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녹색물류를 위한 탄소저감정책 평가항목 우선순위에 관한 연구

        임미순(Mei-Shun Lin),박종흠(Jong-Hum Park),안승범(Seung-Bum Ahn) 한국항만경제학회 2009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25 No.4

        녹색물류는 21세기 지구촌시대의 번영을 위해 피할 수 없는 과제로서 역물류의 활성화, 화석에너지 사용 절감을 통한 이산화탄소 배출 감소, 공동화 등을 통한 시설이용 효율화를 들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녹색물류에 따른 탄소저감 관련 정책을 수립하여 시행해 오고 있는 일본, 미국, 유럽 등의 정책 내용과 선진 사례를 광범위하게 고찰함으로써 우리나라의 친환경 물류정책을 수립, 평가하는데 있어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내 외 항만 및 물류센터에서의 탄소저감사업의 주요 내용과 동향에 대해 고찰하고 그에 따른 예비평가항목 및 예비평가지표를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설문결과에 근거하여 구성항목들의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수송수단 이용에 대한 제한 및 전환과 대체연료의 사용에 대한 평가지표의 가중치에서, 대체연료의 사용의 중요도가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시설ㆍ장비의 개선, 탄소배출량의 제한/감축, 물류체계의 개선, 대기시간 단축 평가지표의 상호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물류체계의 개선의 가중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저감시스템 구축, 오염원 배출 저감, 친환경소재의 이용 평가지표에서는 저감시스템 구축항목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탄소저감정책 관련 각 예비평가항목 및 예비평가지표들에 대한 상호중요도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우리나라에서 녹색물류 관련 정책입안자나 관련 기업담당자에게 탄소저감 사업추진에 있어 핵심이 되는 항목을 선정하는데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줄 것이다. Green logistics is regarded as an inevitable global trend in the 21st century. It can be accomplished through more broad and active reverse logistics globally, resulting in use of less fossil fuels, finally reducing carbon dioxide and other pollutants. Many countries such as U.S., Japan, EU nations have already set up policies related to carbon reduction, so-called 'green policies.' This paper aims to identify evaluation criteria for logistics policies and relative importance among those criteria, especially in the field of ports and in-land hub terminals. We examined projects related to carbon reduction from domestic and foreign ports and logistics centers and found evaluation factors and assessment indicators. With pre-evaluative items and pre-assessment indicators, we have done a survey and selected evaluation factors and assessment indicators for ports and inland hub terminals in Korea. By analyzing the mutual importance of each pre-evaluative items and pre-assessment indicators related to carbon reduction policies, this research provides guidelines on selecting the key items for the propulsion of carbon reduction projects. This study shows the importance of preliminary evaluation items and indexes with AHP in evaluating carbon reduction policies and the result shows the restrictions and change in transportation and use of alternative fuels. Lastly, it provides a guideline to policy-makers and firm managers in the field of green logistics.

      • KCI등재

        한,중 유사 항만군 간 비교분석

        안승범 ( Seung Bum Ahn ),임미순 ( Mei Shun Lin ) 한국로지스틱스학회 2012 로지스틱스연구 Vol.20 No.4

        중국의 서부대개발 추진에 따라 장강유역의 하천항만에 대한 중요도가 높아지고 국내 항만과의 신규노선 개설이 점차 이루어지고 있다. 신규노선 개설과 교역은 항만간의 규모, 교역패턴, 성장률 등을 고려해야 하는 바, 본 연구에서는 중국 장강유역 여러 항만의 성장과정과 패턴 변화를 보고 노선개설의 주요 대상인 국내 서해안 항만과 장강유역 항만을 대상으로 유사 항만별로 분류하였다. 먼저, 분석대상 항만을 한국의 광양항, 인천항, 평택ㆍ당진항, 울산항, 군산항, 목포항, 그리고 중국 장강유역의 난징항(南京港), 충칭항(重慶港)을 비롯한 17개 항만으로 정하였다. 다음으로 경쟁력 평가요인 중 사용빈도가 비교적 큰 항만 물동량, 항만시설과 관련되는 요인과 항만효율성 지표(물동량/처리능력, 물동량/100m당 부두길이)를 이용하여 세부 항만군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다차원 척도 분석법을 이용하여 평가자료가 실제 분석자료를 얼마나 잘 표현해 주는 가를 나타내는 기준치인 스트레스값을 제시해 줌으로써 분석의 결과에 대한 적합도를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대상 국내 컨테이너 항만은 시설투자에 비해 보다 안정적인 모습으로 발전하고 있으나 장강유역의 항만은 급속한 성장에 비해 전반적으로 효율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classify ports between west part of Korea and north-east part of China, especially concerning the changes of the ports in Changjiang river area.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on classification, it also proposes policies and plans on future direction of container ports in Korea by comparing competitiveness between ports in Korea and counter-ports of China in trading. First, 17 ports were analyzed including Gwangyang port, Incheon port, Pyungtaek and Dangjin ports, Ulsan port, Gunsan port and Mokpo port in Korea and Nanjing port and Chongqing port in China. Second, several factors are selected to classify port groups; quantity of goods transported of relatively higher frequency of use, facilities in ports, port efficiency index (quantity of goods transported/process capacity and quantity of goods transported/length of wharf per 100m). Third, we used multidimensional scaling (MDS) as an analysis method, It shows the validity of the results by providing stress values, which shows how the estimated data can reflect the real data. Fro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 conclude that the container ports in west Korea shows weak efficiency and competitiveness in general, compared to the rapidly developing ports in Changjiang river area although the Korean ports are still developing stably.

      • KCI등재

        글로벌 물류환경 변화에 따른 군산항 경쟁력 제고에 관한 연구

        이기배 ( Ki Bae Lee ),임미순 ( Mei Shun Lin ),진형인 ( Hyung In Chin ) 한국로지스틱스학회 2011 로지스틱스연구 Vol.19 No.2

        글로벌 경제의 시장화가 가속되면서 국제물류 환경에도 급격한 변화가 이루어 질것으로 예상 된다. 항만들 간의 물류중심권 및 거점화에 대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현재, 본 연구는 중국 과 가까운 서해중부권 항만인 군산항을 대상으로 급변하는 해운항만 환경의 변화 속에서 군산항 의 경쟁력 강화요인을 분석하고 항만개발을 통한 전라북도의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는 데 연 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에 본 논문은 기존 연구에서 제시된 항만의 경쟁력 제고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고, 군산항을 이용하는 화주, 선사, 항만당국관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군산항의 항만경쟁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도출하였으며 궁극적으로 군산항의 향후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With the ever-increasing market of global economy,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rapid changes in the climate of international logistics, and the competition will become fierce among ports over the logistics centerosphere and hub. This study selected Kunsan Port, a western middle port, close to China and was aimed to analyze the factors of strengthening its competitiveness under the rapid changes in the shipping and port environments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shippers, ship companies and port authorities in relation to the port,and how to develop this port to activate local economy of Jeollabuk-do, and finally suggest the problems of Kunsan Port and its future development directions.

      • KCI등재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컨테이너 정기선 항로 변화 분석

        박기현(Park, Ki-Hyun),임미순(Lin, Mei-Shun),안승범(Ahn, Seung-Bum) 한국항만경제학회 2016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32 No.1

        현재 인천항은 국내 컨테이너 처리물동량 3위 항만으로 2013년~2014년 컨테이너 처리 물동량 200만 TEU를 달성하였으며 국내 컨테이너 처리 물동량 2위인 광양항과의 물동량 차이를 줄이며 국내 2위 컨테이너 항만으로 도약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지속적인 컨테이너 물동량 증가에 대비하여 2015년 6월 인천 송도에 인천 신항을 개장하며 국내 및 세계 주요 컨테이너항만으로 발전하기 위한 발판을 마련하였다. 이처럼 인천항의 컨테이너 항만으로서의 역할이 커지고 있어 인천항을 기항하고 있는 컨테이너 정기선 항로(항만 네트워크)의 역할과 향후 방향성 설정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 본 연구는 인천항을 기항하는 컨테이너 정기선 항로를 중심으로 하는 시계열 자료(2008년~2015년)를 분석하여 인천항 컨테이너 정기선 항로의 변화에 대해 확인 하였으며 이를 통해 남중국/동남아시아 항로의 증가세가 인천항 컨테이너 정기선 항로의 증가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는 점과 2008년도에 비해 인천항 컨테이너 정기선 항로의 다변화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최근 해운 항만 분야에 도입되고 있는 사회연결망분석(Social Network Analysis)을 통해 인천항 컨테이너 정기선 항로상의 중앙성(Centrality) 분석을 시행하였다. 인천항 컨테이너 정기선 항로상에 연결정도 중앙성(degree centrality), 인접 중앙성(closeness centrality), 사이 중앙성(betweenness centrality)이 높은 항만 및 그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국내에는 부산항이 국외에는 홍콩항이 높은 중심성(Centrality)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인천항의 네트워크상 허브 항만은 세계 컨테이너 물동량 순위(14년 기준) 1위, 2위를 차지하는 상해, 싱가포르가 아님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중국 동부 항만의 중심성이 상대적으로 낮은점에서 현재까지 중국 동부 항만이 인천항의 네트워크상 허브 역할을 하지 않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Incheon port attained two million TEU of container throughput between 2013 and 2014 as a third port in domestic container throughput. It opened a new port in Song-do, Incheon in June 2015 to prepare for the continuing increase in container throughput.Therefore, it has provided the platform for being the major container port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As the role of the new port increases, the role and direction of the Incheon port liner service network attracts attention. This study analyzes the centrality of the Incheon port liner service network by using SNA (Social Network Analysis), which was introduced in the maritime economics area recently, focusing on the Incheon port liner service network. We recognize the degree centrality, closeness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of each port and its effect on the Incheon port liner service network. The study showed that for Incheon port, the centrality of the Busan port in Korea, and the Hong Kong port, is high outside the country. This helps us determine that the hub of the Incheon port is neither Shanghai nor Singapore, which ranks first and second, respectively, on container throughput. It is also helps us to know that eastern China"s ports have not played a role of the hub of the Incheon port until now because of the relatively low centrality of eastern China"s por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