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화교의 중화요리점 연구 ― 1880년대~1920년대를 중심으로

        이정희 ( Yi Jung-hee ) 한국사회사학회 2017 사회와 역사 Vol.0 No.114

        본고는 조선화교 중화요리점의 역사와 실태에 관해 1880년대부터 1920년대까지의 시기를 중심으로 검토했다. 이 시기의 화교 중화요리점은 기존에 `중국인을 위한 중국음식`을 제공하는 단계로 규정하여 중화요리가 화교를 제외한 조선인 및 일본인 사이에 대중화되지 않았다는 것이 선행 연구의 주장이었다. 그러나 본고는 그것이 사실이 아니라는 것과 화교 중화요리점이 전국적으로 확산되어 크게 발전하고 있었다는 것을 분명히 밝혀냈다. 우선, 화교 중화요리점은 조선화교의 이주초기인 1880년대 이미 서울에 탄생했으며, 일제강점 이전의 개항기는 소규모의 중화요리음식점과 호떡집이 `중국인을 위한 중국음식`을 제공하는 것이 주를 이루었다. 하지만 1910년대와 1920년대 조선의 대일 쌀 수출의 증가로 인해 조선인의 소득이 증가하면서 인구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조선인과 통치자인 일본인의 중화요리에 대한 수요가 증가했다. 여기에 중화요리는 기본적으로 조선인의 입맛에 맞았을 뿐 아니라 하층민부터 상층민에 이르기까지 모두의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는 다양한 가격대의 음식을 갖추고 있었다. 화교 중화요리점은 서울과 인천을 비롯한 대도시뿐 아니라 화교 거주자가 거의 없는 각 군의 농촌지역까지 진출, 중화요리점 및 중화요리음식점이 1930년 10월 현재 1,635개소, 호떡집 1,139개소, 총 2,774개소에 달했다. 1920년대의 중화요리는 `중국인을 위한 중국 음식` 단계에서 `조선인·일본인과 중국인을 위한 중국 음식` 단계로 이행, 보다 대중화 되었다. 또한 각 중화요리점은 대체로 몇 명의 자본가와 노동력 제공자에 의한 합자조직으로 창업 되었으며, 노동력 제공자가 전문경영인으로서 독립경영활동을 함으로써 사업의 성공 확률을 높일 수 있었다. 1920년대 들어 서울을 비롯한 각 주요 도시에 화교 중화요리점의 동업조합이 결성되었다. 예를 들면, 서울에는 1921년 화교 중화요리점 및 중화요리음식점의 동업조합인 `중화민국요리점조합`이 결성되어 조합원의 친목 도모, 과당경쟁 방지, 업계의 질서 유지 등에 기여를 했다. 따라서 1910년대와 1920년대 화교 중화요리점의 급속한 발전은 중화요리의 대중화, 중화요리점의 독특한 합자조직, 그리고 화교 중화요리 동업조합의 결성에 의해 가능했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This paper analyzed the history and present situation of Chinese restaurant businesses based on the viewpoint of overseas Chinese in living modern Korea. With the Yi-Tai (怡泰) and Fu-Xing (福星) Chinese restaurants, which Cantonese owners have run since 1889 in Seoul, the opening of overseas Chinese restaurants date from the 1880s. The number of Chinese restaurants increased gradually in Seoul and Incheon after the 1880s. There were 50 places and 8 places of Chinese restaurant in Seoul and Incheon respectively. Chinese restaurants were largely categorized within three based distinctions based on their scale and food sell-type. A `Hottokjip` (호 떡집), was small-scale, often sold traditional Chinese bread and steamed buns, and typically run by one or two employers/ owners. The medium-scale restaurant sold Chinese wheat noodles, sweet and sour pork (탕수육), and stir-fried “glass noodles” (rice noodles), and vegetables (잡채). These were places where customers would often sit inside to dine as opposed to buying food for carry-out. The “Chinese food restaurant” (중화요리점) was a large-scale Chinese restaurant which sold high-class Cantonese and Beijing cuisine with 10 or 30 employee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Chinese restaurant in 1910s and 1920s, there were 2,774 such restaurants in various locations throughout Korea by 1930s. Chinese restaurants were largely concentrated in the Jong-Ro, Ulji-Ro, Taepyong-Ro, Manri-Tong, Chungmu-Ro, and Sogong-Tong districts. They gained popularity both with Koreans and Japanese diners. There were three main reasons for this rapid growth and development of Chinese restaurants. First, Chinese food restaurants had price flexibility that better reflected various food needs. Second, Chinese foods suited the Korean taste palette. And third, the overseas Chinese population increased, creating a higher demand for Chinese restaurants, while aiding in the growth of the modern Korean economy. Chinese restaurants were mostly organized through the General Partnership Companies, and their stockholders consisted of capital providers and managers. The restaurant`s management was exclusively entrusted in the manager, and each restaurant joined and organized the Association of Chinese Food Restaurant to deepen mutual friendship and maintain order in their business world.

      • KCI등재
      • KCI등재

        조선화교의 민간신앙과 비밀결사 ― 거선당과 의선당을 중심으로

        이정희 ( Yi Jung-hee ) 한국사회사학회 2018 사회와 역사 Vol.0 No.120

        본고는 거선당과 의선당 사원을 다양한 각도에서 검토, 사원과 관련하여 지금까지 밝혀지지 않았던 새로운 사실을 제시했다. 첫째, 의선당과 거선당 사원의 창건 연대이다. 의선당의 토지대장과 편액을 조사한 결과, 의선당 사원은 1893년 경화도진 근처의 작은 묘우로 창건되어 활동하다, 1927년 12월 현재의 의선당 부지를 매입하여 1928년 창건되었다. 이때 건축된 사원은 몇 차례의 수리를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 거선당 사원은 의선당과 마찬가지로 작은 묘우로 시작되다, 화교 정도덕과 이보산이 증여한 대지에 1907년 경 사원을 건축하여 이전했다. 이 사원은 한국전쟁 때 포격을 맞아 1954년 사합원 양식의 새로운 건축물이 건축되었고, 1983년에 현재의 건물이 건축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둘째, 거선당과 의선당은 배신선당(拜神善堂)적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는 점을 제시했다. 기존 연구에 의해 거선당과 의선당이 중국 민간신앙의 신을 모신 사원이라는 사실은 밝혀졌지만, 선당적 성격은 언급조차 되지 않았다. 거선당은 설립 당시 중국 민간종교의 일파인 재리교의 영향을 받아 계연주공소로 출발했으며, 불우한 화교를 돕는 자선활동을 펼쳤다. 중국 민간신앙의 신을 모심과 동시에 선당적 자선활동을 동시에 행하는 배신선당의 특징을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동남아화교의 선당에서 발견되는 현상이다. 셋째, 거선당과 의선당 사원은 민간신앙 제사의 공간이자 화교사회의 문화 살롱의 역할을 했다는 점을 제시했다. 거선당과 의선당 사원은 중국 민간에서 신앙하는 신을 모셔놓고 서울과 인천화교에게 종교생활의 공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각 신에 대한 제사를 통해 화교의 문화적 동질성을 유지하게 하는 역할을 했다. 즉, 거선당과 의선당 사원은 화교의 중국인성(中國人性, Chineseness)을 유지하는 공간으로 기능했던 것이다. 넷째, 의선당과 거선당 사원은 중국 청방 계열의 비밀 결사인 재가리(달마불교회)와 동거하고 있었다는 점을 제시했다. 재가리 경성지부는 1916년 동북 출신의 재가리 회원인 왕유곤에 의해 설치되었다. 의선당 사원내의 재가리는 1934년 1월 조선총독부에 의해 해체되었고, 그 후 재가리의 명칭은 달마불교회의 명칭으로 정착되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This research traces the formation of the current Bodhidharma society of overseas Chinese in Korea. The society began with the creation of two Chinese temples in the country: the kosondang (居善堂) of Seoul and the uisondang (義善堂) of Incheon in Korea. These two temples were formed as Chinese charitable institutions (善堂) tasked with assisting overseas Chinese. They were two charitable institutions of many, which were created from the end of the Ming to early Qing Dynasties. The uisondang began as a small building dedicated to the gods in 1893. The kosondang was erected afterward in 1901. The kosondang was established as a full-scale temple in 1907 and the uisondang in 1928. The two temples not only played roles as Chinese charitable institutions, but also worshipped Chinese folk gods, including Guan Yu, Ma Zu, Zisonniangniang (子孫娘娘), Husantaiji (胡三太爺), and so on. Zisonniangniang and Husantaiji were mostly worshipped in Shandong Province and Hebei Province ― the hometown of many overseas Chinese living in Korea. Kosondang worshipped 18 more Chinese folk gods than the uisondang. After Korea’s independence from Japan, kosondang combined with the popular Shandong Province religion Lijiao. The folk religion forbade its followers from drinking alcohol and smoking cigars and opium. In 1967, a Lijiao religious branch was officially established in the kosondang and uisondang. Still more, the kosondang and uisondang combined to form a secret Chinese society. The secret society of Zaijiali established itself in the uisondang. Korean Government General (Chosen Sotoku-fu) broke up the society on the grounds that it violated the Peace Preservation Law (治安維持法). Following its dissolution, the secret society changed its name to the Bodhidharma Society of Overseas Chinese in Korea.

      • KCI등재

        제1차 인도차이나전쟁 시기 베트남 ‘난교(難僑)’ 문제 : 중월국경지역을 중심으로

        이정희(YI, Jung-hee)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2020 중앙사론 Vol.0 No.52

        본고는 중화민국 외교부 당안인《귀국난교반회월남안(歸國難僑返回越 南案)》을 활용하여, 제1차 인도차이나전쟁 초기 베트남 ‘난교’ 문제에 대 해 검토했다. 검토 결과 확인된 사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1차 인도차이나전쟁 발발 전후 발생한 ‘난교’ 가운데 광시성과 윈난성으로 피 난한 난교는 대부분 베트남 북부 출신 화교라는 점이었다. 이것은 베트남 북부와 광시성, 윈난성이 중월국경을 접하고 있는 지리적 관계상 베트남 북부에서 두 개의 성으로 월경하여 피난하기 쉬웠기 때문이었다. 둘째, 광 시성과 윈난성 피난 ‘난교’는 대부분 현지 생활의 기반이 없고, 제2차 국공 내전의 정치적 혼란과 그로 인한 물가앙등 등으로 베트남의 원 거주지로 복귀하기를 희망했다. 셋째, 중화민국 정부는 ‘난교’의 베트남 복귀 진정서 를 접수하고, 다양한 외교적, 행정적 노력을 기울였다는 점이다. 난교의 구 제와 복귀업무에 관여한 정부 기관은 행정원 선후구제총서, 교무위원회, 외교부 및 주하노이총영사관과 주사이공총영사관, 사회부, 광시성 및 윈난 성 정부 등이었다. 여기에 국제연합구제부흥사업국(UNRRA) 및 국제난민 기구(IRO) 등의 국제연합기구도 참가했다. 중화민국 정부는 치열한 국공 내전 중인데도 불구하고 ‘난교’ 구제와 복귀 업무에 주어진 조건 하에서 최선을 다하려 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넷째, 베트남의 프랑스 식민당국 은 프랑스군과 베트민군 간의 교전으로 피해를 입은 ‘난교’를 위해 구제금 을 내는 한편, 양측의 교전이 진정되어 가는 1948년에 들어 여권 미소지 ‘난교’의 입국을 허가, 점차 베트남의 원 거주지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해주 었다. This paper is to review the problem of Overseas Chinese refugees of Vietnam during the First Indochina War through official documents of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Republic of China. The results of these review are as follows. Overseas Chinese refugees of Vietnam who escaped to Guangxi province and Yunnan province in China were from Northern Region of Vietnam. These reasons resulted from geographical factor with China-Vietnam border. Overseas Chinese refugees of Vietnam hoped to return to former Vietnamese residence because of no means of livelihood and hyper inflation in Chinese Civil War. After accepting their petition, the Republic of Chinese government took administrative actions, including diplomatic negotiations with French Colonial Government of Vietnam. UNRRA and IRO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 in UN played a small part in solving the problem. French Colonial Government of Vietnam provided them relief funds and removed restrictions concerning passport and visa to return to Vietnam. These actions enabled them to return to former residence of Vietnam.

      • KCI우수등재
      • KCI등재

        강원도 화교사회의 형성과 변화 : 1900년대∼1940년대를 중심으로

        이정희 ( Jung-hee Yi )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7 翰林日本學 Vol.0 No.30

        본고는 1900년대부터 1940년대까지 약 50년에 걸친 근대시기 강원도 화교의 형성과 역사를 인구의 추이, 경제활동, 그리고 화교배척사건과 중일전쟁의 영향을 중심으로 검토했다. 이를 통해 분명히 밝혀진 것은 다음의 세 가지이다. 첫째, 화교의 강원도 정착은 대체로 1900년대에 이뤄졌으며 1920년대 타 지역에 비해 높은 인구 증가율을 보였다. 그러나 조선화교 전체에서 강원도 화교가 차지하는 비중은 1-3%에 불과, 화교의 거주가 희박한 지역의 하나였다. 강원도 화교는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산동성 출신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둘째, 강원도 화교의 직업은 상인, 노동자, 농민이 중심이었으며, 타 지역에 비해 노동자의 비중이 높았다. 화상은 포목상점과 잡화점을 경영하여 각 군에서 상당한 세력을 형성하고 있었으며 노동자는 수리조합, 철도, 도로공사의 노동자로 일했다. 농민은 상업 목적의 야채재배를 활발히 전개, 춘천의 경우 야채시장을 독점하는 지위를 차지했다. 또한 화교건축청부업자는 1910년대 풍수원성당, 용소막성당, 원주성당의 고딕식 붉은 벽돌 건물을 시공했다. 셋째, 강원도화교는 1931년 7월 발생한 화교배척사건으로 큰 인적, 물적 피해를 입었으며 타 지역보다 중국으로 귀국한 화교가 많았다. 그것은 강원도 화교 가운데 노동자의 비중이 높았기 때문이었다. 중일전쟁 때도 타 지역에 비해 많은 화교가 귀국하여 화교의 경제활동이 많이 위축되었다. 1938년 이후 인구가 점차 회복되었지만 이전의 인구를 완전히 회복하지 못한 채 해방을 맞이했다. This paper examined mainly on the population transition of Overseas Chinese , their economic activities and anti-Chinese movement in Gangwon Province during 50 years from the 1900`s through the 1940`s. The analysis gives the following results. First of all, overseas Chinese started to settle down in Gangwon Province in 1900s, their population increased rapidly compared with other regions in the 1920s. But, Gangwon Province was a lower density of population that accounted for only 1-3% in the population of overseas Chinese in Korea. They were mainly from Shantung Province in China. Secondly, their main job was merchants, workers, and farmers. Compared with other regions, worker`s share in their population was high. Chinese merchants managed dry-goods stores and general stores which formed influential force in respective areas in Gangwon Province. Chinese workers worked in the workplace of reservoirs, railroads, and roads as a coolie. Chinese farmers mainly cultivated vegetables and especially made a monopoly of supplying commercial vegetables in Chuncheon region. Chinese building contractors constructed religious building in the Gothic style with red bricks like this Pungsuwon, Yongsomak and Wonju Catholic Church in the 1910s. Thirdly, they were severely damaged by Korean rioters in anti-Chinese movement of 1931, and a great number returned home in china. The reason to have high ratio of returning home compared with other regions has relation to the high ratio of workers in their population. The Second Sino-Japanese War brought about much damage to weaken their economic activities. Their population started to recovery from 1938 according to their returning to Gangwon Province, but never amounted to their population of the previous war.

      • KCI등재

        초등학생을 위한 실내화 디자인의 소비자 감성요소에 관한 연구

        이정희 ( Yi Jung Hee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9 한국디자인포럼 Vol.25 No.-

        인간의 신체 중 발은 인간으로서의 의미를 갖게 하는 직립자세와 두발로 걷는 이족보행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신발 디자인은 기능적인 측면과 미용적인 측면 모두 만족해야한다. 하지만 최근 들어 기능적인 측면보다는 외형디자인 측면이 강조되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 그러나 신발은 의류에 비해 보다 성장단계에 영향을 끼치므로 필요요소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이 실내에서 장시간 신는 실내화 디자인의 소비자들이 원하는 감성요소에 대해 규명하는 것이다. 현재 유통 판매되고 있는 실내화의 구조와 특징에 대한 차이를 비교분석하기 위해 학령기 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학교와 학원에서 사용하는 실내화라는 제품에 대한 소비자 감성을 상승시키기 위한 요소가 어떤 것인지 조사하여 현재의 실내화에 대한 만족도와 불편도, 실내화를 구입할 때 중요시 생각하는 감성요소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1학년에서 6학년까지의 학령기 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1:1 직접설문을 실시하였고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요인분석과 군집분석을 하였다. 소비자 실증분석을 위한 최종 감성 형용사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옷과 어울리고 둘째, 감성적 스타일을 유지하며 셋째, 편안하고 기능적인 스타일을 선호한다는 결과로 분석되었다. 편안하고 든든한 멋진 친구와 같은 실내화제품을 원한다는 결론이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를 토대로 실내화 디자인 개발에 적용한다면 보다 실용적이고 차별화된 제품을 창조할 것으로 사료되며 본 논문은 실내화에 대한 실증 자료를 제시하기위한 자료로 의의가 있다고 사료된다. One of human body, feet do the major role of standing erect and walking as two feet, which it makes human beings different from other species. The main purpose of shoes are needed for proper development of feet and protects from cold and injury. Shoes also should give feet move easier and freer. Therefore, shoe design should have functionality and beauty factor. These days, it tends to highlight in beauty than functionality. Nevertheless, shoes influence on students who are in the growing stage rather than clothes. That is why I seek for essential functions of shoes he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nvestigate the customer emotional factors of indoor shoes that students put on at their school for long time. In order to analyze comparatively the differentiation of structures and features of indoor shoes that have circulated and sold in present market, I surveyed students and their parents about what is the major factor of increasing customers` emotions of indoor shoes students use at school and institute, and what are satiable and uncomfortable factors when they buy indoor shoes. In this study, I researched face to face from the 1st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to 6th ones, and I analyzed factor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using SPSS 12.0 The result of customer emotional analysis for customer demonstrative analysis is as below. Firstly, indoor shoes become suitable with clothes. Secondly, it must have emotional style. Lastly, customers prefer comfortable and functional style. In conclusion, customers buy more comfortable and friendlier products. The design of indoor shoes based on this demonstrative analysis result would create more Koran style and differentiated products. I think this thesis is significant to show the demonstrative reference of indoor shoes.

      • 건강기능식품의 패키지디자인 연구

        이정희(Yi, Jung H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2

        본 논문은 건강기능식품의 이미지 개선을 위한 패키지 디자인을 진행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수집하기 위한 연구이다. 설문조사에 의한 분석으로 진행하였다. 추후 광범위한 조사를 토대로 심도 있는 연구결과가 진행되어 건강기능식품의 이미지를 구축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근대 조선화교의 중화상회 설립과 그 역할: 대구중화상회를 중심으로

        이정희 ( Yi Jung Hee ) 국민대학교 중국지식네트워크 2021 중국지식네트워크 Vol.17 No.-

        본고는 대구중화상회를 사례로 들어 조선의 중화상회의 설립 과정과 역할에 대해 검토한 것이다. 대구화상공회는 1921년 대구화상동향회로 조직되어 활동하다, 화교 인구의 증가와 화상 경제의 발전으로 기존의 조직으로는 업무를 처리할 수 없는 한계에 직면, 1928년 5월 대구화상공회로 개조되었고, 회관도 건축했다. 공회의 회관 건축에는 대구부와 경상북도 군지역 그리고 경성과 인천 소재의 주단포목수입상점 등이 다액의 기부를 했다. 화상공회는 화교사회 질서유지를 위한 규칙을 제정하고 이를 어겼을 경우는 벌금을 부과했다. 화상공회 운영을 위해 문두연, 방연과 같은 회비를 징수하고, 대구부청에는 일반 기부와 소방조 유지비 등을 납부하여 지역사회와 관계를 유지하려 했다. 중화민국 남경국민정부는 1929년 8월 신 상회법을 공포하면서 조항 내에 중화상회 설립의 기준을 완화하고, 정부가 중화상회 설립을 독려하면서, 대구화상공회는 1930년에 대구중화상회로 개조됐다. 대구중화상회 장정은 대구화상공회 장정과 비교할 때, 신 상회법의 규정을 철저히 적용했으며, 기존의 의원제에서 집행위원과 감찰위원으로 구성된 위원제를 채택했다. 중일전쟁 시기, 대구중화상회는 이전의 위원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었으며, 직원(임원)의 구성은 1930년 출범 시에 비해 주단포목상점 경영자가 대폭 감소한 반면에 식당 경영자가 대폭 증가했다. 대구중화상회는 화교등기증, 회국증명서, 거주허가증 등의 신청과 수취 등의 서비스를 화교에게 제공했으며, 왕징웨이 남경국민정부의 주부산중화민국영사관에 관내 화교 관련 각종 변동 사항을 보고했다. 또한 대구중화상회는 화교자제의 교육을 위해 대구화교소학을 설립하고, 정부로부터 보조금을 받아내는 데도 큰 역할을 했다. This paper is to review the foundation and role of Chinese Chamber of Commerce in Daegu(CCCD) in modern Korea. CCCD was established as a Association of Chinese Merchants from Shantung Province in 1921, reorganized to Association of Chinese Chamber of Commerce in Daegu(ACCCD) in 1928. ACCCD built their hall with Chinese merchants’ donation from Daegu, Seoul, and Incheon. ACCCD had a relation with Daegu city office with donating for fire brigade, and other donations. ACCCD was reorganized to CCCD on the basis of Chinese Chamber of Commercial Law in 1930. CCCD was chartered by Chinese government, undertaken his inspection. After the Second Sino-Japanese War, CCCD played an intermediary role between Overseas Chinese and Republic of Chinese Cousulate in Busan, Daegu Japanese local governmet. Many kinds of certificate was issued with a help of CCCD on behalf of them. CCCP was forced to participate in donation work for national defence. CCCP got started their activities to establish their Chinese elimentary School, obtained certification of the school establishment from Kyesangbuk-do Provincial government on August in 1941.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