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메주 제조를 위한 원료 대두의 최적 침지 조건

        임무혁(Moo-Hyeog Im),최종동(Jong-Dong Choi),정현채(Hyun-Chae Chung),최청(Cheong Choi),최광수(Kwang-Soo Choi)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7 No.4

        메주 제조용 원료 대두의 최적 수화조건을 조사한 다음 침지액에 유출된 유리당과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을 측정하여 영양성분의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조건을 조사하였다. 대두를 5, 10, 15, 20, 25, 30, 40 및 50℃에서 각각 수침하였을 때 최적 수화시간은 각각 17, 15, 11, 9, 7, 5, 4 및 3시간 이었고, 이들 수침조건 중 20℃에서 9시간 수침하였을 때 침출된 총 유리당 함량은 103.6㎎%, 총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은 25.3㎎%로 다른 조건에서 보다 영양 성분의 손실을 최소로 할 수 있었다. In order to establish scientific foundations for the production of meju, optimum soaking conditions of raw soybean were investigated. 100% hydration of raw soybean by soaking conditions was observed in 17 hrs at 5℃, 15 hrs at 10℃, 11 hrs at 15℃, 9 hrs at 20℃, 7 hrs 25℃ 5 hrs 30℃, 4 hrs at 40℃ and 3 hrs at 50℃. Exudation amounts of total free amino acids and free sugars were the least when soybean was soaked for 20℃ for 9 hours.

      • 수입식품 안전관리를 위한 농약 검사항목조사

        임무혁 ( Moo-hyeog Im ) 한국환경농학회 2017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7 No.-

        농산물중 잔류되는 농약은 각 국가별로 사용방법, 용도, 목적, 기후에 따라서 상이하므로, 수입식품 안전관리를 위하여 제외국의 잔류농약 관련 기준, 모니터링 등의 자료 DB 구축이 절실하다. 또한 농약은 각 국가 마다 사용등록, 취소가 연중 이루어지므로 이에 대하여 각 국가별 농약기준 및 모니터링 자료를 연중 상시적으로 DB를 업데이트하여 수입식품 검사에 적용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2개연도 연구과제로 수입 농산물별 점유율 조사, 세계 각국 잔류농약 기준, 모니터링 자료 DB 구축, 농약 특징, CODEX 기준 설정 잔류자료 DB 구축하고, 분기별로 식약처에서 수입되는 식품중 잔류농약 검사시 필요한 단성분 농약 검사항목에 대한 정보를 조사, 분석하여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1차연도에는 기초 자료 구축하고 2차연도는 업데이트 및 고도화로 구성이 되어 있다. 2017년 6월까지 연구 수행 내용은 다음과 같다. 국내로 수입되는 농산물별 주요 수출국과 점유율 조사는 완료되었다. 세계 각국 모니터링 자료는 식품 명칭을 환글로 변환, 농약명칭 통일화, 잔류농약 검출량 정리 등을 수행하였으며, 미국(2010년-2014년)은 13,000건 자료에 대하여 50% 완료하였으며, 유럽(2011년-2014년) 4,500건에 대하여 60% 완료, 일본(2007-2011년) 10,000건에 대 하여 60% 완료하였다. 국내 유통식품 잔류농약 모니터링 자료(2012년-2016년)는 50% 완료되었다. Codex 미국, 유럽, 일본, 대만, 중국 등의 농약잔류허용기준 자료의 수집 및 분석은 완료되었으며, 분기별 단성분 검사항목 선정시 각국 기준 비교 자료로 활용하였다. 수입식품중단성분 검사항목 선정 부분은 2분기에 12종의 농약을 선정, 3분기는 5종의 농약을 선정하여 대상 국가과 농산물에 대한 목록을 식약처 관련 부서에 제공하였다.

      • KCI등재
      • SCOPUSKCI등재

        홍삼 가공중 azoxystrobin, fenhexamid 및 cyprodinil 농약의 감소율

        임무혁(Moo Hyeog Im),권광일(Kwang Il Kwon),박건상(Kun Sang Park),이경진(Kyung Jin Lee),장문익(Moon Ik Chang),윤원갑(Won Kap Yun),최우종(Woo Jong Choi),유광수(Kwang Soo Yoo),홍무기(Moo Ki Hong) 한국식품과학회 2007 한국식품과학회지 Vol.39 No.5

        본 연구는 홍삼 및 농축액의 합리적인 농약잔류허용기준 개정을 위한 과학적인 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다. 인삼 재배 시에 사용 등록된 농약 3종(azoxystrobin, fenhexamid, cyprodinil)을 인삼포에 직접 살포하여 수확한 수삼을 홍삼과 농축액으로 직접 제조하였다. 수확한 수삼에 azoxystrobin 0.12 ppm, fenhexamid 0.19 ppm, cyprodinil 1.78 ppm이 잔류하였으며 농약이 잔류된 수삼을 원료로 홍삼 및 농축액으로 가공하여 각 제품의 농약 잔류량을 조사한 결과 fenhexamid의 경우 홍삼에 0.54 ppm, 홍삼농축액에서 1.93 ppm이 잔류하였다. Azoxystrobin은 홍삼에서 0.24 ppm, 홍삼농축액에서 0.81 ppm이 잔류하여 가공단계를 거치면서 증가하였다. 그러나 cyprodinil의 경우 1.78 ppm이 잔류된 수삼이 홍삼으로 가공되면서 1.49 ppm으로 감소하였으나 홍삼농축액에서는 3.66 ppm으로 증가하였다. 농약이 잔류된 수삼을 이용하여 홍삼과 농축액 제조시 azoxystrobin, fenhexamid, cyprodinil의 감소계수(dry base)는 홍삼에서 0.66, 0.94, 0.28, 홍삼농축액에서 3.25, 4.94, 1.01이였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cquire scientific data for establishing the maximum residue limits (MRLs) of pesticides in Korean red ginseng and its extract. Pesticides (azoxystrobin, fenhexamid, cyprodinil) were applied to a cultivated field of ginseng, and the fresh ginseng was harvested and processed to make Korean red ginseng and its extract. The reduction rates of the residue pesticides were calculated by determining the pesticide contents in each stage of ginseng processing. The residue levels in fresh ginseng were 0.12 ppm for azoxystrobin, 0.19 ppm for fenhexamid, and 1.78 ppm for cyprodinil. The residue levels in Korean red ginseng were 0.24, 0.54, and 1.49 ppm, and in the extract 0.81, 1.93, and 3.66 ppm for azoxystrobin, fenhexamid, and cyprodinil, respectively. The steaming and processing of fresh ginseng increased azoxystrobin and fenhexamid residues, but cyprodinil was reduced. The reduction rates (dry basis) of azoxystrobin, fenhexamid, and cyprodinil were 0.66, 0.94, and 0.28 for Korean red ginseng, and 3.25, 4.94, and 1.01 for the extract, respectively.

      • SCIEKCI등재

        볶은 대두로부터 착유한 대두유의 산화 안정성 및 향기 기호도

        임무혁(Moo Hyeog Im),최종동(Jong Dong Choi),최광수(Kwang Soo Choi) 한국응용생명화학회 1995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Appl Biol Chem) Vol.38 No.5

        The effects of oxidation stability and flavor acceptability of soybean oil by roasting and refining treatment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 peroxide values of crude oil from unroasted soybean(COUS) were more increased than those of crude oil from unroasted soybean(CORS) during storage under fluorescence light at 45℃. Induction time by the Rancimat Method was 44.9 and above 88.7 hours on COUS and CORS respectively. The order of oxidation stability of oil was crude$gt;degummed$gt;alkali-refining$gt;deodorized$gt;bleached oil in terms of peroxide value, while that of oxidation stability of oil was crude$gt;degummed$gt;deodorized$gt;alkali-refining$gt;bleached oil in regard to induction time by the Rancimat Method.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induction time and two characteristics(absorbance of browning reaction products and phosphorous contents) were highly significant, while that between induction time and tocopherol contents was not high during refining stages. $quot;the scores for the sensory evaluation of flavor on sesame oil and CORS was 9.269 and 8.269 respectively. but it was not significant between two oils.

      • KCI등재

        과일류 가공 중 잔류농약 가공계수에 관한 고찰

        임무혁 ( Moo Hyeog Im ),지유정 ( Yu Jeong Ji ) 한국응용생명화학회 2016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J. Appl. Vol.59 No.3

        과일류 가공 중 농약의 가공계수는 과일 가공품의 농약 기준 설정에 사용된다. 본 연구는 2010년부터 2014년까지 JMPR의 가공식품 중 잔류농약 가공계수 자료를 고찰하였다. 사과의 세 척, 건조, 통조림, 주스, 소스, 퓌레 및 Pomace 가공 중 19종 농약의 가공계수를 비교하였다. Pomace를 제외한 사과가공품은 대부분 가공계수가 1 이하의 결과를 보였다. 포도의 세척, 주스, 포도주, 건포도 및 Pomace 가공 중 21종 농약의 가공계수를 평가하였다. 건포도의 가공계수는 대부분 1 이상으로 나타났다. 오렌지의 주스, 오일 및 마말레이드 등 가공 중 19종 농약의 가공계수를 평가한 결과, 오일의 가공계수가 1 이상으로 나타났다. 토마토의 주스, 퓌레 및 페이스트 등 가공 중 27종 농약의 가공계수를 비교한 결과, Pomace를 제외하고 페이스트의 가공계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자두의 세척, 건조 및 퓌레 과정중 12종 농약의 가공계수는 건조에서 대부분 1 이상으로 나타났다. 농약의 지용성과 휘발성 같은 물리적인 특성과 과일 가공 중 가공계수는 사과 주스, 오렌지 주스, 토마토 퓌레와 페이스트 및 딸기잼 가공에서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A processing factor (PF) has been used to define the maximum residue limits of pesticide in a variety of processed fruit products. This study summarizes PF by the stage of fruit processing based on JMPR reports from 2010 to 2014. When we compared PF of 19 pesticides in apple products during the processing of washing, drying, canning, juice, sauce, puree and pomace, PF was higher than 1 only in pomace. In the comparison of 21 pesticides during the process of grape (washing, juice, wine and raisin), PF was higher than 1 in raisin. In the comparison of 19 pesticides during the process of orange (juice, oil and marmalade), PF was higher than 1 in oil. When 27 pesticides were compared during the process of tomato (juice, puree and paste), paste showed the highest PF value except pomace. During the process of plum (washing, drying and puree) with 12 pesticides, PF was higher than 1 in drying.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physical characteristics of pesticide (fat-solubility and volatility) and PF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processes of apple juice, orange juice, tomato puree and paste and strawberry jam.

      • 수입식품 안전관리를 위한 농약 검사항목조사(2차년도)

        임무혁 ( Moo-hyeog Im ) 한국환경농학회 2018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8 No.-

        농산물중 잔류되는 농약은 각 국가별로 사용방법, 용도, 목적, 기후에 따라서 상이하므로, 수입식품안전관리를 위하여 제외국의 잔류농약 관련 기준, 모니터링 등의 자료 DB 구축이 절실하다. 또한 농약은 각 국가 마다 사용등록, 취소가 연중 이루어지므로 이에 대하여 각 국가별 농약기준 및 모니터링 자료를 연중 상시적으로 DB를 업데이트하여 수입식품 검사에 적용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2개연도 연구과제로 수입 농산물별 점유율 조사, 세계 각국 잔류농약 기준, 모니터링 자료 DB 구축, 농약 특징, CODEX 기준 설정 잔류자료 DB 구축하고, 분기별로 식약처에서 수입되는 식품중 잔류농약 검사시 필요한 단성분 농약 검사항목에 대한 정보를 조사, 분석하여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1차연도에는 기초 자료 구축하고 2차연도는 업데이트 및 고도화로 구성이 되어 있다. 2018년 6월까지 연구 수행 내용은 다음과 같다. 국내로 수입되는 농산물별 주요 수출국과 점유율 조사는 완료되었다. 세계 각국 모니터링 자료는 식품 명칭을 환글로 변환, 농약명칭 통일화, 잔류농약 검출량 정리 등을 수행하였으며, 미국(2010년- 2015년)은 자료에 대하여 완료하였으며, 유럽(2011년-2015년) 30%완료, 일본(2007-2015) 완료하였다. 국내 유통식품 잔류농약 모니터링 자료(2012년-2017 )는 50%완료되었다. Codex 미국, 유럽, 일본, 대만, 중국 등의 농약잔류허용기준 자료의 수집 및 분석은 완료되었다. Codex 기준 설정 자료인 JMPR 보고서의 잔류자료 정리와 농약의 물리화학적 특성 자료의 정리도 완료하였다. 수입식품 중 단성분 검사항목 선정은 2분기에 12종의 농약을 선정하여 대상 국가과 농산물에 대한 목록을 식약처 관련 부서에 제공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