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목표중심 리더십이 조직 구성원의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LMX의 조절효과

        장제욱 ( Je-wook Chang ) 한국생산성학회 2018 生産性論集 Vol.32 No.4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oal-focused leadership(GFL) & on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examining the moderating role of Leader-Member Exchange(LMX). Previous research has found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goal-focused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However, empirical analysis has not yet demonst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goal-focused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moderating through Leader-Member Exchange. This study hypothesized as follows: Hypothesis 1 : Goal-focused leadership will be positively related to affective commitment. Hypothesis 2 : LMX will be positively related to affective commitment. Hypothesis 3 : LMX will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oal-focused leadership and affective commitment Data were collected from 350 employees from a variety of companie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test these hypotheses. This study shows that goal-focused leadership with the moderating role of Leader-Member Exchange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positively. Future discussions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팔로워십을 활용한 리더십 교양교육에 대한 탐색적 연구 : 비교과 프로그램으로의 접근 사례

        장제욱(Chang, Je-Wook) 한국교양교육학회 2021 교양교육연구 Vol.15 No.6

        이 연구의 목적은 교양교육에 있어 팔로워십 연구 및 교육 동향, 그리고 리더십 교육과의 연계필요성을 확인하고, 팔로워십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향후 유관 분야 교육과 연구 방향 설정에기여하는 것이다. 연구문제 해결을 위해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팔로워십과 리더십의 연계성을 확인할수 있는 선행연구들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사회수요를 반영하여 기존에 전문가들이 검증해 놓았던팔로워십 역량항목 자료들을 수집해 분석의 기초로 삼았고, 추가적으로 리더십 교양 수업 참여 학생들을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잠재적인 필요역량을 추가하여 분석도구로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는다음과 같다. 첫째, 팔로워십이 리더십 교육을 보완하는 콘텐츠가 될 수 있으며 대학교양교육에 충분히활성화시킬만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K 대학생들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5가지 팔로워십 역량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팔로워십 관련 비교과 프로그램이 리더십 교양교과목의 핵심역량제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넷째, 팔로워십을 접목시킬 수 있는 다양한 분야에추가적인 비교과 프로그램 지원 필요성도 절감하였다. 아울러 교양교육에 있어 팔로워십의 교육 효과성을 확산시키기 위해 졸업생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다양한 연구 방법들을 적용해 볼 필요가 있음을강조하고, 팔로워십 관련 비교과 프로그램의 경우 향후에는 학습자들의 역량수준과 팔로워십 향상목적(자기주도적 대학생활, 팀워크 발휘, 사회진출 준비 등)을 충분히 고려하여 운영함이 필요함을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necessity of linking “followership” research and educational trends with leadership education in liberal arts education, and to contribute to future education and research direction through followership programs and the operation of non-subject educational programs. In order to solve the research issue, first, previous studies that can confirm the connection between followership and leadership through literature research were examined. In addition, followership competency items verified by experts were collected and used as the basis for analysi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additionally conducted with students participating in leadership and liberal arts classes to add potential necessary competencie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 confirmed that followership programs can serve to complement leadership education and are already sufficiently active in university education. Second, we were able to confirm five followership competencies that K university students thought were of primary necessity. Third, we found that followership-related programs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enhancing the core competencies of leadership and liberal arts subjects. Fourth, we realized the keen necessity of adding additional non-subject educational program support in various fields that can incorporate followership programs. Lastly, we learned of the need to apply various research methods to graduates and enrolled students in order to spread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followership programs in liberal arts education, and suggested that followership-related non-subject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fully considered and operated in the future.

      • KCI등재

        상사지원인식이 역할내 성과와 역할외 성과에 미치는 영향

        차동옥(Dong-Ok Chah),홍권표(Kwon-Pyo Hong),장제욱(Je-Wook Chang),박성현(Sung-Hyun Park),강금원(Geum-Won Kang)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2

        본 연구는 상사지원인식이 조직구성원들의 역할내 성과와 역할외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직무기반 심리적 주인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일반기업 종사자 269명으로부터 설문을 받고, 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였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상사지원인식과 직무성과 간에 정(+)적인 관계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상사지원인식과 성과 간의 관계에 있어서 직무기반 심리적 주인의식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가 거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역할내 성과와 역할외 성과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의하면, 직무기반 심리적 주인의식이 상사지원인식과 역할내 성과 간의 관계에 있어서 완전매개를 하고, 상사지원인식과 역할외 성과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향후연구와 실무적인 시사점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erceived supervisor support(PSS) on employees’ in-role and extra-role performance by examining the mediating role of job-based psychological ownership(JBPO). Data were collected from 269 employees from a variety of companies. Both regress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used. Previous research has found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SS and job performance. However, empirical analysis has not yet demonstrated PSS-performance relationships mediated through JBPO. Thus, this study investigated this mediation in predicting in-role and extra-role performance. In the current study, JBPO was found to fu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SS and in-role performance a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SS and extra-role performance. Future discussions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진성리더십과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개인-환경 적합성의 매개효과 분석 : A공공기관 사례를 중심으로

        송승태(Song, Seung Tae),윤동열(Yoon, Dong Yeol),장제욱(Chang, Je Wook)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20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7 No.5

        최근 공공기관은 4차 산업혁명 및 감염병의 확산 등 급변하는 환경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혁신을 도모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구성원에 대해 긍정적인 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 진성리더십의 역할이 보다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기관 내 진성리더십과 구성원의 혁신행동에 대한 관계를 규명하였고, 양자 간의 관계에서 개인-환경 적합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A공공기관에 재직 중인 직원들을 대상으로 총 3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이 중 유효한 설문인 215부에 대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진성리더십은 혁신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개인-환경 적합성 또한 구성원의 혁신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성리더십과 구성원의 혁신행동과의 관계에서 개인-환경 적합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면, 개인-환경 적합성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매개변수의 하위요인 중 개인-직무 적합성과 개인-조직 적합성은 부분매개하고 개인-상사 적합성은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공공기관에서의 진성리더십과 구성원 혁신행동과의 관계에서 개인-환경 적합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진정성을 가진 리더가 인적자원을 활용함에 있어 개인-환경 적합성을 고려할 경우 구성원이 보다 혁신적으로 행동한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특히 민간기업에 비해 비교적 경직된 조직문화를 가지고 있는 공공기관에서도 진성리더십이 발휘되면 구성원이 혁신적인 행동을 할 수 있다는 것과, 진정성 있는 리더가 구성원 개인과 개인에 대한 직무, 조직, 상사에 대한 적합성을 상승시킴으로써 혁신행동을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Public institutions are trying to innovate in order to adapt to rapid environmental change and it is important to play a role of authentic leadership that can positively motivate members. Studies on authentic leadership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at home and abroad, but there are few empirical studies compared to other leadership.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in public institutions and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s of person-environment (job, organization, supervisor) fi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For this purpose, a total of 3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employees in public institution A, and 215 of them were analyzed statisticall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is shown that the authentic leadership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innovative behavior, and the person-environment(job, organization, supervisor) fit also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innovative behavior of the membe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person-environment fi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mediating effect of person-environment fit. However, among the sub-factors of the mediating variable, person-job fit and person-organization fit are partially mediated, whereas person-supervisor fit is fully medi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n person-environment fi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in a public institutions, it has been found that if authentic leaders consider the person-environment fit when they make use of human resources, members become innovative. In particular, public organizations the have a relatively rigid organizational culture compared to private companies can demonstrate that their members can perform innovative behaviors if they demonstrate authentic leadership, it is meaningful that an authentic leader can induce innovative behavior by increasing the fit of person and their jobs, organizations, supervis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