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충남분지 충전물의 층서, 퇴적시기, 조성에 관한 고찰

        이효종,박승익,최태진,Lee, Hyojong,Park, Seung-Ik,Choi, Taejin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9 자원환경지질 Vol.52 No.5

        Deposition of the Daedong Supergroup has been considered to be related with the Triassic Songrim and Jurassic Daebo orogenies. The Chungnam Basin fills is an important sedimentary succession to understand the geological evolution of the Early to Middle Mesozoic Korean Peninsula. Previous paleontological and paleomagnetic studies have suggested the Late Triassic to Early Jurassic sedimentation of the Chungnam Basin fills. However, the orogenic model of the basin development has remained controversial because recently reported zircon U-Pb isotopic ages are not harmonious with the previous studies. This paper aims to review the stratigraphy, depositional age, and composition of the Chungnam Basin fills, together with test of the basin development models. 대동누층군은 삼첩기 송림조산운동과 쥬라기 대보조산운동으로 대표되는 두 차례의 광역적인 중생대 지각변형과 관련하여 퇴적되었다. 한반도 남부의 대동누층군을 대표하는 충남분지 충전물은 전기-중기 중생대의 한반도 지질진화사를 이해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연구 대상이다. 식물화석 및 고지자기를 기반으로 한 과거 연구들은 충남분지 충전물의 퇴적시기가 대체로 후기 삼첩기로부터 전기 쥬라기 사이에 해당하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그러나 저어콘 U-Pb 연대측정 결과에 기반한 퇴적시기가 기존의 해석과 불일치함에 따라 충남분지의 발달과 조산운동과의 관계에 대한 논쟁의 여지가 있어 왔다. 본 논문은 충남분지 충전물의 퇴적시기, 층서, 조성에 대한 최근까지의 연구결과를 다루면서, 분지발달 모델이 갖는 문제점을 함께 고찰하였다.

      • KCI등재

        MOCVD를 이용한 금속 촉매 종류에 따른 β-Ga<sub>2</sub>O<sub>3</sub> 나노 와이어의 제작과 특성

        이승현,이서영,정용호,이효종,안형수,양민,Lee, Seunghyun,Lee, Seoyoung,Jeong, Yongho,Lee, Hyojong,Ahn, Hyungsoo,Yang, Min 한국결정성장학회 2017 한국결정성장학회지 Vol.27 No.1

        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MOCVD) 방법을 이용하여 금속 촉매에 따른 ${\beta}-Ga_2O_3$ 나노 와이어의 제작과 특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성장 조건에서 ${\beta}-Ga_2O_3$ 나노 와이어의 성장이 가능한 금속 촉매는 Au, Cu 그리고 Ni이 있었으며 각 금속 촉매로 성장한 나노 와이어는 성장률과 형상에 많은 차이가 있었다. Ni 촉매 성장의 경우에는 Vapor-Solid(VS) 과정이 ${\beta}-Ga_2O_3$ 나노 와이어 성장의 주된 메커니즘이고 Au, Cu 촉매 성장의 경우에는 Vapor-Liquid-Solid(VLS) 과정이 주된 성장 메커니즘 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촉매의 종류에 따라서 ${\beta}-Ga_2O_3$ 나노 와이어의 광학적 특성도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동일한 성장 조건에서 Ti, Ag 그리고 Sn 금속은 나노 와이어 성장을 위한 촉매로 작용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금속 촉매에 따른 나노 와이어의 성장 가능 여부와 성장한 나노 와이어의 특성 변화가 금속 촉매의 녹는 점, 금속- Ga의 공융 점과 관련이 있음을 상태도와 연관 지어 밝혀내었다. Catalytic synthesis and properties of ${\beta}-Ga_2O_3$ nanowires grown by 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are reported. Au, Ni and Cu catalysts were suitable for the growth of $Ga_2O_3$ nanowires under our experimental conditions. The $Ga_2O_3$ nanowires grown by using Au, Ni and Cu catalysts showed different growth rates and morphologies in each case. We found the $Ga_2O_3$ nanowires were grown by the Vapor-Solid (VS) process when Ni was used as a catalyst while the Vapor-Liquid-Solid (VLS) was a dominant process in case of Au and Cu catalysts. Also, we found nanowires showed different optical properties depend on catalytic metals. On the other hand, for the cases of Ti, Sn and Ag catalysts, nanowires could not be obtained under the same condition of Au, Cu and Ni catalytic synthesis. We found that these results are related to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each catalyst, such as, melting points and phase diagrams with gallium metal.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유역분지 특성에 따른 충적선상지의 퇴적작용 : 고흥군 백악기 두원층의 예

        이경진(Kyung Jin Lee),박승익(Seung-Ik Park),이효종(Hyojong Lee),김용식(Yong Sik Gihm)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21 자원환경지질 Vol.54 No.4

        건조 또는 아건조한 기후에서 하천류가 우세한 충적선상지의 발달 원인을 알아보기 위해 전라남도 고흥군 일원에 분포하는 백악기 두원층을 대상으로 퇴적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지역의 두원층은 고원생대 편마암으로 구성된 기반암 상부에 부정합으로 분포한다. 퇴적상 분석 결과, 기반암 인근에서 역질 망상하천(퇴적상 조합1)이 발달하였으며, 기반암에서 멀어짐에 따라 7km의 범위에서 사질 망상하천(퇴적상 조합2)과 범람원(퇴적상 조합3)으로 퇴적환경의 변화가 나타난다. 퇴적환경의 측방변화와 범람원의 퇴적층 내 자색 이암에서 관찰되는 석회질 단괴 및 기반암 인근에서 측정한 방사상의 고수류 방향은 두원층이 건조 또는 아건조한 기후에서 형성된 하천류가 우세한 충적선상지에서 퇴적되었음을 지시한다. 최근 두원층에서 수행된 쇄설성 저어콘 절대연령에 관한 연구는 두원층의 기원지가 영남육괴 서부와 옥천변성대 남서부를 포함하는 한반도 남서부임을 지시하며, 이는 충적선상지의 유역분지가 넓었음을 지시한다. 넓은 유역분지는 많은 양의 물을 충적선상지로 공급하고 유역 분지 내부에 퇴적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함에 따라 쇄설류의 형성을 제한한다. 이와 더불어 주로 조립의 변성암 및 화성암으로 구성된 유역분지는 모래 크기의 퇴적물을 형성하여, 쇄설류 형성에 필요한 점토의 형성을 억제하였다. 따라서 건조 또는 아건조한 기후임에도 불구하고 넓은 유역분지와 유역분지를 주로 구성하는 조립질의 암석은 하천류가 우세한 충적선상지가 발달에 유리한 조건을 제공하였으며, 이로 인해 두원층이 하천류가 우세한 충적선상지에서 퇴적되었다. The Cretaceous Duwon Formation was studied on the basis of sedimentologic analysis in order to unravel geologic condi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streamflow-dominated alluvial fan under arid to semi-arid climatic conditions. The Duwon Formation unconformably overlies the Paleoproterozoic gneiss (basement). Based on the sedimentologic analysis, the Duwon Formation is interpreted to have been deposited in gravelly braided stream (FA-1) near the basement, laterally transitional to sandy braided stream (FA-2) and floodplain environments (FA-3) with distance (< 7 km) from the basement. Lateral changes in sedimentary facies and the well development of calcrete nodules in FA-3, together with radial paleocurrent directions measured in FA-1, are suggestive of the deposition of the Duwon Formation in streamflow-dominated alluvial fan under arid to semi-arid climatic conditions. Recent analysis of detrital zircon chronology suggests that sediments of the Duwon Formation were derived from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including the western part of Yeongnam Massif and the southwestern part of Okcheon Belt. This implies the alluvial fan where the Duwon Formation accumulated had the large drainage basin. Because the large drainage basin can supply the significant amounts of water and temporarily store the sediments within the basin, watery floodwater carried sediments to the alluvial fan rather than the debris flows. Furthermore, the drainage basin largely composed of coarse-grained metamorphic and igneous rocks produced sand-grade sediments, preventing evolution of floodwater into debris flows. We suggest that combined effects of the large drainage basin and its coarse-grained metamorphic and igneous rocks provided favorable conditions for the development of streamflowdominated alluvial fan, despite arid to semi-arid climatic conditions during sedimentation.

      • 전남 고흥군 백악기 두원층의 퇴적환경: 유역분지의 지질학적 특성과 충적선상지퇴적작용의 성인적 연관성

        이경진(Kyung Jin Lee),박승익(Seung-Ik Park),이효종(Hyojong Lee),김용식(Yong Sik Gihm) 대한지질학회 2021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0

        건조한 기후에서 하천류가 우세한 충적선상지의 형성 원인을 알아보기 위해 전라남도 고흥군 일원의 백악기 두원층을 대상으로 퇴적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두원층은 영남육괴의 고원생대 편마암을 부정합으로 피복하고 있다. 두원층의 퇴적환경과 퇴적작용을 해석하기 위해 지질도 작성, 퇴적상 및 고수류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두원층은 3개의 퇴적상 조합으로 구분된다. 기반암 인근에는 퇴적상 조합1이 우세하나 기반암과 멀어짐에 따라 7 km 내외에서 퇴적상 조합2, 퇴적상 조합3으로 전이한다. 퇴적상 조합1의 최하부에는 아래로 오목한 침식 경계, 비늘구조를 보이는 괴상 역암이 나타나며, 역암의 상부에는 사층리 역암 및 역질 사암, 수평층리 사암 또는 괴상 사암이 상향 세립화 경향을 보이며 나타난다. 아래로 오목한 침식 경계 및 상향 세립화 경향은 퇴적상 조합1이 역질 망상하천의 퇴적층임을 지시한다. 퇴적상 조합2의 최하부는 10 cm 두께의 괴상 역암이 판상의 기하를 보이며 나타나고, 역암의 상부에는 상향 세립화 경향을 보이는 사층리 역암 및 역질 사암, 수평층리 사암이 나타난다. 퇴적상 조합2는 사질 망상하천의 퇴적층으로 해석하였으며, 퇴적상 조합1에 비해 사암이 우세하고 감소한 역의 크기와 함량은 하천의 운반능력이 점차 감소하였음을 의미한다. 퇴적상 조합3은 주로 석회질 단괴를 포함한 자색 이암과 이와 교호하는 곡 채움 역암 및 수평층리 사암으로 구성된다. 석회질 단괴는 자색 이암이 건조한 기후에서 배수가 양호한 범람원에서 퇴적되었음을 지시하며, 곡채움 역암 및 수평층리 사암은 간헐적인 홍수에 의해 형성된 틈상 하도 및 틈상 퇴적체로 해석하였다. 퇴적환경의 측방 변화, 자색 이암 내 석회질 단괴, 기반암 인근의 역암층에서 측정한 방사상의 고수류 방향은 두원층이 건조한 기후에서 하천류가 우세한 충적선상지에서 퇴적되었음을 지시한다. 최근 두원층에서 수행된 연구결과에 따르면, 두원층의 퇴적물은 고변성암 및 심성암으로 주로 구성된 영남육괴 서부와 변성퇴적암으로 주로 구성된 옥천변성대의 남서부에서 공급되었으며, 이는 두원층이 퇴적된 충적선상지로 퇴적물을 공급하는 유역분지의 규모가 컸음을 의미한다. 넓은 유역분지는 홍수 시 많은 양의 물을 충적선상지로 공급하고 유역분지의 내부에서 이동하던 퇴적물이 일시적으로 퇴적됨에 따라 쇄설류의 형성이 제한되었다. 또한 유역분지를 구성하는 고변성암 및 심성암으로부터 주로 모래 크기의 퇴적물이 형성되어, 쇄설류 발달에 필요한 점토의 형성을 제한하였다. 건조한 기후임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유역분지의 특성은 하천류가 우세한 충적선상지가 발달하기에 유리한 조건을 제공하여 두원층이 퇴적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