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의 노인ㆍ아동상호작용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에 관한 연구

        임재택(Lim Jae Tac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5 No.3

        본 연구는 조부모와의 접촉이 단절된 핵가족에서 자라나는 영유아들에게 유아교육기관에서 노인과의 상호작용 경험을 의도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오늘날 산업사회에서 방치되어 있는 노인문제와 영유아 교육ㆍ보호문제를 연계하여 함께 해소하고자 개발된 노인ㆍ아동 상호작용 프로그램을 유치원과 보육시설 현장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해 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10개 유치원과 10개 보육시설을 대상으로 노인선발 프로그램, 노인, 아동, 교사(원장 포함) 및 학부모를 위한 4종류의 사전교육 프로그램. 그리고 노인ㆍ아동 상호작용 활동 프로그램을 현장 적용한 과정과 결과를 참관, 면담, 관찰, 설문조사 등의 방법으로 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을 한 결과 모든 프로그램들이 노인, 아동, 교사 및 학부모 모두에게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e research was to identify the implementation effects of the Old- Young Interaction Program in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The Program is considered very important to connect eldly and very young generations, strengthen the Korean traditional extended family bonding, and also together solve the aging problems and the young child educare problems in Korean in recent years. The Old-Young Interaction Program implemented in this study was constructed an elderly recruitment program, the preservice programs for the elderly, children, child educare teachers, and parents, and an old-young interaction activity program developed by other research project(Jae-tack Lim, Young-ock Kim, & Kyoung-ho, Kim, 1996). For the research purpose, the Old-Young Interaction Program was implemented in 10 kindergartens and 10 child care centers for 8 months except summer vacations from March till December in 1999. From the overall perspectives, the Program was so successful and effective to promote elderly-child interaction activities in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And also most of elderly volunteers, young children, child educare teachers, and parents participated at the Program were very satisfied with the implementation processes and results of the Program.

      • KCI등재

        생태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 식생활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임재택(Lim Jae-tack),김은주(Kim Eun-ju),조채영(Jo Chae-yo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2 No.3

        본 연구는 문화기술적 연구를 통하여 생태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들의 식생활은 어떠하며 그 속에 내재된 식생활 의미는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생태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들의 식생활 특성은 무엇인가? 2) 생태유아교육기관이 추구하는 식생활 실천의 어려움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연구기간은 약 1년 2개월이다. 연구결과, 생태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들의 식생활 특성은 생명의 먹거리를 먹는 아이들, 자유롭게 먹는 아이들, 생명에 감사하며 먹는 아이들, 농사짓고 요리하는 아이들로 범주화되었으며 생태유아교육기관이 추구하는 식생활 실천의 어려움은 경제적 사회적 여건으로 갈등하는 부모, 먹고 싶은 것과 먹지 말아야 될 것 사이에서 갈등하는 아이, 생태적 식생활 지도로 힘든 교사들로 범주화 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먹거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오늘날의 유아교육 현장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본다. This ethnographic study examined young children's dietary life in an eco-early childhood educare center, and what the intrinsic meaning of dietary life was. The research problem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characteristic of young children's dietary life in an eco-early childhood educare center? 2) What is the difficulty in carrying out dietary life that the eco-early childhood educare center pursues? The research period of this study was about a year and 2 month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young children's dietary life in an eco-early childhood educare center are categorized: 1) children who eat organic food 2) those who eat freely 3) those who eat, feeling grateful to life and 4) those who engage in growing grains and vegetables and cooking. The difficulties in carrying out dietary life that the eco-early childhood educare center pursues were categorized as: 1) parents with budgeting problems 2) children who undergo conflicts between what they want to eat and what they are not allowed to eat and 3) teachers who has difficulties in teaching eco-dietary life. The results suggest a great deal to the education field where concern for food for young children is increasing.

      • KCI등재후보

        유아교육기관 일과운영에서의 시간통합

        임재택(Lim, Jae Tack),심미연(Sim, Mi Yeon)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08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2 No.4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의 일과운영에서 시간통합이 어떻게 나타나는 지 살펴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 참여기관으로 부산지역 공동육아 어린이집인 C 어린이집을 선정하여 2007년 1월 2일부터 2007년 4월 24일까지 총 35회기를 통해 참여관찰, 교사 면담, 그리고 어린이집의 각종 문서를 자료로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주제에 따라 분류, 분석하였고 연구결과, C 어린이집의 일과운영에서 시간통합은 먼저 일과흐름의 완만함으로 나타났다. C 어린이집은 교육의 공간임과 더불어 아이들이 삶을 살아가는 삶터로서 먹고, 자고, 노는 것의 흐름이 완만하고 자연스러운 일과운영을 하고 있었다. 또한 C 어린이집의 일과운영에서 시간통합은 교사와 아이가 함께 시간의 흐름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짜여진 시간과 교사 주도의 준비된 활동에 익숙한 교사들이 아이들의 속도를 인정하고, 아이들이 자신의 흥미와 욕구에 맞게 시간을 구성할 수 있도록 교사가 아이들의 흐름에 맞추며 적응해 가는 모습을 보여 주었다. 또한 아이들은 시간과의 적절한 조화를 위해 스스로를 조절하는 능력을 천천히 키워나가며 시간에 대한 올바른 관계를 맺어나가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ime integration in the daily schedule of early childhood institution. The preceeding research was carried out for this purpose and C care center was chosen as the participant organ in this study. The field study and interviews with teachers were done as well as various kinds of documents in the center were gathered through 35 sessions from Jan 2. 2007 to Apr 24. 2007 All the collected data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by theme.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n the selected C daycare center, a slow stream was the primary characteristic of time integration. That center served as not only a space for education but a place for children’s living. The children’s daily routine consisted of eating, sleeping, getting up and playing, which were all done in a slow and natural manner. Another characteristic of time integration in the daycare center was that the teachers and children had the flow of time in control together. Although the teachers already got used to a tight schedule and teacher-led, well-prepared activities, they took the children’s pace into account and controlled themselves to keep step with the children so that they could spend time in a way to suit their interest and needs. And the children gradually learned how to get themselves in control to respond to the flow of time in the right and well-balanced manner.

      • KCI등재

        숲활동에서 형성되는 유아들의 관계 탐색

        임재택(Lim, Jae-Tack),하정연(Ha, Jeong-Yeon),이소영(Lee, So-Young),신주연(Shin, Joo-Yeo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2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숲에서 활동하는 유아들을 탐색하고 숲활동을 통하여 어떠한 관계를 형성하는지 그 의미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부산시에 소재한 P어린이집 만 3, 4, 5세 통합학급 유아 16명을 대상으로, 2011년 3월부터 8월까지 6개월 동안 숲에서 활동하는 유아들을 참여 관찰하였다. 연구결과 유아들은 숲활동을 통하여 ‘유아와 숲의 관계’, ‘유아와 유아의 관계’ 그리고 ‘유아와 교사의 관계’로 범주화되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유아와 숲의 관계’에서는 ‘호기심과 설렘의 관계’, ‘몸으로 알아가는 관계’, ‘심미감을 느끼는 관계’로 하위범주화 되었으며, 유아들은 자연속에서 만나는 동식물을 통해 숲에서 보이는 작은 변화에 관심을 가지고 관계를 형성하기 시작하였다. ‘유아와 유아의 관계’에서는 ‘자아 중심적 관계’, ‘열어가는 관계’, ‘협동하는 관계’로 하위범주화 되었으며, 유아들은 자아중심적인 모습에서 벗어나 마음을 열어나갔으며, 함께 활동하면서 협동하는 관계를 형성하였다. 마지막 ‘유아와 교사의 관계’에서는 ‘존중받고 이끄는 관계’, ‘상상력을 펼치는 관계’, ‘함께 배워가는 관계’로 하위범주화 되었으며, 유아는 숲의 여러 상황에서 교사로부터 자신의 생각을 존중받고, 스스로 이끌어 나갔으며, 다양한 상상력도 펼쳤다. 그리고 새로운 상황이나 동?식물을 만나게 되면 유아와 교사가 함께 배워나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preschoolers engaging aspects in forest activities, their relationship building during the activities and the meaning of their relationship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6 preschoolers in a multiage class of Western age 3, 4 and 5 at ‘P’ daycare center located in the city of Busan. Their forest activities were observed for a six-month period of time from March to August, 2011. As a result, the relationships that the preschoolers formed during the forest activitie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preschooler-forest relationship, preschooler-preschooler relationship, and preschooler-teacher relationship. The preschooler-forest relationship was subcategorized into three: relationship of curiosity and fluttering, relationship by which they get to know each other in person, and relationship in which they could feel aestheticism. The preschoolers got interested in small changes of the forest when they saw animals and plants, and then they began to form relationships with them. The preschooler-preschooler relationship was subcategorized into three: egocentric relationship, relationship of opening one’s mind and cooperative relationship. They were no longer egocentric and started to open their mind, and they were in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one another while they engaged in the forest activities together. Finally, the preschooler-teacher relationship was subcategorized into three: relationship of respect and guidance, relationship of exerting imagination, and relationship of learning together. The preschoolers felt their teacher thought highly of their opinions, and they took the initiative in the forest activities and exerted their imagination. When they faced new situations or saw new animals and plants, both of the preschoolers and teachers learned lessons from the new situations and learned about the animals and plants toge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