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체부 백선의 임상 및 진균학적 관찰

        장수정 ( Jang Su Jeong ),최용범 ( Choe Yong Beom ),안규중 ( An Gyu Jung ) 대한피부과학회 2004 大韓皮膚科學會誌 Vol.42 No.2

        N/A Background: Tinea corporis includes all superficial dermatophyte infections of the skin other than those involving the scalp, beard, face, hands, feet, and groin. The most common lesion is an annular lesion with central clearing area.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orrelation of clinical and mycological features of tinea corporis. Method: We performed clinical and mycological study on 105 cases of tinea corporis at Department of Dermatology, Konkuk University Hospital from August 2002 to October 2003. Results: The ratio of male to female was 1:1.02. Tinea corporis was most prevalent in the twenties. Of the clinical variants of tinea corporis, the annular type was most commonly noted. Sixty-nine cases (66%) had the single lesion. In 71 cases (67.7%), the size of individual skin lesion was less than 5㎝ in diameter. The unexposed area (55.7%) was more frequently affected than exposed area (44.3%) and the most common site was anterior chest (20.1%). Coexisting fungal infection was found in 60 cases (57.1%), and the cases of tinea pedis was the most common. Forty-five cases (42.9%) had a history of contact with animals that were thought be to infection source. Among 105 cases, dermatophytes were isolated in 73 cases. They were Trichophyton (T.) rubrum (58 cases), T. mentagrophytes (8 cases), Microsporum (M.) canis (5 cases), M. gypseum (1 case), and T. tonsurans (1 case). No species specificity was noted in annular type, and M. canis was more commonly isolated from the smaller lesion. Conclusion: Zoophilic dermatophyte infection associated with prior contacts with animals and infection causes by introduced species are increased by rise of families breeding animal pets and more frequent abroad interchanges.(Korean J Dermatol 2004;42(2):166~172)

      • KCI등재

        약물 투여에 따른 기니피그 대장 운동 측정을 위한 압력센서 개발

        박재순,박정호,김응보,조성환,장수정,정연호,Park, Jae-Soon,Park, Jung-Ho,Kim, Eung-Bo,Cho, Sung-Hwan,Jang, Su-Jeong,Joung, Yeun-Ho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16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Vol.29 No.1

        In this paper, in order to quantify the peristalsis occurrence in a guinea pig's large intestine, a miniaturized air-gap capacitive pressure sensor was fabricated through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MEMS). The proposed pressure sensor is a two-layered biocompatible polyimide substrate consisting of an air-gap capacitive plates between the substrates. The proposed pressure sensor was designed with a careful consideration of the structure and motility mechanism of the guinea pig's large intestine. Artificial pellets were mounted on a prototype pressure sensor to provide some redundancies in the form of size and shape of the guinea pig feces. Capacitance of a prototype sensor was recorded to be 2.5 ~ 3 pF. This capacitance value was later converted to count value using a lab fabricated data conversion system. Sensitivity of the pressure sensor was recorded to be below 1 mmHg per atmospheric pressure. During in vivo testing, artificial peristalsis caused by drug injection was measured by inserting the prototype pressure sensor into the guinea pig's large intestine and pressure data obtained due to artificial peristalsis was graphed using a labview program. The proposed pressure sensor could measure the pressure changes in the proximal, medial, and distal parts of the large intestine.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confirmed that pressure changes of guinea pig's large intestine was proportional to the degree of drug injection.

      • KCI등재

        특수교육대상자에 있어 국내 마음이론 연구 동향

        김건희 ( Keon Hee Kim ),장수정 ( Su Jung Jang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3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대상자에 관련된 마음이론의 연구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필요한 연구과제를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연구 결과 총 31편의 마음이론 관련 논문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마음이론에 관련된 연구의 연구대상은 주로 자폐장애아로 한정되어 있으며, 이들의 대상 연령은 유아기에서 학령기의 아동이었다. 연구방법으로는 주로 조사연구와 실험연구가 많이 이루어진것으로 나타났다. 조사연구는 주로 마음이론발달특성에 따른 조사였고, 실험연구는 사회성 증진과 관련된 연구에 집중되어 있다. 국내에서의 마음이론 연구는 이렇듯특정한 분야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점이 시사하는 바는 다양한 장애 영역, 대상 연령, 그리고 연구방법을 통해서 마음이론에 대한 다각화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마음이론 연구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것이면서, 앞으로 연구의 영역을 보다 확장하고, 연령대를 다양화 할 뿐만 아니라 문화적인 요인이나 언어적인 요인과 같은 마음이론과 관련된 변인들에 대한 것으로 연구내용을 더욱 활성화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This study examined research in the field of theory of mind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It reported on what sorts of research have been conducted and what methods were used, and indicated the direction of future studies. Thirty-one journals were analyzed. The study found that most subjects of research were students with autism, aged 6 to 11. The inquiry research and experimental research were mainly used. The inquiry research focused on characteristics of theory of mind and the experimental research mainly aimed improving social skills. The trend of research on theory of mind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in domestic journals focused on in a certain areas. This suggested that research into the theory of mind should expand the area of inquiry from students with autism to students with special needs and should research across age levels and relevant variables such as language development and cultural aspects.

      • KCI등재

        특수교육대상유아의 문제행동 관련 연구동향 분석

        김건희 ( Keon Hee Kim ),장수정 ( Su Jung Jang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4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0 No.4

        본 연구는 특수교육대상유아의 문제행동과 관련된 지금까지 연구의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문제행동과 관련된 연구에서 좀 더 연구되어야 할 부분은 무엇인지를 살펴, 앞으로 어떤 방향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는지에 대해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지금까지 이루어진 특수교육대상유아의 문제행동과 관련된36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분석된 논문들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던 문제행동의 종류는 크게 부주의 행동과 공격행동 그리고 자리이탈 행동으로 나뉘어 연구된 것으로 나타난다. 연구방법에 따른 분석 결과 실험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으며, 조사연구와 문헌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특수교육대상유아의 문제행동 중재 유형으로는 기능분석을 통한 중재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 개별차원에서의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와 관련된 연구가 환경적 차원에서의 중재보다 많았다. 반면, 문제행동의 원인이 된다고 볼 수 있는 교수활동을 통한 중재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이러한 결과는 앞으로 이루어질 특수교육대상유아의 문제행동과 관련된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해준다. 보다 효과적인 특수교육대상유아의 문제행동 지도를 위해서는 문제행동의 범위를 넓힐 필요가 있다. 또한 문제행동의 원인 규명에 대한연구가 더 많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와 관련되는 환경 변인에 대한 조사나 문헌연구들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문제행동에 대해 좀 더 다양한 각도에서 접근하여 대상의 특성을 고려한 적절한 중재방법을 고안해야 하며 개별적 차원이 아니라 상호작용과 같은 집단적 차원의 중재방법에 대해서도 연구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trends of intervention of challenging behavio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y. Through this research this research tries to find what areas should be studied in the future. According to analyzing methods of research, experimental research is much more than survey research and literature research. The survey research is conducted almost every 4∼5 years. The subjects of research are mostly young children with at risk,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and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y. The categories of challenge behaviors are inattention behavior and not siting at the chair behavior. The intervention is mostly implemented intervention after behavior analysis and art activity and instructional intervention were low. This research implies the reserch should be conducted in the area of cause of challenge behavior and about the environments and instructions that might cause challenge bahavior of young children with challenge behavior.

      • KCI등재

        장애인 신체활동 실무경험의 적응과정에 따른 예비지도자의 인식 변화

        윤주연 ( Ju Yeon Yun ),장수정 ( Su Jung Jang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3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1 No.4

        본 연구는 장애인 신체활동 실무경험의 적응과정에 따른 예비지도자의 인식 변화 과정을 알아 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경상북도 소재의 G대학교 특수체육교육학과 3학년에 재학 중인 10명의 학생으로 장애인 신체활동을 경험한 학생이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심층면접 방식을 통한 질적 연구방법으로 실시되었다. 면접과 관찰 등에서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주제를 도출하였다. 첫째, 특수체육 예비지도자들 장애인과의 다양한 신체활동 실무 경험은 매우 중요하며 전문가로서의 자질을 갖추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체육예비지도자들은 장애인 신체활동 실무경험을 통하여 장애인에 대한 인식, 장애인과의 상호작용, 특수체육에 대한이해와 개념을 재확립 되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러한 인식의 변화에는 잦은 만남과 상호작용의 방법, 자기반성과 자기 반영 등을 통해 변화되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erceptual change on adaptation process of reserve adapted physical activity leaders through practical experience. To satisfy the purpos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implemented such as in-depth interviews, participated observations, and professional advices to ten junior students who were enrolling in the department of adapted physical education at G-university at Gyeongsangbuk-do.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participated observations, and professional advices based on actual adapted physical activities which the junior students experienced. The process of the raw data were synthesizing and analyzing through repeated and thorough reading by researchers.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various adapted physical activity experiences were very important and it guided the leaders to be endowed with professional quality. Second, the adapted physical activity leaders re-established perception of person with disability, mutual relationship with person with disability, understanding and conception of adapted physical activities through practical adapted physical activity experiences with person with disability. Third, these perceptual change were influenced by frequent meeting, methods of mutual relationship, introspection, and self-reflect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로봇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자폐유아의 시각, 청각, 촉각에 대한 반응연구

        이효신 ( Hyo Sin Lee ),강원석 ( Won Seok Kang ),배민정 ( Min Jung Bae ),장수정 ( Su Jung Jang ),김건희 ( Keon Hee Kim ),강정배 ( Jung Bae Kang ),구현진 ( Hyun Jin Ku ),안진웅 ( Jin Ung An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0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6 No.4

        본 연구는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들이 시각, 청각, 촉각 자극에 대하여 어떠한 반응형태와 빈도로 반응을 보이는지를 각 자극이 장치된 로봇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자폐 범주성 장애 남자 유아 3명이며, 이 연구를 위하여 두 종류의 로봇이 사용되었다. 연구방법은 양적 연구방법과 질적 연구방법이 함께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들이 선호하여 반응을 많이 보이는 것은 청각, 시각, 촉각의 순서였다.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들은 선호하는 자극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반응을 하며, 교사가 지시를 하지 않아도 자발어를 발생하였다. 이러한 발견이 시사하는 것은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들과 상호작용을 잘 할 수 있는 중재매체는 유아들이 선호하는 자극들로 구성될 때 유아들은 그 중재매체와의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This study explores responses for visual, auditory and tactile stimuli in order to see how to respond through interactions between robot and children labeled with autism. Robots have visual, auditory and tactile stimuli. The subject of this study are three male children labeled with autism. The method of this study three people observe and record for 14 sessions of responses of children labeled with autism to stimuli. The observation notes are analyzed by responses and frequency.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s children labeled with autism responses to auditory stimuli. The order of response frequency is auditory, visual, tactile stimuli. Children labeled with autism show tendency that they response better the stimuli that they prefer such as stimuli that they are familiar with. This indicates that robots that have stimuli that children labeled with autism prefer thus can be utilized for improving the outcome of interventions for children labeled with autism.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