of diagnosis, and laboratory findings were analyzed. Direct spread of infection from injured skin to superficial joint was excluded. Results: Hematogenous infection was complicated in 26 joints of 22 patients (0.19% of overall cases). The mean age was 43.6 years, and mean follow-up was 46 months. The body surface area of burn injury was averaged 34.7%. The common involved area was hip in 10 patients, spine and shoulder in five patients, respectively. From the time of injury, average interval to development of symptom was 4.1 weeks, and to establish the diagnosis was 6.3 weeks. The most common isolated pathogen was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A total of 22 joints underwent surgical treatment. The clinical results of the patients were poor in 72% due to recurrent infection and persistent pa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major burn injury may be an important risk factor of hematogenous pyogenic arthritis. Careful clinical suspicion should be important for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