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공건축 및 공동주택 등의 태양광발전시스템 디자인가이드라인 제안 연구

        장영호 ( Youngho Ja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4

        (연구배경 및 목적) 서울시는 2017년 11월 ‘2022 태양의 도시, 서울’을 발표하면서 아파트, 주택, 건물 등에 태양광 미니 발전소를 2022년까지 총 1백만 가구(551㎿)에 보급한다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형 태양광발전시설 설치 시 도시미관, 안전성, 효율성 등을 고려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도시경관과의 조화를 고려한 공공건축물, 공동주택, 공공이용시설을 대상으로 하는 태양광 디자인가이드라인을 제안하여 형태 및 도시미관의 개선과 안전성 확보가 가능한 기초적 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기능과 지역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설치 양상을 나타내고 있는 건축물 등에 대하여 설치확대에 대한 정책적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으나, 과도한 형태 및 구조 등으로 인한 미관 저해, 색채 및 형태의 부조화, 구조적 불안정 등의 문제가 다수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현재의 태양광발전시스템 기술요소와 적용현황을 개괄하였고, 설치유형에 따른 디자인 사례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기존 디자인 사례의 분석 결과와 함께 공공건축 등에 태양광발전시스템을 적용하는 디자인방향 설정, 태양광시설의 안전성을 확보한 설치기준 등 디자인가이드를 제시한다. (결과) 디자인가이드라인에서는 도시경관과 조화된 지속가능한 태양광 설치를 위해 공공건축 등 고유의 형태를 고려하고 장식적 요소를 최소화 하고 구조적 안전성 및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기본원칙을 제시하였고, 형태, 배치, 구조, 색채, 재료에 대해 세부원칙을 제시하였다. 형태는 건축물 등의 고유한 형태를 반영하고 장식적 요소를 최소화하여 건축물 등과의 형태를 일체화한다. 배치는 서울시 도시경관을 고려하여 산발적인 배치계획을 지양하고 시야각을 고려하여 경관을 침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여 야 한다. 구조는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하고, 태양광발전 구조물 설치 시 부식 방지를 위한 재료를 사용한다. 색채는 구조물의 다양한 색채의 적용을 지양하고 재료 자체의 저명도 무채색을 적용한다. 재료는 신소재 활용 및 친환경 재료, 에너지 절약형 제품을 권장한다. (결론)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설치 또는 장착에 있어서 공공건축 등과의 통합적인 계획을 통한 조화성에 중점을 두고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였다. 여기에서 제시하고 있는 디자인가이드가 효율적인 태양광발전시스템 디자인방향을 위한 기초자료가 되기를 기대하며, 태양광발전시스템의 효율성 충족뿐만 아니라 아름다운 도시환경조성을 위한 요소로 발전하기 위한 지표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Seoul announced the ”2022 City of Sun, Seoul” in November 2017, and is planning to supply solar mini power plants to apartments, houses, and buildings to a total of one million households (551㎿) by 2022. Therefore, in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install urban solar power generation facilities giving due consideration to urban aesthetics, safety, and efficiency, and solar design guides for public buildings, apartment houses, and public facilities that take into account harmony with the urban landscape. The purpose of this line of work is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improve shape and urban aesthetics and ensure safety. (Method) Policy expectations for the expansion of buildings are increasing for those that exhibit various installation patterns according to their functio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but there are many problems such as impaired aesthetics due to excessive shape and structure, color and form mismatch, and structural instability. This is to be expected. Therefore, the current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technology elements and application status were outlined, and problems were identified by analyzing design cases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type. In addition to the results of the analyses of existing design cases, design guides such as setting design directions for apply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s to public buildings and installation standards ensuring the safety of photovoltaic facilities are presented. (Results) IThe Design Guideline considers inherent forms such as public construction for sustainable solar installation in harmony with the urban landscape, and presents basic principles for minimizing decorative elements and enhancing structural safety and efficiency. Detailed principles of color, and color and materials are presented. The form reflects the unique form of the building and minimizes the decorative elements to integrate the form with the building. The layout should avoid sporadic layout planning in consideration of the urban landscape of Seoul and install solar panels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infringe on the landscape considering the viewing angle. The structure uses materials to ensure structural safety and prevent corrosion when installing photovoltaic structures. Color avoids the application of the various colors of the structure and applies the low brightness achromatic color of the material itself. We recommend using new, eco-friendly materials, and energy-saving products. (Conclusions) In the installation or installation of th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the design direction was presented with an emphasis on harmony through integrated planning with public architecture. The design guide presented here is expected to be the basic format to direct the design of the efficient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I want to.

      • KCI등재

        서울시 유니버설디자인 체크리스트 분석기준 및 지표체계에 관한 연구

        장영호 ( Jang Youngh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1

        (연구배경 및 목적) 현재, 유니버설디자인 관련 국가차원의 법적기준은 마련되어 있지 않으나, 유니버설디자인 조례제정,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 및 체크리스트 수립, 유니버설디자인 시범사업 추진 등 지역적 상황에 맞추어 운영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서울시 구성원 모두를 배려하기 위해 개발된 서울시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에 대해 단기간에 이루어진 유니버설디자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 변화와 높아진 기준으로 가이드라인의 유효성을 확인할 필요성이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서울시 유니버설디자인의 효과적 구현을 위해 유니버설디자인 사업의 효율적인 분석기준 제시와 지표체계를 재정립하는 것을 제1 목적으로 한다. 또한 종합적이고 구체적인 유니버설디자인 체크리스트를 운용하고 있는 서울시의 체크리스트에 대한 분석기준 및 지표체계를 재정립합으로써 향후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과 체크리스트를 수립하여 운용하고자 하는 지방자치단체에게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제2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첫째, 유니버설디자인 조례가 정비된 23곳의 지방자치단체의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 운용체계에 대해 고찰하고, 둘째, 서울시 유니버설디자인 통합가이드라인 체크리스트 평가항목과 그에 따른 지표 분석을 위해 공공보도부분의 공사가 완료된 사업 등 모니터링 대상지 20개소를 대상으로 심의자료를 분석하여 나타난 심의 상의 문제점과 가이드라인 체크리스트의 한계점을 고찰하며, 셋째, 효율적 모니터링 체계 구축을 위한 분석기준 및 지표체계를 설정한다. 마지막으로 유니버설디자인 체크리스트 구성체계에 대해 분석한 후, 이를 종합하여 체크리스트의 4개 평가 요소를 제안한다. (결과) 심의도서 리뷰를 통해 첫째, 보도 영역 중 심의에서 실제 문제화되는 지표의 추출과 비교가 필요하고, 둘째, 주요 시설물에 대한 문제 파악이 가능한 모니터링 지표 구축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고, 위원회 권장 기준 및 심의 시 제시 기준을 정량값 기준으로 하여 지표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파악하였다. 또한 보도 모니터링을 통해서는 심의제도를 통해 ‘사전 컨설팅’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준공 후에도 심의비교 자료를 갖춘 준공보고서 의무제출 등 강력한 대책을 연동시키는 등 기본적인 인식개선과 더불어 강력한 제도 이행 인식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결론) 현재의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은 최소 평가 기준과 준수 내용을 체크리스트로 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의 모니터링 대상 안건의 다수가 기본적으로 서울시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의 체크리스트를 기준으로 평가하고 있다는 점에 착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최종적으로는 가이드라인 체크리스트의 효율화를 위해서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 및 체크리스트 개선 방향성을 제시하고 보도와 시설물에 대한 평가 요소를 제안하여 전반적으로 가이드라인 체크리스트의 효율성 향상을 꾀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Background and Purpose) Currently, there are no national legal standards related to universal design, but the situation is being operated according to the regional situation, such as enacting universal design ordinances, establishing universal design guidelines and checklists, and promoting universal design pilot projects. This study focuses on the need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the guideline based on a change in social perception of universal design made in a short period of time and the increased standards for the Seoul Universal Design Guideline, which was developed to consider all members of Seoul. The first purpose is to present efficient analysis standards and to re-establish the indicator system for effective implementation. In addition, by re-establishing the analysis standards and indicator system for the Seoul City checklist, which operates a comprehensive and specific universal design checklist, it provides useful basic data to local governments who intend to establish and operate universal design guidelines and checklists in the future. It is the second purpose to do. (Method) First, it reviews the operating system of the universal design guidelines of 23 local governments in which the Universal Design Ordinance has been established. It analyzes the deliberation data for 20 monitoring target sites, such as the completed project, and considers the problems of deliberation and the limitations of the guideline checklist. Finally, after analyzing the universal design checklist composition system, we propose the four evaluation elements of the checklist by synthesizing it. (Results) Through the review of the deliberation book, first, it is necessary to extract and compare the indicators that are actually problematic in the deliberation in the reporting area, and secondly, it is concluded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monitoring indicator that can identify problems with major facilities. It was identified that it was necessary to present an index based on the standard of the city presentation as a quantitative value standard. In addition, through press monitoring, it is necessary to actively use pre-computing' through a deliberative system, and link strong measures such as compulsory submission of a completed report with deliberation and comparison data even after completion. A conclusion was drawn. (Conclusions) The current Universal Design Guideline is a checklist based on minimum evaluation criteria and compliance details, and focusing on the fact that many of the agendas to be monitored in this study are basically evaluated based on the checklist of the Seoul Universal Design Guideline. The study was conducted. In the en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guideline checklist, the Universal Design guideline and the direction for improvement of the checklist are presented, and evaluation elements for sidewalks and facilities are suggested to provide basic data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overall guideline checklist.

      • KCI등재

        다단계 수압파쇄균열 전파 모델링 연구

        장영호(Youngho Jang),성원모(Wonmo Sung) 한국가스학회 2015 한국가스학회지 Vol.19 No.5

        본 연구에서는 보다 현실적인 파쇄균열 전파를 묘사하기 위해 수압파쇄균열 전파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 모델에서는 두 가지 균열 전파 기준을 적용하였다. 첫 번째는 균열의 발생각을 결정하기 위한 최대 접선응력 기준과 두 번째는 파쇄균열의 자연균열 통과 여부 기준이다. 본 모델의 검증 결과, 수압파쇄균열이 자연균열을 통과하는 양상이 실험값과 동일함을 확인하였다. 균열의 전파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인 최대수평응력 방향, 균열면의 마찰계수, 자연균열의 방향성에 대한 민감도 분석 결과, 이론적 기준에 적합하게 균열의 전파 방향과 통과여부가 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수직 판형 균열 전파 모델과 본 모델을 비교하여 균열의 연결성과 유정자극부피 측면에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 presents a hydraulic fracture propagation model to describe propagation more realistically. In propagating the hydraulic fractures, we have used two criteria: maximum tangential stress to determine the fracture initiation angle and whether a hydraulic fracture intersects a natural fracture. The model was validated for the parameters relevant to fracture propagation, such as initiation angle and crossing ability through natural fracture. In order to check whether a hydraulic fracture crosses a natural fracture, the model results on crossing state excellently matched with the experimental data. In the sensitivity analysis for direction of maximum horizontal stress, frictional coefficient of fracture interface, and natural fracture orientation, the results show that hydraulic fracture intersects natural fracture, and then, propagated suitably with theoretical results according to fracture interaction criterion. In comparison of this model against vertical fracture approach, it was ascertained that there are discrepancies in fracture connectivity and stimulated reservoir volume.

      • KCI등재후보

        서울시 공공시설물 정책과 디자인 방향성에 관한 연구

        장영호(Jang Youngho)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2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1 No.1

        본 연구는 가로환경을 구성하는 요소 중의 하나인 공공시설물에 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연구이다. 현대사회에 있어서 도시의 공간에서 공공시설물이 주는 영향은 인간의 삶의 질을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부각되고 있다. 공공시설물은 도시경관을 이루는 주요 구성요소로서 기능적인 면뿐만 아니라 도시민들의 심미적인 부분까지도 형성해 나가고 있다. 이러한 도시환경의 기능적 역할을 담당하는 공공시설물은 공공공간의 시설구축과 환경 개선을 통하여 공공성의 질적 수준을 높이고 공공사회의 인프라를 구축 할 수 있다. 공공시설물은 도시 공공디자인의 미시적인 영역이자 사람들과 밀접하게 관계 맺는 매개물이다. 이에 공공시설물의 전반적 조건에 대한 면밀한 검토와 고찰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공시설물의 전반적인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하여 서울시 공공시설물에 대한 계획과 디자인, 관리운영적인 관점에서 문제점을 분석한다. 또한 서울시의 공공시설물 관련 정책을 중심으로 하여 표준형디자인과 우수공공디자인의 디자인 방향과 경관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자 한다.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possible options in improving the status of current public facilities by examining and analysing the diverse problems in design and management of public facilities. In modern society a very important factor of the quality of life is that people are affected by the public facilities of the city space. The public facilities have been a primary component to make a cityscape and play an important role that inspire a city with life. Public facilities, which takes in charge of such functional role of city environment, can enhance the quality of publicity and establish infra-structure for public society through installation of facilities in public areas and environmental improvement. Public facilities is one of the sensitive design fields which people interact with in the public space. Overall, the condition of public facilities for such scrutiny and discussion is needed. Therefore, in this study the overall problem of public facilities in order to identify the center of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plans to design, manage and analyze the problem in terms of operational. Seoul’s public facilities also should identify the relevant policy. And the standard design, and Seoul Good Public Design(SGPD) and analysis of the design direction, then the impact on the landscape to be a compre -hensive discussion.

      • KCI등재

        복합문화시설을 대상으로 한 유니버설디자인 평가 연구 - 서울암사유적지 시설군을 중심으로 -

        박선희 ( Park Sunhee ),장영호 ( Jang Youngho ),이재규 ( Lee Jaekyu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2

        (연구배경 및 목적) 문화생활은 모든 사람이 공평하게 누릴 수 있어야 하며, 모두가 문화를 즐기고 삶의 질을 향상할 권리가 있다. 따라서 우리는 현시점에서 모두가 즐길 수 있는 문화공간인지를 한 번쯤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니버설디자인이 복합문화시설공간에 어떤 형태로 반영되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반대로 유니버설디자인 평가방법이 복합문화시설에 적용되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에 복합문화시설 적용대상지를 새롭게 재정비된 서울암사동유적지 시설군을 대상으로 하여 유니버설디자인 적용현황을 파악, 분석하고, 모두가 편하게 이용하고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서의 향후 유니버설디자인의 전개 방향성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앞으로 발전 가능성이 크고 다양한 이용자들의 방문 가능성이 큰 서울암사동유적지 시설군을 연구의 범위로 하고 있다. 전술의 연구범위를 대상으로 하여 이론적 고찰을 통한 현황분석과 서울시 유니버설디자인 통합 가이드라인 및 체크리스트에 대한 분석틀 추출을 통해 본 연구의 핵심인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성에 대한 기본분석틀을 제시한다. 최종적으로는 현장조사 및 분석을 하여 서울시 체크리스트가 복합문화시설에 얼마큼 적용이 가능한지를 파악한다. 또한 공간이 사람들의 다양성을 포용하는 디자인으로 적용되어 있는지와 부족한 것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향후 복합문화공간에 적용할 수 있는 유니버설디자인 평가의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결과) 본 연구의 현장조사결과는 유니버설디자인과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arrier Free)이 적용된 것으로 보이나, 상대적으로 시각이나 청각 정보, 다국적 안내체계 등이 아직 부족하다. 한편 평가를 위한 체크리스트에 있어서도 조사과정에서 나타난 몇 가지 문제점을 통해 보완할 필요성이 나타났다. 이번 조사대상인 문화공간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드러나, 적용범위를 확대하거나 문화공간을 위한 유니버설디자인 체크리스트를 개발해야 할 필요가 있었다. 이에 조사과정에서 발견된 몇 가지 문제점을 보완하여 복합문화시설에 적용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를 제안하고자 한다. (결론) 본 연구는 현장조사를 통해 서울암사동유적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현재 서울시의 체크리스트가 복합기능이 있는 문화공간에 어떻게 적용 가능한지를 파악하고, 동류의 체크리스트가 효과적으로 활용되기 데 필요한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유니버설디자인 자료를 활용하여 서울암사동유적에 적용하여 실증적인 평가를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나, 상기의 한계점을 극복하지 못한 점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아직은 국내의 유니버설디자인 평가 사례가 다양하지 않다는 점에서도 향후 영역을 심화시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해본다. (Background and Purposes) Everybody must be able to enjoy a fair cultural life and has a right to enjoy culture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Therefore, we need to think at least once if the cultural space is where everybody enjoys. In this study, we tried to check how the universal design has been reflected on the space for the complex cultural facilities and, on the contrary, if its evaluation method has been applied to the facilities. Hence,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universal design in the future as a space for everybody can use and enjoy comfortably through identification and analysis of the current state of its application on the facility group at Amsa-dong Prehistoric Site in Seoul.where the eligible complex cultural facilities were newly refurbished. (Method) This study has a great potential for development in the future and its scope is the facility group at Amsa-dong Prehistoric Site in Seoul that a wide range of users have a better chance of visit. A current state analysis on the above-mentioned scope of the study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an analysis framework extraction of the integrated guidelines and checklist of the universal design in Seoul present a basic analysis framework for its applicability as a core of this study. A field investigation and its analysis are carried out in order to figure out how much the checklist can be applied to the facilities in the end. In addition, we intend to figure out if the space has been applied as a design which embraces the people’s diversity and what is lacking and then present as basic data for the evaluation of the design which can be applied to the complex cultural space in the future. (Results) The field investigation results of this study look as if a universal design and barrier-free living environment have been applied, but visual or hearing information and a multinational guidance system are still lacking relatively. Meanwhile, the checklist for evaluation also appeared necessary to be complemented through some problems from its investigation process. Hence, this study attempts to propose a checklist which can be applied to the complex cultural facilities after some problems found in the investigation process have been complemented. (Conclusions)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in its empirical evaluation by utilizing the existing materials of the universal design and applying them to Amsa-dong Prehistoric Site in Seoul, but failing to overcome such limitation remains as a regret. We hope that diverse studies with their domains deepened will be conducted in the future because the domestic cases of the universal design evaluation lack of diversity.

      • KCI등재

        경기도 지자체 도시브랜드 이미지 제고를 위한 CI, BI, VI 차별화에 관한 연구

        류미영 ( Ryu¸ Miyoung ),장영호 ( Jang¸ Youngho ),김주연 ( Kim¸ Jooy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7

        (연구배경 및 목적) 경제 구조와 사회 변화로 도시의 중요성이 강조되자 지자체는 도시를 인식하고 기억하기 위해 CI나 BI, 캐릭터, 마스코트 등 도시브랜드를 만들어 상징물로 관리하고 있다. 다른 지자체와 차별화된 도시정체성이 잘 반영된 상징물은 지자체의 큰 자산이므로 다투어 상징물을 개발하고 있으나, 경계가 모호한 CI. BI, VI 개발로 지자체 안에서도 차별화되지 않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지자체 상징물 중 CI와 BI, VI 등의 현황 분석을 통해 수요자의 아이덴티티 혼동 가능성과 지자체 간 비차별화의 문제점을 밝힘으로 향후 지자체가 상징물을 개선하거나 새롭게 개발할 때 고려해야 할 관점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시, 군 등의 경기도 지자체 31곳 홈페이지에 게시된 CI, BI, VI 현황을 조사해 CI와 함께 BI나 VI가 있는 지자체는 심벌, 심벌마크와 로고타입, 워드마크 등 시각 아이덴티티 구성 요소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적용 범위, 관리부서를 정보 공개 요청해 지자체 상징물이 실제로 어떻게 활용되는지 조사하고, 혼동의 개념과 혼동 이론, 브랜드 혼동을 지자체와 연관해 시각 구성 요소가 혼동을 일으키는 이유를 고찰하였다. (결과) 경기도 지자체는 CI, BI, VI 등의 상징물이 있으며 시각 아이덴티티 구성 요소가 다양하다. CI, BI, VI를 같은 부서에서 관리하거나 다른 부서에서 관리하기도 하며, 적용 대상이 같거나 다르고 그 경계가 명확하지 않으며 각 지자체 마다 적용 범위가 다르다. (결론) CI, BI의 시각 아이덴티티 구성 요소인 로고타입은 특정 글 자체로 만들어 상표 기능을 겸한 상징적 형태임에도 불구하고 서로 다른 글자체로 만들어 상표의 상징적인 기능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BI가 지자체 명칭이거나 다른 수식어가 붙는 워드마크인 경우는 CI와 시각적으로 구분되지만, CI와 같은 심벌 및 심벌마크와 로고타입의 시각 구성 요소인 경우에는 CI와 혼동될 가능성이 높다. 각 지자체마다 CI, BI의 적용 범위가 다르고 한 지자체 안에서 CI와 BI, VI가 범위 경계 없이 같이 적용하는 경우도 있어 혼동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바탕으로 지자체가 상징물을 개선하거나 새롭게 개발할 때 고려해야 할 관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브랜드의 이미지 제고를 위해서는 지자체를 대표하는 상징으로 정체성을 확립해야 한다. 둘째, CI와 BI, VI의 적용 범위 등을 구분할 필요가 있다. 셋째, CI가 있는 지자체가 BI를 새롭게 개발할 경우 수요자가 CI와 시각적으로 혼동하지 않도록 고려해야한다. 이는 다른 지자체와의 차별화된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 만든 상징물이 한 지자체 안에서도 혼동된다면 타 지자체와 차별화를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As cities’ importance is emphasized because of economic structure and social change, local governments create city brands such as CI, BI, characters, and mascots, to recognize and remember the city and manage them as symbols. Differentiated symbols reflecting city identity are competitively developed as large assets of local governments; however, they are not differentiated within local governments because of the development of CI, BI, and VI, whose boundaries remain unclear. This study proposes perspectives to be considered for future symbols renewal or development by identity confusion in user perspective and non-differentiation among local governments through CI, BI, and VI analysis. (Method) To survey the status of CI, BI, and VI posted on homepages of 31 local governments in Gyeonggi-do, comprising cities and counties, and to compare and analyze visual identity components, such as symbol, symbol mark, logotype, and wordmark, when BI and VI are with CI. Furthermore, information on coverage and management to investigate actual usage was sought; additionally, the reasons why visual components are unclear, concerning the concept of confusion, confusion theory, and brand confusion, were considered. (Results) Gyeonggi-do local government has symbols such as CI, BI, and VI, and there are various elements of visual identity managed by the same or different departments, that are governed by the same or different coverage, with unclear boundaries, and different local governments. (Conclusions) Logotype, a component of CI and BI visual identity, is created in a particular typeface and acts as a trademark, but is made in different typeface, resulting in less symbolic functionality. If BI is the name of a local government or a wordmark with other modifiers, it is visually distinguished from CI; however, in the case of symbols such as CI and visual components of symbol mark and logotype, it is highly likely to be confused with CI. Whereas the scope of application of CI and BI is different for each local government, CI, BI, and VI are not differentiated and are sometimes applied together, thus causing confusion. Based on these problems, local governments should consider the following perspectives when renewing or developing new symbols. First, enhancing the image of the city brand, the identity as a symbol representing the local government should be established. Second,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the scope of application of CI, BI, and VI. Finally, local governments with CI should not be visually confused with CI by users when developing a new BI. This is because it is difficult to expect differentiation from other local governments if symbols created to establish differentiated identity from other local governments are confused even within one local government.

      • KCI등재

        카운터 모뉴먼트를 중심으로 본 기억의 역사와 공공미술의 장소성 연구

        우은주 ( Woo Eunjoo ),장영호 ( Jang Youngho ),김주연 ( Kim Jooy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2

        (연구배경 및 목적) 공공미술은 역사와 장소성에 따른 권력규모를 상징해 왔고 정부의 정치적 성향과 체제의 영향을 받아왔다. 그러나 1980년대 이후 공공미술의 사회적인 역할이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제임스 영은‘반(反)기념비’의 매체로 변화해야 한다는 새로운 시도를 하였다. 본 연구는 기억의 역사를 모티브로 하여 공공미술의 방향 제시를 목적으로 사례분석을 통한 공공미술의 사회적 역할을 고찰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공공미술을 연구범위로 카운트 모뉴먼트 연구를 위한 문헌의 조사 분석을 하고, 특히 카운터 모뉴먼트 성격에서 기억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매체를 분석함과 동시에‘현대 공공미술’측면에서는 공공장소에의 공공성, 관람자와 관계성, 장소와 시간의 특정성, 이데올로기적 통제에서 벗어난 대안적 형태 등 이론적 특성을 바탕으로 하여 공공미술의 역할을 탐구하였다. 사례조사는 카운터 모뉴먼트 측면에서 ‘대상의 표현·공간의 표현·관람객과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는 특정 장소에서 변함없이 화석화된 영원한 물질성은 새로운 시대가 도래하고, 여러 상황의 변화를 수반했을 때 현실과의 괴리감과 파괴로 이어진다고 판단하고 이것을 카운터 모뉴먼트의 본질로 정의하였다. 특히 공공장소에 대한 역사와 사회적 쟁점을 파악해야 하고, 시간, 장소, 일시적 특정성이 고려되어야 하며, 특권계층의 이데올로기적 도구로 잠식당해서는 안 된다는 결론을 제시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모뉴먼트의 대항적 의미에서 카운터 모뉴먼트를 토대로 역사, 기억, 장소, 공공미술의 반(反)기념비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종합해보면, 향후 공공미술의 기념비의 역할은 첫째, 역사와 장소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성장해야 한다. 둘째, 재현의 매체를 개발하는 것으로 희생자와 역사와의 대화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공공미술 측면에서 ‘시간-특정성, 장소-특정성, 일시성을 고려해서 공공성이 회복될 수 있도록 변화시켜 나갈 필요성이 있다는 결론에 도달했으며, 마지막으로 관람자에게 새로운 경험에 따라 다른 기억을 재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향후 본 연구의 영역을 심화시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해본다. (Background and Purpose) Public art has symbolized the scale of power according to history and locality, and has been influenced by political tendencies and systems of government. Since the 1980s, however, the need for social role of public art has emerged, and James Young made new attempts to transform the public art into a medium of anti-monuments.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the social role of public art through case analysis for the purpose of presenting basic course for public based on the history of memory as a motif. (Methodology) In this study, we conducted an investigative analysis of the literatures for the research on the count-monument as the scope of study on public art, and particularly, analyzed the media conveying the message of memory in connection with counter monument characteristics, and at the same time, explored the role of public art based on theoretical characteristics such as publicness in public space, relations with viewers, specificity of place and time, and alternative forms breaking away from ideological control from the aspect of contemporary public. In the case analysis, we analyzed the expression of objects, expression of space, and relationship with viewers from the aspect of counter monument. (Results) In this study, it was considered that the eternal materiality, which was consistently fossilized in certain place, led to a sense of gap with the reality and to the destruction of reality when a new era arrives and various situations arise, which was defined as the essence of counter monument. In particular, the conclusion was presented that the history and social issues related to public places should be grasped, and that the time, place and temporal specificity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and furthermore, that the public art should not be relegated to the ideological tools of the privileged class. (Conclusion) This study analyzed the counter monuments of history, memory, place, and public art based on counter monuments, a concept opposed to the meaning of monument. Based on overall consideration of the results, the role of the monument, which is taken by the public art in the future, is as follows: First, history and place should be organically combined to grow. Second, the development of the medium of representation is necessary, which requires constant dialogue between the victim and the history. Third, changes should be made to ensure restoration of publicness by considering the time-specificity, place-specificity, and temporality from the aspect of public art. Finally, we suggested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allow the viewers to reproduce other memories, depending on new experience. For the succeeding studies, this researcher hopes that various studies would be conducted in the period ahead by expanding concerned real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