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험자의 보험약관의 설명의무에 대한 소고

        이중효(Lee, Jung-hyo)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09 法學論叢 Vol.16 No.1

        오늘날 계약은 주로 약관에 의해 체결되어지고 있다. 계약자유의 원칙에서 출발한 계약의 형식이 오늘날에는 약관에 의한 계약이 이용되게 되었고, 또한 그 작용에서도 부정적인 측면이 많이 드러나게 되어 통제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된다. 약관이 생성되고 전개되는 것은 기업의 ‘다수계약합리화의 기도’와 ‘법률적 수단에 의한 경제력 강화의 기도’에서 출발하였지만, 경제력이나 사실 측면에서 볼 때 일반소비대중은 부당하고 불공정한 약관에 의한 계약에 부합할 수밖에 없게 되어 약관에 의한 병리현상이 나타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약관규제법 제3조 제3항과 상법 제638조의3에서는 보험자에게 보험약관에 대한 설명의무를 부과하고 있다. 이와 같은 약관의 설명의무는 보험계약자가 알지 못하는 불이익한 약관의 내용에 구속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인정되고 있지만 약관규제법과 상법은 약관의 설명의무와 관련하여 ‘약관의 중요한 내용’만을 설명하도록 규정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약관규제법 제3조 제3항 단서는 계약의 성질상 설명이 현저하게 곤란한 경우에는 설명의무의 예외를 인정하고 있어서 약관의 설명의무의 범위에 관한 분쟁이 빈발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보험자의 보험계약자에게 설명하여야 하는 보험약관의 ‘중요한 내용’에 대해 판례를 중심으로 살펴보면서, 보험계약자를 보호하기 위한 설명의무의 합리적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Although the standard form contract has raised social and regal, a consumer who ignores about contract and legal procedure was damaged by unfair contract. Generally a consumer has lacked legal mind about economical deal, Also today, according as international deal increases, the standard form contract used widely trade deal, financial deal, transport deal, that may give rise to a serious international trouble by legal and commercial usage each country. The article 638-3 of Commercial Law charges the insurer with obligation of explanation insurance clauses, before the contract is concluded. If the insurer fails to makes such clear explanation, subject to this provision, he cannot be discharged from liability. Because insurance contract is a sort of adhesion contract, the assured merely yield to insurance clause which the insurer has already drawn up. In that circumstance, the insurer often intend to insert several clauses to the assured's disadvantage. In order to prevent the insurer's wicked doing and protect the assured, most of country charge the insurer with duty of explanation insurance clauses. Therefore I have intended to examine the legal theory of content restriction on standard form contract for fair protection of two parties contract.

      • KCI등재
      • KCI등재

        불향사계곡 일대 소나무림의 군락유형과 개체군동태

        이중효 ( Lee Jung Hyo ),홍성천 ( Hong Seong Cheon ) 한국산림과학회 2004 한국산림과학회지 Vol.93 No.1

        Community types and population structures of the Pinus densiflora forest established the Buyeongsa valley in Uljin-Gun, were studied from vegetation ecological approaches. For the community types, four communities and four subcommunities were classified and six vegetation units grouped. In the importance value(I.V.) analysis of the major component species, Pinus densiflora showed most highly in the tree layer and quercus spp.(Quercus mongolica and Quercus variablis) below the subtree layer. In the results of distribution of diameter classes of the major populations, there were a little differences by a micro-topography, but it was considered that Pinus densiflora forest of this area changed potentially as Quercus spp. forests due to a rapid success of Quercus sppbelow the lower layer. For analyzing of the spatial structures for the most representative Pinus densiflora populations of this area, the distribution of individual trees, crown projection and stand profile diagrammed and growth curves showed in the four sites. The annual average diameter growth of Pinus densiflora of the area is from 1.22 to 3.26㎜.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울릉도에 자생하는 침엽수류 유존군락의 분포유형과 생태적 관리방안에 대한 연구

        조현제 ( Hyun Je Cho ),이중효 ( Jung Hyo Lee ),추연식 ( Yeon Sik Choo ),홍성천 ( Sung Cheon Hong ) 한국임학회 2011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0 No.1

        ZM방식을 응용하여 울릉도에 자생하는 침엽수류(향나무, 섬잣나무, 솔송나무, 회솔나무) 유존군락의 분포유형을 구분한 다음, 이들 분포유형별 구성종의 중요치와 개체목들의 생장특성을 토대로 생태적 관리방안을 검토하였다. 1. 울릉도에 자생하는 침엽수류의 분포유형은 해안식생(SV)과 산지식생(MV)으로 대별할 수 있었으며 해안식생은 해안절벽지 분포형(J-SC)과 해안절벽지 능선부 분포(J-SR)형으로 구분되었다. 산지식생은 회솔나무림과 섬잣나무·솔송나무림으로 구분되었으며, 회솔나무림은 암석지 분포형(Ta-R)과 사면부 분포형(Ta-MS)으로 구분되었다. 섬잣나무·솔송나무림은 암석지 분포형(P·T-R), 사면상부·능선부 분포형(P·T-UR) 및 사면부 분포형(P·T-MS)으로 구분 되었고, 사면상부·능선부 분포형은 제1아유형(1sub-type)인 솔송나무 우점임분, 제2아유형(2sub-type)인 회솔나무 우점임분, 제3아유형(3sub-type)인 섬잣나무·회솔나무·활엽수류 혼효임분으로 구분되었다. 2. 해안식생인 향나무림 중 제1분포형인 해안절벽지 분포형(J-SC), 산지식생인 회솔나무림중 제1분포형인 암석지 분포형(Ta-R), 섬잣나무·솔송나무림 중 제1분포형인 암석지 분포형(P·T-R)은 지형적 극상으로 유지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며, 해안식생인 향나무림 중 제2분포형인 해안 절벽지 능선부 분포형(J-SR), 산지식생인 회솔나무림 중 제2분포형인 사면부 분포형(Ta-MS)과 섬잣나무·솔송나무림 중 제2분포형인 사면상부 능선부 분포형(P·T-UR) 및 제3분포형인 사면지 분포형(P·T-MS)은 천이도중상인 것으로 사료되었다. 3. 지형적극상을 이루고 있는 향나무림, 회솔나무림, 섬잣나무림, 솔송나무림은 천이에 맡겨두고 천이도중상의 분포형에 대해서는 치수의 생장과 치묘 출현을 촉진시킬 수 있는 숲가꾸기 작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특히 솔송나무림을 복원시키기 위해서는 중용수이며 종자의 순량율이 1~2%인점을 감안하여 숲틈(gap)의 형성외에 인공조림을 실행하여야 할것으로 사료되었다. 4. 곰솔림의 경우 강한 간벌과 가지치기를 이용하여 틈을 조성한 후 섬잣나무, 솔송나무, 회솔나무, 동백나무, 후박나무, 우산고로쇠 등으로 군상혼효림을 조성하는 것이 울릉도 자연식생을 회복시킬 수 있는 촉매제가 될 것으로 사료되었다. Distribution types of native conifers (Juniperus chinensis, Pinus parviflora, Tusga sieboldii and Taxus cuspidata var. latifolia) were studied by phytosociological investigation and ZM method in Ulleung Island, South Korea. Two main types were divided maritime vegetation (Juniperus chinensis forest) and mountain vegetation (Taxus cuspidata var. latifolia forest and Pinus parviflora-Tusga sieboldii forest). The former was divided into sea cliff distribution (J-SC) and sea ridge distribution (J-SR) type. The latter was classified 7 distribution types; Taxus cuspidata var. latifolia forest was rock distribution (Ta-R) and mountain slope distribution (Ta-MS) type, and Pinus parviflora-Tusga sieboldii forest was rock distribution (P·T-R), upper and ridge distribution (P·T-UR, 3 units sub-types:1sub, 2sub, 3sub), and Mountain slope distribution (P·T-MS) type. It was considered that J-SC, Ta-R, and P·T-R were maintained by topographic climax, but J-SR, Ta-MS, P·T-UR and P·T-MS were the process of vegetation succession. Distribution types of topographic climax are entrusted to process of vegetation succession. Types in the process of vegetation succession will be needed tending of forest to promote saplings growth and seedlings germination. Especially in order to restore Tsuga sieboldii forest should be afforest and make forest gap because It is mid shade tolerant tree and purity percentage of its seed is 1~2%. It was considered that the composition of group mixture forest constituted Pinus parviflora, Tsuga sieboldii, Taxus cuspidata, Camellia japonica, Machilus thunbergii and Acer okamotoanum, etc. will be able to restore native vegetation, after take the form of forest gap by strong thinning and pruning of Pinus thunbergii forest.

      • KCI등재

        식생형을 고려한 소나무 임분의 조림적 고찰

        이광수 ( Kwang Soo Lee ),이중효 ( Jung Hyo Lee ),김석권 ( Suk Kwon Kim ),배상원 ( Sang Won Bae ),정문호 ( Mun Ho Jung ) 한국환경생태학회 2009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3 No.1

        한국에서 소나무는 문화적, 역사적, 정서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으며, 목재자원 생산이 가능한 수종이다. 소나무의 점유면적은 점차 줄어드는 반면, 참나무류를 비롯한 활엽수림이 증가하는 추세이므로 소나무림 유지를 위한 갱신과 시업법에 관한 연구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중부지역을 대상으로 소나무에 대한 임분유형 및 구조분석을 통하여 생육환경과 천이과정을 파악함으로서, 안정적이며 지속적인 경영림으로서의 발달과 천연갱신 유도에 그 목적이 있다. 중부지역 소나무림은 당단풍나무군락, 상수리나무군락, 비목군락, 전형군락으로 분류되었으며, 지역에 따라 유형별 다른 특성을 보이고 있었다. 상층에는 소나무가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중층에서는 참나무류 등 활엽 교목성 수종의 중요치가 높았으며, 하층에서 소나무 출현은 빈약하였다. 따라서 상관적으로 소나무가 생태적 영향력이 높은 것처럼 나타나고 있지만, 차후 자연 상태에서 교목층의 소나무가 고사하면 아교목층 이하 신갈나무, 굴참나무, 졸참나무 등 참나무류가 우점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소나무림의 형질과 생장패턴은 임분유형에 따라 지역별 차이를 보이고 있어 소나무림에 대한 시업도 차별 적용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In Korea, Red pine(Pinus densiflora) stands at a very important place, historically, culturally, and emotionally and it is one of the tree species that can produce domestic timber as forest resources economically. The growing space for Red pine forest in Korea is gradually reducing while the space for deciduous tree forests including oak series is gradually increasing. Thus, it is required that the research work should be done on renewal for pine forest retention and its related forest management practices. This research aims at developing stable, sustainable management forests and inducing nature renewal by grasping growth environment and succession process through the pattern of stand and structure analysis of the red pine(Pinus densiflora) for central region. The pine forests in central region were classified into four communities, such as Acer pseudo-sibolianum, Quercus acutissima, Lindera erythrocarpa, and Pinus densiflora and they are show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by pattern according to their growing district. There appeared a lot of red pines in the upper layer, but there existed high weight of broad-leaved forest tree species, such as oak series in the middle layer and the appearance of the red pine was meager in the lower layer. Therefore, it appears that the red pine has a high influential ecological strength in terms of correlativity; however, if the red pine in tree layer is dead by aging in nature state with the lapse of time, it is considered that oak species, such as Quercus mongolica, Quercus variabilis, and Quercus serrata will be dominant below sub-tree layer. In addition, there appear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and growth pattern of the red pine forest depending on stand pattern, so it is considered that a differential application method should be employed in the pine forest management.

      • KCI등재

        Ⅰ분과 : 백두대간 조침령-신배령 구간 소나무림과 신갈나무림의 군락구조

        이하영 ( Ha Young Lee ),김혜진 ( Hye Jin Kim ),신학섭 ( Hak Sub Shin ),한상학 ( Sang Hak Han ),고승연 ( Seung Yeon Ko ),송주현 ( Ju Hyeon Song ),이중효 ( Jung Hyo Lee ),장경환 ( Kyung Hwan Jang ),윤충원 ( Chung Weon Yun ) 한국임학회 2014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3 No.3

        백두대간 조침령-신배령 구간 소나무림과 신갈나무림을 대상으로 2012년 4월부터 2013년 8월까지 영구조사구(100 m × 100 m) 설치하여 조사하였다. 총 50개소의 산림식생조사 자료를 토대로 Z-M식물사회학적 방법에 의해식생유형 분류를 수행하였던바, 최상위 수준에서 신갈나무군락군이 분류되었으며, 군락단위에서는 물푸레나무군락과까치박달군락으로 세분되었다. 물푸레나무군락은 군단위에서 소나무군과 가래나무군으로 나누어지며, 소나무군은 다시 회나무소군과 머루소군으로 분류되었고, 까치박달군락은 시닥나무군과 사스래나무군으로 각각 세분되어, 총 5개의 식생단위로 분류되었다. 식생단위별 중요치를 분석한 결과 소나무림에서 소나무와 신갈나무의 중요치가 20%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소나무가 신갈나무보다 상대피도가 50%이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종간연관 분석결과 크게 4개의 유형으로 구분되었고, 이는 식생단위의 식별종 및 표징종과 일치하는 경향이었다. 또한 소나무림의 흉고직경급별 개체 분포에서 중간직경급에서 개체수가 가장 많은 정규분포를 나타낸 소나무와 이를 제외한 다른 수종은직경이 커질수록 개체수가 감소하는 역 J자형의 분포유형을 나타내어 소나무림에서 신갈나무림으로 교체될 가능성이 크다 판단된다. 반면 신갈나무림에서는 신갈나무를 포함한 다른 수종 모두 역 J자형의 분포유형을 나타내어 신갈나무림은 당분간 안정된 상태로 지속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vegetation structure of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mongolicaforests located in Jochimryeong to Shinbaeryeong of the Baekdudaegan mountain range. The survey for 50 plotswas conducted from April 2012 to August 2013 in the permanent plots (100 m × 100 m) using phytosociologicalanalysis. As a result, the vegetations were classified into five vegetation units. In species composition, they wereclassified into Q. mongolica community group divided into 2 community such as Fraxinus rhynchophyllacommunity and Carpinus cordata community, F. rhynchophylla community was subdivided Pinus densiflorgroup (into Euonymus sachalinensis subgroup, Vitis coignetiae subgroup) and Juglans mandshurica group. C.cordata community was subdivided Acer komarovii group and Betula ermanii group. In terms of importancevalue, P. densiflora and Q. mongolica were more than 20% respectively. P. densiflora was found to have thehighest relative coverage. Analysis of interspecific association showed four types which were coincident withdifferential species and character species on the constancy table. Based on the diameter class distribution, P.densiflora forest presented a normal distribution pattern except for other species which showed a reverse Jshapeddistribution pattern, therefore P. densiflora forest would likely be replaced by Q. mongolica forests.While in Q. mongolica forest, diameter class distribution of all species population presented a reverse J-shapeddistribution pattern, therefore Q. mongolica forest could likely remain in the future.

      • KCI등재

        강원 남부 삼척과 태백지역 소나무림의 식생유형과 임분구조

        이광수 ( Kwang Su Lee ),김석권 ( Suk Kwon Kim ),배상원 ( Sang Won Bae ),이중효 ( Jung Hyo Lee ),정문호 ( Mun Ho Jung ) 한국산림과학회 2010 한국산림과학회지 Vol.99 No.6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vegetation types and stand structures of the red pine (Pinus densiflora) in Kangwon southern region for stable and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The pine forests in study sites were classified into 4 communities, 2 groups, so total 6 vegetation units. Species with high constance degree were Quercus mongolica, Rhus trichocarpa, Lindera obtusiloba, Lespedeza maximowiczii, Quercus serrata, Spodiopogon sibiricus, Aster scaber and Fraxinus sieboldiana. In the importance value(I.V.) analysis of each layer, P. densiflora showed highly in tree layer while in other layers competitive broad-leaved species such as Quercus spp. were high. P. densiflora also showed large size of DBH, while broad-leaved species distributed middle and small DBH. The annual ring growths of P. densiflora and competitive broadleaved species were variable according to area, site condition, tree year and species, it is considered that appropriate silvicultual practice methods should be employed to remove rival broad-leaved species for maintenance of sustainable red pine forest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tand.

      • KCI등재

        응복산 사면 일대 산림식생의 종 조성 및 군집 특성

        이하영 ( Ha Young Lee ),이중효 ( Jung Hyo Lee ),윤충원 ( Chung Weon Yun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5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9 No.5

        백두대간 조침령-신배령 구간의 응복산을 대상으로 2012년 4월부터 2013년 8월까지 영구조사구를 설치하여 조사하였다. 총 25개소(20 × 20m)의 산림식생조사 자료를 토대로 Z-M식물사회학적 방법에 의해 식생유형 분류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최상위 수준에서 신갈나무군락군이 분류되었으며, 군락단위에서는 난티나무군락과 물개암나무군락으로 세분화 되었다. 난티나무군락은 철쭉군과 산딸기군으로 나누어지며, 산딸기군은 다시 태백제비꽃소군과 줄딸기소군으로 분류되어 총 4개의 식생단위로 분류되었다. 사면의 해발고에 따른 중요치는 교목층에서 신갈나무의 중요치가 높게 나타났으며, 아교목층에서는 당단풍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교목층에서 신갈나무가 아교목층에서는 당단풍나무로 유지될 것이다. 종 다양성 분석결과 식생단위 3에서 0.97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식생단위1에서 0.725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종간연관 분석 결과 크게 4개의 유형으로 구분되었고, 이는 식생단위의 식별종 및 표징종과 일치하는 경향이었다. 특히 그룹Ⅰ은 철쭉의 식별종과 일치하는 경향이었으며, 그룹Ⅲ은 물개암나무군락에서 주로 출현하는 식물종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 나뉘어졌다.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vegetation structure of Mt. Eungbok located in Jochimryeong to Shinbaeryeong of the Baekdudaegan mountain range. The survey for 25 plots was conducted from April 2012 to August 2013 in the permanent plots using phytosociological analysis. As a result, the vegetations were classified into four vegetation units. In species composition, they were classified into Quercus mongolica community group divided into 2 community such as Ulmus laciniata community and Corylus sieboldiana var. mandshurica community, U. laciniata community was subdivided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group and Rubus crataegifolius group(into Viola albida subgroup, Rubus oldhamii subgroup). In terms of Importance values according to layer-specific and altitude of ridge, Q. mongolica was the highest importance value of tree layer and Acer pseudosieboldianum was highest importance value of sub tree layer. Therefore Q. mongolica and A. pseudosieboldianum could likely remain in the future of tree layer and sub tree layer respectively. Analysis of dominance most value of vegetation are on about 0.3. In ridge area was a species diversity result, vegetation unit 3 showed the highest value 0.974 and vegetation unit 1 showed the lowest value 0.725. Based on the interspecific association showed four types which were coincident with differential species and character species on the constancy table. Specially type Ⅰplant species were mostly differential species and the characteristic species, which appeared in the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community classified phytosociologically, and type Ⅲplant species were mostly the species appearing in the Corylus sieboldiana var. mandshurica community growing in the rela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