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충민공 이도철의 순국정신과 제천

        이창식 ( Lee Chang_sik ) 세명대학교 지역문화연구소 2005 지역문화연구 Vol.4 No.-

        In 1895, They formed an organization around Lee Doh Chul and Im Choi Soo in revenge for Queen Myung-Sung who was assassinated by japanese killers (they called El-Mi-Oe-Ran) and the incarceration of Emperor Go-Jong, that is so called Chun-Sang Gate insurrection. The insurrection supporters assaulted through the Chun-Sang Gate of Kyung-Bock Palace was in vain, the leaders were arrested and a lots of participators condemned to death but it was the endeavor for a spirit of national salvation and a legitimate sovereignty. When Leaders of Chun-Sang Gate insurrection was arrested they would not implicate the King even though they moved by the terms of King's secrete Royal decree. They died chivalrously. After all Emperor Go-Jong bestowed Chung-Min Gong for the sake of his loyalty and ordered memorial service at Jang-Chung-Dan-Sa, So he was appraised appropriately at that time already.

      • 태백지역 아라레이의 전승과 기능보유자

        이창식(Lee, Chang-Sik) 아시아강원민속학회 2009 江原民俗學 Vol.23 No.-

        Arirang of the Korean race is the traditional symbol miscarriage which the Republic of Korea is representative. Arirang is applied with symbol from Ties above these three kind layers on Culture of time, the culture which is living, culture of tradition. Arirang keeps the universality and a peculiarity of national culture miscarriage. The situation which Arirang is special with Ararei will be able to search from same area folk song. Ararei oral narrations Taebaek people from example live from that place and they come and from they confront and is new life explaining of playing. Sometimes with the healing tool which mitigates a grudge, sometimes with the playing tool which saves a new life, sometimes with the self-consolation tool which comes from the walk of life activity of among the mountains is difficult that this variety being used was. Must save this circle. Respect this to Taebaek city the preservation plan and the support book must follow. And important pushes of the area people where is a center of sound. Features of Taebaek area folk song are being rustic and actual adaptability. Must extract the quality of Taebaek folk songs. So as tradition cultures of Taebaek area only wiJI not be able to emphasize a identity. Taebaek Ararei the bird being used is various. The function of folk song with life of the area peoples are nearest. Taebaek area folk songs is the center in Taebaek-mountain. Does so and is governed in flaming arrow walk of life of Namhan-river and Nakdong-river high-level among the mountains cultures. So created images of Taebaek. Work folk song tradition galpulsseori songs. Ceremony folk song is distinguishing Taebaek features indirectly. Amusement folk song becomes known Arari songs and Saseuraengi songs. The ballad singer of the area is not conscious from native place element. However Native place characteristic are reflected to the acoustic editorial of song site naturally. Jeong Yeon-sik, Kim Byeong-yeon and Park Sun-gil, ballad singer of Jeon Bok-nam etc. calls with Taebaek and tone and window music. Cheoram and Jangseong genealogy there was not an aborigine song which is with the relationship which is a coal mine area. Remains the sound which comes in from the different area. To editorial or window music was Jeongseon-Arari and Samcheok-Menari elements were many. The people who remembers an old song was not many. Ararei-song and Saseuraengi-song is this region public opinion old song. It is a very old thing in Kangwon-do folk song. Im Bo-mo and Mun Hwa-ok, Geum Seok-bun etc. is to be Ararei last function-professional. In order to receive Ararei with Taebaek-city 21st century cultural heritage resources value guarantee the effort of the relation area leader, the initiate and cultural planning person etc. is demanded. Does to sell Ararei together in Taebaek-city productive goods. Ararei application plans allover must be discussed from the side which is a utility. Jeongseon area transitions must divide. The preservation book which Ararei is active is to creative practice. Is not Taebaek-city exception in the knowledge information society which changes. Taebaek people tradition the cultural heritage of the themselves must endeavor emphasize a point from like this situation. In the center Ararei Preservation meeting does connecting the relation agency. Does so Cultural theory area continuously does to activate culturally.

      • KCI등재

        특집논문 : 아리랑 유산의 세계화와 스토리텔링

        이창식 ( Chang Sik Lee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2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0 No.2

        이 글은 아리랑 원형에 대해 정신소를 고려하여, 저항-상생-대동의 삼재론을 내세웠다. 저항성은 한민족의 천명적 신화론(天)과 관련이 있다. 상생성은 한민족의 숙명적 지역론(地)과 관련이 있다. 대동성은 한민족의 인본론(人)인데, 세계적 열린 마인드다. 이 셋은 아리랑의 잠재가치로 문화콘텐츠의 원형으로 값진 측면이 있다. 한류의 저항적 상상력, 지역기반 감성의 진행형, 치유의 융합원리는 아리랑 유산의 창조적 유전인자라고 정리해 보았다. 이는 현장경험론과 앞선 아리랑 인문론을 통해 얻어낸 결과이다. 스토리텔링의 사례와 창작 방향은 기존 글을 비판하여 아리랑 초장르론을 제기해 보았다. 팩션지향 상상력 스토리텔링, 놀이지향 재미 스토리텔링, 컨버전스지향 치유 스토리텔링이 그것이다. 세부 창작 사례는 아리랑피칭워크샵-생산, 유통, 소비 동시다발의 아리랑포럼-으로 수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아리랑 유산의 세계화 방안을 위한 국책급 아리랑 문화 프로젝트가 수행되어야 한다. 아리랑 유산의 창조성 연구는 아리랑의 융합학문의 방법이 가장 적절하다. 아리랑 유산에 대한 인문융합의 학제적 연구가 먼저 수행되어야 한다. 아리랑 유산의 세계화 기반의 보편적 가치를 심화시켜 가는 방안을 연구해야 한다. 후속 인재로서 이 방면 아리랑 전문가-아리랑학당의 아리랑 유산 스토리텔러-를 집중 육성해야 한다. 체계적인 정책을 통해 아리랑의 활성화를 지속시켜 가야 한다. 아리랑 유산의 원형성을 짚으면서 세계화의 당위성과 현재성, 소통성 등을 강조하였다. 항목별 연구는 아리랑 원형과 아리랑 콘텐츠의 가치창조를 통한 인류문화의 걸작으로 학제간의 융합프로젝트가 시도되어야 한다. 아리랑 문화콘텐츠산업의 확산은 K-팝과 같은 한류의 K-아리랑의 경제력과 감성공유의 코드에 맞춰야 한다. 아리랑 원형은 한류 킬러콘텐츠의 문화상품으로 드러날 것이다. 아리랑 유산의 다양한 국면에 대한 검증과 해석을 바탕으로 생산, 유통, 소비 등 동시다발의 스토리텔링-스토리텔링마케팅을 구축해야 한다. 북한의 집체아리랑 공연 기획과 연출을 참고하되, K-아리랑과 아리랑굿 한류의 감성 스토리텔링 접합이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자생적인 향토소스(지역의 아리랑자원 활용)와 디아스포라의 한인 향수소스(역사적 아리랑자원 활용)를 통해 이야기 가공과 세계인의 감성 자극 문제를 지속적으로 진단해 나가야 한다. 아울러 아리랑의 세계화 센터 설립을 거듭 제안한다. 한류에 부합하는 스토리텔링을 통해 전문적으로 한류의 성과를 비판하고 아리랑의 감성적 확산을 정립하면서 통섭의 세계화를 되짚어야 할 것이다. 중국에서 아리랑 유산을 국가급 비물질문화유산으로 등재했다고 해서 반대 급부로 감정적 대응으로 추진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오히려 아리랑 유산의 매력에 적절한 이야기의 감성DNA 찾기가 시의적절한 대응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아리랑 유산의 진정성은 OSMU(One source multi use)에서도 유지되어야 한다. 김구의 민족적 문화주의 실현론이 가능하다. 아리랑 스토리텔링의 창조적 진행형은 한류의 또다른 국면이다. 한류 K-아리랑의 가치창조론은 21세기 대세이다. 다만 보편적 가치 소통 문제는 앞으로의 과제다. 또 역기능의 우려에 대한 반론도 기대된다. 이 글을 통해 향후 아리랑의 문화적 다양한 국면을 쟁점화하여 명실상부한 문화강국으로의 진입을 기대한다. 필자의 관심은 과거의 아리랑 예찬에 있지 않고 오래된 미래 아리랑 활용, 곧 소통의 세계화 프로젝트에 있다. 앞서 제시한 스토리텔링 사례는 인문학자로서 창조 스토리텔러로서 제안에 머물러 있어 분명 한계가 있다. The cultural content of Arirang has been accumulated for many years which provides the base for creating Arirang values in the 21st century. Transformation of Arirang in the cultural content industries is unlimited. The area of Arirang as cultural products has infinite potentials. This study explores the identity and creativity of Arirang using the cluster-method as well as Arirang`s symbolic image and its perspective as fusion-learning. Attempts to create storytelling of Arirang will continue. This requires innovative ideas and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is necessary. In this study, the justifiability, the necessity and the futurity of Arirang`s cultural content were examined. Many cases about the actual procedure of creating stories that are closely related to Arirang`s images, events and factions are presented in depth. Arirang is a fountainhead for various genres such as poetry, fiction, drama, movies, music, dance and art. If this change can be viewed as creation of new genre, this can constitute not only an economic power but also symbolic power of the Korean Wave stemming from the energy of traditional culture. Arirang`s original story as a storytelling source may attract new changes. Arirang`s history has been studied and investigated carefully and the resource has been recycled continuously. However, in spite of Arirang`s wide acceptance, the value of Arirang as a creative genetic resource has not been examined seriously. A blended intellectual research for Arirang and developing new domain of intellectual creation should be accomplished to create values. It is more than finding and understanding the identity of traditional culture. It is actually finding an alternative that suits a trend in this era, where higher value-added business is so much important. The power of Arirang is that, Arirang has targeted responding demanders, and expressions and responses for it has continuously accomplished in every era. Arirang is more than a symbol of Korean culture. It should secure a prestige as a universal cultural heritage. The hunger for creating knowledges of Arirang is sincerely required. Arirang`s values such as multi-communications, principles of creation and laws of transmissions, both originality and universality of Korean culture will be shown in the world. Arirang harmonizes well with 21st century global trend. To raise experts in this area, a well-organized system and supports are required. This includes policies from the government, which cover universality. To Arirang there is heal cultural heritage. The mode of life strategy and commercialization plan with leadership from the Korean wave create harmonizing Arirang heritage. he Arirang research is necessary to achieve all of these potentials.

      • KCI등재

        아리랑의 문화콘텐츠와 창작산업 방향

        이창식(Lee, Chang-sik)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0 한국문학과 예술 Vol.6 No.-

        아리랑의 문화콘텐츠화는 오랜 세월 축적된 전승기반에 부응하며 21세기 아리랑 가치창조의 방안을 위한 체계화 방식이다. 아리랑의 문화콘텐츠산업의 변신은 무한하다. 미래에 선보일 아리랑 문화상품의 영역은 무궁무진하다. 아리랑 콘텐츠의 정체성(正體性)과 창조성 연구는 아리랑의 상징 이미지에서부터 융합학문의 시각으로 나아가 지금 여기의 클러스터 방식으로 담론화되어야 온당하다고 보았다. 아리랑의 스토리텔링 창작 시도는 계속될 것인데, 획기적인 발상전환이 요구된다. 인문융합의 학제적 연구가 절실하다 하겠다. 그 성격에 비해 학제 간의 긴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예컨데 영화 〈아바타〉에 아리랑이 불러졌으면 그 가치는 새롭게 주목되었을 것이다. 아리랑의 창조적 수용은 여전히 진행형이다. 이 글에서는 아리랑의 문화콘텐츠화의 당위성과 필요성, 미래성 등을 제기하였다. 아리랑 관련 이벤트, 팩션, 이미지를 통한 스토리텔링 실제 작품 창작과정의 사례로 제시하였다. 아리랑은 시, 소설, 희곡, 연극, 영화, 음악, 무용, 미술 등 여러 장르의 원천 자료로 작용하고 있다. 항목별 창출은 아리랑 원형을 통한 문화상품의 스토리텔링화가 다양하게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창작의 변종장르로 보면, 문화콘텐츠산업의 확산은 전통문화 정체성의 활력뿐 아니라 한류의 경제력과 상상력이 되고 있다. 아리랑 스토리원형은 문학콘텐츠의 원형자원으로 영상문화상품 창작에 또 다른 변신을 보여줄 것이다. 가장 아리랑적인 것이 세계적인 것이라는 명제에는 이의가 없다. 이러한 아리랑작품의 성공 여부는 디지털 기술에 기대어 아날로그적 예술형상화 수준과 수요자의 동시대적 반응에 달려 있을 것이다. 아리랑의 발생과 원리를 충실히 가치창조 할 때 세계인을 감동시킬 수 있으며 인류문화의 창달에 이바지하리라고 관측된다. 아리랑의 문화자원화는 아리랑 연구사를 통찰해보아도 그렇고 민요사의 통시적 고찰로 보아도 그렇듯이 지속적으로 재활용되었다. 여러 분야에 관심 또한 그렇다. 아리랑의 다양한 수용 현상에 비해 창조유전자원으로서의 가치에 대해 진지한 검토가 별반 이루어지지 않았다. 아리랑의 융합학문적 연구와 어울러 지식창조 영역을 개척해야 한다. 전통문화의 정체성을 이해하는 차원을 넘어서 고부가 가치 찾기의 시대적 트렌드에 부합하는 대한 찾기를 해 본 셈이다. 아리랑의 저력은 당대마다 호응하는 향유층을 겨냥하여 끊임없는 표출이 이루어졌다고 점에서 찾아진다. 이제까지는 안으로의 아리랑 여행이었다면 앞으로는 밖으로의 아리랑 여행이 되어야 하지 않을까. 아리랑의 민족문화로서 존재감을 넘어 세계문화유산적 위상을 확보해야 한다. 아리랑의 지식창조에 대한 목숨론이 절실하다. 아리랑의 문화산업 창출은 지속되어야 한다. 아리랑의 전승문법, 창조원리, 다성적 소통 등으로 한국문화의 독창성과 세계성을 동시에 보여줄 것이라고 예상한다. 한류(韓流)로 인해 21세기 지구촌 트렌드에 너무 잘 맞는다. 이 방면의 전문가를 길러낼 수 있는 제도 마련이 필요하다. 세계화에 대한 국가차원의 정책이 필요하다. 치유적 문화공유인자가 아리랑에 있음을 거듭 촉구하고 종족과 이념을 넘어서서 함께 실천적인 공부를 해야 할 것이다. 창작산업 분야, 특히 스토리텔링과 연결하여 이벤트, 팩션, 이미지 스토리텔링 사례를 제시하였다. 아리랑자원에 대한 생태적 전략과 상품화 방안은 한류의 선도성과 더불어 아리랑의 다양한 국면에의 활성화로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아리랑학이 필요한 까닭이다. The formation of Arirang cultural contents fulfills the transmission-base that has been accumulated for many years, and is a systematic method to create Arirang values in 21st century. A transformation of Arirang in the cultural contents industry is unlimited. The area of Arirang cultural product has infinite potentials. It is considered appropriate that the study for identity and creativity of Ariang contents should be focused on discussions with cluster-method as well as Ariang’s symbolic image and its perspective as fusion-learning. Attempts for creating storyelling of Ariang will be continued. Therefore, innovate ideas are required. Interdisciplinary study of humanities-fusion are urgently needed. In spite of this character, close studies in the academic world has not been accomplished yet. For example, if Arirang was played in the movie Avatar, the value of Ariang would be in the spotlight. Creative embracement of Arirang is still ongoing. In this article, the justifiability, the necessity and the futurity of Arirang cultural contents were covered. Also, many cases about actual procedures of creating a storytelling,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Arirang’s images and events and factions, were heavily presented. Arirarang is a fountainhead for various genres such as poem, novel, drama, movie, music, dance, and art. If this change is viewed as new genre of creation, the spread of cultural contents industry is an economic power and an imaginary power of Korean wave as well as a energy of traditional culture. Arirang’s original story as an original source of literature contents will show new attractive change. The most Arirang is the most universal. The success of Arirang’s work depends on a level of artistic production and demanders’ comtemporary reactions. When Arirang’s origin and principle are faithfully used to create values, they can impress people all over the globe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human culture. If Arirang’s history is studied and investigated carefully, Arirang’s resource has been recycled continuously. However, in spite of Arirang’s various acceptances, the value of Arirang as a creative genetic resource has not been examined seriously. A blended intellectual research for Arirang and developing new domain of intellectual creation should be accomplished to create values. It is more than finding and understanding the identity of traditional culture. It is actually finding an alternative that suits a trend in this era, which higher value-added business is so much important. The power of Arirang is that, Arirang has targeted responding demanders, and expressions and responses for it has continuously accomplished in every era. Arirang is more than a symbol of Korean culture. It should secure a prestige as a universal cultural heritage. The hunger for creating knowledges of Arirang are sincerely required. From Arirang’s values such as multi-communications, principles of creation and laws of transmissions, both originality and universality of Korean culture will be shown in the world. Arirang harmonizes well with 21st century global trend. To raise experts in this area, a well-organized system and supports are required. This includes policies from the government, which cover universality. To Arirang there is heal cultural heritage. Passes over the race and an ideology and is practical must research. The mode of life strategy and commercialization plan with leadership of the Korea popularity join in about Arirang resources and the thing repeatedly with activation to the situation which Arirang is various must be considered they emphasize. Because like that The Arirang research is necessary.

      • KCI등재

        기획논문1- 주제: <주제: 한국무형문화재와 공연문화> : 아리랑유산 가창자의 전승과 공연

        이창식 ( Chang Sik Lee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6 공연문화연구 Vol.0 No.32

        구비민요의 여성구연자 곧 여성가창자는 향토적 요소를 의식하지 않지만 향토성을 구연하는 현장의 소리 사설에 자연스럽게 반영하고 있다. 태백아라레이 가창자는 태백방언 어투. 토리와 지역적 요소, 창곡 등을 살려 연행한다. 황지 화전마을 쪽의 여성가창자들이 전통 아라레이를 연행하였다. 철암과 장성 쪽은 탄광지역인 관계로 족보 있는 토박이 노래가 적으며, 경북 북부 봉화 등 외지에서 유입되어 변질된 소리 각편이 남아 있다. 사설이나 창곡에는 정선아라리와 삼척메나리의 요소가 많았다. 현장성으로 볼때 태백아라레이 각편들이 화전민들의 오래된 화전형 아리랑소리인데 강원도 구전민요 중 매우 고형임을 확인하였다. 태백아라레이 정체성을 전승하는 구연자집단은 생업 관련 소리 각편 부르기에 익숙하였다. 이러한 사정을 문화옥,김금수,김효정 3대의 여성가창자들은 아라레이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통합하여 보여주고 있다. 이들 주도의 태백아라레이보존회는 가창자들의 시연적 공연활동과 전승 계보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다. 문화옥 가창자는 평안남도 태천에서 출생하여 다섯 살 때 남한으로 내려와 삼척 하장에서 살다가 장성으로 들어와 재문곡에서 살았다고 한다. 6남매를 두고, 평생 농사일로 여생을 보내고 있다. 2015년에도 태백시 문곡동에 거주하며 마을잔치를 비롯해 동네 행사가 있는 날이면 아라레이를 즐겨불렀는데 옛날에는 태백일대 아라레이가 많이 불려졌기 때문에 자연스레배워서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생업 밀착형의 전형적인 토종 아리랑구연자인 셈이다. 김금수 가창자는 문화옥 딸인데 현재 태백아라레이보존회를 이끌며 태백의 소리(태백아리랑)를 찾아 연구하고 전수, 보급해 오고 있다. 어머니 문화옥의 가창맥락을 잇고 보존회 회원들과 지역민에게 광부아리랑, 태백아라레이 등을 전수하고 있다.박효정 가창자는 문화옥 손녀로서 앞선 할머니,어머니 세대의 장점도 온전히 받아들이고 미래 아리랑콘텐츠도 적절히 대응하고 있어 아리랑공연 차원으로 보아 고무적이다. 3대여성가창자 사례는 아리랑유산의 창조적 계승 국면-원형 보존과 활용 재현국면-에서 전승론 시각에서 주목하였다. Female folk song singers do not necessarily recognize the indigenous elements, which are, however, naturally reflected in the narration in the context. Singers of Taebaek Ararei recognize the dialect, the tone and the song when performing. Traditional Ararei had been performed by singers in the village of slash-and-burn field in Hwangji. Cheolam and Jangseong do not have their own traditional songs sing they are mining regions but had adopted songs from other areas including Gyeonggbuk, which still remain as alternative versions. Many elements of Jeongseon Arari and Samcheok Menari are in the narration and the songs. In terms of the context, alternative versions of Ararei are old Arirang melodies from slash-and-burn fields and were confirmed to be a very old form of oral folk songs in Gangwondo. Female singers of 3 generations, Hwaok Mun, Geumsu Kim and Hyojeong Kim, who keep the tradition and identity of Taebaek Ararei, show the integration of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Ararei. The Ararei Preservation Society continuously organizes singers`` performances and maintains the tradition. The singer Hwaok Mun was born in Taecheon, Pyeongannamdo and moved to south at 5 and lived in Hajang, Samcheok and then moved to Jangseong and lived in Jaemungok. She is a mother of 6 children and has been a farmer for most of her life. She currently resides in Mungokdong and would sing Ararei at village feasts or events. She says she learned the song naturally because Ararei was sung very often in the past around Taebaek area. She is a typical native Arirang singer. The singer Geumsu Kim is a daughter of Hwaok Mun and leads the Taebaek Ararei Preservation Society to study, maintain and introduce the sound of Taebaek(Taebaek Arirang). She introduces Miner Arirang and Taebaek Ararei to the society members and the local residents. The singer Hyojeong Kim is a granddaughter of Hwaok Mun and follows the tradition of her grandmother and mother while adopting more modern Arirang contents.

      • SCOPUSKCI등재

        입자 추적법을 이용한 4 밸브 가솔린 기관의 실린더 내 텀블 유동 특성

        이창식,전문수,정성환,Lee, Chang-sik,Chon, Mun-soo,Chung, Sung-hwan 대한기계학회 1999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23 No.9

        The in-cylinder flow field of gasoline engine comprises unsteady compressible turbulent flows caused by the intake port, combustion chamber geometry and the change of the spatial shape. Thus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in-cylinder bulk flow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improvement of engine performances and the reduction of exhaust emission. The influences of tumble intensifying valve (TIV) and swirl intensifying valve (SIV), and various intake-flow conditions are compared with the tumble ratio obtained by the measured results of the in-cylinder gas flow. In order to obtain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in-cylinder gas flows of gasoline engine this investigation applied the particle tracking method to the analysis of gas flow characteristics. Various intake conditions such as tumble and swirl intensifying valve, the deactivated condition of one valve among two intake valves, and the other factors of gas flow are conside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