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인 여성 최대골질량 형성 중요시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예보)

        이남호 ( Lee Nam Ho ),임승길 ( Im Seung Gil ),정윤석 ( Jeong Yun Seog ),송영득 ( Song Yeong Deug ),안광진 ( An Gwang Jin ),이현철 ( Lee Hyeon Cheol ),허갑범 ( Heo Gab Beom ),최미숙 ( Choe Mi Sug ),이종호 ( Lee Jong Ho ) 대한내과학회 1993 대한내과학회지 Vol.44 No.2

        연구배경 : 과거에는 골다공증 예방과 치료를 위해 폐경기 여성에 있어서의 칼슘섭취와 에스트로겐 투여등이 많이 연구 되었으나, 최근에는 최대 골질량 형성중요시기에 최대 골질량 형성을 증진시키는 것이 개체의 향후 골다공증 예방에 더욱 중요함이 알려지게 되었다. 현재까지 최대골질량 형성이 주로 이루어지는 사춘기연령에 있어서의 골밀도의 현황과 영양을 미치는 인자들에 관한 국내보고는 전혀 없었다. 방법 : 중학교 여학생 116명(premenarche군 32명, postmenarche군 84명)과 대학교 여학생 31명을 대상으로 한 bone stiffness의 측정과 월경력 조사, 영양분석, 일일활동량 조사, 신체측정등을 통하여 국내 청년기 여성에 있어서의 bone stiffness의 현황과 peak bone stiffness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 1) 한국 20세 여성의 peak bone stiffness는 서양 20세 여성의 peak bone stiffness 평균치의 94%에 불과하였다. 2) bone stiffness의 의미있는 증가는 초경 전후 2~3년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3) postmenarche군의 청년기 여성의 bone stiffness는 항상 높게 나타났다. 4) 최대 골질량(peak bone stiffness)형성의 영향인자는 폐경후 골조송증 유발 위험인자와 동일한 초경시기, 칼슘 섭취량, 활동량 등이었다. 5) 한국 청년기 여성의 최대 골질량 형성 중요시기에 있어서의 칼슘 섭취량은 백인 여성의 동일 연령에서의 칼슘 섭취 권장량(1200mg/day)에 훨씬 미달 되었다. 결론 : 여성의 골질량 특히 소주골(trabecular bone)의 골질량은 통념적으로 알고있는 30대 후반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하지는 않았으며, 초경후 2~3년 사이에 급진적으로 증가하였다. 향후 최대 골질량 형성과 유지를 위한 노력으로 최대 골질량 형성 중요시기에 영향을 주는 여러 인자들에 대한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 In several studies, the rate of bone loss over the years did not differ between fractured and non-fractured women, and the initial bone mass was the better predictor of postmenopausal fractures. Before this study, there were few reports about peak bone mass and the affecting factors of those of adolescent age in Korea. Methods : We analysed the bone stiffness by Achilles bone densitometry of Lunar cooperation, menstrual history, nutritional study, amount of daily activity, anthropometry in 116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32 in premenarche group, 84 in postmenarche group) and 31 female college students. Results : 1) peak bone stiffness of Korean women was relatively lower than that of white women (94.0% of white women). 2) The rapid increase of the bone stiffness appears to be essentially restricted to short period (2~3 years) of perimenarcheal age. 3) In adolescent females without menstruation, the bone stiffness was always lower than that of those with menstruation. 4) The list of factors affecting to peak bone mass was similar to the risk factors of postmenopausal osteoporosis : diet, menstrual status and physical activity. 5) Calcium intake in Korean women at critical age was less than the recommended daily allowance of calcium intake in white women at same age (1200mg/day). Conclusion : Female bone mass does not seen to continue to substantially accumulate until the fourth decade. To improve any program aimed at maximizing peak bone mass, further intensive study about many factors affecting peak bone mass will be required.

      • KCI등재후보

        한국 중년여성에서 내장지방 축적이 당질 대사에 미치는 영향

        허갑범 ( Heo Gab Beom ),안광진 ( An Gwang Jin ),이현철 ( Lee Hyeon Cheol ),임승길 ( Im Seung Gil ),이영해 ( Lee Yeong Hae ),이종호 ( Lee Jong Ho ),김명중 ( Kim Myeong Jung ),백인경 ( Baeg In Gyeong ),박유경 ( Park Yu Gyeong ), 대한내과학회 1993 대한내과학회지 Vol.44 No.5

        연구배경 : 한국인에서는 비만의 정도가 서구인에서 보다 아직은 낮을지라도 지방분포 측면으로 볼 때 중심성 비만을 보일지라도 컴퓨터 단층촬영상 내장형 비만일 경우 대사질환과 더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건강한 55예의 중년여성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한국중년여성에서 비만의 형태가 당질대상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방법 : 비만의 지표로 허리와 엉덩이 둘레비율, 체질량지수(BMI), 표준체중백분율(PIBW)과 컴퓨터 단층촬영을 통한 내장지방 면적, 피하지방 면적 등을 측정하였다. 혈압, 식품섭취량과 하루 필요열량을 조사하였으며 내당능 검사를 시행하여 포도당, 인슐린, C-petide, 유리지방산 농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중성지방 LDL, HDL, total cholesterol도 분석하였다. 결과 : 비만의 지표들 중 내장지방 면적이 혈압, 혈청지질과 당부하 검사치들과 가장 많은 상관성을 보여주었다. 내장지방 면적이 10000㎜² 이상인 20예의 내장형 비만군에서 7400㎜² 이하인 18예의 피하형 비만형 비만군과 비교하여 나이, 체중, PIBW, BMI, % body fat이 비슷한데도 불구하고 혈청 중성지방, 공복 및 당부하시기 유리지방산, 당, 인슐린, C-peptide의 농도들이 보여졌으며 필요열량보다 과다한 열량을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장형 비만인들이라도 당질대사의 이상을 보여주는 경우 당질대사가 정산인 경우와 비교하여 내장지방 면적은 비슷하면서 체중과 피하지방 면적의 감소, 당부하시 유리지방산과 당 면적의 증가와 인슐린과 C-peptide 면적의 감소를 보여주었으며 열량섭취와 필요열량의 비율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이상의 결과들은 내장형 비만인에서 인슐린 분비능의 경미한 감소는 심한 인슐린 저항으로 인해 당뇨병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1일 필요열량과 비교하여 과잉된 열량의 섭취가 내장형 비만의 부분적인 이유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Backgrounds: Although Koreans are generally leaner than people in America, they have a tendency to central adipose tissue distribution. Central obesity with visceral fat accumulation, measured by computed tomography, can cause metabolic complications. We determined the relation between obesity and glucose metabolism in 55 Korean middle-aged women. Methods: Anthropometric parameters and visceral and subcutaneous fat areas at the umbilical level were determined as indices of obesity. Nutrient intake, serum levles of lipids and response areas of glucose, C-peptide, insulin, and free fatty acid (FFA) during oral glucose tolerance test were determineds. Results: Visceral fat area correlated the most significantly with biochemical parameters among obese indices. The triglyceride level and the response area of FFA, glucose, insulin and C-peptide were all higher in the group of visceral-type obesity (n=20, visceral fat area>10000 mm²), than in the group of subcutaneous-type obesity (n=18, visceral fat area<7400 mm²), though percent ideal body weight was not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Thirty five percents in the group of visceral-type obesity showed impaired glucose tolerance (IGT) and non-insulin-dependent diabeyts mellitus (NIDDM). Body weight, subcutaneous fat area and the response areas of insulin and C-peptide were lower and the response areas of FFA and glucose were higher in visceral-type obese patients with IGT and NIDDM thatn in visceral-type obese subjects with normal glucose tolerance. Conclusions: Our results indicate that increased visceral fat area can be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NIDDM because of the severe insulin resistance, even when small amonunt of insulin secretion in decreased. Increased calorie intake and decrease physical activity could partly explain visceral fat accumulation in the intraabdominal cabity.

      • KCI등재후보

        비만인에서 체중 감소가 당질 및 지질 대사에 미치는 영향

        허갑범 ( Heo Gab Beom ),정윤석 ( Jeong Yun Seog ),박석원 ( Park Seog Won ),이현철 ( Lee Hyeon Cheol ),임승길 ( Im Seung Gil ),이영해 ( Lee Yeong Hae ),이종호 ( Lee Jong Ho ),백인경 ( Baeg In Gyeong ),박유경 ( Park Yu Gyeong ), 대한내과학회 1993 대한내과학회지 Vol.44 No.4

        연구배경 : 비만증 치료의 중요한 목적은 체중을 감소시키고 감소된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비만인에게 식이, 운동 및 행동요법을 포함하는 체중조절 프로그램을 시행하여, 체중감소가 당질 및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방법 : 건강한 중년의 과체중 및 비만인 여성 30예와 남성 9예가 6개월간의 체중조절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체중조절 프로그램을 시작하기 전과 시작한 후 6개월에 인체계측과 컴퓨터 단층촬영을 통한 내장지방, 피하지방 면적 등을 측정하였다. 내당능 검사를 시행하여 포도당, 인슐린, C-peptide, 유리지방산 농도를 분석하였으며 중성지방, LDL, HDI, total 콜레스테롤도 측정하였다. 결과 : 체중조절 프로그램에 참여 전보다 6개월 후에 여성 3.9 kg, 남성 4.1 kg의 체중 감소를 보여주었다. 경미한 체중감소는 혈청 LDL과 총 콜레스테롤을 여성과 남성 모두에서 23 내지 48% 감소시켰으며, HDL과 총 콜레스테롤 비율을 50 내지 130% 증가시켰다. 여성과 남성 모두 연구 시작시에 총 복부지방 면적은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여성의 경우 피하형 비만이었던 반면에 남성의 경우는 내장형 비만을 보였다. 체중조절 프로그램 참여 전에 여성과 비교하여 남성에서 혈청 중성지방, 유리지방산과 인슐린 면적들이 증가되어 있었다. 체중 감소시에 총 복부지방 면적이 여성과 남성 모두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 특히 내장지방 면적은 남성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남성의 경우 내장지방의 감소가 유리지방산을 감소시켰으며, 유리지방산의 감소는 중성지방을 49%, 인슐린 면적을 56% 감소시켜 주었다. 결론 : 이상의 결과는 비만인들에서 보여지는 비정상적인 혈청 지질과 지단백은 경미한 체중 감소시에 정상화되어서 심혈관질환의 유병율을 감소시킬 수 있으리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었다. 또한 6개월이라는 장기간에 거린 올바른 식품선택 방법과 운동법을 교육함으로써 비만인들에게 올바른 체중조절법을 습관화시켜 주어 감소된 체중을 유지하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Background: The purpose of obesity treatment is to attain optimal body weight and to maintain weight loss. We determined the effects of weight loss with a program including dietary education, exercise and behavioral modification of lifestyle on obese subjects. Methods: Middle-aged obese women (n=30) and men (n=9) participated in a 6-month weight-management program. Anthropometric parameters and visceral and subcutaneous fat areas at the umbilical level were determined before and after weight loss. Serum levels of lipids and response areas of glucose, C-peptide, insulin and free fatty acid(FFA) during oral glucose tolerance test were determined. Results: Body weight fell and average of 3.9 kg(6.3) in women and 4.1 kg (5.4%) in men. Modest weight loss showed a 23 to 48% decrease in the levels of serum LDL and total colesteorl and a 50 to 130% increase in the ratio of HDL to total cholesterol in all subjects. Although intraabdominal total fat area of females before weight loss was not different from males, females showed subcutaneous-type obesity and males visceral-type obesity. Compared with females, males before weight loss showed and increase in the levels of triglyceride, FFA and insulin. Although weight loss caused a decrease in intraabdominal total fat area in all subjects, a significant decrease in visceral fat area was only shown in men. Decreased visceral fat in males lowered FFA level and decreased FFA level lowered serum triglyceride level (49%) and response area of insulin (56%) in men.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modest weight reduction through a weight management program can be viable approach to help normalize plasma lipids and lipoproteins in obese individuals. Modest and gradual weight loss can also help obese individuals succeed in the difficult task of losing weight and maintaining this substantial weight loss.

      • KCI등재후보

        한국인 제2형 당뇨병 환자의 표준치료지침 개발

        정혜원 ( Jeong Hye Won ),김유미 ( Kim Yu Mi ),김대중 ( Kim Dae Jung ),남재현 ( Nam Jae Hyeon ),안철우 ( An Cheol U ),차봉수 ( Cha Bong Su ),송영득 ( Song Yeong Deug ),임승길 ( Im Seung Gil ),김경래 ( Kim Gyeong Lae ),이현철 ( Lee 대한내과학회 2003 대한내과학회지 Vol.64 No.6

        목적 : Staged Diabetes Management (SDM)는 당뇨병의 혈당조절과 합병증 관리에 있어서 임상연구자료에 근거를 둔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치료지침을 제공하기 위하여 시작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인 당뇨병의 임상적 특성을 고려한 새로운 치료지침을 만들고 그 지침의 유용성을 평가하기 위한 연구이다. 방법 : 제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인슐린 감수성검사(Insulin Sensitivity Test)를 시행하여 구한 인슐린 저항성의 지표인 Background : There are a few limitations in application of staged diabetes management (SDM) program to Korean type 2 diabetic patients because of their unique characteristics, such as non-obese but centrally obese anthropometry and variable relationships

      • KCI등재후보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환자의 체지방 분포와 인슐린 저항성과의 상관성

        허갑범 ( Heo Gab Beom ),김유리 ( Kim Yu Li ),안광진 ( An Gwang Jin ),정윤석 ( Jeong Yun Seog ),이은직 ( Lee Eun Jig ),임승길 ( Im Seung Gil ),김경래 ( Kim Gyeong Lae ),이현철 ( Lee Hyeon Cheol ),백인경 ( Baeg In Gyeong ),최미숙 ( 대한내과학회 1993 대한내과학회지 Vol.44 No.1

        연구배경 :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은 고혈압, 관상동맥질환, 그리고 고지혈증과 흔히 동반되는데, 이들 질환의 특징은 말초조직에서 인슐린 자극에 의한 포도당의 이용율이 저하되는 인슐린 저항성이 공통분모로서 이들 질환의 발병에 중용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구인과 비교할 때 비만증의 정도가 경하고 식사 습관상 지방의 섭취량이 적은 한국인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환자들에서 인슐린 저항성의 특징과 체지방 분포 양상과의 상관성을 살펴보았다. 방법 :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의 병력이 5년 미만이며 공복혈당이 150mg/dl 이하인 경중의 고혈당을 보이고 당뇨병의 합병증이 없는 환자로서 정상 체중군 6예와 과다 체중근 12예중 중심성 비만군 6예와 말초성 비만군 6예를 대상으로 식사 조사, 신체 계측, Futrex-5000에 의한 체지방량 측정, 복부와 대퇴 컴퓨터 단층 촬영, 경구 당부하 검사, 혈청 지질 측정, euglycemic hyperin-sulinemic glucose clamp study로 포도당 이용율을 측정하였다. 결과 : 1) 중심성 비만군과 말초성 비만군의 평균 체중은 차이가 없었고 waist/hip ratio와 체지방량은 중심성 비만군이 말초성 비만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2) 컴퓨터 단층 촬영으로 측정한 내장 지방 면적은 비만군이 말초성 비만군에 비해 유의하게 넓었고 피하 지방 면적은 양군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경구 당부하 검사상 혈당 반응에는 세 군간에 차이가 없었고 경구 당부하후 120분의 혈장 C-peptide와 인슐린 농도는 중심성 비만군에서 말초성 비만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4) 포도당 이용율은 중심성 비만군과 말초성 비만군이 정상 체중군에 비해 유의헥 낮았으며 중심성 비만군이 말초성 비만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5) 포도당 이용율과 신체 계측치와의 상관성을 보면 전체 환자에서는 waist/hip ratio가 가장 높은 음의 상관 관계를 보였고, 과다 체중군에서는 waist/thigh ratio가 가장 높은 음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 6) 중심성 비만증이 심할수록 고인슐린혈중과 높은 혈중 유리지방산 농도를 보이고 이들에서 포도당 이용율이 낮아 인슐린 저항성은 증가하였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 한국인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환자의 인슐린 저항성을 결정하는데는 신장에 대한 체중이나 체지방량 자체보다는 체지방의 분포 양상이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히 과다 체중환자에서는 적절한 식사와 운동에 의하여 신체의 체형을 변화시키는 것이 당질 및 지질 대사 장애를 개선함에 매우 중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Background : The role of insulin resistance is known to be very important in the pathogenesis and clinical courses of human diseases such as diabetes mellitus, hypertension, atherosclerotic coronary vascular disease, and dyslipoproteinemia. Methods :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insulin resistance and the pattern of body fat distribution in Korean patients with non-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 (NIDDM), dietary survey, anthropometry, CT scan, measurement of body fat by body composition analyzer, oral glucose tolerance test and measurement of glucose uptake rate by euglycemic hyperinsulinemic glucose clamp technique were performed in 6 normal weight patients and 12 overweight-obese NIDDM patients. Six of 12 overweight-obese patients are centrally obese with waist to hip circumference ratio : WHR?1 and 6 cases are peripherally obese with WHR<1. Results : 1)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mean body weigh of centrally obese patients and peripherally obese patients but WHR and body fat content of centrally obese pati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peripherally obese patients. 2) In the centrally obese patients visceral fat area measured by CT scan was significantly wider than in the peripherally obese patients but subcutaneous fat area was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3) Plasma glucose levels on oral glucose tolerance tests were not different among the three groups but plasma C-peptide and insulin levels at 2 hour after glucose load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entrally obese patients than in peripherally obese patients. 4) Glucose uptake rate (M/I ratio) of centrally obese patient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peripherally obese patients. 5) The WHR showed the highest negative correlation with M/I ratio in the all patients and waist thigh circumference ratio (WTR) showed the highest negative correlation with M/I ratio in overweight-obese patients. 6) Insulin area and fasting level of free fatty acid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WHR an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M/I ratio. Conclusion :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pattern of body fat distribution rather than the relative body weight for height or body fat content has a greater role in determining the degree of insulin resistance in Korean patients with NIDDM. And further a change of the body configuration through adequate diet and exercise is highly recommended for overweight-obese NIDDM patients.

      • KCI등재후보

        쿠싱병에서의 하추체 정맥동 혈액 채취의 진단적 가치

        유내춘 ( Yu Nae Chun ),이현철 ( Lee Hyeon Cheol ),양동규 ( Yang Dong Gyu ),정춘희 ( Jeong Chun Hui ),안광진 ( An Gwang Jin ),이은직 ( Lee Eun Jig ),임승길 ( Im Seung Gil ),허갑범 ( Heo Gab Beom ),정상섭 ( Jeong Sang Seob ),정태섭 대한내과학회 1992 대한내과학회지 Vol.42 No.3

        양측성 부신과증식 및 부신피질 기능항진증의 임상증상을 수반하는 ACTH 분비성 뇌하수체 선종에의한 쿠싱병온 대분분의 경우 선종의 크기가 작아 종래의 단순두개 X-선 촬영이나 근래에 도입된 고해상 전산화 뇌단층 촬영(computed tomogram, CT) 및 자기공명영상(nuclear magnetic resonance image, MRI)검사로도 약 30∼50%에서는 이상소견을 발견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최근 혈관도자술을 통하여 하추체 정맥동(inferior petrosal sinus) 혈액을 체취후 호르몬 검사를 시행하여 뇌사수체 선종을 진단하는 방법이 도입되었는데, 방사선학적 검사로 발견하기 어려운 뇌하수체 미세선종의 진단에 도움을 주고 있다. 이에 저자는 1988년 6월부터 1990년 6월까지 연세의대 부속 세브란스 병원에서 임상적 증상 및 내분비학적 소견상 쿠싱병을 보였으나, 방사선학적 검사상 뇌하수체 선종을 뚜렷히 진달할수 없었던 7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혈관도자술 검사로 채취한 양측 하추체 정맥동혈액의 호르몬 검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대상 환자는 남자 3예, 여자4예 이었으며, 연령은 18세에서 46세로 평균연령은 33세이었다. 2) 기저혈청 cortisol 치는 7예중 5예에서 증가되었으며, 혈청 부신피질 자극호르몬(adrenocorticotropin, ACTH)치는 3예서만 증가된 소견을 보여 주었고, 4예는 정상이었다. 3) 저용량 덱사메타존 억제 검사상 전예에서 억제소견을 보이지 않았으나, 고용량 덱사메타존 억제 검사에서는 7예중 6예에서 억제소견을 보였다. 4) 전산화 뇌단층촬영상 종양의 위치를 6예에서 확인 할 수 없었으며, 핵자기 공명영상 검사를 시행한 5예중 3예에서 종양의 위치를 의심할 수 있었다. 5) 종양이 존재하는 편측 하추체 정맥동으로부터 추출한 혈청 ACTH 치는 7예중 4예에서 1.4배 이상 의의 있게 증가 되었으며, 농도차이가 나지 않은 3예중 2예에서 부신피질 자극 호르몬 방출호르몬(corticotropin releasing hormone, CRH)자극 검사를 시행하여 이중 1예에서 종약측 하추체 정맥동내 ACTH 치가 의의있게 소견을 보여 전체 환자중 5예에서, 하추체간 ACTH 농도차에 의한 종양의 편측화가 가능하였고, 수술 소견상 같은 위치에 종양이 확인되었다. 6) 종양의 편측화가 불가능 하였던 2예는 수술소견상, 뇌하수체 중앙 부위에 종양이 위치함이 확인되었다. 7) 하추체 정맥동간 prolactin과 성장호르몬(growth hormone, GH)치는 종양측 정맥동의 농도가 증가된 경우가 중앙부위 종양 2예를 제외한 5예중 4예와 3예에서 각각 의의있게 증가하였다. 8) 수술후 생화학적 검사 및 호르몬 검사를 시행한 6예중 5예는 완전관해소견을 보여 주었으며, 1예에서 외래 추적 검사상 재발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쿠싱병에서 고해상 전산화 뇌단층촬영 및 자기 공명영상 검사상 종양의 존재여부가 불분명할 때, 혈관도자술을 통한 하추체 정맥동 혈액채취후 호르몬 검사는 수술전 종양의 위치를 확인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Pituitary adenoma, Cushing`s disease is characterized by typical clinical symptoms like bilateral adrenal hyperplasia and adrenal cortex hyperfunctioning and is usually small in size, making it very difficult to detect by conventional plain skull X-ray and recently developed high resolution brain computed tomogram (CT) and magnetic resonance image (MRI) are reported to detect only 30% to 50% of all cases. Currently, detection of hormone levels through inferior petrosal sinus blood sampling is available, facilitating the diagnosis of pituitary microadenoma. This clinical study was designed to detect the patients with Cushing`s disease who were hospitalized in Yonsei University Severance hospital from 1988 to 1990. And all of them are highly suggestive of Cushing`s diseas by clinical and endocrinological findings, but can not be ascertained by radiological test. In a total 7 patients were engaged, and by using bilateral inferior petrosal sinus sampling and hormone assay,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Low dose dexamethasone suppression test did not show suppression in all patients performed the test but high dose dexamethasone suppression test showed suppression in six patients out of seven (85.7%). 2) Basal plasma ACTH level showed normal in four out of seven patients (57.1%). 3) Pituitary CT scan sowed normal or equivocal findings in six patients except one and MRI showed low density in two cases among five. 4) The plasma ACTH levels of inferior petrosal sinus on the ipsilateral side to the tumor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four cases out of seven (57.1%) compared to those of contralateral side but remaining one case showed significant ACTH increase on CRF stimulation test in tumor side and remaining two cases were found to be a midline tumor after surgery. 5) The prolactin and growth hormone levels of inferior petrosal sinus on the ipsilatral side to the tumor were increased in five cases (71.4%) and in three (50%) of six cases respectively compared to those of contralateral side. 6) After surgery, five patient`s biochemical findings showed complete remission but one patient was found to be recurred by OPD follow up. It was concluded that the hormone assay by inferior petrosal sinus sampling could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about diagnosis and tumor lateralization in Cushing`s disease which was biochemically and radiologically inconclus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