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一般論文 : 생절신유분문인(生節臣柳분門人)의 도학사상일고(道學思想一攷) -이경동(李瓊仝),이계맹(李繼孟),이목(李穆),나안세(羅安世)등을 중심으로-

        李炯性 ( Hyung Sung Lee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0 동양문화연구 Vol.6 No.-

        유학은 수기치인(修己治人)을 근간으로 하는 학문이다. 이를 토대로 한 조선시대 성리학적 정신문화는 시대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양상을 보였으니, 계유정란(癸酉靖亂)에는 춘추절의정신(春秋節義精神)으로 발양되고, 연산군과 중종 사화(士禍)의 시기에는 도학정신(道學精神)으로 드러났고, 왜란(倭亂)과 호란(胡亂) 시기에는 선비의 의리정신(義理精神)으로 고양되었다. 생절신(生節臣) 유분(柳?)은 평생 ``유일불원(遺逸不怨)``의 정신을 지향하며 과거도 보지 않고 천거되는 여러 벼슬도 나가지 않으며 오로지 절의를 지켰다. 그는 서재인 유일재(遺逸齋)에서 학문을 연마하면서도 혜학루(惠學樓)에서 문인들을 훈도하고 절의를 고취시켰다. 그의 대표적 문인은 이경동(李瓊仝)·이계맹(李繼孟)·이목(李穆)·나안세(羅安世) 등이다. 이경동은 숭의(崇義)의 정신에 입각하여 매사를 처리하면서도 충효(忠孝)의 정신이 있었고, 과거 역사적 인물을 객관적으로 바라보면서 자신의 현재성도 되돌아보았다. 이계맹은 의연히 "신하는 죽더라도 어려움을 핑계해서는 안된다"는 정신으로 주어진 벼슬에 나아가 최선을 다하는 데 항상 직심(直心)으로 여러 일을 처리하였다. 이목은 직의(直義)의 정신에 입각하여 매사를 처리하다가 그만 짧은 생애로 마쳤으나, 그의 정신적 삶은 생명이나 생사보다는 유가적 인의(仁義)를 실현하려는 것이었다. 나안세는 지효(至孝)의 정신으로 부모를 봉양하면서 벼슬에 나아가서는 나라와 백성을 향한 충의(忠義)의 직분을 다하였다. 생절신 유분을 계승한 그 문인들의 도학정신에 대한 발굴은 한국유학 도맥(道脈)의 한 연원을 발견하게 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Lyuboon(柳盼), Seaingjulsin(生節臣), pursued learning of Sugi(修己: cultivating his moral character) and chiin(治人: administering people). Forcibly expelled, he left Seoul to retire to Junju. He, while his whole life, aimed at spirit of ``yooilbulil(遺逸不怨: being expelled and not doing have grudge against anything)``. Ever since, he did not take the state examination, did not get into recommended government offical, and devotedly adhered to his principle. On brushing up study of Confucianism in Yooiljae(遺逸齋), he educated disciples and adhered to his principle in Hyehaklu(惠學樓). His representative disciples were Lee Gyungdong(李瓊仝), Lee Gyemaeng(李繼孟), Lee Mok(李穆) and Na Anse(羅安世). Lee Gyungdong, on conforming to the spirit of Sungeui(崇義: raising right), had mind of Chunghyu(忠孝: loyalty and filial piety). And he looked back his nowness on gazing into the past historic person. Lee Gyemaeng did his best on government post to resolute attitude. He always did his works by Jiksim(直心: straightforwardness). Lee Mok died at a young age while doing his works by being based on spirit of Jikeui(直義: truthful and right). But his spiritual life was that he realized more Ineui(仁義) of Confucianism than life and death. Na Ansei performed duty of Chungeui(忠義: faithfulness) for country and people and did everything he could his parents.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철학(哲學)) : 반계(磻溪) 유형원(柳馨遠)의 저술 재검토와 후학의 관련 자료 고찰

        이형성 ( Hyung Sung Lee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5 韓國思想과 文化 Vol.79 No.-

        조선은 양란 이후 사회적 질서가 무너져 사회·경제적으로 위기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시대 위기를 극복하고 국가와 사회의 안정을 도모하고자 하는 학자들이 있었다. 무너진 질서 체계를 적극 바로잡으려고 추진한 학자는 바로 반계(磻溪) 유형원(柳馨遠)이었다. 그의 『반계수록(磻溪隨錄)』은 당시 사회상을 철저하게 반영한 저서였다. 유형원은 10대 중반에 병자호란을 겪은 이후 삶이 매우 어려웠다. 출사(出仕)를 통해 어려운 삶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당시 무너진 사회 질서를 목도하고서 출사보다는 참다운 학문을 지향하는 열정이 남달랐다. 부안으로 이주한 이후 초야에서 학문을 깊이 탐구하며 52세에 삶을 마감하기 전까지 많은 저술을 남겼다. 유형원 사후, 그의 문인과 후학들이 지은 「전(傳)」과 「행장(行狀)」등은 그의 저술 서목이 언급되었지만 일률적이지 못한 면이 있고 서명이나 권수도 약간씩 다르기도 하였다. 그리하여 유형원이 지은 서목을 일일이 재검토하여 내용적으로 재분류하였다. 그리고 후학들의 유형원 관련 직·간접 자료를 살펴보면서 그들 자료에 담긴 유형원의 내용을 간략하게 다루었다. 그 자료를 일일이 나열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어 후학14인만을 한정하였다. 이러한 작업은 앞으로 유형원의 사상을 입체적으로 고찰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줄 것이다. 나아가 근기실학과 대비되는 호남만의 독자적 실체를 가지는 것이므로, 유형원에 대한 직간접 자료 발굴 조사가 이루어질 때 “호남실학”을 종합적으로 연구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After the both wars of Imjin and Byeongja, Joseon incurred social and economic crises due to destruction of its social order. There were scholars who sought to overcome the time of crises for national and social stability. A scholar that intended to systematically correct everything was Yu Hyung-won(柳馨遠) who was playing an active role in Honam Province. His Bangyesurok(磻溪隨錄) was a piece of writing which thoroughly reflected social aspects of that time. After his death, writings such as Jeon(傳) and Haengjang(行狀) by other literators and junior scholars mentioned his written works but it was not so much of uniformity and there also was not inconsiderable number of scholars who followed Yu Hyung-won’s thoughts and promoted reforms. This article reexamined every piece of Yu Hyung-won’s writings one by one and reclassified them according to their contents. Referring to both direct and indirect materials of scholars who succeeded Yu Hyung-won’s thoughts, this study briefly covered Yu Hyung-won’s study in those materials. This work would be a future opportunity to examine Yu Hyung-won’s thoughts in a stereoscopic manner and to study “Silhak(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in Honam Province” comprehensively. Further, it would help to get a sense of the independent identity of Honam Province in comparison to Silhak in near-capital area(近畿實學).

      • KCI등재

        寒洲 李震相의 '明德說'에 대한 理重視的 관점 一攷

        이형성(Lee Hyung sung) 한국동양철학회 2015 동양철학 Vol.0 No.44

        조선의 성리학은 우주론보다는 인성론에 대한 탐구가 깊었다. 16세기 중후반에 마음 밖으로 드러난 사람의 감정을 리기론(理氣論)으로 논쟁한 사단칠정론(四端七情論), 18세기 초반에 마음 내면에 내재한 사람과 동물의 본성이 같은가 다른가를 리기론으로 논쟁한 인물성동이론(人物性同異論), 그리고 19세기 내우외환(內憂外患)의 격동기에 심(心)과 '명덕(明德)'의 정의와 그 관계에 대한 리기론적 탐구가 그것이다. 특히 심과 명덕을 논한 학자 가운데에는 '성이 곧 리이다'라는 성즉리(性卽理)를 상기하면서도 심과 명덕을 격상시켜 리(理)와 일치시켜 전개하는 학자도 있었다. 당시 학계를 대표할 만한 학자는 화서(華西) 이항로(李恒老), 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 한주(寒洲) 이진상(李震相) 등이다. 본 논문은 영남 성주에서 활약한 이진상의 '명덕설'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이진상은 35세 때(1825) 『대학』을 탐구하여 『대학차의(大學箚義)』를 지을 무렵, 주희(朱熹)의 '명덕'에 대한 주석을 치밀하게 분석한 다음, 종국에는 리의 관점에서 해석하고 기의 관점에서 해석한 명덕론을 비판하였다. 그후 61세 때(1878) 「명덕설(明德說)」을 저술하여 리의 관점에서 명덕을 해석한 '명덕주리설(明德主理說)'을 구축하였다. 논문 내용은 주로 원론적으로 전개하였는바, 먼저 주희의 명덕 주석에 대한 이진상의 해석, 그리고 명덕의 주기적(主氣的) 관점을 비판한 내용을 다루었으며, 마지막으로 이진상이 명덕과 심(心)ㆍ성(性)ㆍ정(情)을 일리(一理)로 조응(照應)시켜 전개한 것을 다루었다. 그의 리 중시적 명덕설 논지는 개인의 도덕적 윤리를 강화시키는 면이 강하고, 나아가 참된 도덕성을 배양한 선비나 위정자들이 시대적 사명을 가지고 국가와 사회에 실제적 영향력을 끼치고자 한 측면을 드러내는 것이라 하겠다. The Neo-Confucianism of Chosun had not finely investigated the definition of Sin(心, Mind) and Myeongdeok(明德, Righteous Way of Justice) and their relation until the 19th century. This study is focused on Lee Jin-Sang's theory of Myeongdeok. Lee looked into Great Learning at his 35(1825) to write Daehakchaeui(大學箚義, a book of showing the justices written in Great Learning). For such job of his at that time, he analyzed Zhuxi's annotation on Myeongdeok in detail and then translated Myeongdeok at the viewpoint of Ri(理, Principle) and criticized Myeongdeok translated in the viewpoint of Gi(氣, energy flow). Finally at his 61(1878), Lee wrote the Theory of Myeongdeok so that he could firmly established the theory of Myeongdeok at the viewpoint of Ri. The article of this study is mostly in theoretical basis to show Lee's translation of Zhuxi's annotation on Myeongdeok, Lee's criticism on the viewpoint of Gi on Myeongdeok and finally Lee's work for balancing and integrating Myeongdeok and Sim(心)ㆍSung(性)ㆍJung(情) in a principle. His point of the theory of Myeongdeok focusing on Ri values the individual's moral principle and furthermore to encourage the scholars and politicians with true morality to have actual impact on the nation and society under the calling of the age given to them.

      • KCI등재

        철학 : 한주(寒洲) 이진상(李震相)의 『직자심결(直字心訣)』에 보인 직사상(直思想)의 이학적(理學的) 특색 연구

        이형성 ( Hyung-sung Lee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5 동양문화연구 Vol.21 No.-

        한주(寒洲) 이진상(李震相)은 19세기 영남 성주에서 학술활동을 전개하여 조선 6대가 또는 근대 3대가로 일컬어지고 있다. 그는 리(理)와 기(氣)의 개념을 통해 심(心)을 성(性)ㆍ정(情)과 연관시키면서 인간의 내면을 철학적으로 탐구하였다. 그는 심성론을 치밀하게 탐구하는데 먼저 심과 연관된 ‘직(直)’을 경전과 선현들의 논의에서 모아 34세『직자심결(直字心訣)』을 완성하여 수양의 근간으로 삼았다. 경전과 선현들의 논의에서 모은 자료를 분류하여 총 41개의 장으로 구성하였다. 이진상은 심의 ‘직’과 ‘경(敬)’ㆍ‘의(義)’를 연관시켰는바, 먼저 ‘경’을 통해 심의 내직성(內直性)을 확립하고 ‘의’를 통해 심의 외직성을 지향하였다. 특히 ‘직(直)’에는 내적 직심(直心)과 외적 직도(直道)로 분류하였는데, 직심은 내면에 사사로움이 없는 상태이고 직도는 사사로움이 없는 직심이 밖으로 그대로 표출된 것이다. 그는 이러한 ‘경’ㆍ‘의’과 ‘직’의 유기적관계를 통해 사욕(邪欲)을 제거하고 천리가 분명하도록 하는 수양 공부를 전개하였다. 그 직심이 직도로 표출하도록 하는 방법은 학(學)을 좋아하고 예(禮)를 밝혀 중도(中道)에 나아가도록 하는 것이다. ‘경’ㆍ‘의’ㆍ‘예’ㆍ‘학’의 유기적 연관을 통하여 직도가 확립되는 것이다. ‘직’에 대한 수양은 ‘예’에 의한 ‘경’을 보존하여 직심을 확립하고 ‘의’에 의한 시비판단을 할 적에 직도로 처리하는 것이다. ‘직’에 의한 심의 수양은 궁극적으로 내외일치를 모색하는 것이다. 이러한 내외일치는 이진상이 주장한 ‘심의 주재성’과 ‘리의 주재성’으로 발전하는 계기를 주었을것이다. The fundamental thought of Chosun Period can be said to be Neo-Confucianism. Many Confucianism in the Chosun Period made research into Neo-Confucianism and formulated their own philosophical theories. This thesis is focused on the Superintendence Character of Neo-Confucianism raised by Lee Jin-sang(李震相:1818∼1886) of the 19th century, who was called one of the six Confucian Philosophers in the Chosun Dynasty. He systematized his philosophy as taking a serious view Li and coincided Li in the Theory of Liki (理氣) and Sim in the Theory of Simsung(心性). Lee, Jin-sang studies Neo-Confucianism on close examination and also of Jik of Sim. In sacred books and discussions of previous scholars, he collects only letters of Jik which can become a secret of Sim and published the『Jikjasimgyul(直字心訣)』 . The phrases quoted on sacred books are 『The Shoo-king』,『The Book of Odes』, 『The Book of Changes』,『The Book of Odes』, 『The Analects of Confucius』,『The Doctrine of the Mean』,『The Great Learning』, 『The Works of Mencius』and 『The Book of Proptiety』. The discussions of previous scholars are of Ju Don-yi(周敦이), Jung Ja(程子), Jang Jae(張載), So Ong(邵雍) and Ju Hui(朱熹). He wished to solidify the superintendence of Sim as Kyung(敬), Eui(義) and Jik(直). If as Kyumg, self-interest in Sim is removed ane Chenli(天理) is cleared. The corresponding superintendence of Kyung and Sim will control body going to sensuous self-interest and make the original nature be wholly revealed. When Sim is coincided with Li through Kyung, it is straighted. Jik(直), Straight, classifies into two groups-Jiksim(直心) of the inside and Jikdo(直道) of the outside. Jiksim is not personal felling in the inside. Jikdo is that Jiksim without personal felling is revealed to the outside. Jiksim revealed to Jikdo is that it makes progress into the moderation as studiousness and Ye(禮). This will make person exist in the real world. Lee, Jin-sang’s superintend-Cultivation of Sim is that Kyung controls Gaekyong revealed from Hyungche, body does not lose sensuous self-interest, and the original nature makes be wholly revealed through Jik. The cultivate one’s min of Jik establishes Jiksim as maintaining Kyung by Ye, and processes daily happenings by Jikdo as judging right and wrong on Eui. Ultimately such a thing is that we will grope a agreement of the interior and exterior. That shall just give one opportunity of expanding over the superintendence of Sim and Li which Lee Jin-sang insisted. We can surely say that his Cultivation-Method of Sim in Neo-Confucianism is evaluated high in the history of Korean philosophy.

      • KCI등재

        담계(澹溪) 금서경(金瑞慶)의 반계학(磻溪學) 계승과 경세의식(經世意識)

        이형성 ( Hyung-sung Lee ) 퇴계학부산연구원 2016 퇴계학논총 Vol.27 No.-

        조선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 사회 경제적으로 위기를 직면하였다. 당시학자들은 성리학에 대한 치밀한 연구보다는 국가와 사회의 개혁을 통한 안정을 도모하려 하였다. 그 중심의 인물이 바로 유형원(柳馨遠)이었다. 유형원은 32세 때 호남 부안 우반동에 정착하여 제자 양성보다는 국가와 사회의 부조리를 개혁하는 학문과 저술에 전념하였다. 이러한 활동 때문인지 몰라도 그의 문인들은 많이 언급되지 않았다. 그런데 최근에 알려진 담계(澹溪) 김서경(金瑞慶: 1648∼1681)의 유고집으로 인해 김서경이 유형원의 학문을 계승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김서경은 부안 우반동에서 유형원을 모시면서 11년 동안 수학하였다. 스승 유형원을 만나기 이전, 성리학적 실천을 지향하면서도 고대 동양 역법의 기초이론으로불리는 ‘기삼백(朞三百)’을 혼자 풀어내 수리 능력을 보이기도 하였다. 16세 때 유형원에게 나아가 학문을 익힐 적에, 그는 스승으로부터 『중용』의 박학(博學)ㆍ심문(審問)ㆍ신사(愼思)ㆍ명변(明辨)의 방법, 『대학』의 격물치지(格物致知), 『논어』의 박문약례(博文約禮)라는 학문적 방법을 배양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학문에 매진하다보니 자연 과거공부에 전념하지 않았다. 하지만 부친의 간곡한 권고로 향시에 합격한 다음, 33세 때 성균관에서 과거시험을 준비하다가 병을 얻어 귀향한 지 얼마안되어 1681년 34세의 일기로 삶을 마감하였다. 본 글은 김서경이 남긴 『담계유고(澹溪遺稿)』를 통해 그의 반계학 계승과 경세의식을 살펴본 것이다. 그 내용은 세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첫째, 김서경은 알려져있지 않은 인물이기에 생애와 저술을 많이 다루었다. 둘째, 유형원에게 나아가 11년 동안 학문을 익히며 반계학(磻溪學)을 계승하였지만 유형원과 같이 사회개혁을 지향한 글보다는 심의 참다운 수양을 통해 성인(聖人)을 지향하려는 의식이 강하게 드러내고 있어 이를 다루었다. 사회개혁에 대한 글이 전무한 것은 아마도 그가 요절하였기 때문일 것이다. 셋째, “백성을 포용하고 대중을 기른다[容民畜衆]”는 경세의식을 살펴본 것이다. 이 의식 속에는 의식주에 모자람이 없도록 하여 육체를 기르고 인륜 도덕을 가르쳐서 정신을 길러야 한다는 양면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는 위정자가 “때에 따라 마땅함을 헤아린다”는 의식을 통해 백성을 포용하고 대중을 기르도록 하는 것이었다. 김서경의 반계학 계승을 통한 경세의식은 양란으로 인한 위정자의 윤리의식의 결여를 극복시켜 유학의 주체적 인간상을 회복시키려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상사적 측면에서 보면 실학의 초기 단계의 경세치용적 윤리관을 제시하는양상이 강하다 할 것이다. By the mid-17th century, Chosun was in a social and economic crisis. Scholars turned away from theoretical studies of Neo-Confucianism to studies of governance in order to reform the society and stabilize the lives of the people. Kim Seo-kyung(金瑞慶: 1648∼1681) found home in Buan and studied under Yoo Hyung-won(柳馨遠) who sought to reform the irregularities of the society. Kim had begun with studies in his home town, focusing on Neo-Confucian practice. After he met Yoo, following in the rigorous methodology of Yoo, Kim shifted focus of his academic works from studying for civil service entrance examination to self-development aimed at becoming a virtuous man. Unfortunately, Kim’s life was cut short at 34 years and he could not further expand his research. This study examines Kim Seo-kyung’s Damgyeyugo(澹溪遺稿) in order to see how he succeeded the tradition of Bangyehak(磻溪學: ideology of Bangye) as well as his philosophy of governance. The author does this in three ways. First, since Kim Seo-kyung is a little-known figure, his life and works are introduced. Second, Kim’s succession of Yoo Hyung-won’s ideas is examined, especially his aspiration to a virtuous man through the real self-discipline of the mind. Third, the study explores his philosophy of governance which sought to embrace the people and foster the public. Kim Seo-kyung’s succession of Bangyehak and philosophy of governance can be understood as an effort to rebuild a moral awareness, which had been eroded by Injin and Byungja Wars, so as to restore the Confucian autonomous agency. Hence, in terms of the history of ideology, this follows in the practical morality of the early forms of realist Confucianism.

      • KCI등재후보

        牛溪 成渾의 理重視的 性理說 一攷

        李炯性(Lee, Hyung-Sung) 포은학회 2010 포은학연구 Vol.5 No.-

        牛溪 成渾은 16세기에 활동한 성리학자이면서 문신으로, 부친 聽松 成守琛의 학문을 계승하다가, 白仁傑에게 나아가 학문을 닦았다. 우계는 평소 실천공부를 중시하였다. 실천공부란 현실세계에서 물욕 위주의 인욕으로 나아가기보다는 사람이 지켜야 할 도리로서 천리를 함양하는 태도를 보여주는 것이다. 그는 실천공부를 중시하면서 천리에 대한 체찰과 체험을 통해 진실한 도를 배양하고자 하였고, 또한 인간의 순수한 감정이 드러나도록 하였다. 이러한 천리 중시의 학문적 경향은 자연 성리설에서 리를 중시하는 경향으로 나아갔다. 그의 리를 중시하는 경향은 四端七情論에서 退溪 李滉의 학설을 받아들이는 계기가 되었다. 율곡과 사단칠정에 대해 논쟁하면서 心을 미발 상태와 이발 상태로 구분하고 사단과 칠정을 '리와 기의 一發'로 여겼다. 우계는 이발상태에서 리와 기가 동일하게 발현하는 가운데 그 중점을 취하여 '主理'.'主氣'라고 말하면서도, 발현하는 과정에서 리의 발현을 퇴계와 같이 인정하려 하였다. 우계의 리 중시는 현실에서의 '物事'나 '理勢'에 대한 察知 강조로 이어진다. 현실에서 '물사'와 '리세'에 대한 찰지 강조는 “형세가 다하면 이치도 다한다”는 원리를 우계 자신이 삶 속에서 체험하였기 때문이다. '물사'나'勢' 그리고 본원적 '리' 등의 필연자연성 찰지 강조는 위정자의 '미래에 대한 올바른 방향'.死生人의 '위안과 정신적 안정'.그리고 현실을 객관적으로 볼 수 있도록 하는 學人들의 '달관적 삶'을 위한 것이다. 그의 이러한 현실관은 리와 기의 이분적 성리학에서도 리를 중시하는 면이 지대하였기 때문이다. Woogyu(牛溪) Sung Hon(成渾: 1535~1598) is a scholar of Neo-Confucianism in the sixteenth century. He liked to develop the true Tao(道: the way) through experience people must keep on, than he, as usual, putted emphasis on study of practice and went forward love of gain. Such scientific attitude tended to put emphasis on Li(理) in Neo-Confucianism. His tend of stress on Li paved the way for accrpting Lee Hwang(李滉)'s theory in Sadanchiljunglon(四端七情論: the theory of the four origins and seven passions). As sung Hon had argument with Lee Yi(李珥) for the theory of Sadanchiljung, he distinguished Sim(心: haart) from the condition of no reveal and the condition of reveal. Even though regarded Sadan and Chiljung as 'Ligiilbal(理氣一發: the same reveal of Li and gi)', it is that he can say 'Juli(主理)' and 'jugi(主氣)' as choosing the emphasis. He likes to recognize reveal of Li is just influence of Lee Hwang. The Sung Hon's emphasis of reveal of Li is first hand concerned with stress of observation on 'mulsa(物事)' or 'lisse(理勢)' from reality. Observation on 'mulsa' and 'Lisse' is that he goes through the principle-"If the situation is done, the way of the world finishes" in many hardships of life. Especially his emphasis on observation of inevitability and naturality of Li is three factors. The first is for 'right direction about the future' of politician. The second is for 'consolation and psychological stability' of a life or death situation. The third is for viewing human affairs with a philosophical as the learner can see reality objectively. These are inclined to do much emphasis of reveal of Li in Neo-Confucianism of dividing Li and Gi.

      • KCI등재

        MR유체를 이용한 유량제어 밸브

        이형돈(Hyung-Don Lee),배형섭(Hyung-Sub Bae),이육형(Yuk-Hyung Lee),박명관(Myeong-Kwan Park)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11 제어·로봇·시스템학회 논문지 Vol.17 No.9

        This paper presents development of flow control valve using MR fluid. Generally, since the apparent viscosity of MR fluids is adjusted by applying magnetic fields, the MR valves can control high level fluid power without any mechanical moving parts. In this paper, flow control valve using MR fluid on the behavior of the magnetic field influence on the numerical analysis of more accurate electromagnetic parameters were obtained, even if when magnetic field apply inside of surrounding MR fluid from electromagnet, more realistic designing way analysis of characteristic of whole magnetic field distribution is suggested by surrounding magnetic material. Also, comparison of flow rate inlet and outlet, behavior of MR fluid in experiments proposed. A new type of flow control valve using MR fluid is proposed by analysis of behavior of MR fluid in experiments.

      • KCI등재

        목산(木山) 이기경(李基敬)의 삶과 사상(思想)에 대한 일고(一攷)

        이형성(Hyung Sung Lee) 퇴계학부산연구원 2011 퇴계학논총 Vol.18 No.-

        목산(木山) 이기경(李基敬)은 가학을 계승하다가 24세 때 도암(陶庵) 이재(李縡)의 문하에서 학문을 닦았다. 과거에 급제한 이후, 그는 소신 있는 관리가되고자 하여, 잘못된 관리를 보면 가차 없이 상소로 공척하고 뜻있는 선비를보면 구명하였다. 그의 상소에는 영조의 탕평책을 풍자하는 면이 있기도 하고 위배되는 내용도 있었다. 그리하여 사적에서 삭제당하고 해남현에 정배되는가 하면, 관직이삭탈되고 남해현의 서민으로 강등되어 흑산도로 유배되기도 하였다. 그는 관리자로 벼슬에 있을 때나, 죄인으로 유배지에 있을 때 줄곧 일기를 썼다. 이러한 일기는 단순한 기록이 아니라, 관리자로 있을 때에는 책임의식을 다하고자 하는 것이었고 죄인의 신분으로 있을 때에는 자신에 대한 성찰의식을 갖는 것이었다. 유배에 처할 정도로 그가 자신의 정치적 소신을 펼친 것은 바로 『서경(書經)』 「홍범(洪範)」편에서 언급한 "황극탕평론(皇極蕩平論)"에 의거한 것이었다.즉 군주라면 우주의 중심이 되는 "황극"과 같이 치우침과 편벽됨이 없는 자세로 정치에 임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기경이 현실정치에서 "황극탕평론"을 주장하고 있으나, 성리학적 리기론은 리(理)와 기(氣) 어느 한편에 치우치지 않고 서로 회통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이를 기반으로 한 심성론에서의 인물성동이론(人物性同異論) 탐구는 "같으면서 다르다[同而異]"는 논지를 일관되게 원용하여 치우치지 않는 학적 자세를 취하는 것이었다. 이기경의 리와 기에 대한 관점 제시, 그리고 성에 대한"같으면서 다르다"는 논지 전개는 당시의 성리학적 논쟁을 지양하면서 종합하고 절충하여 회통시키고자 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Moksan(木山) Lee Gi-gyoung(李基敬)이 learned from Do-am Lee Jae. He passed Gwa-geo(科擧: the highest civil service examination) and worked as a civil servant with a firm political idea of his own, which sometimes caused the king to be angry with him and him to be banished several times. He wrote journal always no matter where he was: in the central government or in his banished sites. He wrote it not only for just recording but for trying to fulfill his sense of responsibility while in government and for being enlightened of himself while in banished sites. He could show his own political viewpoint so strongly that he was banished since he was based on the theory of HwangGeukTangPyeong(皇極蕩平), which told kings to be neither inclined nor unfair to a certain political idea as if they should be "HwangGeuk" that was the center of the universe. His theory of Ri(理) and Gi(氣) based on Neo-Confucianism was for interchange between Ri and Gi. His study on the theory of InMulSeongDongYi 人物性同異: People and thing are same and different) made him have the academic attitude not inclined to a certain political party only, referring to its idea: "Different while same". He showed such political idea to have the Neo-Confucianism arguments of that time interchange each other by making them generalized and compromised into one with such arguments sublated.

      • KCI등재후보

        성재 김익수선생 고희기념 특집호 : 한국사상(철학) ; 수양론적 측면에서 한주사상의 심 고찰

        이형성 ( Hyung Sung Lee ) 한국사상문화학회 2007 韓國思想과 文化 Vol.36 No.-

        본 논문은 경북 성주에서 학술활동을 전개하여 조선 6대가 또는 근대 3대가로 일컬어진 이진상(李震相)의 성리철학 가운데 심(心)의 수양적 측면을 고찰하였다. 심은 성리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갖는다. 그것은 성(性)·정(情)과 연관관계를 맺으면서도 리(理)와 기(氣)의 기본개념을 통해 철학적으로 인간의 내면을 탐구하는 대상이다. 이진상은 성리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심을 理와 氣로 논의할 때 논쟁의 여지가 있기에 심의 의미를 면밀하게 고찰하였다. ``본체(本體)``·``형체(形體)``·``묘용(妙用)``·``객용(客用)``으로 분류한 것이 그것이다. 그리고 형체에서 객용으로 나아가는 심의 감각적 작용은 마음의 본체와 묘용이라는 본래성을 잃어버리게 한다. 그리하여 그는 ``경(敬)``과 ``직(直)``을 통해 심의 주재성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심에서 ``경`` 공부는 존양(存養)과 성찰(省察)을 통해 구축하고자 한다. 존양은 마음의 미발상태에서 본성을 전일하게 하는 내면적 수양이고, 성찰은 마음의 이발상태에서 감정이 본성대로 발현하도록 하는 외면적 수양이라 할 수 있다. 경을 가지고 한 마음의 미발상태와 이발상태를 주재하게 되면 자연히 심에서 사욕(邪欲)이 제거되고 천리가 분명하게 된다. 경과 심의 상응적 주재성은 한 몸이 감각적 욕망으로 빠지는 것을 통제하여, 인간의 본성이 온전히 발현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진상에 의하면 ``경``을 통해 심이 리와 일치할 때, 심은 그 내직성(內直性)을 드러낸다. 직(直)에는 내적 직심(直心)과 외적 직도(直道)가 있는 바, 직심은 내면에 사사로움이 없는 상태이고 직도는 사사로움이 없는 직심이 밖으로 그대로 표출되는 것을 말한다. 그 직심이 직도로 표출하도록 하는 방법은 학문을 좋아하여 그 폐단을 제거하고 예를 밝혀 중도(中道)에 나아가도록 하는 것이다. 직도는 고원한 것에서 찾는 것이 아니고, 일상 생활에서 진리를 구하는 것이다. ``경(敬)``·``예(禮)``·``학(學)``의 유기적 연관을 통하여 직도가 확립되는 것이다. 내면적 직심을 통해 외면적 직도의 발현은 인간의 실존적 존재가 될 가능성을 열어 주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 즉 그의 심의 주재적 수양은 형체에서 드러나는 객기적(客氣的) 작용을 ``경``으로 조절시켜 몸이 감각적 욕망으로 빠지지 않도록 통제하고 나아가 ``직``을 통해 인간의 순수한 본성이 구현하도록 하는데 있었을 것이다. The fundamental thought of Chosun Period can be said to be Neo-Confucianism. Many Confucianism in the Chosun Period made research into Neo-Confucianism and formulated their own philosophical theories. This thesis is focused on the Superintendence Character of Neo-Confucianism raised by Lee Jin-sang(李震相:1818∼1886) of the 19th century, who was called one of the six Confucian Philosophers in the Chosun Dynasty. He systematized his philosophy as taking a serious view Li and coincided Li in the Theory of Liki(理氣) and Sim in the Theory of Simsung(心性). Lee, Jin-sang studies Sim playing an important part in Neo-Confucianism and classifies into four groups-Bonche(本體), Hyungche(形體), Myoyong(묘용) and Gaekyong(客用). All sensuous action of Sim advancing to Gaekyong from Hyungche loses purity of Sim to Myoyong from Bonche He wished to solidify the superintendence of Sim as Kyung(敬) and Jik(直). If as Kyumg, self-interest in Sim is removed ane Chenli(天理) is cleared. The corresponding superintendence of Kyung and Sim will control body going to sensuous self-interest and make the original nature be wholly revealed. When Sim is coincided with Li through Kyung, it is straighted. Jik(直), Straight, classifies into two groups-Jiksim(直心) of the inside and Jikdo(直道) of the outside. Jiksim is not personal felling in the inside. Jikdo is that Jiksim without personal felling is revealed to the outside. Jiksim revealed to Jikdo is that it makes progress into the moderation as studiousness and Ye(禮). This will make person exist in the real world. Lee, Jin-sang`s superintend-Cultivation of Sim is that Kyung controls Gaekyong revealed from Hyungche, body does not lose sensuous self-interest, and the original nature makes be wholly revealed through Jik. We can surely say that his Cultivation-Method of Sim in Neo-Confucianism is evaluated high in the history of Korean philosophy.

      • KCI등재

        한주성이학(寒洲性理學)에서 태극동정(太極動靜)과 음양오행(陰陽五行)에 대한 일고(一攷)

        이형성(Hyung Sung Lee) 퇴계학부산연구원 2011 퇴계학논총 Vol.17 No.-

        한주(寒洲) 이진상(李震相)은 성리학(性理學)을 면밀히 탐구하면서 리(理)를 중시하는 독자적 성리사상을 전개하였다. 그에 대한 평가는 이황(李滉)과이이(李珥)와 같이 리기이원론자(理氣二元論者)라고 하고 또한 그의 "심즉리설"(心卽理說)로 인해 극도의 주리파(主理派)라고 하는가 하면, 관념적 철학추구로 반동적 철학가라고 폄하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학문적 평가 속에서도 이진상은 당시 학자들 가운데 3대가로 꼽기도 하고, 또 조선 수많은 성리학자 가운데 6대가로 칭송하기도 한다.이진상의 리 중시적 경향은 「태극도설(太極圖說)」과 「태극도설해太極圖說解)」에서 "태극동정(太極動靜)"과 "음양오행(陰陽五行)"을 치밀하게 탐구한 데서 기인한 것이었다. 그에 의하면, 무극태극론은 음양이 생기기 전 우주(천지)의 대원두(大源頭)에 나아가 말하는 것이고, 동정론은 정자의 "동정은 음양의 근본이다[動靜者 陰陽之本也]"라고 하는 논리를 수용한 것으로, 이는"태극은 동정이 있다"는 것을 입증하고자 한 것이다. 또한 음양오행론은 음양의 대대와 순환에 의하여 오행이 생기고, 오행에 의한 자연계의 구체적만물이 생성하나 그 이면에는 각각의 오상을 내재하고 유행한다는 것이다.이러한 논지 전개는 천도론(天道論)의 태극과 인성론(人性論)의 심(心)을구조와 원리적 측면에서 일치시키려는 것이었다. 특히 그가 태극인 리와 심의 주재성을 강조하는 것은 이황의 "심합리기"(心合理氣)를 극복하려 하면서궁극적으로 인간의 내면적 심의 참모습을 발견하려는 것이었다. Lee Jin-sang(李震相: 1818∼1886), studing precisely Neo-Confucianism in the 19th century, regarded Li(理) to be the most important and developped his own independent Neo-Confucianism thought. Therefore he was called one of the six Confucian Philosophers in the Chosun Dynasty. His regarding Li to be the most important was attributable to studing precisely Teageugdongjung(太極動靜: The Supreme Ultimate and movements) and Eumyangohaeng(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According to his logical development, Teageugdongjung theory was told into the cosmos when Eumyang was formed, and Dongjung theory was acceptting Jungja(程子)'s saying Dongjung is the root of Eumyang. Lee Jin-sang's discussions is to ascertain the fact that Teageug has Dongjung. Eumyangoheang theory was told that Ohaeng was formed by the circulation of Eumyang, and circulated with each Osang(五常) behind it although the concrete things of the natural world was produced by the Ohaeng. His these developments were that he wished to reconcile Teageug of Chendolon(天道論) and Sim(心) of Insunglon(人性論) in the side of structure and principle. Specially, Superintendence Character of Li and Sim to be Teageug in his Neo-Confucianism was aimed at discovering the internal realities of human's Si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