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진해만 저서동물의 군집생태 3. 군집구조

        임현식,홍재상,LIM Hyun-Sig,HONG Jae-Sang 한국수산과학회 1997 한국수산과학회지 Vol.30 No.2

        진해만의 저서동물 군집에 대해 Lim and Hong(1994a, b)에 근거하여, 이들의 종조성, 밀도, 생물량 및 생태학적제지수 (다양도, 균등도, 우점도, 종풍부도)를 분석하고 환경요인과의 관계를 논의하였다. 전 조사기간 동안 총 287종이 채집되었으며, 밀도는 1045.5 개체/$m^2$, 생물량은 $98.48g/m^2$였다. 갑각류가 91종으로서 전체 출현종의 $31.7\%$를 차지하였으며, 다모류가 88종 $(30.7\%)$, 연체동물이 56종 $(19.5\%)$으로서 이들 3개 분류군이 전체 출현종의 $81.9\%$를 차지하였다. 한편 극피동물이 22종, 자포동물과 기타 동물군은 30종 출현하였다. 밀도는 다모류가 가장 우점하여 824.7 개체/$m^2\;(78.6\%)$ , 연체동물은 146.2 개체/$m^2(14.4\%)$, 갑각류는 50.5 개체/$m^2(4.6\%)$였다. 또한 극피동물은 13.4 개체/$m^2$, 기타 동물군은 10.7 개체/$m^2$가 출현하였다. 생물량은 연체동물이 $54.62g/m^2$로서 가장 우점하였으며, 다모류는 $21.74g/m^2$, 극피동물은 $6.66g/m^2$였다. 본 조사 해역은 유기 오염도가 낮은 외해역 정점에서 오염도가 높은 내만 정점역으로 들어가면서, 종 풍부도, 다양도 및 균등도 등의 생태학적 제지수가 감소하고, 우점도는 증가하는 경향이 뚜렸하였다. 주요 우점종은 다모류인 Lumbrineris longifolia와 Paraprionospio pinnata, 소형 이매패류인 Theora fragilis로서 이들의 서식밀도가 전체 밀도의 약 $40\%$를 차지하였다. 또한 내만역의 정점들에서는 빈산소 수괴의 출현으로 저서동물 군집의 계절 변동이 큰 반면, 상대적으로 외해역은 계절적으로 그다지 큰 변동을 보이지는 않았다. 출현종에 근거한 집괴분석의 결과 진해만은 4개의 정점군과 6개의 생물군으로 나눌 수 있었다. 즉, 내만역에 위치하여 도시하수나 산업폐수 등의 인위적인 영향을 받기 쉬운 정점군- I (G-I), 진해만 중앙부에 위치한 해역인 정점군-II (G-II), 외해역에 위치한 정점군-IV (G-IV) 및 이들 3개 정점군의 중간에 위치한 정점군-III (G-III)으로 나누어졌다. 출현종에 기초한 정점군은 환경요인의 주성분 분석을 통하여 구분한 정점군고 대체로 잘 일치하였다. 또한 진해만의 저서동물 군집의 전반적인 계절별 공간분포는 다양도 분석 결과에서도 분명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주로 퇴적물 내의 유기물 함량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Benthic community structure was studied in Chinhae Bay during 3 years from June 1987 to May 1990, based on the samples from 12 stations on the seasonal, bimonthly or monthly basis (lim and Hong, 1994a, b). A total of 287 species was sampled with mean density of $1045.5\;ind./m^2$ and biomass of $98.48g/m^2$ during studyperiods. Of these species, there were 91 species of crustaceans $(31.7\%)$, 88 of polychaetes $(30.7\%)$, 56 of molluscs $(19.5\%)$, 22 of echinoderms and 30 of the micellaneous species. Polychaetes were density-dominant faunal group with a density of $824.7\;ind./m^2$, comprising of $18.6\%$ of the total density of the benthic animals. It was followed by molluscs with $14.62\;ind./m^2$ $($14.4\%\;of\;the\;total\;density)$ crustaceans with $50.5\;ind/m^2\;(4.6\%)$ and echinoderms with $13.4\;ind/m^2\;(4.6\%)$. Molluscs were the biomass-dominant faunal group with a mean biomass of $54.62\;g/m^2$. It was followed by polychaetes with $21.74\;g/m^2$ and echinoderms with $6.66\;g/m^2$. Based on community analysis, species richness, diversity and evenness showed decreasing trends toward the inner bay from outer stations, whereas dominance showed increasing. The three most dominant species Lumbrineris longifolia, Paraprionospio pinnata and Theora fragilis had densities over $40\%$ of the total density of benthic organisms in Chinhae Bay. Seasonal changes of benthic communities in the inner bay were high compared to those of the outer bay. It was mainly due to the occurrence of hypoxic condition in the inner area of the bay. Cluster analysis showed that the benthic community could be divided into four stational groups, that is, Group 1, the innermost area, which received the most heavy anthropogenic effects including seawage and waste water, Group II, the central area of the bay, Group III, the transitional area, Group IV, the mouth pan of the bay exposed to the open sea. The areal groups based on the environmental factors coincided with the zonal groups from the species composition. This fact suggests that the overall spatial distribution of macrobenthos in Chinhae Bay was controlled by the sediment organic carbon content of the bay.

      • KCI등재

        남해도 주변 조하대 해역의 대형저서동물 분포

        임현식,최진우,최상덕,LIM, HYUN-SIG,CHOI, JIN-WOO,CHOI, SANG-DUK 한국해양학회 2016 바다 Vol.21 No.1

        남해도 남측 해역의 연성기질 조하대 대형저서동물 군집구조 파악을 위해 2012년 7월부터 2013년 4월까지의 4계절 동안 정점당 2회씩의 grab(표면적 $0.1m^2$) 채집이 수행되었다. 조사결과 총 247종의 대형저서동물이 출현하였으며, 평균 밀도는 1,027개체/$m^2$, 평균 생체량은 $148.7g/m^2$이었다. 다모류가 출현종수 및 서식밀도에서 우점한 분류군이었으며, 각각 37%를 점유하였다. 반면 생체량 우점 분류군은 극피동물로서 전체 생물량의 44%를 점유하였다. 출현종수는 봄철에 가장 적었으며 겨울철에 가장 많았다. 서식밀도는 가을철이 가장 낮았으나 봄철에 가장 높았다. 육지에 인접한 정점들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밀도를 보였으며 외해역으로 나가면서 밀도가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최우점종은 소형 옆새우류인 Eriopisella sechellensis였으며, 봄철에 네 번째 우점종으로 출현한 것을 제외하고 가장 밀도가 높았다. 이 종은 주로 남해도 앞 외해역에 높은 밀도로 출현하였으나 광양만 입구역이나 사량만 입구역에서는 출현하지 않았다. 이들 내만 해역의 입구에서는 이매패류인 Theora fragilis와 다모류인 Lumbrineris longifolia가 높은 밀도로 출현하여 우점종의 차이를 보였다. 반면에 시프린스호 유류사고 이후 광양만 입구부터 외측까지 높은 밀도로 출현한 Tharyx sp.는 이번 조사에서는 4계절 중 어느 계절에서도 해당 정점 주변에서 출현하지 않았다. Bio-Env 분석결과 저서동물의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소는 퇴적물의 분급과 저층수온의 조합이었으며, 집괴분석 결과 내만해역, 외해역, 중간해역 등의 5개 정점군으로 구분되었다. SIMPER 분석 결과 각 정점군에는 유기오염 지표종인 T. fragilis가 공통적으로 기여하였으며, Magelona japonica, E. sechellensis, L. longifolia, Paraprionospio cordifolia 등의 기여도가 높게 나타났다. 저서오염지수(BPI) 값에 의한 저서군집 건강도 평가 결과 광양만 입구 및 사량만 인접 정점에서는 약간오염 상태였으나 남해도 외해역의 정점에서는 정상상태였다. 따라서 남해도 남측 해역은 유기물 오염영향을 다소 받는 연안역과 상대적으로 양호한 외해역으로 구분되며 지속적인 저서생태계 감시가 요구된다. An ecological study on subtidal macrobenthic fauna was conducted off the Namhaedo Island, south coast of Korea from July 2012 to April 2013. A total of 247 species of macrobenthos occurred with a mean density of $1,027ind./m^2$ and a mean biomass of $148.7g/m^2$. Polychaetes was the richest and most abundant faunal group that comprised 37% in both total species number and density whereas echinoderms were biomass-dominant faunal group that accounted for 44% of the mean biomass. There was a seasonal variation in the species richness and abundance of macrobenthos with more species in winter and higher density in spring. Mean faunal density was relatively high at the stations near Namhaedo Island, but gradually decreased toward offshore stations. The most dominant species in terms of density was an amphipod species, Eriopisella sechellensis which occurred as a top ranker during three seasons except spring recorded the fourth rank. E. sechellensis showed its high density at the near shore stations of Namhaedo Island, but this species did not occur around the entrance of Gwangyang and Saryang Bays where Theora fragilis and Lumbrineris longifolia showed high densities. In particular, Tharyx sp., recorded high density between Gwangyang Bay entrance and offshore after Sea Prince oil spill, did not occur in the same area during this study period. The bottom temperature and sorting value of the surface sediments were highly correlated to the spatial distribution of macrobenthic fauna from the Bio-Env analysis. From the cluster analysis, the study area has five station groups with more similar faunal affinities from inner area toward offshore area. Based on the SIMPER analysis T. fragilis, Magelona japonica, E. sechellensis, L. longifolia and Paraprionospio cordifolia were mainly contributed to the classification of station groups. From the BPI, benthic communities in the entrance of Gwangyang Bay and Saryang Bay were considered to be in a slightly polluted condition in contrast to the normal healthy community at the offshore of Namhaedo Island.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benthic community of this area should be regularly monitored to assess the health status of this benthic ecosystem.

      • KCI등재

        우리나라 3개 하구역 대형저서동물 군집 시공간 분포

        임현식,이진영,이정호,신현출,류종성,LIM, HYUN-SIG,LEE, JIN-YOUNG,LEE, JUNG-HO,SHIN, HYUN-CHUL,RYU, JONGSEONG 한국해양학회 2019 바다 Vol.24 No.1

        국가해양생태계종합조사의 일환으로 우리나라의 주요 하천인 한강, 금강, 낙동강 하구역에 서식하는 저서동물 군집 특성을 파악하였다. 현장조사는 2015년부터 2017년에 걸쳐 매 계절별(겨울: 2월, 봄: 5-6월, 여름: 7-9월, 가을: 11월)로 수행하였다. 시료채집은 한강 하구역에 7개, 금강 하구역에 6개, 낙동강 하구역에 7개의 정점을 설정하여 총 20개의 정점에서 수행되었다. 대형저서동물 채집은 van Veen grab(채집면적 $0.1m^2$)을 사용하여 각 정점 당 3회씩 반복채집 후 1 mm 망목의 표준체를 이용하여 펄을 제거하였다. 조사결과 총 1,008종의 저서동물이 출현하였으며 한강 하구역에서 602종, 금강 하구역에서 612종, 낙동강 하구역에서 619종이 출현하여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평균 밀도는 $1,357ind./m^2$로서 한강 하구역에서 $1,127ind./m^2$, 금강 하구역에서 $1,357ind./m^2$ 및 낙동강 하구역에서 $1,587ind./m^2$으로 한강 하구역이 가장 낮고 낙동강 하구역이 가장 높았다. 평균 생체량은 $116.8g/m^2$으로 한강 하구역에서 $49.0g/m^2$, 금강 하구역에서 $129.0g/m^2$ 및 낙동강 하구역에서 $174.2g/m^2$이 출현하여 밀도와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한강과 금강, 낙동강 하구역 모두 환형동물이 출현종수와 밀도에서 우점 분류군이었다. 한강과 금강 하구역에서는 연체동물이, 낙동강 하구역에서는 극피동물이 생체량 우점 분류군이었다. 각 하구역에서 4% 이상의 밀도 점유율을 보이는 우점종은 모두 다모류로서 한강 하구역의 경우 Dispio oculata와 Heteromastus filiformis, Aonides oxycephala였으며, 금강 하구역에서는 Heteromastus filiformis와 Scoletoma longifolia, 낙동강 하구역에서는 Pseudopolydora sp.와 Aphelochaeta sp.였다. 이러한 우점종들은 하구역에 따라 출현밀도의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 결과 한강 하구역에서는 평균 입도, 금강 하구역에서는 염분 및 실트함량, 낙동강 하구역에서는 염분, 용존산소, 강열감량, 실트 함량이 군집 조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따라서 한강 하구역의 경우 퇴적환경 변화를 초래하는 요인들(골재채취, 제방축조, 매립 등)에 대한 관리가 우선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금강 하구역에서는 금강으로부터의 담수유입 및 주변 퇴적 환경에 변화를 줄 수 있는 요인들에 대한 관리가 우선시 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낙동강 하구역의 경우 마산만 내측의 빈산소수괴 발달 양상과 주요 우점종의 공간분포에 대한 모니터링을 중점적으로 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spatio-temporal variations of macrozoobenthos community in Han River (HRE), Geum River (GRE), and Nakdong River estuaries (NRE) of Korea, sampled by National Survey of Marine Ecosystem. The survey was seasonally performed at a total of 20 stations for three years (2015-2017). Sediment samples were taken three times with van Veen grab of $0.1m^2$) areal size and sieved through a 1 mm pore size mesh on site. A total of 1,008 species were identified with 602 species in HRE, 612 in GRE, and 619 in NRE, showing similar number of species between estuaries. Mean density was $1,357ind./m^2$, showing the high in NRE ($1,357ind./m^2$), mid in GRE ($1,357ind./m^2$), and low in HRE ($1,127ind./m^2$). Mean biomass was $116.8g/m^2$, showing similar variations to density ($174.2g/m^2$ in NRE, $129.0g/m^2$ in GRE, $49.0g/m^2$ in HRE). Polychaeta dominated in number of species and density in three estuaries. Biomass-dominated taxon was Mollusca in HRE and GRE, and Echinodermata in NRE. Polychaetous species dominated all three estuaries over 4% of density, such as Dispio oculata, Heteromastus filiformis and Aonides oxycephala in HRE, Heteromastus filiformis and Scoletoma longifolia in GRE, and Pseudopolydora sp. and Aphelochaeta sp. in NRE, showing various density between estuaries. Community structure was determined by various environmental variables among estuaries such as mean grain size and sorting (HRE), salinity and mean grain size (GRE), and salinity, dissolved oxygen, loss on ignition and mud content (NRE). Our study demonstrates the application of different measures to manage ecosystems in three estuaries. HRE needs to alleviate sedimentary stressors such as sand mining, land-filling, dike construction. Management of GRE should be focused on fresh water control and sedimentary stressors. In NRE, monitoring of dominant benthos and process study on hypoxia occurrence in inner Masan Bay are necessary.

      • KCI등재

        영산강 하구역의 연성저질에 서식하는 저서동물 군집 2. 여름철 빈산소 수괴의 출현과 저서동물 분포

        임현식,박경양,LIM Hyun-Sig,PARK Kyung-Yang 한국수산과학회 1998 한국수산과학회지 Vol.31 No.3

        영산강 하구역의 40개 정점에서 여름철 저층빈산소수괴의 형성과 저서동물 군집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하구역에는 1995년 8월에 광범위한 해역에 걸쳐 저층 용존산소량이 $2.0 mg/\ell$이하인 빈산소수괴가 형성되었으며. 조사해역에서 여름철에 출현한 저서동물은 총 141종으로서 1,923개체/$m^2$ 및 $19.44/m^2$ 였다. 출현종수는 저층용존산소량의 증가와 함께 증가하는 뚜렷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밀도 및 생물량은 저층용존산소량이 $2.0 mg/\ell$ 범위까지 양의 상관관계가 뚜렷하여 저층빈산소 형성이 저서동물의 공간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정점별 출현개체수 자료를 사용하여 집괴분석한 결과 3개의 정점군으로 구분되었는데, 이는 저층환경요인으로 구분된 정점군과 잘 일치하였다. 여름철 빈산소 수괴가 형성되는 정점군 I은 영산강 하구역에서부터 목포항까지의 해역으로서 이매패류인 Theora fragilis가 측우점하였으며, 다모류의 Tharyx sp. 및 Lumbrineris longifolia도 우점적으로 출현하였다. 정점군 II는 목포항근처에서부터 달리도 인근까지의 해역으로서 정점군 I과 정점군 III사이에 위치한 정점군이다 이 정점군에서는 이매패류인 Theora fragilis, Raetellops pulchella와 다모류인 Tharyx sp.가 우점적으로 출현하였으나 정점군 I에 비해 밀도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한편 정점군 III은 가장 외해역에 위치하고 있는 해역으로서 다모류인 Poecilochaetus johnsoni와 이매패류인 Yoldia Johanni가 우점적으로 출현하였다. 영산강 하구역의 빈산소 수괴 형성은 저서동물이 완전히 폐사할 정도로 심각하지는 않지만, 여름철의 저서동물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년여름철에 주기적으로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본 해역의 특성상 여름철 빈산소 수괴의 형성 범위가 확대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형성시기, 기간 및 범위 그리고 여기에 대한 저서동물의 반응 등에 대한 보다 면밀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e relationship between summer hypoxia in bottom water layer and benthic community structure was discussed at forty sampling stations in semi-enclosed Youngsan River estuarine bay, Korea. The oxygen deficient layer less than $2.0 mg/\ell$ was widely developed in the inner estuarine stations in summer due to the summer stratification. A total of 141 species was occurred, with a mean density of $1,923 ind./m^2$ and biomass of $79.44\;g/m^2$ in summer season. The species number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the increment of the bottom dissolved oxygen, whereas density and biomass were partially correlated within the low oxygen level of $2.0\;mg/\ell$. These results imply that benthic community structures are affected by bottom oxygen depletion in summer. Cluster analysis showed that the benthic community could be classified into three station groups. These station groups from the species composition coincided with the groups based on the environmental factors. This fact suggests that the overall spatial distribution of macrozoobenthos in Youngsan River estuarine bay in summer should be controlled by the summer hypoxia and clay content of the area. Group-I was located the innermost estunrine bay from Mokpo Harbour to near the dike, where summer hypoxia was developed and one bivalve Theora fragilis, two polychaetes, Tharyx sp. and Lumbrineris longifolia were dominated. Group-II, the central transitory area of the estuarine bay between two another stational groups, where two bivalves Theora fragilis, Raetellops pulchella and a polychaete Tharyx sp. predominated with relatively low density compared to that of Group-I. Group-III, the mouth part of the estunrine bay exposed to the open sea, where a polychaetes Poecilochaetus johnsoni and a bivalve Yoldia Johanni predominated.

      • KCI등재

        광양만 북부 수어천 하구역의 여름철 대형저서동물 공간분포

        임현식,최진우,최상덕,Lim, Hyun-Sig,Choi, Jin-Woo,Choi, Sang-Duk 한국해양학회 2012 바다 Vol.17 No.2

        광양만 북측으로 유입되는 수어천 하구역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여름철 공간분포 양상을 파악하고자, 2009년 8월에 24개 조사정점을 선정하여 현장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는 저서생태계의 생태학적 과정(ecological process)이 극대화되는 여름철에 이루어졌다. 소형 van Veen grab($0.05m^2$)을 사용하여 매 정점당 2회씩 퇴적물을 정량 채집하여 분석한 결과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은 총 44종이었고, 평균 밀도는 $789ind./m^2$였다. 연체동물이 밀도(43.1%)와 생체량(86.8%)에서 가장 우점한 동물 분류군이었으며, 연체동물의 Corbicula japonica(40.7%), 다모류의 Neanthes japonica(19.3%), Heteromastus filiformis(8.1%), 갑각류의 Paranthura japonica(6.9%), Jaeropsis sp.(6.9%) 등이 주요 우점종이었다. 수어천 하구역 정점에서 출현한 대형 저서동물 군집의 종다양도는 평균 $1.12{\pm}0.47$로 낮았으나, 하구역 입구에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다양도를 보였다. 하구역 상부역에 위치한 정점들에서는 기수성 이매패류인 Corbicula japonica가 높은 밀도로 출현하였다. 수어천의 전반적인 저서생물상은 강 입구역에서는 세립질 퇴적물과 해수의 영향으로 다양한 생물상을 가진 반면 상부로 올라가면서 조립질 퇴적물과 담수의 영향을 크게 받아 소수의 기수종만이 출현하는 다소 단순한 조성을 가진 군집을 나타낸다. Macrozoobenthos were collected from 24 sites using small grab ($0.05m^2$) in order to se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m at Sueocheon stream at the northern part of Gwangyang Bay during summer season when the maximum ecological processes are occurring. A total of 44 species of macrozoobenthos occurred, and their mean density was $789individuals/m^2$. Mollusks was the dominant faunal group accounted for 43.1% and 86.8% of the whole community density and biomass, respectively. Top five dominant species were a molluscan, Corbicula japonica (40.7%), two polychaete worms, Neanthes japonica (19.3%) and Heteromastus filiformis( 8.1%), and two crustaceans, Paranthura japonica (6.9%) and Jaeropsis sp. (6.9%). Species diversity index was very low with mean value of 1.12 and maximum value was recorded at the river mouth. At the upper stream, a brackish water species such as Corbicula japonica showed their maximum population density. The overall distribution of stream macrobenthos showed a rather simple pattern along with salinity and grain size gradients with few brackish water species occurring at coarse sediments in the stream but more diverse faunas inhabiting fine sediments in the river mouth.

      • KCI등재

        남해 완도-도암만 연성기질의 여름철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

        임현식,최진우,손민호,LIM, HYUN-SIG,CHOI, JIN-WOO,SON, MIN-HO 한국해양학회 2018 바다 Vol.23 No.2

        완도-도암만 주변 조하대 여름철 저서동물 분포 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3년 8월에 25개 정점을 선정하여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186종이 출현하였으며, 평균밀도는 $1,229ind./m^2$, 생체량은 $265.7g/m^2$이었다. 출현종수는 환형동물(43%), 밀도 및 생체량은 연체동물이 우점분류군이었다. 신지도 및 조약도, 고금도 주변에서 많은 출현종수와 높은 밀도를 보였으며, 외해역에서 내만역으로 들어가면서 출현종수 및 밀도가 감소하였는데 저층 수온과는 음의 상관관계, 염분 및 DO와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최우점종은 아기반투명조개(Theora fragilis)로서 수하식 양식장이 산재한 고금도-조약도-신지도 주변 정점에서 높은 밀도를 보였으며, TOC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두 번째 우점종인 옆새우류 Eriopisella sechellensis는 도암만 입구역에 폭넓게 분포하였으며, 환경요인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유기물 함량이 낮으면서 입도가 세립한 정점들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밀도를 보였다. BIO-ENV분석 결과 저층수의 수온, 염분, pH, 표층퇴적물의 함수율, 황 함량 조합이 저서동물군집 분포의 71%를 설명하고 있었다. 집괴분석 결과 6개 정점군으로 구분되었으며, SIMPER 분석결과 각 정점군별로 특징적인 종들이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서오염지수(BPI)의 분포에 의한 군집 오염도 평가결과 완도 서측 및 고금도-조약도-신지도 주변의 양식장 밀집지역은 유기오염의 영향을 받고 있었다. 특히 완도-도암만 해역은 만입구역의 섬 사이 해역의 저서동물군집이 유기오염의 영향을 더 받고 있었으나, 그 밖의 대부분의 정점들은 정상적인 저서생태계를 보였다. 연구 해역은 입구역의 양식장으로부터 공급되는 유기물이 내해역까지 영향을 미쳐 만 전체가 유기오염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외해역의 유기오염원에 대한 영향을 저감하는 방향으로 생태계 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An ecological study on subtidal macrobenthic fauna was conducted from 25 stations in the estuarine area of Wando-Doam Bay, southern coast of Korea during August 2013. A total of 186 species was collected with a mean density of $1,229ind./m^2$ and a mean biomass of $265.7g/m^2$. Polychaetes showed the richest benthic fauna comprising 43% of total fauna, whereas mollusks appeared as density- and biomass-dominant fauna accounted for 45% and 48% of the mean density and biomass, respectively. The number of species and mean faunal density were relatively higher at the stations surrounded by Sinjido, Joyakdo and Gogeumdo showing a gradual decrease toward inner bay stations. Species number and density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bottom water temperature, but they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both the bottom salinity and DO. The most dominant species in terms of density was a semelid bivalve, Theora fragilis which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OC content of surface sediment and its high density occurred around Gogeum-Sinji-Joyakdo area where dense aquaculture facilities exist. In the bay mouth area, an amphipod species, Eriopisella sechellensis showed its higher density at the stations with low organic content but fine grains. The combination of water temperature, salinity, pH of bottom water, water and sulfur content of the surface sediment could explain 71% of the spatial distribution of macrobenthic fauna from the Bio-Env analysis. From the cluster analysis, the study area consisted of 6 distinct station groups lineated from offshore area toward inner area. Ampharete arctica, Goniada maculata, Eriopisella sechellensis, Theora fragilis, Caprella sp. were identified as the main contributing faunas in classification by the SIMPER analysis. From the value of BPI, the benthic communities at the inner and central Wando-Doam Bay were assessed to be in a normal condition whereas those at the outer Wando harbor and Gogeum-Sinji-Joyakdo area were assessed in a poor or very poor condition due to the high concentration of particulate organic matter might be originated from the nearby dense aquaculture facilities. This study indicated that pristine inner bay has been influenced by the organic material supplied from the outer bay. Thu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ecological management plan to reduce organic enrichment of sediment from dense aquaculture facilities in the outer bay.

      • KCI등재

        영산강 하구역의 연성저질에 서식하는 저서동물 군집 1. 저서환경

        임현식,박경양,LIM Hyun-Sig,PARK Kyung-Yang 한국수산과학회 1998 한국수산과학회지 Vol.31 No.3

        영산강 하구역의 저서동물 군집구조 연구 일환으로 이 일대 해역의 저서환경을 조사하였다. 조사해역에 40개 정점을 설정하고 1995년 4월부터 1996년 2월까지 계절별로 표층 및 저층수괴의 수온, 염분 및 용존산소. 그리고 표층퇴적물의 입도분석과 함께 강열감량. COD 및 POC를 측정하였다. 수온은 표층의 경우 $4.1\~29.8^{\circ}C$, 저층의 경우 $4.0\~27.0^{\circ}C$범위였다. 염분의 경우 표층은 $15.1\~33.6\%_{\circ}$, 저층은 $21.5\~33.2\%_{\circ}$범위였다. 표층 수온은 여름철에는 내만역이 외측에 비해 높은 양상이었으며, 가을부터 봄까지는 내만역과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저층수온은 여름철에 내만역에 형성된 성층으로 인해 외해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양상이었다. 표층 및 저층염분은 담수가 간헐적으로 유입되는 내만역이 외해역에 비해 전 계절에 걸쳐 통해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용존산소는 표층의 경우 $5.1\~11.2mg/\ell$ 범위였으며 저층의 경우 $0.79\~10.2mg/\ell$였다. 특히 여름철에는 하구둑에서 목포항에 이르는 내만역의 광범위한 해역에 $2.0mg/\ell$ 이하의 저층빈 산소수괴가 형성되었다. 퇴적물의 평균입도는 $9.12{\pm}0.45\phi$로서 하구둑에서 외해역으로 나갈수록 입도가 조립해지는 양상이었다. 퇴적상은 내만역에는 실트성 점토질, 외측역에는 점토성 실트질의 퇴적상이었다. 퇴적물의 COD는 $6.15\~15.49mg\;O_2/g$범위로서 평균 $10.59{\pm}12.64mgO_2/g$였으며, 강열감량은 $3.35\~15.45\%$범위로서 평균 $6.96{\pm}1.91\%$였다. POC는 $0.61\~1.39\%$범위로서 평균 $1.07{\pm}0.16\%$였다. 이들 퇴적물 환경요소들의 공간분포양상은 내만역에서 높고 외해역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저층수괴의 수온, 용존산소량, 퇴적물의 평균 입도, 점토 함량, COD 등 5가지 환경 요인을 사용하여 주성분분석을 실시한 결과 영산강 하구역은 저층수괴의 용존산소량과 퇴적물의 점토 함량에 따라 3개의 정점군으로 구분되었다. 영산강 하구둑에서 목포항 주변까지를 포함하는 내만역에 위치한 정점군은 표층염분과 저층수온이 낮으며, 입도는 상대적으로 세립하며 유기물 함량이 높고 여름철 빈산소 수괴가 형성되는 정점군이다. 고하도와 화원반도로 둘러싸이고 목포구 수로를 통해 외해역과 면해 있는 정점군에서의 퇴적물 입도는 상대적으로 조립하며 유기물 함량은 낮은 양상이었다. 또한 여름철에도 산소결핍 현상은 발생하지 않았으며, 저층수온과 저층염 분도 다른 정점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양상이었다. 한편 목포항 주변에서부터 외해역과의 중간에 위치한 정점군에서의 제환경 요소들은 두 정점군의 중간값을 나타내고 있다. 결국, 각 정점군의 점토 함량의 차이 및 세립한 입도와 높은 유기물 함량. 그리고 빈산소 수괴의 출현은 영산강 하구역에서 저서동물의 공간분포 양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특징적인 환경요인이라고 판단된다. Benthic environmental parameters were analysed at 40 stations during the period from April 1995 to February 1996. such as water temperature, salinity, and dissolved oxygen (DO)-concentration in the surface and bottom water layers, grain size, chemical oxygen demand (COD), ignition loss, particulate organic carbon (POC) in the sediment of Youngsan River estuary. The water temperature ranged from 4.1 to $29.8^{\circ}C$ in the surface and 4.0 to $20.7^{\circ}C$ in the bottom layers. Salinity ranged from 15.1 to $33.6\%_{\circ}$ in the surface and 31.5 to $33.2\%_{\circ}$ in the bottom layer. The salinity in the outer pan of the study area was higher than that of inner area from autumn to spring, whereas they remained lower in summer. Dissolved oxygen concentration ranged from 5,1 to 11.2 $mg/\ell$ in the surface, and 0.79 to 10,2 $mg/{\ell}$ in the bottom layers. Hypoxic condition ($\le2.0mg/\ell$) was developed in the bottom water layer from Youngsan dike to Mokpo Harhour in summer due to the summer stratification. The surface sediment type was silty clay with a mean grain size of $9.12{\pm}0.45\phi$. The range of COD was from 6.15 to $15.49mgO_2/g$ with a mean of $10.59{\pm}12.64mgO_2/g$. The COD in the inner stations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outer stations, and decreased toward the outer part of the study area. Ignition loss (IL) ranged from 3.35 to $15.45\%$ with a mean of $5.96{\pm}1.91\%$.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as carried out from the following five environmental parameters: water temperature, dissolved oxygen in the bottom layer and mean grain size, clay content and COD in the sediment. The forty stations in the study area were classified into three stational groups. Group I was located in the inner part of the estuary characterised by relatively low surface salinity and bottom water temperature, fine sedimemt texture, high organic matter and low dissolved oxygen concentration during the summer. Meanwhile, Group III showing relatively high bottom salinity and water temperature was located in the outer part of the estuary characterising coarse sediment and low organic content in sediment. Group II was between Group I and Group III. The division of the areal groups had high correlations to the DO in the bottom layer and clay content in the sediment.

      • KCI등재

        진해만 저서동물의 군집생태 2. 우점종의 분포

        임현식,홍재상,LIM Hyun-Sig,HONG Jae-Sang 한국수산과학회 1997 한국수산과학회지 Vol.30 No.2

        진해만의 저서동물 군집의 생태학적 연구의 일환으로 주요 우점종의 분포 양상을 조사하였다. 출현종의 개체수 및 출현 빈도를 동시에 고려하여 우점종을 선별한 결과, 총 287종 가운데 상위 13종이 전체 출현 개체수의 $70\%$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다모류가 11종 $(85\%)$, 연체동물의 2종 $(15\%)$을 차지하였다. 개체수 우점종은 다모류의 Lumbrineris longifolia와 Paraprionospio pinnata 및 이매패류인 Theora fragilis였으며, 각각 평균 $173.3({\pm}55.4),\;169.3({\pm}257.8),\;81.8({\pm}93.3)$ 개체/$m^2$이 밀도였다. 한편 생물량 우점종은 14종이 전체 채집된 생물량의 $75\%$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다모류가 6종, 연체동물이 7종, 극피동물이 1종이었다. 이매패류인 Macoma tokyoens그 및 Periglypta cf. puerpera, 그리고 다모류인 Paraprionospio pinnate의 생물량이 우점하여 이들이 전체 생물량의 약 $45\%$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생물량은 각각 $14.69({\pm}30.17),\;8.17({\pm}29.40),\;4.17({\pm}11.93)\;g/m^2$이었다. 한편 이들 우점종 가운데 6종의 다모류와 1종의 이매패류 (Lumbrineris longifolia, Paraprionspio pinnata, Aricidea jeffreysii, Magelona japonica, Sigambra tentaculata, Raetellops pulchella, Glycinde gurjanovae)에 대하여 분포 특성을 논의하였다. 대체로 유기물 함량이 높은 내만해역에 주로 서식하는 Lumbrineris longifolia, Paraprionospio pinnata, Aricidea jeffreysii, Sigambra tentaculta, Raetellops pulchella와 만의 입구역에 서식하는 Magelona japonica, Glycinde gurjanovae, Sternaspis sutata, Theora fragilis 등의 분포가 특징적이었다. 진해만 전해역에 광범위하게 분포하는 종은 Lumbrineris longifolia, 중앙부 일부 정점에 우점하게 분포하는 종은 Paraprionospio pinnata Aricidea jeffreysii, Sigambra tentaculata로서, 이들은 퇴적물 유기물 함량이 비교적 높은 해역에서 출현하고 있어 유기물 오염의 지표종으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A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the major domiant species of macrobenthos was carried out in Chinhae Bay from lune 1987 to May 1990. The 13 dominant species, based on the number of individuals and frequency, occupied more than $70\%$ of the total individuals. Of these species, 11 species represented polychaetes $(85\%)$ and 2 species molluscs $(15\%)$. The dominant species included Lumbrineris longifolia, Paraprionospio pinnata and Theora fragilis, with a density of $173.3({\pm}55.4),\;169.3({\pm}257.8)\;and\;81.8({\pm}93.3)\;ind./m^2$, respectively. In terms of biomass these dominant species occupied move than $75\%$ of the total biomass of the macrobenthos. These were composed of 6 species of polychaetes, 7 of molluscs and one echinoderm. The biomass of Macoma tokyoensis, Periglypta cf. puerpera and Paraprionospio pinnata were predominant (more than $45\%$ of the total biomass), and their biomass were $14.69({\pm}30.17),\;8.71({\pm}29.40),\;4.17({\pm}11.93)g/m^2$, respectively. In terms of density, distribution patterns of Lumbrineris iongifolia, Paraprionospio pinnata, Aricidea jeffreysii, Magelona japonica, Sigambra tentaculata, Raetellops pulchella, Glycinde gurjanovae were discussed. In the inner area of the bay with high organic content, Lumbrineris longifolia, Paraprionospio pinnata, Aricides jeffreysii, Sigambra tentaculata, Raetellops pulchella were pvedominant, whereas in the mouth of the bay with low organic content, Magelona japonica, Glycinde gurjanovae, Sternaspis scutata, Theora fragilis were dominant. Lumbrineris longifolia was wid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bay. However, Paraprionospio pinnata, Aricidea jeffreysii and Sigambra tentaculata had high density particularly in the central pan of the bay where there was high organic content in surface sediment, and these species possibly can be used as the potential pollution indicating species.

      • KCI등재

        남해 앵강만 조하대 연성저질 저서동물 군집

        임현식,박흥식,최진우,제종길,Lim, Hyun-Sig,Park, Heung-Sik,Choi, Jin-Woo,Je, Jong-Geel 한국해양학회 1999 바다 Vol.4 No.1

        남해안에 위치한 앵강만의 저서동물 군집 구조파악을 목적으로 1994년 10월, 1995년 1월, 5월 및 8월에 앵강만 내에 18 개 정점을 설정하고 저서동물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총 233 종의 저서동물이 채집되었으며, 이 가운데 다모류가 90 종, 갑각류가 66 종 및 연체동물이 46 종이었다. 평균 밀도는 1,358 개체/$m^2$였으며, 다모류가 874 개체/$m^2$로서 가장 우점하였으며 전체 밀도의 64%를 차지하였다. 습중량은 262.0 gWWt/$m^2$였으며, 극피동물이 137.8 gWWt/$m^2$로서 전체 습중량의 52.6%를 차지하였다. 출현종수, 밀도 및 습중량은 앵강만 동측에 위치한 정점들에서는 비교적 높은 값을 나타냈으나, 서측에 위치한 정점들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주요 우점종으로서는 석회관갯지렁이인 Ditrupa arientina, 실타래갯지렁이류인 Tharyx sp. 그리고 굴족류인 Fustaria nipponica였는데 각각 밀도가 245 개체/$m^2$, 166 개체/$m^2$ 및 132 개체/$m^2$였다. D. arientina와 F. nipponica는 앵강만 입구역에서 밀도가 높았으며, Tharyx sp.는 앵강만 중앙부 해역에서 밀도가 높았다. 집괴분석 결과 앵강만은 내만에 1 개 정점군, 만 중앙부에 2 개 정점군, 그리고 만 입구에 2 개 정점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앵강만의 저서동물 분포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scribe the community structure of macrobenthos in Aenggang Bay, the southern coast of Korea. Sampling was performed seasonally using van Veen grab from October 1994 to August 1995. A total of 233 species occurred; polychaetes accounted for 90 species, crustaceans 66 species, and mollusks 46 species. The mean density of macrobenthos was 1,358 ind./$m^2$, and polychaetes accounted for 64% of total abundance with its density of 874 ind./$m^2$. Mean macrobenthic biomass was 261.96 gWWt/$m^2$, and echinoderms accounted for 52.6% of total biomass with its biomass of 137.76 gWWt/$m^2$. Dominant species were a serpulid worm, Ditrupa arientina (245 ind./$m^2$), a cirratulid worm, Tharyx sp. (166 ind./$m^2$), and a scaphopod Fustaria nipponica (132 ind./$m^2$). Ditrupa arientina and Fustaria nipponica were distributed mainly in the mouth of Aenggang Bay, whereas Tharyx sp. showed its high density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bay. The study area showed a regional difference in species richness, abundance, and biomass; the eastern region of the bay sustained relatively more abundant and richer macrobenthos than the western part. The study area could be divided into 5 regions by the cluster analysis based on the species composition of macrobenthos; the inner bay, two central regions, and two mouth areas of the bay.

      • KCI등재

        여자만 연성저질의 여름철 대형저서동물 공간분포

        임현식,Lim, Hyun-Sig 한국해양학회 2015 바다 Vol.20 No.2

        여자만 저서동물 군집 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87개 정점에서 2001년 7월 grab 채집을 통한 현장 조사를 수행하였다. 여자만은 만 중앙부를 중심으로 니질 퇴적상이 폭넓게 나타나고 있으며 하천으로부터 담수가 유입되는 하구역에서는 모래 함량이 높았다. 조사기간 동안 총 274종, 평균 2,346 개체/$m^2$ 및 $78.2g/m^2$의 저서동물이 출현하였다. 출현종수에서는 다모류가 122종(45%)으로서 가장 우점하였으며, 갑각류가 70종(26%), 연체동물이 57종(21%) 출현하였다. 출현종수 공간분포는 퇴적상 및 저층염분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출현밀도에서도 다모류가 1,543 개체/$m^2$로서 66%를 점유하였는데 모래 함량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니질 및 평균 입도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극피동물의 밀도는 염분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반면 생체량에서는 연체동물이 $44.4g/m^2$으로서 57%를 점유하였는데, 실트 및 분급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Bio-Env 분석 결과 저층염분과 모래 함량의 조합이 대형저서동물 군집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환경요소로 나타났다. 주요 우점종으로서는 기수성 다모류인 Minuspio japonica가 평균 1,167 개체/$m^2$로서 가장 우점하였으나 벌교천 하구역에만 제한적으로 분포하였으며, 옆새우류인 Eriopisella sechellensis의 밀도는 152 개체/$m^2$로서 여자만 내에 광범위하게 분포하였다. 또한 다모류인 Sternaspis scutata와 이매패류의 Corbiculina sp.도 우점적으로 출현하였다. 종 다양도(H')는 여자도를 중심으로 여자만 남측해역은 3.0 이상의 값을 나타낸 반면, 북측해역은 2.0~3.0 범위의 값을 나타내었으며 염분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집괴분석 결과 5개 정점군으로 구분되었는데, SIMPER 분석결과 Minuspio japonica, Eriopisella sechellensis 그리고 Sternaspis scutata의 기여도가 높았으며 여자만 입구에서부터 내만으로 들어가면서 정점군이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로부터 여자만의 여름철 대형저서동물 군집은 퇴적상과 저층염분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여자만의 저서환경 변동을 파악하기 위해 주요 우점종 및 군집 공간 분포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Macrobenthic community was studied at 87 stations including intertidal and subtidal area in Yoja Bay, south coast of Korea in summer season of July 2001. Duplicate sediment samples were taken using a van Veen grab ($0.1m^2$) in each station. Mud facies of the sediments were widly distributed in the bay. And relatively high content of sand was shown in the Bulgyo-cheon stream estuary. A total of 274 species was occurred with a mean density of $2,346ind./m^2$ and a mean biomass of $78.2g/m^2$. The polychaetes were species- and density-dominant faunal group with a total of 122 species (44.5% of the total number of species), and mean density of $1,543ind./m^2$ (65.8% of the mean density). Meanwhile, molluscs were biomass-dominant faunal group with $44.4g/m^2$. Bio-Env. analysis showed that the combination of bottom salinity and sand content of the surface sediments was highly correlated to the major macrobenthic communities. The macrobenthic species number, decreasing toward inner bay from mouth of the bay,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to the sediment environmental variables and bottom water salinity. The spatial distribution of abundance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to the sand and mud contents and mean grain size of the surface sediments. Major dominant species were Minuspio japonica (polychaete) with a mean density of $1,167ind./m^2$ at upper part of the bay where salinity was low and Eriopisella sechellensis (amphipod) with $152ind./m^2$ in central part of the bay. Species diversity (H') was $3.0{\leq}$ in the mouth part of the bay and ranged 2.0-3.0 in the inner part of the bay, which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o bottom salinity. Total number of species also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to the sediment composition and bottom salinity. Based on the cluster analysis the macrobenthic community of the bay was classified into five station groups from the bay mouth toward the inner part of the bay depending on the species composition. From the SIMPER analysis Minuspio japonica, Eriopisella sechellensis and Sternaspis scutata mainly contributed to the classification of station group.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macrobenthic communities of the bay were mainly influenced by bottom salinity together with sediment composition, and that the studies of spatial distributions of major dominant species and benthic communities should be conducted continuously to monitor the Yeoja Bay benthic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