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녹색기업지정과 기업의 환경성과 - 성장곡선모형(Growth Curve Model)으로 분석한 유해화학물질 배출량 추이 비교 -

        임유미 ( Yumi Im ),배현회 ( Hyunhoe Bae ) 한국정책학회 2016 韓國政策學會報 Vol.25 No.4

        우리나라의 녹색기업지정제도는 기존의 규제 중심적 환경정책에서 벗어나 기업 스스로 환경성을 평가하고, 개선 계획을 실행하도록 하는 기업의 자발적 환경 관리제도이다. 기업은 정부 주도의 환경 프로그램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고, 외부 행위자들과의 긍정적 관계를 형성하고자 할 뿐만 아니라 미래의 더 큰 규제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하는 유인책을 가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유인책을 가지는 기업들이 녹색기업지정제도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어떤 행태를 보이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녹색기업지정제도에 자발적으로 참여한 기업들이 실질적으로 유해화학물질 배출량을 줄이고자 노력하는지에 대해 문제의식을 가지고, 녹색기업과 녹색기업으로 지정되지 않은 비지정기업 간에 유해화학물질 배출량 경로패턴의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비지정기업보다 녹색기업에서 초기에 배출량이 더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비지정기업보다 녹색기업에서 급격하게 배출량이 감소되는 경로패턴을 보였다. 먼저, 녹색기업이 초기 높은 배출량을 보이는 결과는 유해화학물질 배출량이 높은 기업들이 향후 발생가능한 정부의 더 강력한 규제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녹색기업지정제도에 참여하는 전략을 채택했음을 시사한다. 하지만, 녹색기업들의 유해화학물질 배출량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비지정기업들의 배출량보다 급격하게 감소하는 경로패턴을 보이면서, 실질적으로 녹색기업지정제도가 기업들의 배출량을 줄이는데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는 가능성 또한 본 연구에서는 시사한다. The green company designation policy in Korea is a voluntary environmental management policy to ensure that companies evaluate their environmental performance and implement remedial measures themselves. The voluntary participation can serve as inducements to participating companies by providing opportunities to generate economic profits, build positive relationships with external stakeholders, and prevent another introduction of stricter regulations in advance. Thu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erformance of those companies who are voluntarily participating in green company designation policy with various incentives. In particular, this study questions whether the voluntarily participating companies had actually made any effort in reducing harmful chemical substances, and tries to answer that question by finding differences in the path patterns of released amount of harmful chemical substances between those designated as green companies and those who are not. The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the initial amount of harmful chemical substances released by green companies was higher than the amount released by non-designated companies. However, green companies showed a sharper decrease in the path pattern of the released amount than non-designated companies over time. The higher initial amount of harmful chemical substances released by green companies can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companies that had released a large amount of harmful chemical substances strategically participated in the green company designation policy in order to avoid stricter future regulations. However, the path pattern of the released amount of green companies declining more sharply than that of non-designated companies over time indicates the possibility of the green company designation policy as a practically effective alternative in reducing the amount of harmful chemical substances released by companies.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 성인지예산의 결정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기초자치단체를 중심으로

        남궁윤영(Yun-young Namgung),임유미(Yu-mi Im),하연섭(Yeon-seob Ha)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5 여성연구 Vol.89 No.-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 성인지예산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우리나라 성인지예산제도는 2010회계연도부터 중앙부처를 대상으로 본격적으로 실시되어 왔다. 이후 2013회계연도부터는 지방정부로 확대됨으로써 대상사업과 예산액이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라 제도의 중요성도 커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인지예산제도에 대한 연구는 제도 도입의 당위성, 외국 사례 소개, 관련 제도와의 연계에 대한 논의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실증적 분석은 매우 미미한 수준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성인지예산 대상 사업수와 성인지예산액비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사회경제적 요인, 정치적 요인과 더불어, 성인지예산과 관련된 제도적 요인에 초점을 맞추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성인지예산 대상사업수, 성인지예산액비율 모두 사회경제적, 정치적, 제도적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성인지예산 대상사업수의 경우 성별영향분석평가사업수가 많을수록, 여성친화도시로 지정될수록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성인지예산액비율의 경우 여성친화도시로 지정되었을 경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제도적 요인이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성인지예산제도 역시 성별영향분석평가제도와 여성친화도시 등 성평등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는 제반제도와 결합되어 시너지를 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별도의 제도로 시행되고 있는 성 주류화 관련 제도들이 성인지예산제도와 전략적으로 연계되어 정책효과를 극대화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 성인지예산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에 관한 첫 실증연구로 확대되어 가고 있는 지방자치단체 성인지예산제도의 발전에 의미를 가진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various factors affecting local government's gender budgeting system. In Korea, Gender budgedting established at central government in 2010 fiscal year and local governments also adopted in 2013 fiscal year. Gender budgeting have sharply increased its scale and amount and paid attentions. But previous studies were dealing mostly with its necessity of implementation of gender budgeting, cases of foreign countries, and how to link gender budgeting with other institutions, yet practical factors of gender budgeting is rarely examined.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empirically factors that affect the number of programs and ratio of budget amount focusing not only on socio-economic and political aspects but also institutional factors particularly related to gender budgetings. The results show that socio-economic, political, institutional factors all have impact on the number of programs that were included in gender budget statement and amount of gender budgeting. Especially, the number of programs that were included in gender budget statement of region increases when it is designated as women-friendly city and gender impact assessments are produced more. Otherwise, ratio gender budget amount to whole budget increased when local government is designated as the Woman-friendly city. It proved institutional factor has positive effect on gender budgeting. It suggests that gender budgeting can create synergistic effects with multiple institutions and projects such as gender impact assessment or women friendly city specialized for improvemnet of gender equality. Therefore, it indicates that gender mainstreaming systems should be connected in a strategic way to maximize impact of policies.

      • KCI등재

        모자보호시설에 거주하는 이혼여성 한부모가족의 가족탄력성이 가족적응에 미치는 영향

        천혜정(Cheon Hye-jung),임유미(Im Yu-Mi) 한국가족학회 2007 가족과 문화 Vol.19 No.3

          본 연구에서는 모자보호시설에 입소한 이혼여성 한부모가족을 대상으로 가족탄력성이 가족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전국 40개의 모자보호시설 중 연구를 허락한 10개의 시설에 우편으로 설문지를 전달하였고 회수된 114부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인구학적 변인 및 결혼과 이혼 관련 변인에 따라 가족탄력성 수준에서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여성한부모의 교육수준이 높은 가족이 가족통제감, 가족응집성, 가족자원, 그리고 의사소통 수준이 높았으며, 월평균소득이 높은 가족이 가족통제감 수준이 높았다. 또한 종교가 있거나 이혼 후 6년-9년이 경과한 가족이 역할안정성 수준이 높았다. 또한 이혼 후 전남편과 연락을 아예 못하는 가족이 가족통제감, 가족강점, 역할안정성, 가족응집성, 의사소통 수준 등 거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그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탄력성 변인이 시설에 거주하는 이혼 여성 한부모가족의 가족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신념체계, 조직패턴, 의사소통이라는 가족탄력성 하위요인들은 가족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그 설명력이 74%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이혼여성 한부모가족의 가족적응을 위한 개입으로서 이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이나 문제에 대한 개입 뿐 아니라 한부모가족의 가족탄력성을 성장시킬 수 있는 개입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family resilience and family adaptation of institutionalized single mother families following divorce. Data were collected from 114 institutionalized single mothers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analysis included frequencies, means, t-test, ANOVA, crosstabs, and multiple regression models.<BR>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a) Variations in family resilience are explained according to education, income, religion, duration after divorce, and relationship with ex-spouse. (b) Family resilience predicts positive family adaptation for institutionalized single mother families. These indicate that improving their family resilience may be important intervention strategies for their successful adaptation.

      • KCI등재

        선천성 심질환으로 고식적 수술을 시행 받은 영아의 홈모니터링의 성과

        김상화(Kim, Sang Wha),엄주연(Uhm, Ju-Yeon),임유미(Im, Yu Mi),윤태진(Yun, Tae-Jin),박정준(Park, Jeong-Jun),박천수(Park, Chun Soo) 한국간호과학회 2014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44 No.2

        Purpose: Common conditions, such as dehydration or respiratory infection can aggravate hypoxia and are associated with interstage mortality in infants who have undergone palliative surgery for congenital heart diseases. This study was done to evaluate the efficacy of a home monitoring program (HMP) in decreasing infant mortality. Methods: Since its inception in May 2010, all infants who have undergone palliative surgery have been enrolled in HMP. This study was a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and infant outcomes during HMP were compared with those of previous comparison groups. Parents were trained to measure oxygen saturation, body weight and feeding volume and to contact the hospital through the hotline for emergency situations. Telephone counseling was conducted by clinical nurse specialists every week post discharge. Results: Forty-one infants were enrolled in HMP. Nine hundred telephone counseling sessions were conducted. Seventy-three infants required telephone triage with the most common conditions being gastrointestinal (50.7%) and respiratory symptoms (32.9%). With HMP intervention, interstage mortality decreased from 18.6% (8/43) to 9.8% (4/41) ( χ²=1.15, p=.283). Conclusion: Results indicate that active measures and treatments using the HMP decrease mortality rates, however further investigation is required to identify various factors that contribute to hemodynamic complications during the interstage period.

      • 여성의 생애주기별 안전강화를 위한 정책과제(Ⅱ)

        장미혜(Mihye Chang),전혜상(Haesang Jeon),정지연(Jiyoun Jeoung),동제연(Cheyon Tong),현(Hyun Im),노지연(Jiyeon Noh),임유미(Yumi Im),김상혁(Sanghyuk Kim)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17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17 No.-

        Due to the increase of crime in public places, the level of women safety in the Korean society has been questioned at the fundamental level. Therefore, the public demand is increasing for the need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women safety and to seek not temporary but long-term solutions. To meet such need, this study has been launched. It is a continuation of the study started in 2016 with emphasis on the family. In 2017, this study looked into the current status of women safety in public spaces and suggested measures for policy improvement. The research methodologies used are as follows: 1) literature review, 2) <Survey of Women Safety in Public Places> for quantitative research, 3) Focus Group Interviews for qualitative research, 4) project analysis by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5) hosting of an international forum. Public places refer to shared areas used by multiple people and include places such as playgrounds, schools parks, libraries, and museums. While accidents in public places can be a threat to anyone, women are more vulnerable to such accidents than their male counterparts because they are more vulnerable physically. Currently in Korea, regulations and policies pertinent to safety in public places are scattered here and there in different laws and departments. The majority of such regulations and policies are limited in that their focus is only on facility maintenance. This study first analyzed press material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safety awareness for public places. In particular, the study focused on contents related to safety in public restrooms. The scope of the material analyzed was set to the year 2016. Analysis results showed the majority of counter-measures to be short-term and limited in scope. The measures only address adult women; discussions for females in their childhood and elderly stage in life were lacking. In case of serious crimes such as murder, the government was found to put more focus on punishing the perpetrator rather than paying attention to the victim. Also, more emphasis was put on ex post facto measures rather than prevention.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of women safety in public places, a questionnaire survey was administered to 3,000 adult males and females over 19 years old. Specifically, 35 public places were categorized into seven (7) categories and listed. Then, the respondents were asked to answer the following for the places listed: use experience, risk level for safety accidents, experience of safety accidents, measures taken after safety accidents, and necessity of safety education. The questions were posed according to life cycle. Survey results came out as follows: First, females showed a higher percentage than males when asked if they considered public places to be dangerous. Second, when having experienced a safety accident in a public place, both males and females showed relatively passive levels of action to prevent recurrence. Third, regarding necessity of safety education, gender differences were significant in all life cycle stages except old age. Thus, the survey confirmed the need to identify the different needs for safety education according to life cycle and gender. In addition, when developing and providing safety education, there is need to consider accessibility and field applicability. To identify safety awareness and experience of safety accidents and education, a Focused Group Interview (FGI) was conducted with women in their thirties and forties. Answers from the interview revealed that public rest rooms, streets, and public transportation were areas considered to most threaten the safety of women, children/adolescents, and the elderly. Additionally, the following areas were noted to pose risks of safety accidents - for women: underground parking lots, for children: shopping and leisure facilities such as department stores and large size marts, and for the elderly: public bathhouses. Ⅰ.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가.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 2008년 이후 한국사회에서는 다양한 안전정책을 실시해 전반적인 여성의 안전수준은 향상되어왔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아왔다. 그러나 2016년 강남역살인사건이 발생한 뒤 공공장소에서의 여성안전의 수준을 반문하게 되었다. 많은 여성은 자신도 예외 없이 그리고 어느 공공장소에서든 혐오범죄의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사실에 충격을 받았다. 이 사건은 공공장소에서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정책이 별도로 수립되어야 하는 이유를 상징적으로 보여주었다. □ 사건 발생이후에 많은 대책들이 나왔으나 여전히 단시간의 홍보성 대책들이 중심을 이루었다. ‘공중화장실법 시행령’ 개정을 통하여 신축 건물의 남녀 화장실 분리설치 의무대상의 범위를 확대하기로 하는 내용이 이러한 대책에 포함되어 있다. □ 사건이 발생할 때마다 장소에 대한 시설기준을 개선하는 것은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다. 사후대책으로서의 안전정책은 미봉책 일 뿐 근본적인 해결책이 아니다. 그동안 일시적인 대책으로서가 아니라 보다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여성의 안전의 현황을 파악하고 실질적인 대책이 마련되어야 하다는 필요성은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이러한 배경 하에 2016년부터 가정과 생활공간(1차), 공공장소(2차), 직장(3차) 영역을 중심으로 한 연구는 시작되었고, 이번 2년차 연구에서는 공공장소에서의 여성 안전실태와 정책개선방안에 대해서 연구하고자 한다. □ 사후발생적인 대책이 아니라 사전예방이 중요하다는 사회적 공감을 기반으로 2017년 5월 30일부터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체계적인 안전교육을 실시하는 ?국민 안전교육 진흥 기본법?이 마련되었다. 다만 이법에서 제시하고 있는 다중이용시설에는 실생활에서 여성들이 경험할 수 있는 위험빈발장소가 상당수 누락되어 있고, 교육수행 주체도 시설관리자 중심으로 되어 있다. □ 공공장소에서의 여성안전현황에 대해서는 공식적으로 조사된 바가 없어 이번 연구에서 처음으로 <공공장소에서의 여성안전 실태조사>와 심층면접, 전문가대상 FGI, 지자체의 안전정책 사례연구 등 가능한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일상생활에서 여성이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공공장소의 유형을 제시하고 안전현황을 파악하였다. □ 마지막으로 앞선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공공장소별 안전에 관한 행정조직과 법적 제도적 개선방안에 대해서 살펴보고, 여성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정책적 개선방안에 대해서 모색하였다. 이번 연구는 젠더적 관점에서 여성안전정책을 수립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밑거름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나. 연구 목적 □ 이번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생애주기별로 공공장소에서 여성들이 빈번하게 경험할 수 있는 위험 요소를 분석한다. 위험요소 분석을 통해 생애주기에 따라 특정 공공장소의 위험정도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 둘째, 공공장소의 안전문제를 다른 최근의 언론 보도의 내용을 분석한다. 언론 분석은 본 연구에서 수행되는 <공공장소에서의 여성안전 실태조사> 및 사례분석, 정책적 제언을 함에 있어 사회적 배경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한 목적으로 한다. □ 셋째, <공공장소에서의 여성안전 실태조사>를 통해 여성들의 안전에 대한 인식과 안전교육의 요구도를 생애주기별로 파악한다. <공공장소에서의 여성안전 실태조사>를 통해 여성들이 인식하고 있는 공공장소에서의 위험 정도와 안전욕구를 파악할 수 있으며 위험에 대한 인식을 낮출 수 있는 안전정책을 제시할 것이다. □ 넷째, 공공장소에서의 안전교육을 주제로 한 정책과 교육현황을 파악한다. ‘시민안전파수꾼’ 제도를 대표사례로 분석하여 교육과정 전반에 나타나있는 성별요인과 사업 효과성을 파악하여 안전문제에 있어 여성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정책적 함의를 제시한다. □ 다섯째, 일반 여성의 안전경험에 대한 분석과 안전교육 수요에 대한 전문가조사를 위해 관련자를 대상으로 FIG(Focused Group Interview, 초점집단면접)를 진행한다. 이를 통해 안전교육과 관련 정책들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안전강화를 위한 개선방안을 제안한다. □ 여섯째, 여성의 생애주기별 안전사각지대 감소를 위한 안전정책을 제안하고 안전교육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현황, 실태조사, 콘텐츠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위험의 발생가능성을 감소할 수 있도록 여성안전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교육내용과 훈련의 방향성을 제공한다. □ 일곱째, 공공장소의 여성안전에 관한 현행 법령과 쟁점을 파악하여 법적 개선점을 제안하고 여성안전 정책강화를 위한 실효성 방안을 제시한다. 성인지적 관점에서 공공장소 안전교육 강화를 위한 현실적인 방안에 대해 제시한다.

      • 성별영향분석평가제도의 실효성 제고와협력체계 활성화 방안(Ⅲ)

        김경희(Kyung-Hee Kim),최유진(Yoo-Jin Choi),남궁윤영(Yun-Young Nam-Gung),임유미(Yu-Mi Im),장미현(Mi-Hyun Jang),강경민(Kyeong-Min Kang)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17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17 No.-

        In South Korea, the number of programmes which has undertaken Gender Impact Analysis and Assessment(GIAA) has been increasing and the areas in which GIAA has been implemented expanding, since GIAA was enacted in 2012. In the area of regional development, the outcome of policy improvement through GIAA has been particularly noticeable to the general population as well as women. This study is to identify what policy needs the general citizen have in the area of regional development with regard to gender issues, and to suggest the ways to enhance the cooperative system between policy actors of GIAA. As for the research methods, it includes the domestic and overseas literature analysis of GIAA about regional development, the content analysis of GIAA reports on regional development, interviews with experts and civil servants, and questionnaires of a thousand citizens. As a result of the questionnaire, policy needs for regional development have been identified as follows. Firstly, citizens expect to have economic activity infrastructure through city regeneration programmes and a better environment for crime prevention. Secondly, interests in safety are considerably high, and particularly, women are more sensitive to safety issues than men. Thirdly, as for the public facilities that citizens want to use, unless there are any problems, women have replied in following orders: culture(14.7%), life-long education(10.7%), and library(10.7%), whereas men library(13.6%), culture(13.0%), community health centre(10.1%). This suggests that it needs to improve facilities for better use. Lastly, more than half of respondents show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he problem-solving activities concerning the use or safety of the public facilities: 51.4% and 70.7% respectively. This study has identified the method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GIAA and regenerate the cooperative system as follows. Firstl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needs to revise the legislations concerning regional development in a way to enhance gender equality and the committee of regional development needs to increase the rate of women in order to encourage women to take part in decision-making process. Secondly, it needs to find out gender issues in broader areas by undertaking specific GIAA in mid- and long-term regional development plans based on laws. To do so, gender experts must participate in this process to find out gender issues and reflect the findings for policy improvements into legislations, improvement of guidelines and gender budget reports. Thirdly, there needs to develop guidelines about GIAA for regional development. The checklist to be used to select programmes for GIAA should be made to notify whether programmes for regional development has items to improve gender equal use and arrangement of local spaces. Lastly,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needs to make a suggestion of the systemic operation of gender governance in the 2018 GIAA Guideline. Each public body needs to form GIAA Committee or Division Committee and include the support of monitoring and also the employment of gender officer in the Guideline. In order to do so, it needs to strengthen the regulation to support cooperation between private and public partnership, which is stipulated in the GIAA Act.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우리나라가 성별영향분석평가를 본격적으로 시행한지 10년이 되었다. 성별영향분석평가는 성 주류화 정책을 위한 핵심 도구로 성인지 예산, 성인지 통계, 성인지 교육 등과 함께 공공정책의 성평등 실현을 목표로 운영되어 왔다. 그런데 이러한 성 주류화를 위한 관련 제도들이 긴밀하게 연계되어 운영되지 못했다는 비판이 제기되었고, 성평등을 위한 전략으로서의 성 주류화가 확산되기 위해서는 다양한 정책행위자들이 제도운영에 참여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되어 왔다. 성 주류화 제도화와 함께 ?성별영향분석평가법?이 제정된 2012년 이후에는 대상과제의 수가 양적으로 크게 확대되면서 다양한 정책분야에서 성별영향분석평가가 실행되었고 사회적 관심 또한 높아졌다. 특히 국민들의 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지역개발분야의 경우 성별영향분석평가 결과에 기초한 정책개선의 성과가 국민들에게 미치는 영향이 크고, 정책개선으로 인한 만족도가 여성 뿐 아니라 남성을 포함한 가족 모두에게 영향을 줄 수 있다. 지역개발분야에서 수행된 성별영향분석평가를 연도별로 살펴보면, 대상사업의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기관유형별로 살펴보면, 중앙정부의 과제 수는 감소하고 있는 반면에 기초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의 과제 수는 증가하고 있다. 지방정부가 수행하는 사업 중에는 중앙정부가 지방자치단체에 위임한 사업이 대부분이어서 지방정부가 수행한 성별영향분석평가 결과에 기초해서 도출된 정책개선안이 정책 환류로 연결되기 위해서는 정부기관 간의 협력이 필요하다. 지방자치단체가 성별영향분석평가에 기초해서 제시한 정책개선안 중에는 소관법률이나 시행령, 규정, 지침 등을 개정해야 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것은 중앙정부가 수행해야 할 역할이 될 것이다. 또한 정책개선안 중에서 여성의 참여를 높이기 위해서는 새로운 사업을 발굴하여 제시한 경우라면 별도의 예산편성이 필요하고 성인지 예산에 반영하기 위해 예산부서의 협조가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사업수행방식을 개선해야 한다면 어떠한 방향으로 개선하는 것이 지역 주민들에게 유익할 것인지 등에 관해 시민사회와 협력해서 개선안을 마련하고 그 결과를 모니터링하는 활동이 수반되어야 한다. 더 나아가 지역개발 분야에서 수행된 성별영향분석평가 정책개선 사례를 살펴보면, 정부는 법률과 시행령, 지침 등에 정책개선안을 반영하여 성별영향분석평가제도의 실효성을 높이고자 하는 노력을 하고 있다. 그런데 지방정부의 경우 성별영향분석평가 대상사업 중 국토교통부 등의 중앙정부가 소관하는 법률에 근거해서 수행하는 국고 보조사업이 대부분이어서 성별영향분석평가 결과 제시된 정책개선안을 환류로 연결시키기 어려운 상황이다. 일부 지역에서는 시민단체가 중심이 되고 지역주민들이 참여하도록 해서 모니터링단을 구성한 다음, 성별영향분석평가 보고서를 모니터링하거나 도시재생사업 등의 지역개발분야 정부사업에 대한 성별영향분석평가 모니터링을 통해 정책개선안을 제시하는 사례가 발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개발분야 성별영향분석평가서에서 제시된 성별 요구 등에 대한 내용분석을 토대로 젠더이슈를 파악하는 한편, 일반인들이 지역개발분야에서 어떠한 정책적 요구를 갖고 있는지 파악함으로써 성별영향분석평가제도의 실효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또한 일부 지방정부를 중심으로 지역개발분야에서의 모니터링 활동이 활발해지고 있는 상황변화에 주목하고 사례분석을 통해서 지역개발분야에서의 성별영향분석평가 정책행위 주체들 간의 협력체계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2. 연구내용 본 연구에서는 첫째, 2015년에 작성된 성별영향분석평가 보고서에 대한 내용분석을 통해서 지역개발분야의 다양한 정부사업에 대한 성별영향분석평가 결과 제시된 성별 요구와 정책개선안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둘째, 성별영향분석평가제도를 운영하면서 민관협력의 거버넌스 체계의 구축 활동이 활발한 지역 및 정책행위자들 중 여성의원의 참여가 활발한 지역인 두 지역에 대해서 젠더 거버넌스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사례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지역에 거주하는 여성과 남성이 지역사회 생활 여건에 대해 어떠한 의견을 갖고 있으며, 공공시설 이용 시 어떠한 요구를 갖고 있는지 등을 파악하기 위해 일반인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민관협력에 기초한 성별영향분석평가 모니터링 활동이 활발했던 전라남도 사례분석을 위해서 전남 여성플라자와 공동연구를 수행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의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개인·부모·친구 요인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이용 정도를 중심으로

        이예진(Yejin Lee),김경범(Kyong-Beom Kim),허민희(Min-Hee Heo),노진원(Jin-Won Noh),임유미(Yu-Mi Im)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4

        본 연구는 청소년의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개인·부모·친구 요인과 SNS 이용 정도를 중심으로 하여 탐색하고자 한다. 자아형성이 불안정한 청소년기의 성장기적 특성을 감안하여, 주요 주변인인 부모와 친구 관계를 중심으로 청소년 공격성 문제 개선을 위한 근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초1패널의 7차년도 데이터 중 총 1,437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t-test,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SNS를 자주 이용하는 학생이 적게 이용하는 학생보다 공격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 요인 중 학대가 심할수록, 과잉간섭이 심할수록 공격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감독은 높을수록 공격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친구 요인 중 소외를 높게 경험할수록 공격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공격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의 개선을 위하여 단순히 청소년의 SNS 사용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가장 영향력이 높은 주변인인 부모와 친구의 관계를 고려한 통합적인 프로그램의 마련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ffects of factors on aggression in adolescents, focusing on the individual, parent, friend factors and SNS usage. In particular,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s for easing aggression in adolescence by considering the emotional relationship of parents and friends. This study analyzed frequency, t-test, one-way batch distribution analysis(ANOVA), and multi-linear regression, using the data from the 7th year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As a result, adolescents who frequently use SNS are more aggressive than adolescents who use less. Among the parental factors, the more abuse and excessive interference were found to be more aggressive, and the higher the coach, the lower the aggressiveness. Furthermore, among the friend factors, it has been shown that the higher the alienation, the more aggressive adolescents are. In order to reduce aggression among adolescents, it is necessary to prepare an integrated program considering the emotional relationship of parents and friends, who are the most influential neighbors, rather than simply restricting the use of S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