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출생후 성장과정의 흰쥐 새줄무늬체에서 신경연접의 구조적 변동

        이희래,Lee, Hee-Lai 한국현미경학회 1995 Applied microscopy Vol.25 No.4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synapses during early postnatal periods. Neonatal rats were grouped by 3, 7, 14, 21, 28 and 42day old, and observed the ultrastructural pattern of the synapses in the neostriatum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1. The number of synapse, the length of postsynaptic thickening and the amount of synaptic vesicles markedly increase during postnatal development 2. The proportion of asymmetric and curved synapses gradually increase by developmental periods. From the abov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the size of synapse increase during post-natal period, and asymmetric synapse are formed from the symmetric type and curved synapse are formed from the plane type.

      • KCI등재

        성장기 흰쥐 시각피질의 신경연접에 대한 도은법 및 전자현미경적 연구

        이희래,Lee, Hee-Lai 한국현미경학회 1997 Applied microscopy Vol.27 No.4

        These studies were performed to observe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synapses in the visual cortex of rat during early postnatal development. Specimens of the visual cortex were taken from rats (Sprague Dawley) at 1, 3, 7, 14 and 21 days of age, and prepared for silver impregnation and electron microscopy. The number of synapse and the length of postsynaptic thickening were increased progressively with age, especially 14 and 21 days. The number of dendritic spine was increased conspicuously on postnatal days 14-21. And asymmetic, curved and axo-spinous synapses were increased markedly at the same ages. The present findings suggest that spurt of synaptogenesis in the rat visual cortex occurs during early postnatal development, especially in second to 3rd week period and asymmetric and/or curved axo-spinous synapse is a matured form of synapse with advanced age.

      • KCI등재

        성장기 흰쥐의 후각망울에서 신경연접의 구조적 변동

        노숙영,이희래,Rho, Sook-Young,Lee, Hee-Lai 한국현미경학회 1994 Applied microscopy Vol.24 No.4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study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rat synapses during early postnatal periods. Neonatal rats were grouped by 1st, 2nd, 3rd, 4th and 6th postnatal weeks, and we observed the ultrastructural pattern of the synapses in the external plexiform layer of olfactory bulbs by electron microscop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numbers of synapses, lengths of synaptic thickenings and amounts of synaptic vesicles were markedly increased in the external plexiform layer during four postnatal weeks. 2. There was a tendency of increasing the proportion of the asymmetric synapse and the curved synapses during maturation. From the abov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the size of synapse is increasing during matura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asymmetric synapses are formed from the symmetric type and the curved synapses are from the plane type.

      • KCI등재

        조직 배양법을 이용한 시험관내 면역법

        박성수(Sung-Soo Park),이희래(Hee Lai Lee),서주영(Ju Young Seoh),홍순관(Soon Kwan Hong),한재진(Jae Jin Han),원태희(Taehee Won),배재문(Jae-Moon Bae),신명헌(Myeong Heon Shin),이한주(Han Chu Lee) 대한체질인류학회 1998 대한체질인류학회지 Vol.11 No.1

        조직 및 세포배양법을 이용한 시험관내 연역법의 효능성을 비교 검중하기 위해 편도절제술에서 얻에진 11세 소년의 편도 조직을 균등하게 두 부용으로 나누어 한 부분은l0% Type AB 인혈정이 보강된 RPMI 1640 배양액에 37 ℃ 세포배양기에서 또 한 부분은10% Type AB 인혈정이 보강된 Waymouth MB 752/l 배양액에 37℃조직 배양기에서95% O2/5% CO2 를 공급하며 배양하였다. 배양 1 시간 뒤 50 μ g/ml KLH 및 lOO μg/ml LFS 를 투여하여 연역을 시킨 뒤 Flowcytonletry 를 이용하여 CE23 의 발현정도, 생산된 장체의 생산 시기, 생산 량 항셰 아영 빛 지속정도를 ELISA 벚 western blot 을 이용하여 비교한 경과 조직배양군에서 항원 투여 3 시간 후 CD μ이 세포배양에 비해 먼저 발현되어 더 오래 지됩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IgG 형의KLH 빛 LPS 에 대한 특정 항제가 생산됨을 증명하여 향후 시험관내 연역법의 상용화 가능성을 증명할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마우스 줄무늬복합체 콜린성 신경세포의 출생 초기 연접 형태에 관한 연구

        한후재(Hoo Jae Hann),이희래(Hee Lai Lee) 대한해부학회 1999 Anatomy & Cell Biology Vol.32 No.2

        줄무늬복합체 콜린성 신경세포의 연접 형태는 출생 이후 계속 변화하며 또한 그 차이는 연접의 기능상태를 반영한다고 한다. 성숙동물에서의 연접 형태에 관하여는 이미 많이 알려져 있으나, 출생 초기 마우스에서 줄무늬복합체 콜린성 신경세포의 연접 형태에 관한 연구는 아직 없다. 이에, 본 연구는 면역조직화학염색을 병행한 전자현미경적 연구를 통하여 출생 초기 마우스에서 줄무늬복합체 콜린성 신경세포의 연접 형태를 관찰하고, 이를 통하여 출생 이후 연접의 형태가 변화하는 양상과 구획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동물은 ICR mouse를 사용하였고 생후 3일, 1주, 2주, 4주, 6주의 5군으로 나누어 각 군별로 5마리를 준비하였다. anti-choline acetyl transferase를 사용하여 포매전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면역반응 양성돌기들이 연접이전부분을 구성하는 경우, 연접은 대부분 대칭연접의 형태를 보였으며 이러한 경향은 전 연령군에서 유사하였다 (p<0.05). 등쪽줄무늬체의 연접 형태는 생후 1주부터, 배쪽줄무늬체의 연접 형태는 생후 2주부 터 성숙기와 유사한 분포를 보였다. 2. 면역반응 양성돌기들이 연접이후부분을 구성하는 연접의 경우, 전 연령군에서 대칭연접과 비대칭연접이 거의 같은 비 율로 나타났다 (p<0.05). 구획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3. 연접의 각 유형별로 연접 곡면도를 비교하였으나, 연령 증가 또는 구획에 따른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줄무늬복합체 콜린성 신경세포의 연접 형태는 생후 2주 경부터 성숙기와 유사한 분포를 나타냈으며 이는 생후 1주 또는 2주까지의 기간이 연접이 활발히 형성 또는 변화하는 시기임을 시사한다. 한편, 연접 곡면도는 연접의 성숙 정도를 반영하지 못했으며, 따라서 연접 곡면도를 연접 성숙의 지표로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보다 조심스러운 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cholinergic neurons in the striatal complex are the major interneurons that integrate the informations incoming to and outflowing from the striatum. The shape of synapses may change even after birth and the synaptic morphology reflects the functional state of synapse. However, it is not well known about the synaptic morphology of the mouse striatal cholinergic neurons in their early postnatal life. Thus, we investigated the synaptic morphology of the mouse striatal cholinergic neurons in their early postnatal life by the electron microscopy combined with immunohistochemistry. In addition, we investigated the trends of change in synaptic morphology and whether the difference between two compartments exists or not. Experimental animals which are ICR mice, were divided into 5 groups according to their postnatal age: 3-day, 1-week, 2-week, 4-week, and 6-week. Pre-embedding immunohistochemistry was done with anti-choline acetyl transferase antibo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synapses that immunoreactive terminals constitute the presynaptic components, most of synapses are symmetric type in all age groups (p<0.05). Most of synapses in the dorsal striatum are symmetric form from 1-week of postnatal age, but it is not prominent in the ventral striatum until 2-week of postnatal age. 2. In synapses that immunoreactive terminals constitute the postsynaptic components, both symmetric and asymmetric synapses are noted in similar proportions (p<0.05). There are no difference in the synaptic morphology between dorsal and ventral striatum. 3. No specific findings are observed in synaptic curve according to the postnatal age or compartment. In conclusion, the synaptic morphology of mouse striatal cholinergic neurons is similar to mature pattern from 2-week of postnatal age. And it is thought that period between birth and 2-week of postnatal age is the critical period for synaptogenesis. The synaptic curve does not reflect the degree of synaptic maturity. Further investigations will be required to generalize the synaptic curve as a marker for synaptic maturity.

      • KCI등재후보

        흰쥐의 각막에서 상피세포 이주에 관한 연구

        한후재(Hoo Jae Hann),이희래(Hee Lai Lee) 대한해부학회 1999 Anatomy & Cell Biology Vol.32 No.3

        대부분의 중층편평상피에서는 상피 전체 바닥층의 바닥세포가 기간세포 (stem cell)로 작용한다. 그러나, 각막상피에는 예외적으로 가장자리부위 (limbus)에만 기간세포가 존재한다는 보고가 지배적이나, 세포분열 지표 등을 이용한 간접적인 연구에 한정되어 있다. 이에 연구자들은 성장기 및 성숙흰쥐의 각막상피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세포 이주와 관련된 형태학적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동물로는 Sprague-Dawley 흰쥐를 사용하였고, 배자기말, 생후 5일, 10일, 15일 및 성숙기의 5군으로 나누어 각막상피를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각막상피의 중층화 : 각막 상피세포층의 수는 생후 10일 이후로 현저히 증가하여 생후 15일경에는 9 ~ 10층을 이루었으 며 이후로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2. 상피세포의 이주 : 생후 10일과 성숙기의 각막상피에서는 세포사이공간이 매우 넓어져 있었다. 특히, 성숙기 각막상피의 바닥층에서는 바닥세포의 바닥면쪽 반부착반점 사이의 세포사이공간이 가장자리부위쪽부터 커지면서 중심부위쪽 바닥면을 발판으로 하여 일어서듯 세포가 중심부위쪽으로 밀리고 또한 표면층으로 이동하는 양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생후 10일경 세포사이공간이 현저히 넓어지는 소견은, 흰쥐의 개안시기에 상피세포의 활발한 이동에 따른 상피세포층의 급격한 증가현상으로 여겨진다. 성숙흰쥐에서 상피세포들이 가장자리부위에서 중심부위로 향하는 방향성은, 이 시기에는 가장자리부위의 바닥세포만이 각막상피의 기간세포로 기능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In the stratified squamous epithelium, most of basal cells in the entire epithelium function as stem cells. But many researchers report that stem cells in the corneal epithelium are located exclusively in the limbus. We planned to investigate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migrating corneal epithelial cells by the electron microscopy. Sprague-Dawley rats at fullterm, postnatal day 5, 10, 15, and adult were used as experimental animal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Stratification of the corneal epithelium : The number of layers in the corneal epithelium was dramatically increased in the period between postnatal day 10 and 15. 2. Migration of the corneal epithelial cells : In the groups of postnatal day 10 and adult, wide intercellular spaces were noted. Especially in the adult, the limbal side of basal cells was being lifted from the Bowman's membrane and centripetal polarity of them are noted.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the wide intercellular spaces at postnatal day 10 seems to be resulted from the migration of corneal epithelial cells for epithelial stratification. The centripetal polarity of limbal basal cells in adult rat suggests that only the limbal basal cells may function as stem cells in that period.

      • KCI등재후보

        18주 태아 뇌에서 발현하는 FB174 cDNA의 유전체 DNA 분리 및 염색체 위치

        박수연(Soo Yeun Park),강윤희(Yoon-Hee Kang),이희래(Hee Lai Lee),김 현(Hyun Kim),박선화(Sun-Hwa Park) 대한해부학회 1999 Anatomy & Cell Biology Vol.32 No.6

        최근 사람 유전체 사업의 진행으로 수많은 유전자들이 발굴되고 다양한 실험방법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발굴한 유전자들 의 기능을 예측하고 염색체 위치를 결정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이 연구에서는 태아의 뇌 형성이 활발한 시기인 태생기 18주의 뇌로부터 cDNA probe pool을 작성하고, 염기서열을 분석 하였다. 이 중에서 FB174를 선택하여 흰쥐 조직 절편에 대한 in situ hybridization 조직 화학법을 시행하여 그 발현양상을 관찰하였다. 염색체 위치를 규명하기 위하여, 사람 유전체 서고 검색을 시행하여 사람 유전체 DNA를 분리하였고, 이 유전체 DNA를 biotin으로 표지한 후 형광 in situ hybridization을 시행하였다. 서열분석과 GenBank 자료분석에서 FB174 클론은 사람염색체 13q14에 위치한다고 알려진 번역 수준에서 조절되는 암 단 백질(TCTP)과 매우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FB174 클론의 mRNA를 흰쥐 조직 절편에 in situ hybridization 조직 화학법을 시행한 결과 발현을 관찰할 수 없었다. 분리된 FB174 클론의 유전체 DNA로 형광 in situ hybridization 시행한 결과 염색체띠 7q22에 위치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FB174 유전자는 기존에 알려진 TCTP 유전자의 서열과 매우 높은 유사성을 고려할 때 그와 관련된 새로운 유전자일 것으로 추정된다. Eventhough surmountable amounts of genes are being cloned and a number of methods are being developed by human genome project, it’s not easy to predict possible functions of genes and determine the chromosomal locations of genes. In this experiment, cDNA pool was made from 18 weeks old human fetal brain and analyzed the sequences. FB174 clone was chosen, in situ hybridization histochemistry was performed on developing and adult rat tissue section to observe the tissue specificity and developmental expression of this gene. To observe the chromosomal location of FB174 clone, the genomic DNA from human genomic library was isolated and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was carried out. By sequencing and sequence search with GenBank data it was revealed that cloned FB174 cDNA was quite similar to translationally controlled tumor protein which is known to locate to human chromosome 13q14. The expression of FB174 mRNA was not detected in rat tissue sections by in situ hybridization histochemistry.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using biotin labeled FB174 probe resulted in specific labeling of human chromosome 7q22. These results and high sequence homology of FB174 to known translationally controlled tumor protein suggest that FB174 clone may be a new translationally controlled tumor protein-related gene.

      • KCI등재후보

        The Effects of Hyperhomocysteinemia on the Ultrastructures of Cerebral Microvessels

        김호진(Ho Jin Kim),김영화(Young hwa kim),장남수(Namsoo Chang),이희래(Hee Lai Lee),이화영(Hwa Young Lee) 대한해부학회 2002 Anatomy & Cell Biology Vol.35 No.3

        혈중 호모시스테인 증가는 혈관성질환 및 신경퇴행성질환의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으며, 호모시스테인의 혈중농도는 연 령증가와 신경학적 질환의 진행과정에서 인지능력저하 등의 신경학적 증상 발현에 선행되는 조기 지표로서 의미가 있다. 혈중 호모시스테인 수준 증가와 Alzheimer병, 노인성 치매 등 신경 질환 발생이 역학적 상관관계가 있음을 고려할 때, 뇌혈관 변성을 통한 신경 손상이 이들 질환의 발생 과정에 관여하고 이 과정을 호모시스테인이 매개할 가능성을 추측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호모시스테인에 의한 혈관내피세포 손상이 그 유발요인의 하나로 관여할 것으로 추측되나, 고호모 시스테인혈증으로 인한 뇌혈관의 구조적 변화에 관한 형태학적 자료는 아직 제시된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고호모시스테인혈증 유발 혈관 손상 및 이를 통한 신경 독성 기전을 확인하기 위하여, 식이 엽산 결핍 으로 인한 고호모시스테인혈증을 유발한 흰쥐를 대상으로 혈중 엽산과 호모시스테인 수준을 측정하고 투과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뇌혈관의 미세구조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8주간의 엽산 결핍으로 혈중 호모시스테인의 수준은 6.15±0.9 μmol/l에서 19.5±3.2 μmol/l로 317%가 증가되었으며, 이때 뇌의 미세혈관 내피세포, 기저막 및 혈관주변세포들의 퇴행성 변화가 관찰되었다. 이로부터 고호모시스테인혈증의 뇌혈관 변성으로 인한 혈액뇌장벽의 기능적 손상 및 이를 통한 신경 손상을 예측할 수 있다. Elevated plasma level of the sulfur amino acid homocysteine, termed hyperhomocysteinemia, is now recognized as a contributing factor to various pathological states of the brain including vascular, degenerative and other neurologic disorders. Endothelial dysfunction may be one of the underlying mechanisms leading to proatherogenic and neurotoxic effects associated hyperhomocysteinemia. We conducted electron microscopic studies to investigate microvascular changes in hyperhomocysteinemic rat brain due to folate deficiency. Dietary folate deprivation caused an increase in plasma Hcy by 317% from 6.15±0.9 μmol/l to 19.5±3.2 μmol/l with time up to 8 weeks of folate deprivation. In electron microscopic study, perivascular amorphous fibrosis, and pericytic and endothelial cell degenerative appearance were frequently found in hyperhomocysteinemic microvasculature. These findings are very similar with the typical cerebral microvascular pathology observed in neurodegenerative and aging processes. From these results, it can be suggested that hyperhomocysteinemia-induced blood-brain barrier disruption give rise to subsequent neuronal dysfunction in hyperhomocysteinemia.

      • KCI등재

        흰쥐의 미숙아망막병증 모델에서 별아교세포와 부챗살아교세포의 형태학적 변화에 관한 연구

        한후재(Hoo Jae Hann),김영화(Young Hwa Kim),이희래(Hee Lai Lee) 대한해부학회 2002 Anatomy & Cell Biology Vol.35 No.1

        목적 : 미숙아망막병증(retinopathy of prematurity)은 산소치료를 받은 미숙아의 망막에 비정상적인 혈관신생이 일어나는 상태를 가리키며, 고도근시 및 시력소실을 유발할 수 있는 질환이다. 이 질환은 망막혈관의 발생시기에 혈관재배열과정의 조절기전 장애로 인해 발병하는 것으로 여겨지나, 망막내 혈관신생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부챗살아교세포와 별아교세포의 형태 변화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다. 이에 연구자는 신생흰쥐에서 미숙아망막병증을 유발하고, 망막신경아교세포들의 형태학적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 생후 6일째의 신생흰쥐를 네 군으로 나누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생후 2주까지는 고산소/저산소환경 (산소분압 55/15%, 75/15%, 80/10%; 제 II, III, IV군)에 24시간 주기로 교대로 노출시킨 후 정상산소환경으로 옮겨 사육하였으며, 대조군은 정상산소분압(20.9%; 제 I 군) 하에서 지속적으로 사육하였다. 일정한 시기에 동물을 희생시켜 ADPase 반응으로 혈관발달의 정도를 평가하고, 망막내 신경아교세포들의 형태학적 변화를 전자현미경으로 살펴보았다. 결과 : 산소분압차가 가장 크고 저산소증의 정도가 심한 제IV 군에서는 생후 2주 이후에 희생시킨 12예 중 4예에서, 그 리고 제 III 군에서는 2예에서, ADPase 반응상 유리체 내로의 혈관신생이 확인되었다. 유리체 내로 혈관신생이 일어난 경우,부챗살아교세포의 세포질돌기로 이루어진 속경계막의 해체소견과 더불어 부챗살아교세포의 세포질이 이루는 속핵층 신경세포 사이간격의 감소가 관찰되었으나, 세포질 돌기내의 세포소기관들은 비교적 잘 유지되어 있었다. 별아교세포의 변성소견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망막내 출혈부위나, 유리체-망막경계면에서는 미세아교세포나 포식세포의 침윤이 관찰되었다. 속핵층에서는 신경세포로 여겨지는 일부 세포들의 세포사 소견이 관찰되었다. 결론 : 미숙아망막병증에서 나타나는 비정상적인 혈관신생에는 부챗살아교세포돌기의 퇴축과 이로 인한 속경계막의 균 열이 주요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이며, 별아교세포는 형태학적으로 뚜렷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Objectives : Retinopathy of prematurity (ROP) is one of the major cause of vision loss among children. Recently, the prevalence of ROP is markedly increasing as the survival rate of very-low-birth-weight premature infants has been improved. It is widely accepted that retinal hypoxia results in the release of factors influencing new blood vessel growth. But, it is little known about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retinal astrocytes and Muller cells in the ROP model. So, we planned to investigate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those retinal glial cells induced by alternating hyperoxic and hypoxic injury in ROP. Methods : Newborn rats (postnatal day 6) were exposed to two different oxygen concentrations alternating every 24 hours until postnatal day 14. Used oxygen concentrations were 10~15% for hypoxic episode and 55~80% for hyperoxic episode. Afterthen, they were returned to room air. A group of animal served as a room air control. Retinal vascularity was assessed by ADPase reaction and morphology of retinal glial cells was observed using transmisson electron microscope. Results : Preretinal neovascular tufts were observed in 2 out of 12 animals of group III (75/10%) and 4 out of 12 animals of group IV (80/10%), respectively. There was no remarkable structural change of astrocytes. But we could observe some morphological changes of Muller cells. Retraction of the radial processes of Muller cells and breaking of basal lamina were noted at the site of preretinal neovascularization. Decrease in the space occupied by the cytoplasmic processes of Muller cells was observed in the inner nuclear layer of group IV retinae. Infiltration of microglia or macrophage into the vitreo-retinal interface and the site of extravasation was noted. Findings suggestive of neuronal cell death were also observed especially in the inner nuclear layer. Conclusions : Morphological change of Muller cells and resultant loss of integrity of internal limiting membrane seemed to be the most important step for preretinal neovascularization. But, no structural changes of astrocytes were noted.

      • 膽囊切除 토끼에서 輸膽管 分泌異常에 依한 十二指腸 上皮細胞의 形態學的 變化

        李熙來,金淳會 梨花女子大學校 韓國生活科學硏究院 1985 韓國生活科學硏究院 論叢 Vol.35 No.-

        체중 2kg내외의 수토끼를 사용하여 이들을 정상군과 담낭절제군으로 구분하였고 담낭절제군은 수술 후 3주 및 7주에 희생시켰다. 정상군과 담낭절제군의 동물은 ether 마취하에 개복하고 일정한 부위의 십이지장 조직을 절취하였다. 광학현미경적 관찰은 10% 중성 formalin액에 고정, hematoxyline-eosin과 periodc acid Schiff's 반응-hematoxyline 염색을 시행한 표본으로서, 전자현미경적 관찰은 2.5% glutaraldehyde-2% paraformaldehyde으로 전고정하고 1% osmium tetroxide에 후고정하여 epon 812에 포매, uranyl acetate와 lead citrate로 염색한 표본으로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소견을 얻었다. 1. 담낭 절제 후 십이지장 근위부에 분포하는 흡수세포는 첨부 세포질내에 음소포가 증가하였으며 측벽의 세포간극은 확장되었다. 2. 십이지장 근위부의 배상세포는 핵 상부 세포질에 점액질 과립이 증가하였고 과립의 배출상태도 많이 관찰되었다. 위와 같은 현상들은 담낭 절제로 인하여 담즙이 계속 유출됨으로서 흡수세포는 흡수기능이 항진되고 배상세포는 분비활동이 촉진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생각된다. Effects of cholecystectomy on the functional activities of the duodenal mucus secreting cells and columnar absorptive cells were studied with healthy male rabbits, normal or cholecystectomized, each weighing about 2kg. Animals were sacrificed on the 3rd or 7th week after cholecystectomy. Tissue specimens of duodenum, embedded in paraffin or in epon, were examined by light and electron microscope, respectively. We observed that the number of pinocytotic vesicles increased in the apical cytoplasm of absorptive cells and intercellular spaces of absorptive cells became dilated in the proximal region goblet cells were found to contain large amount of mucus globules and to increase in globular discharging activity. These observations indicated that functional activities of the absorptive cells and goblet cells might be accelerated in the proximal part of duodenum by cholecystectom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