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저온 소성한 MgO 분말을 함유한 플라이애시 콘크리트의 장기재령에서의 내구특성

        장봉석,최슬우,이광명,Jang, Bong-Seok,Choi, Seul-Woo,Lee, Kwang-Myong 대한토목학회 2013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3 No.3

        저온에서 소성된 산화마그네슘 분말을 치환한 MgO 콘크리트는 장기적인 팽창성을 가진다. 또한 MgO의 수화반응이 느린 속도로 장기재령까지 일어나기 때문에 매스콘크리트의 온도수축을 효과적으로 보상할 수 있다. 따라서 저온 소성한 MgO는 매스콘크리트 구조물인 댐에 주로 적용되었다. 최근 수화열 저감을 위해 매스콘크리트에 많이 사용되는 플라이애시를 사용한 MgO 콘크리트의 팽창특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지만 이러한 콘크리트의 내구성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플라이애시 콘크리트에 저온 소성한 MgO 분말을 치환하여 MgO 분말 치환에 따른 장기재령에서의 내구특성을 확인하였다. 재령 360일까지 20, $50^{\circ}C$에서 수중 양생을 실시한 후 탄산화, 동결융해 및 염화물 확산, 황산염 침투 저항성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MgO 분말을 치환한 시편에서 탄산화 저항성 및 염해 저항성, 황산염 침투 저항성이 다소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동결융해 저항성은 MgO 분말 치환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Concrete containing lightly burnt MgO has long term expansibility. It also could compensate for the thermal shrinkage of mass concrete, because the hydration of MgO proceeds at a slow pace to long-term age. Thus, lightly burnt MgO has been applied to the construction of mass concrete such as dams. Recently, the expansion characteristics of MgO concrete with fly ash that could be applied to mass concrete for the reduction of hydration heat have been studied and however, limited studies on its durabilit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long-term durability characteristics of fly ash concrete with lightly burnt MgO. The durability tests on carbonation, freezing-thawing, diffusion of chloride, and resistance to sulfate attack were carried out for MgO concrete with curing for 360 days in submerged condition with different temperature of 20 and $50^{\circ}C$. The results reveal that MgO concrete shows a greater resistance of carbonation, diffusion of chloride, and resistance to sulfate attack. On the other hand the resistance of freezing-thawing was little influenced by MgO powder.

      • KCI등재

        국내 하브루타 학습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장봉석 ( Bong Seok Jang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8 교육과정연구 Vol.36 No.2

        이 연구는 하브루타 학습의 효과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자료 분석을 위해 하브루타 학습 모형을 적용한 뒤 그 효과를 보고한 국내 선행연구 중 17편을 선정하여 메타분석을 수행하였다.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하브루타 학습이 학생 발달에 미치는 전체 효과크기는 어느 정도인가? 둘째, 범주형 변인(학술지 게재 여부, 종속변인 유형, 인지적 영역 유형, 정의적 영역 유형, 학교급, 교과, 성별, 학생 성취 수준, 하브루타 학습 모형, 하브루타 학습 오리엔테이션, 교수자의 사전 연수 참여 경험)에 따른 하브루타 학습의 효과크기는 얼마인가? 셋째, 연속형 변인(학년, 운영기간, 운영횟수)에 따른 하브루타 학습의 효과 크기는 얼마인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하브루타 학습의 전체 효과크기는 .513으로 나타났으며, 이 결과는 중간 효과로 해석될 수 있다. 둘째, 학술지 게재 연구물의 효과크기가 미게재 연구물보다 더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하브루타 학습은 학업성취도, 인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의 순으로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교급에 따른 효과크기를 비교한 결과, 중학교, 유치원, 대학, 고등학교, 초등학교의 순으로 효과크기가 크게 나타났다. 다섯째, 교과 유형에 따른 효과크기를 비교해 보면, 지리, 사회, 기술가정, 교육학, 영어, 과학, 수학 순으로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메타회귀분석 결과 하브루타 학습의 운영기간이 길수록, 프로그램 총 운영횟수가 많을수록 그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와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havruta learning in Korea through meta-analysis. The researcher selected 17 primary studies reporting statistical data after implementation of havruta learning in classroom settings. The research questioned the overall effect size of havruta learning and the effect sizes of sub-group analysis on variables such as publication type, dependent variable, school level, etc. Also, the effect sizes of meta-regression analysis by continuous variabl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effect size was .513, which is medium. Second, unpublished master’s theses showed higher effect size than articles published in peer-reviewed journals. Third, the effect of havruta learning was academic achievement, cognitive domain, and affective domain in this order. Fourth, with respect to school level, the effect was middle school, kindergarten, college, high school, and elementary school in this order. Fifth, in subject areas, the effect was geography, social studies, technology & home economics, pedagogics, English, science, and mathematics from the highest to lowest. Sixth, the meta-regression results showed havruta learning was more effective as the experiment period and instruction increased. Finally, the researcher presented discussions on the results and recommendations regarding future research in havruta learning.

      • KCI등재

        아두이노 활용 초등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장봉석 ( Bong Seok Jang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2021 실천공학교육논문지 Vol.13 No.1

        이 연구는 아두이노를 활용한 초등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메타분석으로 종합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자료 분석을 위해 선행 학위 논문과 학술지 논문 12편이 선정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두이노 활용 초등 교육의 전체 효과크기는0.519로 나타났다. 둘째, 학년에 따른 효과크기는 5학년 0.737, 5학년과 6학년 통합 0.533, 6학년 0.472의 순이었다. 셋째, 학생 수준 에 따른 효과크기는 영재학생 0.607, 일반학생 0.522의 순이었다. 넷째, 교과 영역에 따른 효과크기는 환경 0.708, 소프트웨어0.572, 실과 0.526, 과학 0.523, 융합 0.402, 미술 0.18의 순이었다. 다섯째, 프로그래밍 유형에서는 그래픽 기반 프로그래밍 0.555, 텍스트 기반 및 그래픽 기반 프로그래밍 0.47, 텍스트 기반 프로그래밍 0.464의 순이었다. 여섯째, 교육과정 유형에 따라 비정규교육과정 0.636, 정규 교육과정 0.51의 순이었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mplement the meta-analysis for figuring out effects of elementary education programs adopting Arduino. The researcher carefully chose and analyzed 12 primary studies including theses, dissertations, and journal article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total effect size of elementary education programs adopting Arduino was 0.519. Second, the effect sizes by the grade levels were 5th grade 0.737, integration of 5th and 6th grade 0.533, and 6th grade 0.472 in order. Third, for status of students, the effect sizes were gifted and talented 0.607 and normal 0.522 in order. Fourth, for subject areas, the effect sizes were environment 0.708, software 0.572, practical arts 0.526, science 0.523, integrated 0.402, and fine arts 0.18 in order. Fifth, for types of programming, the effect sizes were graphic based programming 0.555, text and graphic based programming 0.47, and text based programming 0.464 in order. Sixth, for curriculum types, the effect sizes were extra curriculum 0.636 and regular curriculum 0.51in order.

      • KCI등재

        일반고 학생의 선택중심 교육과정 참여에 대한 영향 요인 분석

        장봉석 ( Bong Seok Jang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7 교육과정연구 Vol.35 No.4

        본 연구는 일반고 학생의 선택중심 교육과정 참여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경기도 일반고 학생 507명을 대상으로 학습자 개인적 특성, 가정배경, 학교특성, 선택중심 교육과정 참여도 및 인식을 조사한 설문 결과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자료 분석을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고 학생들의 진로집중과정 참여에 대해 학생들의 자기주도학습능력 중 자발적 창의성의 수준이 높을수록, 중소도시에 위치한 학교에 재학할수록, 혁신학교 재학생일수록 진로집중과정에 참여하는 경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고 학생들의 교육과정 클러스터 참여에 대해 학생들의 사고양식 중 사법적 양식의 수준이 높을수록, 진로성숙도 중 진로 계획성과 진로 자기 이해의 수준이 높을수록, 학업성취도가 높은 학생일수록 교육과정 클러스터에 참여하는 경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진로 적성 관련성에 대하여 여학생들이 남학생들 보다, 진로 성숙도 중 진로 계획성의 수준이 높을수록, 학업성취도 수준이 높을수록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진로 적성 관련성을 높게 평가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일반고의 선택중심 교육과정을 통하여 교육력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ion in the elective-centered curriculum.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507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a survey containing questions about students’ personal characteristics, students’ family backgrounds, school characteristics, and perceptions of elective-centered curricul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rate of students’ participation in career-focused courses was higher in students with a high level of creativity in their ability to experience self-regulated learning, in schools located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and in innovative schools. Second, more students took part in a curriculum cluster when they showed a higher level of critical thinking, career maturity, and academic achievement. Third, females, students with a higher degree of career planning, and students showing higher achievement considered their elective-centered curriculum more aptitude and career-oriented. This study could provide implications on elective-centered curriculum to enhance the effects of education in high schoo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