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팔탄(八灘) 남숙관(南肅寬)의 한역시조 연구

        이홍식(Lee, Hong-Shik) 한국시조학회 2014 시조학논총 Vol.41 No.-

        상기 논문은 최근까지 일부(14수)만 소개되었던 팔탄(八灘) 남숙관(南肅寬, 1704∼1781)의 한역시조 40수 전체를 소개하여 학계의 관심을 제고하고, 팔탄의 한역시조가 시조사에서 차지하는 의미와 가치를 밝히기 위한 목적 하에 기획되었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먼저 그 동안 제대로 알려져 있지 않았던 팔탄의 생애와 문학 및 문집 간행의 정황을 간단히 살펴보았고, 이어서 새로 발굴된 『 팔탄집(八灘集)』 (개인소장, 8권4책의 낙질 초교본)의 서지 사항과 한역시조 40수 전체를 소개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팔탄의 시조 한역에 드러나는 제 특징을 일별하여, 18세기 초 한역시조사에서 팔탄이 차지하는 위치를 대략이나마 가늠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 결과 본고에서는 팔탄의 한역시조와 관련하여 중요한 몇 가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팔탄은 만년이 아니라 20대 초반에 시조를 한역하였으며, 이 과정에 부친인 농환재 남도진의 영향이 매우 컸다. 둘째, 팔탄은 5언6구와 7언4구 등 제언체와 장단구를 적절히 활용하여 시조를 한역하되 원작자가 확인된 작품을 다수(15수) 한역하였고, 새로운 시조의 존재도 확인시켜 주었다. 셋째, 팔탄은 원시조의 시상과 내용을 온전히 이해한 뒤에 한역에 임하되 이를 적실한 제목 속에 드러내었다. 넷째, 팔탄은 원시조를 온전히 기록하는 데 초점을 맞추되, 번역에 변화를 주어 제목에 드러나 있는 시상을 구체화하거나 강화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팔탄의 한역시조에 보이는 이상의 특징들은 이후 남구만, 이형상, 홍양호, 황윤석 등 18세기 한역시조 작가들과의 비교연구에서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나아가 18세기 한역시조사에서 팔탄의 위치를 가늠하는 데에도 일정정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introduced Paltan(八灘) Nam Sukgwan’s whole 40 works of translation of Sijo into Chinese poetry which were known only 14 works until now. It aimed at rising interest of academia and revealing meanings and value of Paltan’s translation of Sijo into Chinese poetry in Sijo history. For these purposes, this paper simply researched life, literature and issues on literary collection of Paltan that wasn’t revealed in detail. Then it introduced bibliographic data and 40 works of translation of Sijo nto Chinese poetry Paltanjib(八灘集) ;private collection, 8 volumes 4 books, the first revise, that is newly discovered. Finally, as it gliffed features of Paltan’s translation of Sijo into Chinese poetry, the position of Paltan in the history of translation of Sijo into Chinese poetry could be evaluated at the early of 18C. As a result, this paper could confirm important several facts on Paltan’s translation of Sijo into Chinese poetry. The first, Paltan translated Sijo in not his latter years but his twenties, he was helped by his father Nonghwanjae Nam Dojin in this course. The second, Paltan translated Sijo using Jeaon-style(齊言體) and Jangdangu(長短句) such as 5 characters 6 line stanza and 7 characters 4 line stanza. He translated 15 works which were identified writers and revealed existence of new Sijo. The third, Paltan translated after full understanding of image and contents of genuine Sijo and showed these in the titles. The fourth, Paltan focused on entirely recording genuine Sijo and used method that concreted or reinforced image revealed in titles with changing in translation. These features of Paltan’s translation of Sijo into Chinese poetry could be standards in comparative study with writers of translation of Sijo into Chinese poetry in 18C such as Nam Guman, Lee Hyeongsang, Hong Yangho, Hwang Yoonseok and so on. Consequently, these could be helped evaluating Paltan’s position of the history of translation of Sijo into Chinese poetry.

      • KCI등재

        광파장 이하 주기를 갖는 금속 격자형 컬러필터

        이홍식,윤여택,이상신,김상훈,이기동,Lee, Hong-Shik,Yoon, Yeo-Taek,Lee, Sang-Shin,Kim, Sang-Hoon,Lee, Ki-Dong 한국광학회 2007 한국광학회지 Vol.18 No.6

        A color filter was demonstrated incorporating a patterned metal grating in a quartz substrate. The filter is created in a metal layer perforated with a symmetric two-dimensional array of circular holes, with the pitch smaller than the wavelength of the visible light. A finite-difference time-domain simulation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device by investigating the effect of structural parameters like the grating height, the period, the hole size,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hole-filling material on its performance. The device performance was especially optimized by controlling the refractive index of the material comprising the holes of the grating. And two different devices were fabricated by means of the e-beam direct writing with the following design parameters: the grating height of 50 nm, the two pitches of 340 nm for the red color and 260 nm for the green color. For the prepared device with the period of 340 nm, the center wavelength was 680 nm and the peak transmission 57%. And for the other device with the pitch of 260 nm, the center wavelength was 550 nm and the peak transmission was 50%. The filling of the hole with a material whose refractive index is matched to that of the substrate has led to an increase of ${\sim}15%$ in the transmission efficiency. 본 논문에서는 광파장 이하의 주기를 갖는 금속 격자형 가시광선 대역 컬러필터를 제안하고 구현하였다. 이 소자는 쿼츠 기판 위의 알루미늄 금속 층에 원형 홀이 2차원으로 배열된 격자로 구성되어 있다. 격자의 구조 파라미터 즉, 금속 박막 두께, 격자 주기, 홀 크기, 홀 구성 물질의 굴절률 등이 필터의 전달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소자를 설계하였다. 특히, 격자 홀을 구성하는 물질의 굴절률을 조절함으로써 필터의 특성을 최적화하고자 시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전자빔 직접 기록 방식을 도입하여 두 개의 소자를 구현하였는데, 이들의 설계 파라미터를 살펴보면 격자 높이는 50 nm로 동일하며, 주기는 각각 340 nm와 260 nm였다. 측정된 결과를 살펴보면, 주기가 $\Lambda=340nm$인 소자의 경우에 중심파장은 680 nm이고 최대 투과율은 57%였으며, 주기가 $\Lambda=260nm$인 소자의 경우에는 중심파장이 550 nm이고 최대 투과율을 50%였다. 특히, 계산 결과를 통하여 격자 홀을 기판과 동일한 굴절률과 동일한 물질로 채움으로써 투과효율이 15% 이상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특집 : 동서(東西)의 만남과 실학: 동아시아 지식세계와 마테오리치 ; 조선 후기 우정론과 마테오 리치의 『교우논(交友論)』

        이홍식 ( Hong Shik Lee ) 한국실학학회 2010 한국실학연구 Vol.0 No.20

        본고는 조선 후기 지식인들이 마테오 리치의 『교우론』을 어떻게 수용했으며, 궁극적으로 어떤 영향을 받았는지를 구체적으로 천착하는 데 주된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우선 『교우론』이 탄생하게 된 배경과 성격에 대해 먼저 살폈으며, 이후 『교우론』과 그 내용을 직접 인용한 인물들을 중심으로 수용 양상을 일괄하였다. 이수광, 유몽인, 이서, 이익, 안정복, 박지원, 이규경 등 『교우론』을 직접 거론한 인물을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17세기 초·중반 『교우론』을 리치의 다른 저작과 함께 소개하는 수준에 머물렀던 경향이 18세기에 들어서면서 일변하여 『교우론』을 적극적으로 읽고 수용하기에 이르며, 19세기 초중반까지 이런 경향이 지속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이서와 이익을 중심으로 한 남인 계열 문인들과 박지원을 중심으로 한 북학파 문인들이 보여준 우정의 편린들에서 리치의 우정론과 『교우론』의 영향을 분명히 인지할 수 있었다. 무엇보다도 특히 제이아(第二我)로 귀결되는 동심의 논리가 불실이처(不室而妻)·비기지제(匪氣之弟) 등으로 분화하여 동인적·동지적 결속을 강화하는 데 일조하며, 나아가 새로운 형태의 우정을 지향하고 창조적 문학과 예술 창작의 토대가 되고 있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s aimed at specific inquiry on how intellectuals in the Late Joseon Dynasty had accepted the discourse of Matteo Ricci`s On Friendship and how they were ultimately affected by the book. Firstly, for a close survey,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the peculiarities of the book were examined, and then, the acceptance phase of the intellectuals who studied and quoted On Friendship is thoroughly viewed. The list of those intellectuals are including Lee Soo-kwang, Yoo Mong-in, Lee Seo, Lee Ik, Ahn Jung-bok, Park Ji-won, Lee Kyu-kyoung and more. Through the evolution of this discussion, the inclining tendency of influence of On Friendship and other books of Matteo Ricci on the Joseon intellectuals were sighted historically. If they had tended to give some brief introduction on Matteo Ricci`s achievements in the early and mid-17C, there were a complete change in the 18C dealing Matteo Ricci`s discourse actively and accepting it positively, and such trend went on until early mid-19C. Especially, the intimate friendly relations which were partially shown by scholars of Namin party(南人 系列) such as Lee Seo, Lee Ik and scholars of Bukhak school(北學派) such as Park Ji-won, could definitely be recognised as an evident influence from Ricci`s discourse in On Friendship. And most of all, this study also found out that the discourse of one mind that concludes with "the second self"(第二我), had differentiated into 不室而妻, 匪氣之弟 to strengthen the comradeship. And moreover, the research confirms that this discourse aims at the new formation of friendship to solidify the foundation of creative literature and art production.

      • KCI등재

        19세기 초 항해(沆瀣) 홍길주(洪吉周)의 글쓰기 경향

        이홍식 ( Lee Hong-shik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08 국제어문 Vol.42 No.-

        항해 홍길주는 19세기 초에 활동했던 대표적인 문장가로, 고문의 토대 아래 소품의 장처를 수용하여 개성적인 문학을 완성했던 인물이다. 그는 농암 김창협의 학맥과 문맥을 이은 형 연천 홍석주의 영향으로 당송고문을 익혔고, 연암 박지원과 다산 정약용 등 전후 대문호들의 영향으로 고문의 경계를 일정정도 벗어날 수 있었다. 문장의 중원(中原)에서 이루어지는 고문과 소품의 자유로운 소통은 홍길주 문학의 개성적 향기를 만들어내는 중요한 질료가 될 뿐만 아니라, 고문과 소품이 공존했던 19세기 초 조선의 글쓰기 경향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고문관이 확립되고 탈고문적 성향이 발휘되는 지점에 관심을 집중시켰다. 그 결과 “활물(活物)과 활독서(活讀書), 차이와 개별성, 소통과 문장중원”이라는 비교기준을 마련할 수 있게 되었고, 이를 통해 고문과 탈고문의 경계를 보다 명확하게 제시할 수 있었다. 이것은 홍길주 문학의 한 특징이 될 수 있을 뿐 아니라, 고문과 소품의 교섭양상까지 살필 수 있는 중요한 단초가 될 것이다. As Hong Gil-ju is a typically good writer in the early 19th century, he accepted a strong point of a short composition based on old prose, and then completed the individual literature. He learnt the old prose in Tang and Song due to the influence of Yeoncheon Hong Seok-ju, who succeeded to the context of Kim Chang-hyeop, and could escape from the boundary of old prose to some extent due to the influence of pre-and-post great writers such as Yeonam Park Ji-won. The communication in the old prose and the short composition, which is formed in Jungwon(中原) of a sentence, is the important substance that makes the characteristic of Hong Gil-ju`s literature, and may be the important index in understanding the tendency of literature in Joseon during the early 19th century. Accordingly, this study concentrated on a point that the view of old prose style was established and that the post-old prose propensity was displayed. As a result, the comparative criteria could be arranged that is the so-called “Hwalmul(活物) & Hwaldokseo(活讀書), difference & individuality, and communication & sentence Jungwon.” And, through this, the boundary in old prose and post-old prose could be presented more definitely. This is the important mechanism that allowed Hong Gil-ju`s literature to be born, and simultaneously, will be able to be important data in examining the aspect of connection between the old prose and the short composition at that time.

      • KCI등재

        조선 사신이 체험한 북경의 이문화(異文化), 코끼리[象]

        이홍식 ( Hong Shik Lee ) 한국언어문화학회 2016 한국언어문화 Vol.0 No.59

        This paper aimed at preparing basic to newly think things that Choseon envoys experienced divergent culture, elephants, and it was to be include elephants into limit of our culture. First of all, this paper diachronically analysed articles about elephants in Yeonhaengrok(燕行錄: records on envoy traveling to Beijing) and examined the course of changes on these articles. Then this paper inspected clues of changes and established cultural meaning-networks of elephants approximatively. Only to strength of efficiency study, this paper limited articles from 1637 to 1894 in records on envoy traveling to the Qing Dynasty. As a result, records about elephants were negligent in mid-to-late of 17C affected by strong hostility toward the Qing. Elephants penetrated metonymy media represented dignity and authority of emperors of the Qing dynasty were described as indignant mind and gloomy emotion in disorder. Whereas, after 18C when it was to change thought on the Qing and to rise grandeur discourse about elephants, inspections of elephants were more detailed and records of elephants were mounted up. Moreover, breadth of understanding about elephants was widen and deep approaches to them using various literature materials were confirmed under influence of naturalistic attention on things and historical thought. Also, cultural experiences were more abundant and new records were more growing due to increasing visit to Sangbang(象房 : place to breed elephants) which started at mid-to-late of 18C and were growing dramatically after 19C. Those results showed that elephants of Beijing came in our culture deeply through Choseon envoys’ sight. Especially, Inpyeongdaegun(a prince’s name of Choseon), Lee Yo’s records on Yeonhang(envoy traveling to Beijing) and Sanggi(象記 : articles about elephants) written by Yeonam Park Jiwon revealed possibilities to read them more concretely connected on degree of awareness on the Qing in mind of Choseon envoys. Because this paper only focused on including elephants in our cultural history, this paper could not reach elaborated analysis on major texts and could not grasp degree of awareness and meaning in them. Also this paper could not research materials after modern times. Which will be the next research theme.

      • KCI등재

        조선 후기 열녀전에 투사된 사대부의 욕망 탐색 -근재(近齋) 박윤원(朴胤源)(1734~1799)의 「염절부전(廉節婦傳)」을 중심으로-

        이홍식 ( Lee Hong-shik ) 우리한문학회 2021 漢文學報 Vol.45 No.-

        본고는 조선 후기 烈女傳에 투사된 士大夫의 욕망을 천착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열녀전에 투사된 사대부의 욕망은 사대부의 烈인식과 시대 인식을 구체적으로 보여줄 뿐만 아니라, 조선 후기 여성의 실제상을 구축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를 위하여 본고에서는 18세기 중후반 烈婦廉氏의 죽음을 다룬 近齋 朴胤源의 「廉節婦傳」에 주목하였다. 박윤원은 노론 낙론계 대표 학자로 조선 후기 사대부의 한 전형을 보여주어 사대부의 욕망을 천착하는 데 좋은 대상이 되고, 「염절부전」은 비교 대상이 될 만한 기록이 많이 남아 있어서 염씨의 삶과 그 속에 투사된 박윤원의 욕망을 분리하여 읽는 데에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실록 소재 사건 기록 및 曺兢燮과 李承熙의 열녀전 등을 비교대상으로 삼아 박윤원의「염절부전」을 분석하였다. 특히 염 열부의 죽음을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 그 서사의 방법에 주목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박윤원이 서사를 적극적으로 變改하여 염씨의 烈行을 극적으로 드러내고, 이를 통해 列聖의 敎養을 칭송하고 있음을 분명히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이러한 의도적 서사 變改에 염씨의 죽음을 통해 조선 후기 열 윤리의 일상성과 지리적ㆍ계급적ㆍ상징적 확장성 및 보편성을 확인시키려는 박윤원의 욕망이 잠재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욕망은 조선 후기 노론 낙론계 학자의 열 인식의 한 단면을 보여주며, 그들이 유교적 교화를 통해 완성하려 한 시대상을 잘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다만 「염절부전」에 투사된 박윤원의 욕망을 벗겨내고 변개된 서사를 되돌리면, 염 열부의 죽음은 다른 해석의 여지가 열리게 된다. 특히 박윤원이 확인시키려고 한 조선 후기의 열녀상이 만들어진 것이자 불완전한 것임이 분명히 드러나게 된다. 이 균열의 지점에서 제대로 된 여성상을 구축할 수 있는 만큼, 향후 다양한 비교 연구를 통해 열녀전에 투사된 사대부의 욕망을 천착하여 여기에서 분리된 여성상을 새롭게 구축할 필요가 있다. 그래야만 조선 후기 여성들이 열이라는 윤리에 어떻게 대응했는지, 그 구체적 실체에 조금 가까이 다가갈 수가 있을 것이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sire of Sadaebu(士大夫) who were project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desire of Sadaebu projected on the Yeolnyeojeon(烈女傳)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for constructing the real image of women in the late Joseon Dynasty, as well as concretely showing Sadaebu’s perceptions of the age and perceptions of the times. To this end, this paper paid attention to the Yeomjeolbujeon built by Park Yoon-won, a foundation that deals with the death of Yeolnyeo(烈女) Yeom, in the mid-to-late 18th century. Park Yoon-won is a representative scholar of Noron(老論) Nakron(洛論), who shows a model of the Sadaebu in the late Joseon Dynasty, making it a good object to observe the Sadaebu’s desire, and Yeomjeolbujeon(廉節婦傳) has many comparable records, which are effective in separating Yeom’s life and Park Yoon-won’s desire projected into them. Therefore, in this paper, the Yeolnyeobujeon built by Park Yoon-won was analyzed by comparing the records of the events in the Annals and the Yeolnyeojeon built by Cho Geung-seop and Lee Seung-hee. In particular, we focused on how to deal with the death of Yeolnyeo Yeom and the method of the narrative. As a result, it was clearly confirmed that Park Yoon-won actively changed the narrative to dramatically reveal Yeom's passion, and through this, he praised the teachings of various kings. Furthermore, it was confirmed that Park Yoon-won's desire to confirm the daily life, scalability, and universality of Yeol(烈) ethics in the late Joseon Dynasty was latent through Yeom’s death in this intentional narrative change. This desire is meaningful in that it shows a cross-section of Yeol(烈) ethics of Noron schola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shows the times they tried to complete through Confucian edification. However, if you remove Park Yoon-won’s desire projected on Yeomjeolbujeon and reverse the altered narrative, The death of Yeolnyeo (烈女) Yeom opens up room for other interpretations. In particular, it is clearly revealed that Park Yoon-won’s attempt to confirm the image of Yeolnyeo(烈女) in the late Joseon Dynasty was created and incomplete. At the point of this crack, you can build a proper female image. Therefore, through various comparative studie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new female image separated from this by observing the desires of the noblemen projected on the Yeolnyeojeon. Only then will it be possible to get a little closer to the concrete reality of how women in the late Joseon Dynasty responded to the ethics of Yeol(烈).

      • KCI등재

        정재학파(定齋學派)의 학(學),문(文)의 전승 연구 -와운(臥雲) 송형(宋형)을 중심으로-

        이홍식 ( Hong-shik Lee ) 근역한문학회 2016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44 No.-

        본고는 19세기 중후반 경북 영주 지역에서 활동한 학자이자 문인인 臥雲 宋□(1830~1881)의 개인 문집을 분석하여 學·文에서 이룬 성취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定齋學派의 學·文의 후대 전승이라는 맥락 위에서 의미를 부여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송형의 삶과 학문과 문학에서 드러나는 특징을 먼저 일별하고, 이를 다시 영남 퇴계학의 맥락 위에 재배치하여 그 연원을 파악한 뒤 정재학파의 學·文의 후대 전승의 맥락 위해서 송형의 위치를 가늠하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武山의 九曲에 精舍를 마련하고 처사적 삶을 구현한 데서 삶의 특징을 찾아냈고, 持敬과 誠意의 학문 자세로 爲己之學을 실천한 데서 학문의 특징을 읽어냈으며, 平易하고 簡澹한 문체 속에 儒道의 근본을 드러낸 데서 문학의 특징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 모든 것이 주자학을 근간으로 하되 퇴계 이황 이후 대산 이상정을 거쳐 정재 유치명으로 전해진 것임을 증명하였다. 그리고 이를 근거로 주자학적 正學의 확립을 통해 현실의 문제를 바로잡으려 했던 정재학파 내 일군의 인물 가운데 구체적인 斥邪 운동보다는 衛正의 學·文에 보다 더 힘을 쏟은 인물로 송형을 규정하였다. 비록 송형의 學·文이 현실 문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일군의 인물들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소극적이고 무기력해 보이는 것이 사실이나 주자학을 근간으로 퇴계 이황 이후 전승된 學·文의 본질을 현실에서 구현하려 했던 정재학파 의한 경향을 보여준다는 점에서는 의미가 있다고 보았다 This paper an alysed Song Hyeong``s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who was as cholar and writer acting in Young ju Kyeong buk at mid to late of 19C, then confirmed his achievements of study and writings. Based on the results, it would give meanings on context of transmission of Jeong jae hak pa(the scholars``group of Jeong jae)``s study and writings, which was the aim of this paper. Therefore this paper gave a glance to features of Song Hyeong``s life, study and literature firstly. Again, they were relocated on context of Hopa(虎派) in Young nam Toegyehak(退溪學: Toegye study), this paper grasped the origin and gave meanings and estimated the position of Song Hyeong on context of next generation transmission of Jeong jae hak pa``s study and writings. So this research found features of Song``s life realized life of Cheosa(處士:who is like a classical scholar) living a special house(like a school, cabin, but not a formal building) located at Gugok(nine valleys) in Mu san(name of mountain), showed features of study which were realizing We ji ji hak(爲己之學:this means that first, a scholar discipline himself and then he teach and learn study) with attitude of respect(持敬) and sincere Intention(誠意), and confirmed features of literature revealing the base of Confucianism in simple and talking style of writing. Also this paper proved that they were based on the doctrines of Chutzu(朱子學) and were transmitted from Dae san Lee Sang jeong to Jeong jae Yu Chim young after Toegye Lee Hwang. Therefore this paper defined Song Hyeong as a scholar who more concentrated on keeping right things(衛正) than expelling foreign culture(斥邪)and a member of Jeong jae hak pa to correct problems of the time through he stablishing the formal paragon go the doctrines of Chutzu. Although Song Hyeong, relatively, was a passive and lethargic scholar than other scholars who positively engaged in actual problems, it was meaningful that Song Hyeong showed a tendency of Jeong jae hak pa realizing essences of study and writings which were transmitted after Toegye Lee Hwang into real world

      • KCI등재

        죽음의 문학적 전통과 유서(遺書) -유형별 특징을 중심으로-

        이홍식 ( Lee Hong-shik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2 고전문학과 교육 Vol.23 No.-

        산 자를 위한 죽은 자의 마지막 메시지를 담은 유서(遺書)는 당대인의 죽음에 대한 이해와 죽음에 대응하는 방식, 삶에 대한 이해와 의식지향, 죽음과 문학과의 관계 등을 밝히는 데 매우 유용할 뿐 아니라, 문학ㆍ역사학ㆍ법학ㆍ교육학ㆍ사회학 등 다양한 영역에서 접근 가능한 의미있는 텍스트이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전혀 주목받지 못했다. 연구대상으로써 유서가 무의미해서가 아니라 관심의 부족에 기인한 바가 크다 하겠다. 이에 본고에서는 비지체(碑誌體) 산문, 애제체(哀祭體) 산문, 전장체(傳狀體) 산문 등 죽음을 매개로 탄생한 여타 한문학 텍스트와 마찬가지로 ‘유서 또한 한문학 분야에서 충분히 연구할 만한 것’이라는 전제 하에, 본격적인 연구를 위한 기초 작업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유서라는 독특한 글쓰기 양식에 맞는 자료의 범위를 한정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관련 분야에 대한 연구사를 검토하였으며, 내용을 중심으로 그 유형을 분류한 뒤 한글유서 등 관련 영역으로의 연구 확장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유서가 실용성과 문학성을 두루 갖춘 주요 한문 산문 텍스트로 죽은 자의 유한(遺恨)과 유명(遺命)과 유훈(遺訓)을 적절히 담아내어 문학과 교육 등 다양한 영역에서 접근 가능하며, 인접해 있는 여타 장르(<분재기>, <가훈>, 한글 유서 등)와의 비교 연구 또한 가능함을 분명히 확인할 수 있었다. 죽음의 문학으로서 유서가 가지는 가치가 분명히 존재하고, 이유서 속에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 가능한 의미가 갖추어져 있는 이상, 유서에 대한 연구는 앞으로 계속되어야 할 것이며 계속될 것이다. The wills which includes the deads’ the last message for the live are meaningful texts. They are very valuable not only to reveal understanding of contemporary people’s dead, actions for dead, understanding on lives and consciousness aim and the relation between dead and literature but also to approach various field such as literature, history, law, pedagogy, and sociology. However until now they had never received attention until now. It was that they are not meaningless but lack of interesting. This paper conducted basic working for regular study under that the wills were valuable to research in field of Chinese classics like other Chinese literature texts related to death such as prose of the letters on tombstone style(碑誌體), prose of sad letters on ancestrial rites style(哀祭體), prose of the letters on battle field(傳狀體) and so on. For this research, I limited range of materials which were suitable within unique writing styles as the wills. Then I examined academical history on related field based on these materials. Finally I assorted types focused on the contents and expanded this field such as Korean wills. As a result, the wills are important Chinese literature texts including practicality and literary value. Because they expressed the dead’s own spite(遺恨), the last orders of the dead(遺命), death-bed counsels(遺訓) and so on, they could be approached from various field such as literature and educations. And they also could be compared and studied by abutted other genre such as records of sharing property(分財記), family motto(家訓), Korean wills etc. The wills clearly have values as the literature of death and have useful avaliable meanings in various field. Therefore the study on the wills should be continu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