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문해관련 또래간 상호작용의 형태와 내용의 관계

        이지현 ( Jeehyun Lee ) 건국대학교 교육연구소 1999 교사와 교육(구 교육논집) Vol.23 No.-

        본 연구는 문해와 관련된 유아 또래간 상호작용의 유형과 문해관련 정보의 종류, 및 정보의 정확성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서울의 대학부속 유치원에서 3세 유아 19명과 5세 유아 31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자유놀이 시간동안 언어영역과 작업영역에서 일어나는 문해와 관련된 또래간 상호작용을 관찰, 기록, 녹음하였고 관창기록된 자료를 사본화하였다. 유아들이 나타낸 또래간 상호작용의 유형과 유아들이 교환한 문해관련 정보의 종류, 그리고 정보의 정확성간의 관계가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기법으로 분석되었다. 먼저 또래간 상호작용의 유형과 유아들이 교환한 문해관련 정보의 종류와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유아들이 서로 문해에 대하여 정보를 제공하고 제공받는 유형의 상호작용은 글자/단어에 대한 정보와는 정적 상관이, 어휘에 대한 정보와는 부적 상관이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유아들이 정보를 공유하며 놀이하는 유형의 상호작용은 어휘에 대한 정보와는 정적 상관, 글자/단어에 대한 정보와는 부적 상관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유아들간에 이의를 제기하고 그것을 수락하는 유형의 상호작용은 문해의 관례에 대한 정보와 정적 상관이 있었다. 문해관련 정보의 종류와 정확성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유아들이 글자/단어에 대하여 주고받은 정보는 틀린 정보와 정적인 상관이 있었으며 문해의 기능에 대한 정보는 틀린 정보와 부적인 상관이 있었다. 어휘에 관련된 정보는 정확한 정보와 정적인 상관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들이 또래간 상호작용을 하는 도중에 광범위한 문해지식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또래간 상호작용은 또래의 문해학습에 실질적인 자원으로서의 역할을 한다는 차원에서 논의되었다.

      • KCI등재

        참여적 디자인과 일반적 디자인의 프로세스에 따른 디자이너 직무내용 비교분석

        이지현 ( Lee Jeehyun ),이은지 ( Lee Eun-jee ),안지원 ( Ahn Jiwon ),김지은 ( Kim Jieun ),류림정 ( Ryu Limjeong ),오누리 ( Oh Nuri ),장건 ( Zhangjia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4 한국디자인포럼 Vol.43 No.-

        본 연구는 네트워크와 소비자와의 협업을 상품의 기획·생산의 차별적 방법으로 사용하는 참여적 패션디자인 확대 현상에 주목하고, 참여적 디자인과 일반 디자인의 프로세스 별 직무 내용 비교를 통해 참여적 패션디자이너에게 요구되는 확장된 업무내용과 역할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일반 패션회사와 참여적 패션회사 8곳의 디자이너·기획자를 심층인터뷰하고 인터뷰내용을 질적 자료 분석도구인 NVivo 1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일반 디자인 프로세스의 경우, 패션디자이너에게 멀티테스커(multi-tasker)로서 시대적 패러다임의 흐름에 따를 수 있는 적응력과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요구하는 직무내용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참여적 디자인의 경우는 기획과 진행 그리고 상호관계와 의견을 조율할 수 있는 조정자의 역할, 웹 기반의 업무환경변화 에 적응할 수 있는 직무 수행내용이 강조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참여적 디자이너의 업무내용은 디자인 의뢰자·소비자의 요구를 이해하고 창의적 아이디어와 디자인의 공유, 그리고 디자인 선별과 생산 가능한 모델로의 연계 등이 직무내용에서 우선시되는 부분임을 확인할 수 있다. 참여적 패션디자이너의 직무 내용을 분석한 결과 크게 실행적 직무 내용과 조직 맥락적 직무 내용으로 으로 분류될 수 있었으며, 조직 맥락적 직무는 전체 디자인 전개와 제작, 생산 과정에 디자이너가 의견조정자와 기획자로서 역할을 하면서 일반 패션디자인 프로세스와 의 차별적 시스템을 만드는 것으로, 참여적 패션디자이너의 직무는 실행적 직무와 조직 맥락적 직무의 다층적이며, 통합적인 구조로 정의될 수 있었다. 앞으로의 디자이너 직무와 역할에 대한 연구는 전통적인 패션디자인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전문지식과 스킬 중심의 제한적 역량과 직무에서 벗어나, 보다 확장되고 유연해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Collaborations with consumers are used as the different method to planning and production of products, unlike the traditional fashion designs planning and production process Leading by designers,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phenomenon of the expansion of participatory fashion design and Open platform and analyzed extended role object requiring to Participatory fashion designers. The results shows, in the general design process, the role of fashion designers as multi-taskers are required. In the cases of participatory design, facilitating roles, planning and the correlation with progression were required to designers. Also, participatory work contents of participatory designers are to overall business planning and progress control, running between consumers and producers are emphasis. Main jobs of general designers were to analyze the market trends and design concepts to set up and run, going through the assessment process. The main jobs of participatory designers were understanding the needs of sponsors and consumers, sharing creative ideas among stake-holders and design and control of production of selected models. As a result, the job of participatory designers was able to be classified largely as the operational and organizational Job description. Organization contextual Job analysis is the differential system compare to general fashion design process, the role of designers is planners serving as a mediator comment, production coordinator and facilitator during feedback process and the entire process of design development and production. Participatory fashion designer`s job is defined as an integrated structure of the operational tasks and duties of the multi-layered and contextual organization. In the future, the changing role of designers and the job analysis of fashion expertise should be studied more and the participatory systems in fashion industry should be studied also to extend the variety of fashion system.

      • KCI등재

        NCTM의 수학교육 내용기준에 따른 우리나라 유아 수학교육 내용의 분석

        이지현(Lee JeeHyun),이정희(Lee JoumgHe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전국 4년제 대학과 전문대학 유아수학교육 강좌의 강의계획서 및 교재와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집(교육부, 2000) 그리고 전국 공, 사립 유치원 교사 40명이 작성한 개념도를 통하여 유아수학교육의 내용을 알아본 후 이를 NCTM에서 제시한 수학교육 내용기준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우리나라 유아수학교육 내용은 NCTM에서 제시한 유아를 위한 수학교육 내용기중과 내용의 범위와 체계, 강조하는 영역에 있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tent of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and to analyze it according to the standards for content of mathematics education suggested by NCTM.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The content of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added two more factors such as classification, seriation to the five standards of NCTM, including number and operations, algebra, measurement, geometry, data analysis and probability. According to NCTM, classification and seriation were suggested to activity methods rather than math contents. NCTM put much emphasis on numbers and geometry as the key content, whereas the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highlighted classification and seriation. So there was an obvious difference between the former and the latter. NCTM also dealt deeply with a variety of content, while the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dealt with a rather restricted content.

      • KCI등재

        바깥놀이가 유아 발달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이지현(Jeehyun Lee),이경연(Kyungyeon Lee)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1 어린이미디어연구 Vol.20 No.3

        본 연구는 유아 발달을 위한 바깥놀이의 효과를 종합적이고 계량적인 결과로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내 네 개의 데이터베이스에서 박사학위 논문 및 학술지 논문을 수집하였고, 선정기준에 맞는 연구 총 145편의 연구, 245개의 사례 수를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에 포함된 연구는 2003년 10월부터 2021년 4월까지의 연구였다. 연구 결과 첫째, 바깥놀이가 유아 발달에 미치는 평균 효과 크기는 1.52로 매우 큰 효과 크기로 나타났다. 바깥놀이의 유아 발달영역별 효과 크기는 정서발달, 신체 발달, 언어발달, 인지발달, 사회성 발달 순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깥놀이 유형별 효과 크기는 자연탐구활동, 운동놀이활동, 모래ㆍ물놀이활동, 산책활동, 작업활동의 순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별 연구 간 효과 크기는 큰 크기의 이질성이 나타났으며, 이를 설명하는 조절 변수는 유아의 연령과 인원이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바깥놀이의 효과를 입증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바깥놀이의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실외 영역별 놀이 활동의 개발과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investigation into the effects of outdoor play on young children’s development. Meta-analysis was carried out on 245 cases in 145 studies which met the selection criteria from doctoral theses and journal articles published in Korea from October 2003 to April 2021.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mean effect size of outdoor play on young children’s development was 1.52, which is significant according to Cohen’s effect size criterion. The effect size of outdoor play was the largest in emotional development, followed by physical development, language development, cognitive development, and social development. Among the outdoor play categories, nature inquiry activities showed the largest effect size, followed by physical activities, sand·water play, taking a walk, and working activities. Second, the effect sizes that each study reported were heterogeneous and the moderating variables which explained the differences were the age of the children and the number of children in the experiment group. This study resulted in verifying the effect of outdoor play, which would serve as a rationale for developing and conducting further research on play activities in various outdoor areas in order to expand outdoor pla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s.

      • Liquid Level Sensor based on Microstrip Patch Antenna

        Jeehyun Lee(이지현),Kibae Lee(이기배),Jinho Bae(배진호),Chong Hyun Lee(이종현) 대한전자공학회 2017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6

        We propose a liquid level sensor based on microstrip patch antenna, which has resonant frequencies dependent on physical dimensions of its radiation patch and permittivity of dielectric material between radiation patches. By investigating resonant frequency shift caused by the dielectric materials composed of liquid and air gap, we can detect the specific level of liquid. We also derive a relative permittivity according to the ratio of the liquid to air. By adopting a microstrip patch antenna of which chamber is 5mm height, we show that the proposed sensor can detect level of water with 2mm resolution of which frequency separation is at least 30MHz.

      • KCI등재

        4, 5세 유아의 말과 글의 관계 인식을 증진시키는 언어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

        이지현(Lee Jeehyu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유아들이 말과 글의 관계를 인식하는데 필요한 구체적인 언어 요소들을 의미있는 활동들을 통하여 경험하게 하는 언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4, 5세 유아들에게 적용하여 유아의 읽기기술과 읽기흥미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유아들의 말과 글의 관계에 대한 인식을 증진시키는 핵심적인 언어 기술들이 음운인식과 자모음 지식임을 문헌연구를 통해 확인하고, 프로그램의 교육내용으로서 음운인식(말소리에 관심갖기, 음절인식, 음소인식), 말소리와 글자의 대응(음절과 낱자의 대응, 음소와 자소의 대응), 우리 말의 문자 표상을 선정하였다. 각 교육내용을 유아들에게 흥미있는 활동으로 구현하기 위하여 말놀이, 노래, 게임 형식 등을 활용하여 16가지 활동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프로그램을 4, 5세 유아들에게 적용하여 그 효과를 살펴본 결과, 유아들의 읽기기술과 읽기흥미에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으며, 이로써 말과 글의 관계에 대한 유아의 인식을 증진시키는 타당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유아 교사들에게 추상적인 언어기술을 놀이의 맥락에서 의미있게 제시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 program for promoting awareness of linkage between oral and written language to 4- and 5-year-old children and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the children's reading skills and reading interests. The phonological awareness and the alphabet knowledge were confirmed as two key factors for children's awareness of linkages between speech and print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s. Thus, the phonological awareness including syllabic and phonemic awareness, the correspondence between speech sound and print, and the consonants and vowels of Hangul were chosen as the program contents. To provide children with each content as meaningful activities, 16 activities were constructed using language plays, songs, and games. The program was implemented for 8 weeks and the program was effective on children's reading skills and reading interests. This study provided concrete examples of how to teach young children the abstract language skills in meaningful context and playful w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