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퇴행성 요추 질환에 있어서 황색 인대의 조직학적 소견

        이정섭(Jung Sub Lee),신종기(Jong Ki Shin),최경운(Kyung Un Choi),서근택(Kuen Tak Suh)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3

        목적: 퇴행성 요추 질환에 있어 황색 인대의 병리 조직학적 소견과 임상 증상 및 방사선학적인 소견과의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단분절 퇴행성 요추 질환으로 수술적 치료를 시행했던 척추관 협착증 15예와 퇴행성 척추 전방 전위증 11예를 대상으로 황색인대를 전절제하여 조직 병리학적으로 황색 인대 내의 탄성 섬유의 양과 주행방향, 교원 섬유의 양 그리고 국소 병변을 측정하였다.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으로 나이, 성별, 술 전 Japanese Orthopaedic Association (JOA) 점수, 신경학적 파행의 양상, 척추 전방 전위의 정도, 추간판의 높이, 추체간의 각도, 추체간 운동범위를 측정하였다. 결과: 황색 인대 내 탄성 섬유의 양, 탄성 섬유의 주행방향, 그리고 교원 섬유의 양은 술 전 JOA 점수와 통계학적 의의가 없었다. 황색 인대 내의 국소병변으로 혈관 형성이 15예, 석회화가 10예, 연골세포가 9예, 골화가 8예, 결절종성 낭종이 5예, 육아종성 조직이 4예가 있었다. 석회화가 있었던 군(10예)에서의 환자의 나이는 평균 70.3세였으며 없었던 군(16예)은 평균 63.8세로 나이가 많은 환자에서 석회화의 발생이 높았다. 석회화가 있었던 군과 없었던 군의 술 전 평균 JOA 점수는 13.5점, 15.6점로 석회화가 없었던 군에서 접수는 높았다. 골화는 퇴행성 척추 전위증(7예)에서 척추관 협착증(1예)에서 보다 발생 빈도가 높았다. 결론: 퇴행성 요추 질환의 황색 인대의 조직소견에서 다양한 국소병변이 관찰되었다. 황색 인대 내 석회화의 발생은 연령이 높은 환자에서 빈도가 높았으며 술 전 JOA 점수는 석회화가 발생한 군에서 낮았다. 골화는 퇴행성 척추 전방 전위증 환자에서 척추관 협착증 환자에서보다 발생 빈도가 높아 국소 동적 요소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histological findings of ligamentum flavum (LF) and the clinical symptoms or radiological findings of patients with degenerative lumbar disease. Materials and Methods: Twenty-six patients with mono-segmental degenerative lumbar diseases (15 patients with spinal stenosis and 11 patients with degenerative spondylolisthesis) underwent a surgical decompression with en bloc resection of the LF. Tissue specimens of the LF were pre-pared, and the changes in the elastic and collagen fibers were evaluated. The focal lesions were observed in the LF. The following clinical and radiological parameters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determine the possible association with the histological findings: age, gender, preoperative Japanese Orthopaedic Association (JOA) score, the type of neurogenic intermittent claudication, % slip, height of the intervertebral disc, intervertebral angle, intervertebral angle of motion.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the changes in the elastic or collagen fibers and the JOA score. In regard to the focal lesions in the LF, vascularization was observed in 15 cases, calcification in 10, chondrocyte in 9, ossification in 8, ganglion-like cystic lesions in 5 and granulation in 4. The average age of the patients with and without calcification were 70.3 and 63.8 years, respectively. The average preoperative JOA scores of the patients with and without calcification were 13.5 and 15.6 points, respectively. Ossification was more commonly observed in those with degenerative spondylolisthesis (7 cases) than in those with spinal stenosis (1 case). Conclusion: Various focal lesions in the LF were observed. Calcification was observed more frequently in elderly patients, and the average preoperative JOA scores of the patients with calcification were lower. Ossification was observed more frequently in patients with degenerative spondylolisthesis (7 cases) than in those with spinal stenosis (1 case), suggesting involvement of a mechanical load in the ossification of ligaments.

      • KCI등재

        흉추부 경막내 고립성 섬유종

        이정섭(Jung Sub Lee),문남훈(Nam Hoon Moon),최경운(Kyung Un Choi),서근택(Kuen Tak Suh) 대한정형외과학회 200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2 No.5

        섬유종은 중피성 결체조직에서 기원한 종양으로 드물지만 흉막에 주로 발생하며 연부조직이나 기타 상기도, 복막, 후복막, 골막, 두개내 등에서 발생할 수 있다. 최근 고립성 섬유종이 중추신경계에서 발생된 보고가 있으나 경막내 고립성 섬유종의 발생은 드물며 국내에는 이러한 보고가 없다. 이에 저자들은 제 7-8 흉추부에 발생한 경막내 고립성 섬유종 1예에 대하여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여 우수한 결과를 얻었으며, 면역조직검사상 vimentin 양성, CD34에 약양성, S-100 단백, 알파 민무늬근의 actin, desmin에는 음성의 결과를 보여 경막내 고립성 섬유종으로 진단되었다. A fibrous tumor is a rare tumor that arises mainly in the visceral pleura but can occur in many locations throughout the body including the soft tissue, upper respiratory tract, peritoneum, retroperitoneum, periosteum, and intracranial portion. Recently, a solitary fibrous tumor was found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However, the incidence of an intradural solitary fibrous tumor is quite low and there are no domestic reports of such cases. We report a case of intradural extramedullary solitary fibrous tumor of the thoracic spine. A favorable clinical result was obtained using surgical treatment. The immunohistological findings revealed the tumor to be reactive to vimentin and CD34 but negative to the S-100 protein, alpha smooth muscle actin and desmin.

      • KCI등재
      • KCI등재

        Intraarticular Corticosteroids Modulate the Osteoprotegerin/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κB Ligand System in the Synovial Fluid in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Jung Sub Lee(이정섭),Jeung Tak Suh(서정탁) 대한정형외과학회 200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3 No.2

        목적: 관절내 스테로이드 주입이 오랜 기간 동안 관절염의 보조적 치료로 사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기전은 아직 잘 모르고 있는 상태이다. 이 연구에서는 관절내 스테로이드 주입 전과 주입 2주 후 혈장과 활액내의 OPG와 RANKL을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저자들은 류마티스 관절염을 앓고 있고 슬관절 삼출이 있는 6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환자에게 triamcinolon acetonide 40 ㎎을 관절내 주사를 주었다. 관절내 주사 전과 주사 후 2주에 혈장과 활액을 채취하였다. 적혈구 침강 속도, C-반응 단백, 류마티스 인자, 혈장 내와 활액 내 OPG와 RANKL을 측정하고 이를 주사 전, 후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결과: 관절내 스테로이드 주입 후 활액 내 RANKL 수치의 현저한 감소를 보였다. 활액 내 RANKL 수치의 감소로 인해 활액 내 OPG/RANKL 비가 현저히 증가하였다. 스테로이드 주입 후 혈액학적인 요소, 혈장 내 RANKL과 OPG 그리고 활액 내 OPG 수치의 변화는 관찰할 수 없었다. 결론: 관절내 스테로이드 치료는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서 활액내 OPG/RANKL 시스템을 골 보호 효과를 내는 방향으로 변화시킨다. 이러한 기전은 관절내 스테로이드 작용에 대한 하나의 설명이 될 것이다. Purpose: Despite the fact that intraarticular corticosteroids are a longstanding adjuvant treatment for inflammatory arthritis, their mechanisms of action are not completely understood. This study evaluated the osteoprotegerin (OPG) and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κB ligand (RANKL) levels in the serum and synovial fluid before and 2 weeks after injecting intraarticular corticosteroid. Materials and Methods: Sixty seven patients were identified with joint effusions of the knee and suffering from rheumatoid arthritis. All the patients received an intraarticular injection of 40 ㎎ of triamcinolone acetonide. The sera and synovial fluid were obtained before and 2 weeks after the injections. the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C-reactive protein, rheumatoid factor, serum OPG and RANKL levels and synovial OPG and RANKL levels were measured before and 2 weeks after the injections. Results: The intraarticular corticosteroids induc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levels of synovial RANKL. The decrease in the level of synovial RANKL caus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synovial OPG/RANKL ratio. There were no changes in the hematological factors, serum OPG, serum RANKL or synovial OPG observed after the corticosteroid injection. Conclusion: Treatment with intraarticular corticosteroids modulates the OPG/RANKL system in the synovial fluid toward a bone-protective effect in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This mechanism might explain part of the mode of action of intraarticular corticosteroids.

      • KCI등재
      • KCI등재

        추간판 탈출증 환자에 있어 신경인성 방광 발생의 예측

        이정섭(Jung Sub Lee),박현준(Hyun Jun Park),신원철(Won Chul Shin),서근택(Kuen Tak Suh)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3

        목적: 요추 추간판 탈출증 환자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양상을 분석하여 신경인성 방광의 발생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대상 환자 중 신경인성 방광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요역동학 검사를 시행했던 26예에 대하여 자기공명영상으로 추간판이 탈출된 부위의 경막강 전후 직경, 경막강의 단면적을 측정하였으며 요통, 하지의 방사통, 회음부 감각 이상, 배뇨기능, 하지 근력약화 소견과 Japanese Orthopaedic Association (JOA) 점수를 측정하였다. 결과: 총 26예 중 13예(50%)에서 요역동학 검사상 신경인성 방광으로 진단되었으며, 요역동학 검사에서 신경인성 방광으로 진단된 1군(13예)의 경막강의 전후 직경은 평균 6.8 (4-9) ㎜였으며, 정상이었던 2군(13예)의 경막강의 전후 직경은 평균 9.0 (8-10) ㎜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p<0.001). 경막강의 전후 직경을 이용한 신경인성 방광 발생의 예측에서 전후 직경이 7 ㎜에서 69.2%의 민감도와 100%의 특이도를 보였다. 1군의 경막강 평균 횡단면은 74.9 (50-96) ㎟, 2군은 86.2 (60-103) ㎟였으며(p=0.069), 경막강의 횡단면을 이용한 신경인성 방광 발생의 예측에서 횡단면이 77 ㎟에서 61.5%의 민감도와 84.6%의 특이도를 보였다. 임상증상 중 회음부 감각 이상이 있는 9예에서는 모두 신경인성 방광의 결과를 보였으나 술전 JOA 점수는 신경인성 방광의 발생과 통계학적인 연관성이 없었다. 결론: 요추부 추간판 탈출증에서 경막강의 전후 직경과 회음부 감각 이상이 신경인성 방광의 존재를 예측할 수 있는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Purpose: To predict the development of a neurogenic bladder based on an analysis of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findings in patients with lumbar disc herniations. Materials and Methods: Twenty-six patients, who were suspected of having neurogenic bladders, underwent urodynamic testing. The anteroposterior diameters and the cross-sectional areas of the dural sacs at the herniated disc levels were measured by magnetic resonance imaging. Clinically, we evaluated lower back pain, radiating pain, saddle anesthesia, bladder function, motor weakness of the lower limbs, and the Japanese Orthopaedic Association (JOA) score. Results: Thirteen (50%) of the 26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positive neurogenic bladders. The average anteroposterior diameters of the dural sacs in group Ⅰ (13 cases) with positive neurogenic bladders and in group Ⅱ (13 cases) with negative neurogenic bladders, were 6.8 (range, 4-9) ㎜ and 9.0 (range, 8-10) ㎜, respectively (p<0.001). When an anteroposterior diameter of 7 ㎜ was used as the threshold value for differentiation between the anteroposterior diameter of the dural sac and a neurogenic bladder,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were 61.5% and 100%, respectively. The average cross-sectional areas of the dural sacs in group Ⅰ and group Ⅱ were 74.9 (range 50-96) ㎟ and 86.2 (range 60-103) ㎟, respectively (p=0.069). When a cross-sectional area of 77 ㎟ was used as the threshold value for differentiation betwee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dural sac and a neurogenic bladder,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were 61.5% and 84.6%, respectively. All 9 patients who had saddle anesthesia were diagnosed with positive neurogenic bladders.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 preoperative JOA score and the development of a neurogenic bladder. Conclusion: The anteroposterior diameter of the dural sac and saddle anesthesia might be important factors in predicting the presence of a neurogenic bladder in patients with lumbar disc herni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