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방사선 치료계획 시 불균질 보정에 관한 고찰

        이제희,김보겸,박흥득,Lee, Je-Hee,Kim, Bo-Gyum,Park, Heung-Deuk 대한방사선치료학회 2006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Vol.18 No.2

        Purpose: To study effectiveness of heterogeneity correction of internal-body inhomogeneities and patient positioning immobilizers in dose calculation, using images obtained from CT-Simulator. Materials and Methods: A water phantom($250{\times}250{\times}250mm^3$) was fabricated and, to simulate various inhomogeneity, 1) bone 2) metal 3) contrast media 4) immobilization devices(Head holder/pillow/Vac-lok) were inserted in it. And then, CT scans were peformed. The CT-images were input to Radiation Treatment Planning System(RTPS) and the MUs, to give 100 cGy at 10 cm depth with isocentric standard setup(Field Size=$10{\times}10cm^2$, SAD=100 cm), were calculated for various energies(4, 6, 10 MV X-ray). The calculated MUs based on various CT-images of inhomogeneiti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Results: Heterogeneity correction factors were compared for different materials. The correction factors were $2.7{\sim}5.3%$ for bone, $2.7{\sim}3.8%$ for metal materials, $0.9{\sim}2.3%$ for contrast media, $0.9{\sim}2.3%$ for Head-holder, $3.5{\sim}6.9%$ for Head holder+pillow, and $0.9{\sim}1.5%$ for Vac-lok. Conclusion: It is revealed that the heterogeneity correction factor calculated from internal-body inhomogeneities have various values and have no consistency. and with increasing number of beam ports, the differences can be reduced to under 1%, so, it can be disregarded. On the other hand, heterogeneity correction from immobilizers must be regarded enough to minimize inaccuracy of dose calculation.

      • KCI우수등재

        미국 조달법상 자국산 우대제도의 법리

        이제희(Lee, Je-Hee) 한국공법학회 2020 공법연구 Vol.49 No.2

        미국은 코로나 사태(COVID-19)에 따른 일자리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조달분야에서 자국산 우대정책의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 조달분야의 대표적인 자국산 우대제도는 「Buy American Act」로 연방기관의 물품 공급 및 시설공사 계약에 적용된다. 동법의 자국산으로 인정받기 위해 제조품의 경우, 미국 내에서 생산되고, 로컬 콘텐츠 비율이 전체 원가의 50% 이상이어야 한다. 동법은 외국산 입찰에 대해 가격 페널티를 부과하여 자국산 물품의 가격 경쟁력을 높인다. 「Trade Agreements Act」는 통상협정 체결국에 한해 「Buy American Act」 등 자국산 우대제도의 적용을 면제함으로써 자국산 우대제도와 통상협정간 충돌을 방지하고 있다. 바이든 행정부에서 자국산 우대제도의 강화가 예상되는 만큼 이에 대한 제도적 방안이 무엇인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첫째, 「Buy American Act」의 자국산 판단 기준과 가격 페널티를 규정한 연방조달규정의 개정을 통해 자국산 요건을 강화하고, 외국산 물품에 대한 가격 페널티 비율을 높일 수 있다. 둘째, 자국산 물품 인정의 전제조건인 미국 내 ‘생산’ 여부가 사안별로 판단되는 만큼 연방조달규정에 ‘생산’을 신규 정의해 자국산 인정 요건을 강화할 수 있다. 셋째, 「False Claims Act」의 엄격한 적용을 통해 공급자의 원산지 책임을 강화함으로써 공급망 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통상협정의 개정을 통해 자국 내 생산을 유도할 수 있다. 조달시장의 개방은 WTO GPA에서도 합의된 만큼 FTA 개정만으로 개방 범위를 축소할 수 없지만 원산지 규정의 강화를 통해 자국 내 생산을 확대할 수 있다. USMCA와 같이 원산지 규정 강화를 통해 글로벌 공급망(GVC)의 변화가 예상된다는 점에서 미국의 통상협정 논의 동향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Due to the economic slowdown caused by the novel coronavirus (COVID-19), many countries are facing a job crisis. As the best value is critical in that government procurement is based on the governmental budget, the U.S. is pushing to strengthen its domestic products in procurement to create jobs. However, procurement is also used to foste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environmental protection, etc. The most significant domestic preference law is the Buy American Act of 1933 (BAA). The BAA applies to contracts for the supply of products and the construction of federal agencies. To be considered domestic end products of the BAA, these products must undergo a substantial transformation in the United States. The test for qualifying as domestic end products is applied in accordance with the Federal Acquisition Regulation (FAR). Manufactured products are manufactured in the US and constitute at least 50% of the total component cost by value which must come from the United States. Although the BAA does not prohibit the purchase of foreign end products, it provides a price preference for domestic end products. The United States has enacted the Trade Agreements Act (TAA), exempting signatory countries of several trade agreements, such as FTAs, from applying preferential treatment to domestic products. Thus, it resolves conflicts between discriminatory treatment toward foreign products and trade agreements. The Trump administration is pushing to strengthen its own domestic preference through executive orders. 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to the effectiveness of executive orders in that they should not violate laws. As the Biden administration is also expected to strengthen domestic preference under the slogan “Buy America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which practical measures to implement. First, it is possible to consider amending the FAR, which provides the criteria for domestic end products and increases the rate of the price evaluation penalty. Second, as the criterion of “having been manufactured in the U.S.”, a prerequisite to be considered domestic products, is determined on a case-by-case basis, it could be strictly defined in the FAR. Third, the strict application of the False Claims Act can lead to changes in the supply chain by strengthening the supplier’s responsibility of origin toward the supplier’s products. Finally, domestic preferences can be strengthened through the renegotiation or joining of trade agreements. The method of tightening the rules of origin, as specified in the United States-Mexico-Canada Agreement (USMCA), could induce the relocation of overseas plants to the United States. As new trade agreements could lead to fundamental changes in the supply chai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discussion of trade agreements in the United States.

      • KCI등재

        중소기업 지원을 위한 토지법제의 과제

        이제희(Lee Je Hee) 한국부동산법학회 2016 不動産法學 Vol.20 No.2

        중소기업이 국가 경제에서 차지하는 높은 경제적 비중과 토지가 기업생산의 핵심 요소라는 점에서 중소기업 정책과 토지 정책은 높은 상관성을 보인다. 기업이 생산한 제품의 시장 출시 전에는 시장의 경쟁을 촉진한다는 점에서 국가의 광범위한 중소기업 지원이 가능하며, 시장 출시 이후에는 중소기업이 시장에서 공정한 경쟁을 펼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사회 전체의 효용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토지 정책은 기업의 생산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만큼 적극적인 중소기업 지원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다만 토지 정책은 토지의 효율적 활용과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이라는 본연의 목적을 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중소기업을 지원해야 한다는 한계를 가진다. 중소기업의 공장설립에 대해서는 산업단지와 개별입지에서의 공장설립으로 나누어 각각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에서 규정하고 있다. 산업단지에서의 공장설립을 지원하기 위해 입주기업에 취·등록세 지원 등의 세제지원이 이루어지지만 이는 중소기업, 대기업에 모두 적용되며 중소기업만을 위한 지원책은 미비하다. 개별입지에서의 공장 설립은 「중소기업창업 지원법」의 ‘창업사업계획승인제도’를 중심으로 개별적인·허가사항을 일괄 처리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동 제도의 적용대상은 창업하여 사업을 개시한지 7년이 지나지 않은 중소기업으로 제한적이다. 일본에서는 공장설립에 대한 세제지원, 절차간소화 등의 지원책이 시행되지만 이는 중소기업만을 위한 제도가 아니다. 일본의 중소기업은 우리보다 높은 글로벌 경쟁력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일본의 중소기업 지원제도를 직접 비교하기는 어렵다. 중소기업을 위한 토지 정책은 중소기업이 입주를 선호하고, 환경정책적 측면에서 효과적인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산업단지에서의 중소기업 지원책을 확대하고, 수혜 중소기업을 확대할 수 있는 임대산업단지를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산업단지에서의 공장 매각 제한을 완화하여 중소기업의 경영 안정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개별입지에서의 행정절차 간소화 대상을 기존 중소기업과 신생 중소기업을 차별하는 것은 합리적이지 않은 만큼 ‘창업사업계획승인제도’의 적용 대상을 모든 중소기업으로 확대해야 한다. 위의 개선책은 중소기업을 위한 토지 정책의 일부에 불과하다. 향후 저성장 고착과 대·중소기업간 양극화 해소의 큰 틀에서 중소기업 정책과 토지 정책의 역할 분담에 대한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e policies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and those pertaining to land are closely correlated. This is because SMEs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national economy and land is a central factor in their production of goods. Governments can support SMEs in various ways to promote competition in the market before SMEs launch new goods. Following launch, the governments’ role is limited to protecting competition between companies. Changes in government roles according to competition lead to increases in the efficiency of society. Land policies are very helpful in this regard, because they directly influence SMEs’ production. Land policies have to be formulated with the aim of enforcing the development of national land and improving national welfare, rather than simply to benefit SMEs. Factory establishment acts can largely be divided into the Industrial Sites and Development Act and the Industrial Cluster Development and Factory Establishment Act. The Industrial Sites and Development Act provides benefits such as taxation support to large enterprises and SMEs for building factories in industrial complexes. However, the benefits for SMEs are comparatively small. The Industrial Cluster Development and Factory Establishment Act focuses on simplifying procedures involved in the establishment of factories by start-up companies on industrial sites. Land policies for SMEs have to emphasize industrial complexes meeting SMEs’ needs and contributing to effective environmental protection. Governments have to extend support to SMEs with respect to industrial complexes and developing SME-specific leases for industrial complexes. In addition, laws pertaining to the disposal of land and facilities on industrial complexes should be amended in order to relax restrictions therein. This would improve SMEs’ management stability.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extend subjects of application from start-up to all SMEs to simplify procedures of establishing factory on industrial site. The above solutions are just some of those that can be derived from land policies for SMEs. Land legislation and policies should be re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collaboration between large enterprises and SMEs; significant changes in the commercial environment, such as the Trans-Pacific Partnership Agreement; and regulations pertaining to metropolitan areas.

      • KCI등재
      • KCI등재

        알고리즘의 취급에 대한 법적 논의

        이제희(Lee, Je-Hee) 한국비교공법학회 2018 공법학연구 Vol.19 No.3

        알고리즘은 프로그램의 구성 논리로 알고리즘에 설계자의 의도가 반영된다는 점에서 알고리즘이 편향성을 갖는 것은 당연하다. 알고리즘 편향성의 허용 기준은 사적 영역과 공적 영역에 따라 다르다. 사적 영역에서 알고리즘이 개인과 기업의 자유로운 활동에 기초해 개발․활용된다는 점에서 법률에 위반되지 않는 한 알고리즘의 편향성은 허용된다. 반면 공적 영역에서는 공적 신뢰의 유지와 공공의 이익을 도모해야 한다는 점에서 알고리즘 편향성의 허용 범위는 제한적이다. 알고리즘은 「특허법」의 보호 대상이며, 「부정경쟁방지법」의 영업비밀에 해당한다. 알고리즘의 재산적 가치를 보호하는 동시에 알고리즘이 편향성이 사회에 미치는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알고리즘의 보호와 공개간 균형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알고리즘이 개인정보를 활용하는 경우,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은 보장되어야 한다. 정보처리자는 알고리즘이 영업비밀의 성격을 유지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정보주체가 개인정보의 활용 및 영향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 수준의 설명 의무를 갖는다고 규정할 필요가 있다. 알고리즘의 편향성은 설계자가 의도하지 않아도 데이터가 잘못 선택되거나, 알고리즘의 학습과정에서 기존 데이터에 존재하는 편향성에 기초해 나타날 수 있다. 법률행위에 대한 책임은 행위자와 결과 사이의 인과관계에 기초하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비의도적인 편향성에 대한 설계자의 책임을 인정하지 않으면 가해자는 없고, 피해자만 존재하는 상황이 발생한다는 점에서 「제조물 책임법」과 유사하게 설계자의 무과실책임을 인정할 필요가 있다. 알고리즘은 복잡성과 기밀성으로 인해 알고리즘의 편향성이 법률에 위배되는지 확인하기 어렵다. 알고리즘의 편향성이 개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피해자는 이에 대한 합리적 의심을 제기하는 것으로 알고리즘의 편향성이 추정되고, 알고리즘의 설계자가 이에 대한 반증 책임을 지도록 규정해야 한다. 이를 통해 알고리즘의 기밀성을 보호하는 한편 알고리즘의 편향성에 대한 설계자의 주의의무를 강화할 수 있다. An algorithm is a program of logic, which has bias due to being developed by humans. Algorithm design is based on freedom, of both individuals and businesses. Algorithms can also be treated as business secrets; thus, algorithms should be eligible for protection from disclosure. Algorithms which employ personal information may prompt inquiry for explanation of this use from affected individuals. This is based on the individual’s right of informational self-determination, which enables an individual to control the disclosure or use of his or her own personal information. An algorithms’ bias should not infringe any constitution or laws. It is very hard to detect an algorithms’ bias because of the complexity and abstraction of algorithms. Balance between creating and protecting algorithms is important because algorithms are intellectual property. When there is reasonable doubt that an algorithm violates an individual’s rights, the algorithm is presumed illegal: the algorithm’s designer bears the burden of proving the algorithms’ lack of bias.

      • KCI등재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의 원산지 판단 기준

        이제희(Je hee Lee)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성균관법학 Vol.28 No.1

        자유무역협정은 양자간 FTA를 넘어 메가 FTA로 불리는 다자간 FTA로 확대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사례가 2015년 10월 타결된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이다. TPP는 세계 최대 경제규모의 경제 공동체로 높은 수준의 시장개방과 규범을 목표로 한다. 이에 따라 TPP는 관세철폐, 서비스 시장 개방은 물론 노동, 환경, 국영기업 등에 대한 강화된 기준을 요구한다. TPP의 원산지 규정은 단일원산지를 원칙으로 하여 FTA 협정간 상이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무역애로를 해소하고자 한다. 또한 원산지 재료뿐만 아니라 비원산지 재료에 대해 역내에서 이루어진 부가가치의 누적도 인정하는 완전누적제도(full cumulation)를 채택하고 있다. 이는 한ㆍ미 FTA는 물론 다자간 FTA인 한ㆍEU FTA, 한ㆍASEAN FTA에서 회원국 간 원산지 재료에 대해서만 누적을 인정하는 것보다 원산지 판단 가능성을 높인 것이다. 또한 섬유ㆍ의류는 원사기준(yarn forward rule)을 적용하여 TPP 역내산 원사를 사용하여 역내에서 모든 생산이 이루어져야 원산지 상품으로 인정받게 된다. 이와 같이 TPP의 원산지 규정은 최종재에 대한 특혜관세 혜택을 위해 역내 분업화와 회원국 간 투자를 촉진한다. 중간재 수출비중이 높은 한국의 수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TPP 역내 글로벌 밸류체인의 참여가 필요하다. 다만 TPP 참여에 따른 경제적 영향 분석과 경쟁취약 분야에 대한 대책 마련이 선행되어야 한다. TPP 참여가 어려울 경우, TPP 회원국과 기존에 체결한 FTA의 개정을 통해 유사누적의 도입을 검토해 볼 수 있다. 그러나 TPP 회원국이 아닌 제3국의 중간재를 TPP 협정을 통해 역내 원산지로 인정한다면 이는 다른 TPP 회원국의 수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단일원산지 원칙의 예외인 만큼 TPP 회원국 전체의 동의가 필요하다. 한국, TPP 역내 중간재 수입국, TPP 역내 최종재 수입국의 3국간 양자 FTA가 체결되어야 유사누적의 활용이 가능한 만큼 유사누적제도는 TPP의 현실적인 대안이 아니다. TPP를 통해 기체결 FTA를 개선하고, 상이한 원산지 규정으로 인한 기업의 ‘FTA 피로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 장기적으로 기체결한 FTA의 원산지 표준화 작업을 통해 협정 간 통일성과 연계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The Trans-Pacific Partnership (TPP) has created the world's largest free trade economic bloc ever created in the 21 century, representing 36.3 percent of the world’s Gross Domestic Product (GDP) from its signatories, the United States, Japan and 10 other Asian Pacific nations. Aside from eliminating or reducing tariffs on goods, TPP mandates "higher standards” on labor, environment, state-owned enterprises and soon. Parties to the TPP agree on a single set of rules of origin that defines whether a good originates from a signatory country and is therefore eligible for preferential TPP tariff benefits. Among others, full cumulation is adopted in its rules of origin, to promote supply chains and investment across the member countries. Full cumulation means that materials or goods produced in one TPP nation and exported to another will be treated as if the said materials or goods originated in the second country, regardless of whether the former country was able to confer originating status. The scope of cumulation defined in the TPP’s rules of origin is broader than in the Korea-U.S., the Korea-EU or the Korea-ASEAN free trade agreements (FTAs). Furthermore, textiles and apparel are required to use yarn, fabric, and other textiles from any one or a combination of TPP partner countries to make them eligible for TPP preferential tariff benefits. As international trade is shifting from trade in goods to trade in tasks, trade in intermediate goods currently surpasses more than 50 percent of the trade in non-fuel merchandise. Considering that such global value chain is affected from trade policies, the TPP’s rules of origin would also have impacts on the global and regional supply chain of trade and investment. Korea needs to respond to the new waves of changes in the global trade to multiple regional trade agreements from the bilateral ones. To navigate the transition well and stay more competitive, it is highly necessary for Korea to take a comprehensive consideration on the participation in the TPP, as trade in intermediates goods accounts for over half of Korea's total trade. Some argue that if current conditions do not allow Korea to join the TPP, it might be a way for Korea to amend existing FTAs, signed with 10 of the 12 TPP original signatories, to take advantage of diagonal cumulation. But this is not a practical option in that different rules of origin in the 10 FTAs need to be identical and TPP members should sign bilateral FTAs.

      • 공동 작업을 지원하는 XML 데이터의 접근 권한 메커니즘

        이제희 ( Je Hee Lee ),박성은 ( Sung Eun Park ),이용규 ( Yong Kyu Lee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2 No.1

        최근에 웹 기반의 공동 작업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웹 표준 언어인 XML 데이터에 대한 접근 제어 및 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점차 중요시되고 있다. 이에 접근 제어 표준인 XACML이 제안되었지만, 공동 작업에 대한 정의가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공동 작업에 관한 기능을 기존의 XACML 스키마에 추가하여 확장하였으며, 이를 통해 기존의 공동 작업을 위한 XML 데이터에서 원하지 않는 권한 모두를 위임하는 경우를 방지하고, 권한의 오·남용을 줄일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공동 작업을 관리하기 위한 접근 권한 메커니즘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 KCI등재

        공법적 측면에서 본 주택보유 정책의 방향

        이제희(Lee, Je-Hee) 한국토지공법학회 2019 土地公法硏究 Vol.85 No.-

        헌법 제10조에서 규정한 인간의 존엄과 가치를 보장하기 위한 전제조건 중 하나가 주거권의 실현이다. 쾌적하고, 안정적인 주거환경을 위해 거주하는 주택을 반드시 보유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자가거주(自家居住)가 주거의 안정성이 크며, 공동체의 적극적 참여, 노년기 안정적 생활 보장 등에 기여한다는 점에서 주택보유 촉진정책이 필요하다. 주택공급을 위해 필요한 토지는 천부성으로 인해 사회적 공공성이 요구되지만, 그 제한에 있어 비례의 원칙이 준수되어야 한다. 주택보유 정책에 있어 다주택자보다 주택 미보유자에 대한 지원이 우선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주택구입을 위한 금융ㆍ세제지원은 세대 독립, 주택임대, 자가보유의 선순환 구조를 마련해 저출산 등 사회문제의 해소에 기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주택보유 확대를 위해 주택공급의 확대가 필요하며, 이 과정에서 다주택자의 역할도 중요하다. 다주택자는 민간 임대주택사업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선분양제도에서 1차적인 투자자로서 주택경기 활성화에 기여한다. 다주택자에 대한 무조건적인 규제보다 주택가격의 급등을 억제할 장치를 마련하고, 다주택자에 대한 양도ㆍ임대소득의 적정 과세를 고민해야 한다. 이는 다주택 보유를 투기가 아닌 투자의 수단으로 역할하도록 한다. 개인의 자산구성에 있어 주택이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만큼 주택가격의 안정은 가계자산 및 노후생활의 안정에 기여할 수 있다. 주택보유정책의 핵심인 보유세는 시장가격을 반영한 공시지가에 의해 결정된다. 이는 미실현이익에 대한 과세로 입법정책의 문제지만 주택보유자의 조세 부담에 대한 예측가능성을 축소시킨다. 취득가격에 기초해 보유세를 부과하는 미국의 사례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 더욱이 주택정책의 1순위가 주택의 보유를 촉진하는 것이라면 주택보유에 대한 과세부담을 높여 주택 미보유자의 주택구입을 주저하게 만들어서는 안된다. 현행 공시지가제도는 주택의 유형별, 지역별 시장가격의 반영 비율이 상이하다는 점에서 미실현이익을 기초로 한 과세정책의 재검토가 필요하다. 동 논의는 양도소득세 정책과 같이 논의되어야 한다. 주택의 보유기간 동안 부동산 가치 상승에 따른 세부담이 반영되지 않는다면 양도소득세를 통해 이를 보완하는 것이 주택의 공공성을 반영하고, 투기수요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One of the preconditions for assuring human worth and dignity, as stipulated in Article 10 of the Constitution, is the right to adequate housing. Owning the home in which one lives is not necessary for a pleasant and stable housing environment. However, the policy of promoting housing ownership is necessary, as owner-occupied housing contributes to the stability of a residence, old-age life security, and active community participation. It is natural for an initial home-ownership to take precedence over multi-house ownership in housing policy. The support for housing purchase can help solve social problems such as low birth rate by establishing a virtuous cycle of independence attained through marriage, housing rent, and home ownership. The expansion of housing supply is necessary to expand housing holdings, while the role played by multi-house owners is important as well. This is because multi-house owners play the role of a civil rental business entity, and contribute toward the revitalization of the housing market by being the primary investors in the pre-sales system. Regulations targeting multi-house owners should focus on curbing the soaring housing prices, and on appropriate taxation on transfer and rental incomes. The real estate tax, which forms the core of housing policy, is determined by officially assessed land prices that reflect the market prices. The real estate tax is implemented through legislative policy as a tax on unrealized capital gain that reduces the predictability of household tax burden. It is necessary to refer to the taxation system of the United States, which imposes real estate tax on the acquisition price of a house. Moreover, if the highest priority of housing policy is to promote housing ownership, it should not increase the tax burden on real estate as it can cause non-householders to hesitate in buying housing. The current system of officially assessing land prices has drawbacks such as different ratio of market prices by region and type of hous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taxation policy on the basis of unrealized capital gain. This should be discussed simultaneously with the transfer income tax. If the increased values on real estate are not included in taxation during housing holding, the values should be imposed on the transfer income tax. This would reflect the publicity of housing and curb speculative dema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