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외 시험불안 연구의 메타분석

        임신일(Shin Il Im),박병기(Byung Gee Bak) 한국교육심리학회 2013 敎育心理硏究 Vol.27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최근까지 국내·외에서 다뤄온 시험불안과 관련 있는 변인들의 관계와 시험붙안 감소 프로그램들의 효과를 분석하고 종합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9개국에서 그동안 실시된 시험불 안 연구를 수집하였다. 시험불안과 관련된 변인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총 348편의 논문에서 3293 개의 상관 효과크기를 추출하였고, 시험불안 감소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총 115편의 논문에서 340개의 평균 효과크기를 추출하였다. 자료의 코딩 및 분석은 CMA 2를 활용하였다. 시험 불안 관련변인의 범주는 인지적 요인, 정의적 요인, 환경적 요인으로 분류 하였다. 분류된 변인들의 시험을안과의 직접적 상관 효과크기 뿐 아니라, 조절변수(하위 요인별, 성별, 학교 급별, 국내·외)별 로 시험불안과의 상관 효과크기 및 조절효과를 산출 비교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시험불안 감 소 프로그램은 지역(국내·외) 성별, 학교 급별(초, 중, 고, 대), 구성 특성별(참여인원, 처치기간,처치회기, 주당처치회기, 회기시간), 내용별(인지중심, 행동중심,인지-행동중심, 학습기술, 인지행동-학습기술, 마음: 명상 등, 기타접근, 응악치료, 놀이치료 통찰치료)로 평균 효과크기 및 조절효과를 산출 비교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최근까지 국내·외 시험불안 연구를 종합적으로 수집하여 시험불안과 여러 다른 변인들의 관계성을 다양하게 분석하고 시험불안으로 인해 어려움을 경험하는 학생들에게 가장 최선의 시험불안 감소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도록 도웅을 제공하는 학문과 실천의 통합적 접근이라는 점에 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synthesize the relations between rest anxiety and related variables which have been dealt with, up until recently. at a domestic and international level, as well as the effects of Test Anxiety Decreasing Programs,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collected research based on test anxiety which had been carded out in 19 countries. In order to analyze the relations berween test anxiety and related variables, 3,293 correlation effect sizes were sampled from a total of 348 theses. To analyze the effects of Test Anxiety Decreasing Programs, 340 mean effect sizes were sampled from a total of Il5 theses. For the coding and analysis of such data, this study utilized CMA 2. Categories of variables that are related to test anxiety were classified as cognitive factors, affective factors, and environmental factors. The direct correlation effect sizes of the classified factors and test anxiety, as well as correlation effect siz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test anxiety that depends on each control variables (sub-factors, gender, school level, domestic and international) have been analyzed and presented. The average effect size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Test Anxiety Decreasing Programs were sampled, compared and analyzed on several levels: region(domestic and international), gender, school level (elementary, middle, high, university), constituent of program (number of participants, treatment period, treatment sessions, treatment sessions per week, session time), and content-specific (cognitive centered, behavior centered. cognitive- behavior centered, learning skills, cognitive behavioral and learning skills, mind such as meditating, and other approaches, music, play therapy, insight therapy).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synthetically collects studies on test anxiety. locally and abroad, which allows for a diverse analysis of the relations between test anxiety and several other variables. It is also significant as it is an integrated approach of theories and practices that can help to provide the best Test Anxiety Decreasing Programs to students who have difficulties with rest anxieties.

      • KCI등재

        아동이 지각한 부모 양육행동과 창의적 인성에서 교사애착의 매개효과

        김은영 ( Kim Eun Young ),임신일 ( Im Shin Il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6 아동교육 Vol.25 No.3

        본 연구는 아동의 창의적 인성과 관련된 가정과 학교 변인에 대한 탐색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아동의 창의적 인성과 관련될 것으로 예측되는 부모의 양육행동, 교사애착 등을 변인으로 설정하고, 각 변인들의 구조적 관계와 매개효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라북도 J, G, I 지역에 소재한 초등학교 4, 5, 6학년 학생 438명이다. 검사도구는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행동, 교사애착, 창의적 인성 검사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양육행동은 교사애착과 창의적 인성 모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둘째, 교사애착은 부모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창의적 인성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아동의 창의적 인성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 교사 변인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교사애착의 교육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among parenting behavior, teacher attachment and creative persona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search first established relevant factors that are hypothesized to affect creative personality and then analyzed them to deriv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m and how they affect one another. The research was based on the sample of 438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Jeollabukdo. KEDI creative personality test, parenting behavior test and teacher attachment test were applied to 438 elementary students. The research result is as follows. First, it was concluded that a partial mediation model where teacher attachment shows mediation effect in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behavior and academic achievement proved to be appropriate. Second, parenting behavior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eacher attachment and creative personality. Based on the result, the paper discussed sugges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al psychology creative personality and further study.

      • KCI등재

        시험불안 관련변인의 메타분석

        박병기(Byung Gee Bak),임신일(Shin Il Im) 한국교육심리학회 2010 敎育心理硏究 Vol.24 No.4

        시험불안은 학업성취에 직·간접적 영향을 줄 뿐 아니라 동기, 정서, 성격, 사회성 등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시험불안 연구를 관련 변인과의 관계성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종합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분석대상 논문은 195편이었는데, 이들 논문에서 1,538개의 상관효과 크기를 산출하였다. 자료의 코딩과 분석은 CMA 2를 활용하였다. 시험불안 관련변인의 범주는 Zeidner (1998)의 분류체계를 참고하여 학업성취?지능(과목별 학업성취, 지능), 정서(불안, 우울, 부적 정신건강), 동기·신념(귀인, 자기개념, 자아탄력성, 자존감, 비합리적 신념, 성취목표, 학습동기, 자기조절, 자기효능감, 학업적 자기효능감), 부모(성취압력, 애착, 학습관여, 부모학력, 관심, 경제력, 양육태도), 사회성·성격(자기애, 완벽주의, 대처방안, 지지, 강박, 인정욕구, 부끄러움, 교사관계, 학교적응, 학교 생활태도, 기대, 학업스트레스, 일탈, 학습태도) 등 5개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다섯 영역에서 시험불안과 관련된 변인들의 관계성을 상관효과크기와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시험불안은 학업성취?지능영역의 관련 변인과는 대체로 낮은 수준의 관계를 맺고 있었다. 정서영역의 관련 변인과는 중간 수준 이상의 관계를 맺고 있었는데, 특질불안 및 우울과의 관계성이 주목할 만하였다. 동기·신념영역의 관련 변인 중에서 주목할 만한 것은 내적귀인 내적동기, 자기조절 등과의 낮은 관계, 학업적 대 일반적 자기효능감과의 상이한 관계 양상이었다. 부모영역의 관련 변인은 시험불안과 대체로 낮은 관계성을 보였으나, 부모양육태도의 종류에 따라 관계 양상이 대조되는 것은 흥미로웠다. 사회성·성격영역에서 가장 두드러진 것은 시험불안과 사회적지지의 매우 높은 관계성이었다. 14개 하위영역의 관련 변인과 시험불안의 관계성은 일률적이지 않았다. 이 연구의 의의와 결과에 대한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Test anxiety is believed to influence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directly as well as indirectly. Test anxiety also is believed to have a cl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nthesize the relationship between test anxiety and related variables. For this study, 1538 correlation effect size from 195 studies were analyzed by CMA(Comprehensive Meta Analysis V2) Program. Related variables were categorized into one of five subsets of academic achievement·intelligence, emotion, motivation·belief, parent, and sociality·personality. The relationship was analyzed by corelation effect size and moderators. Meta-analysis reveals following results. First, test anxiety has a weak (linear) relationship with academic achievement and intelligence. Second, test anxiety has a medium level of relationship with emotion. Third, against to the theoretical anticipation, test anxiety has a low level of relationship with internal attribution,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regulation. Fourth, test anxiety has a weak relationship with parent-related variables. Finally, among many sociality? personality relationships with test anxiety, social support has the highest on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학습자가 지각한 교사애착관계와 학업성취의 종단적 관계 : 창의적 성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권유선(Kwon, You Sun),임신일(Im, Shin Il)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22 창의력교육연구 Vol.22 No.1

        이 연구는 교사애착관계가 창의적 성격을 매개하여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발달적 관점에서 탐색하고자 종단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가설 검증을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2018 (KYCPS 2018)의 중학교 1차년도에서 3차년도 종단 패널자료를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학생의 교사애착관계와 창의적 성격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점차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창의적 성격의 변화율이 교사애착관계의 변화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초기치가 높을수록 변화율에 빠른 감소경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교사애착관계가 좋아질수록 창의적 성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애착관계가 좋아질수록 창의적 성격의 증가 정도가 가속되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또한, 교사애착관계가 좋아질수록 학업성취도 높아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교사역량 향상 방안을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a longitudinal study was conducted on the effect of teacher attachment relationship on academic achievement by mediating creative personality. The results of multivariate latent growth analysis on data of about 2,500 people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both the teacher attachment relationship and the creative personality gradually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the passage of time. Also, the change rate of creative personality was higher than that of teacher attachment relationship. Second, the higher the teacher attachment relationship, the higher the creative personality. Similarly, the better the teacher attachment relationship, the higher the academic achievement.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degree of increase in creative personality accelerated as the teacher attachment relationship improved. Also, the higher the teacher attachment relationship, the higher the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future teacher competency improvement plans were suggested.

      • KCI등재

        고등학생 수학불안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김명숙(Myoung Sook Kim),임신일(Shin Il Im),김세영(Sea Young Kim) 한국교육심리학회 2011 敎育心理硏究 Vol.2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에 대한 학습-평가 차원과 정동-인지 차원이 교차하는 2×2 연구모형에 기초하여 수학불안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각 하위요인별 문항을 제작하고 전라도와 경기도지역에 소재한 7개 일반계고등학교의 학생 510명을 대상으로 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문항 내적 일관성과 각 요인별 일차원성을 살펴본 후,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척도의 양호도를 측정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단계에서는 본 연구에서 제안된 연구모형을 논리적으로 성립 가능한 경쟁모형들과 비교하였으며, 다차원 척도법을 사용하여 제안된 요인구조를 공간적으로 시각화하였다. 또한, 척도의 준거타당도를 확인하기위해 수학불안과 관련된 실패에 대한 두려움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으며, 수학불안의 하위요인들이 수학성취와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하고 타당화한 2×2의 수학불안척도는 신뢰도와 타당도 면에서 양호하며, 이론적으로 가능한 대안적 모형들보다 선호되는 적합한 모형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최근수학성취는 학습정동 불안과는 약한 부적관계를, 평가정동 불안과는 약한 정적관계를 보였으며, 실패에 대한 두려움은 수학불안의 각 하위요인과 모두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연구의 결과가 함의하는 시사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점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mathematics anxiety scale for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2(learning vs. evaluation)×2(cognitive vs. affective) dimensions of mathematics anxiety. The sample consisted of 510 students in 7 high schools. A total of 28 items were developed and examined for the internal consistency, uni-dimensionality of each factor, and four-factor structure of the scale. Next, a serie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were conducted to confirm the 2×2 model, and to compare the proposed factor model with other alternative models. Finally, multidimensional scaling was used to visualize dissimilarities between factors on a 2-dimensional spac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2×2 model was appropriate to represent the mathematics anxiety structure of the high school students, and that the 2×2 model was preferred over the other alternative models. In order to examine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the proposed 2×2 mathematics anxiety scale was correlated with fear of failure.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hematics anxiety and prior achievement on mathematics was explored. Results showed that the affective-learning factor was negatively related to mathematics achievement while the affective-evaluation factor was positively related to math achievement. The correlations between all factors of mathematics anxiety and fear of failure were significan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developing a valid mathematics anxiety scale were discussed with some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 KCI등재
      • KCI우수등재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개념도 연구

        형희경(Hee Kyoung Hyoung),주연숙(Youn Sook Ju),임신일(Shin Il Im) 한국간호행정학회 2014 간호행정학회지 Vol.2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nceptual structure of stressors experienced by nursing students during clinical practice. Methods: Ten men and 10 women nursing college students were interviewed. The results were 208 ideas. By synthesizing and editing these ideas, the final statement was trimmed down to 39 questions. The next step was to have the participants classify these 39 final questions. They were asked to rate stress scores using a five-point scale. Through multidimensional scaling analysis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yielded dimensions and clusters. Results: Results of the study showed 2 dimensions which were classified as ‘interpersonal relationship-practice system’ and ‘identity-practice environment’. It also yielded 8 clusters which were classified as ‘role confusion’, ‘gender discrimination’, ‘attitudes of medical personnel and patients’, ‘comparison between fellow students’, ‘difference between theory and practice’, ‘disestablishing the role of practice guide’, ‘interference with training’, and ‘problems of the practice environment’. Further, stress factors and stress levels were differentiated depending on the gender of the student.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educators who are developing clinical practice programs and clinical practitioners should consider stressors during clinical practice and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to nursing students.

      • KCI등재
      • KCI등재

        다층모형을 적용한 주관적 안녕의 설명요인 탐색

        송정화(Jeong Hwa Song),박병기(Byung Gee Bak),임신일(Shin Il Im) 한국교육심리학회 2012 敎育心理硏究 Vol.26 No.1

        학생과 학급의 2수준 다층모형을 적용하여 주관적 안녕의 설명요인을 탐색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었다. 선행 연구와 예비 조사를 통해 학생의 심리적 특성, 가정환경, 학업성취를 학생 수준 변인으로 설정하였고, 교사 배경, 교사의 심리적 특성, 교사의 행복, 학급의 심리적 특성, 학급 풍토를 학급 수준 변인으로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45개 학급의 교사 45명과 학생 1,408명, 고등학교 43개 학급의 교사 43명과 학생 1,287명, 전체 88개 학급의 교사 88명과 학생 2,695명이었다. 연구결과 학생 수준에서는 심리적 특성, 가정환경, 학업성취가 주관적 안녕을 설명하는 유의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특성의 설명력이 가장 높았고, 가정환경, 학업성취의 순으로 설명력이 유의하였다. 학급 수준에서는 교사의 성별과 심리적 특성, 그리고 학급의 심리적 특성 몇 가지가 주관적 안녕을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교사 성별은 고등학생의 주관적 안녕의 설명요인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심리적 특성은 주관적 안녕에 유의한 설명력을 보였으나, 교사 행복은 그렇지 않았다. 학급의 심리적 특성중 학급 자아탄력성은 초등학생의 주관적 안녕을 설명하는 주요 변인으로 나타났고, 고등학생의 주관적 안녕에는 학급 목표지향성과 학급 자아탄력성이 유의한 설명력을 보여주었다. 학생 수준 변인들이 주관적 안녕에 미치는 효과가 학급 수준 변인들에 따라 달라지는지 상호작용도 확인하였다. 주관적 안녕의 설명요인 탐색에 근간하여 이론적, 실제적 논의를 진행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lanatory factors of subjective well-being by applying the multi-level modeling. This study adopted two hierarchical levels of student and class. The subjects were a total of 2,695 students and 88 teachers in 88 classes which were composed of 1,408 students in 45 elementary school classes and 1,287 students in 43 high school classes. Through preceding studies analysis and pilot survey, this study set up student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home environments, and academic achievements as student-level variables, and teacher backgrounds, teacher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eachers` subjective well-being, classe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lass climates as class-level variables. Among the student-level variable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home environments, and academic achievements were the significant factors of explaining subjective well-being. In the explanatory power,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the highest. Among the class-level variables, teachers` gender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lasse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the significant factors. Whereas teacher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showed significance, teachers` subjective well-being showed no significance. Among classe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class ego-resilience was the major factor. Diverse interactions were shown between the student-level variables and class-level variables.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in detail.

      • KCI등재

        아동ㆍ청소년대상의 사회ㆍ정서발달프로그램 연구의 메타분석

        이혜숙(Lee, Hye-Sook),최인숙(Choi, In-Suk),임신일(Im, Shin-Il)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1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69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11년 3월까지의 아동 및 청소년 대상의 사회정서발달 프로그램을 주제로 한 국내 석ㆍ박사 학위논문 99편을 대상으로 전체적인 동향을 살펴보고 메타분석을 실시한 것이다. 분석결과, 전체 아동ㆍ청소년 대상의 사회정서발달 증진 프로그램의 평균효과크기는 0.472로 중간정도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높은 평균효과크기를 나타낸 결과로 연구대상에서는 장애아동, 대상기관에서는 유치원과 어린이집, 가정유형에서는 공동생활가정, 연령 및 학년에서는 중ㆍ고등통합과 만 3∼5세 아동, 종속변수영역에 있어서는 부적정서조절의 감소와 친사회성, 프로그램에 참여한 남아가 효과가 높았다. 지역별로는 광역시, 처치변인별 평균효과크기에서는 주 4회 이상, 1~4주 기간, 1회 40∼50분 정도 실시하는 것과 프로그램 내용별 효과크기로 가장 높은 것은 미술, 체육, 치료프로그램 순으로 나타났다. The research shows the results of meta-analysis of social and emotional program for children and teenagers based on 99 master’s and doctor’s dissertations from 2000 to 2011 March. The average effectiveness level of static program in social-emotional development for children and teenagers was middle-level, 0.472. The research showed high-level average effectiveness in children with disabilities as target group,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 as target institution, cohabitation family as family type, the combined middle and high school as grade, 3~5 years old as age. Also, the average effectiveness was high in reduction of inappropriate emotional response, pro-social behavior and boys who were participated in program as dependent variable part. In addition, it was high in megalopolis by regional group, conducting more than 4 times, 1~4 week period, 40~50 minutes per 1 time as treatment variable average effectiveness level. The effectiveness level of contents was high in art, physical education and therapeutic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