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튜브 이용, 광고 및 비용 인식이 유튜브 프리미엄 지속 구독의도에 미치는 영향 : 20대 대학생 집단을 중심으로

        이정기 ( Lee Jeongki ) 한국지역언론학회 2022 언론과학연구 Vol.22 No.1

        2021년 6월 1일부로 유튜브의 광고 정책이 변경됐고, 수용자들은 이전보다 더 많은 광고에 노출되어야 하는 상황에 처했다. 이에 따라 광고 없이 유튜브를 시청할 수 있는 유료 구독 서비스인 유튜브 프리미엄에 대한 가입자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실제로 그러할까. 이 연구는 유튜브의 유료 구독 모델인 유튜브 프리미엄에 대한 구독행위를 이끌어 내는 결정요인이 무엇인지 확인함으로써 최근 성장하고 있는 온라인 콘텐츠 유료화 모델 산업의 지속적 성장에 기여하고자 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튜브 이용동기 중 시간을 보내기 위해(시간 보내기 동기), 정보 추구를 위해(정보 추구 동기) 유튜브를 이용할수록 유튜브 프리미엄에 대한 긍정적 인식(태도)이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유튜브 광고가 혼란스럽다는 인식(광고혼란 인식)이 높을수록, 계획행동이론 변인 가운데 유튜브 프리미엄 이용에 대한 긍정적 인식(태도)이 높을수록, 자신의 의지에 의해 유튜브 프리미엄 이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는 인식(인지된 행위통제)이 높을수록. 유튜브 프리미엄 구독에 대한 비용 인식(지각된 비용 인식)이 낮을수록, 유튜브 프리미엄을 유료로 구독 경험이 유튜브 프리미엄 지속 구독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튜브 이용동기와 이용량은 유튜브 프리미엄 구독 태도에 23.7%의 설량을, 계획행동이론 변인, 광고 방해성 인식, 유료화 인식 및 유튜브 프리미엄 구독 경험 등의 변인은 유튜브 프리미엄 지속 구독의도에 86.8%의 높은 설명력을 이끌어 냈다. 이 연구는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수용자들의 유료 영상 콘텐츠 구독행위를 이해해 내는 동시에 유튜브 프리미엄 구독 행위를 극대화하기 위한 조건이 무엇인지에 대한 함의를 제시했다. YouTube changed its advertising policies on June 1, 2021, and users were put in a situation of being exposed to more ads than b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number of YouTube Premium subscribers will increase as it is a paid subscription service that allows people to watch YouTube without being exposed to advertising. Has the number increased as expected? This study set out to identify the determinants of subscription behavior for YouTube Premium, the paid subscription model of YouTube, which contributes to the continuous growth of the paid online content business.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killing time and pursuing information, two motivations for using YouTube, had positive effects on the attitude of subscribing to YouTube Premium. Advertising confusion, a variable of advertising hindrance, attitude and recognized behavior control, two variables of the planned behavior theory, perceptions of costs (-), and experience of subscribing to YouTube Premium had significant effects on intention to continue the subscrip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offers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the act of subscribing to paid video content and finds out conditions to maximize the subscription of YouTube Premium.

      • KCI등재

        대학생들의 지역신문 이용과 평가를 통한 지역신문 개선방향의 탐색: 부산지역 대학생들에 대한 서면인터뷰를 중심으로

        이정기 ( Jeongki Lee ),금현수 ( Hyunsoo Keum ),이나연 ( Nayeon Lee ),최진호 ( Jinho Choi ),김영수 ( Youngsoo Kim ) 한국지역언론학회 2015 언론과학연구 Vol.15 No.4

        이 연구는 지역신문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평가되는 젊은 독자층의 지역신문 이탈방지 및 유입 극대화 전략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젊은 독자층인 대학생 31명을 대상으로 서면인터뷰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첫째, 지역신문 이용 이유는 지역특화 콘텐츠 이용, 취업 도움, 관성 등으로, 지역신문 비이용 이유는 비용(접근성) 문제, 대체 미디어 이용, 특화 콘텐츠 부족, 흥미성 부족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신문 애착 이유는 지역문제 해결을 위한 필요, 지역사회 발전의 토대, 지역대표성 이미지 등이었다. 반면, 비애착 이유는 흥미성 부족, 대체 미디어, 정치적 편향성 등이었다. 셋째, 지역신문 공정성 저평가 이유는 외부세력 개입, 정치적 성향 개입 등이었고, 지역신문 심층성 저평가 이유는 문제제기 이후 심층/탐사보도 부족 등이었다. 지역신문 흥미성 저평가 이유는 킬러콘텐츠 부족 등이었다. 넷째, 강화해야 할 콘텐츠는 흥미성 강화 연성 콘텐츠, 다양한 소재의 콘텐츠, 시사보도 기능 콘텐츠였고, 지역성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심층성/연속성 있는 콘텐츠 개발, 지역민과의 소통창구 구축, 시사보도 강화 등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본 연구는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신문의 성장을 위해 필요한 몇가지 제언을 수행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trategies of preventing loss of and maximizing inflow of young local newspaper readers in order to overcome a crisis of local newspaper. For this, we performed written interview on 31 people aimed at 20’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purposes of usage of local newspaper were shown as usage of local-specialized contents, val-id information for finding a job, old habit, etc., meanwhile the reasons of non-usage were shown as cost(accessibility), using a substitution-media, shortage of specialized contents, lack of interest, and so on. Second, the reasons of attachment for local newspaper were shown as solving local problems, foundation of local community development, image of local representation, etc., whereas the reasons of non-attachment were shown as lack of interest, using a substitution-media, political bias, and so forth. Third, the reasons of low evaluation for fairness of local newspapers were showed as intervention of outside power and political position; for depth of news were lack of in-depth/investigative reporting after problem posing; for interest was showed as lack of killer contents. Fourth, contents that need to be improved were showed as soft contents based on interest, contents containing diverse topics, and contents of news and current affairs, and the way to reinforce locality was recognized as developing depth/continuity contents, constructing spaces of communication with local people, and reinforcing news and current affairs. Based on such findings, we carries out to give some proposals for developing local newspaper.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연예인·인플루언서(Influencer)의 플렉스(Flex) 문화가 대학생들의 과시적 소비성향, 삶에 대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정기 ( Lee Jeongki ),황우념 ( Huang Yutien ) 한국지역언론학회 2021 언론과학연구 Vol.21 No.1

        2019년 이후 각종 미디어를 통해 ‘플렉스(Flex)’에 대한 노출이 빈번해지고 있다. 플렉스가 하나의 문화 트렌드로 인식되면서 플렉스에 대한 2030세대 수용자들의 인식은 대체로 긍정적인 편이다. 그러나 플렉스가 어떠한 효과를 이끌어 내는지를 검증한 실증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이 연구는 2030세대를 중심으로 형성되고 있는 ‘플렉스 문화’의 긍정적, 부정적 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해 보고자 했다. 20대를 대상으로 진행된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플렉스 노출은 상대적 박탈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동기 유발감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긍정적 플렉스 인식은 상대적 박탈감에 부적인 영향을, 동기 유발감에는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플렉스 노출은 브랜드 지향 과시성향에 부적인 영향을, 유행제품 지향 과시성향에는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긍정적 플렉스 인식은 과시적 성향 모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상대적 박탈감은 과시적 성향 모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여섯째, 상대적 박탈감과 동기 유발감은 삶에 대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일곱째, 브랜드 지향 과시성향은 정적으로 유행제품 지향 과시성향은 부적으로 삶에 대한 만족도에 영향을 미쳤다. 이 연구는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미디어에 의해 만들어진 플렉스 문화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실천적 제언을 수행했다. The exposure of flex, which means conspicuous consumption, has been increasing via media since 2019. Because flex is recognized as a cultural trend, users in their twenties or thirties have a positive awareness of it. There is, however, a shortage of empirical research on the effects of flex. In this aspect,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empirically the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f flex culture formed by people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The study specifically focuses on individuals in their twentie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exposure to flex had positive effects on comparative deprivation and no effects on motivation; second, the awareness of flex had negative effects on comparative deprivation and motivation; third, exposure to flex had negative impacts on brand-oriented ostentation tendency and positive ones on fashionable product-oriented ostentation tendency; fourth, the awareness of flex had positive influences on all ostentation tendencies; fifth, comparative deprivation had positive influences on all ostentation tendencies; sixth, comparative deprivation and motivation had no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and finally, brand-oriented ostentation tendency had positive impacts on life satisfaction, and fashion-able product-oriented ostentation tendency had negative impacts on i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made practical proposals to solve the problems of flex culture created by the media.

      • 해양 재해쓰레기 수거량 현황 및 발생원 분석

        이정기(JeongKi LEE),박세완(Sewan PARK),하윤진(Yoon-Jin HA),오정환(Jeong-Hwan OH)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21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10

        해양쓰레기 유입은 육상기인과 해상기인 쓰레기로 구분되며, 주로 육상기인 해양쓰레기는 강을 통해 유입되며 해상기인 해양쓰레기는 선박, 양식시설, 어장 등 해상활동 중에 버려지거나 유실되어 해상에 유입된다. 제3차 해양쓰레기 관리 기본계획수립을 위한 연구에 따르면, 매년 해양으로 유입되는 해양쓰레기는 홍수기 재해쓰레기 약 62천톤을 포함하여 육상기인 해양쓰레기 약 95천톤이 유입되며, 해상기인 약 50천톤으로 총 145천톤으로 추정하고 있다. 정부는 매년 수거사업을 통해 약 69천톤의 해양쓰레기를 수거하고 있으며, 특히 홍수 및 태풍 등 재해의 영향으로 발생한 항 및 해안가 재해쓰레기 약 4천톤을 수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 재해쓰레기 수거량 정보(2009-2018)를 기반으로, 해양쓰레기의 기원을 파악하고자 한다. 지역별 해양 재해쓰레기 수거 누적량은 전남지역(56,026톤)이 가장 많았으며 경남, 충남, 경북 순으로 나타났다. 년도 별로는 6년(2010, 2011, 2012, 2016, 2017, 2018)에서 많은 수거량을 보였으며, 이는 2017년을 제외하고는 태풍이 발생한 년도와 잘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수거량이 가장 높은 2012년도에는 7~9월 동안 태풍이 3개가 발생하였으며, 전남, 경북, 경남, 충남 4개 해역에서 많은 해양 재해쓰레기가 수거되었으나, 3개의 태풍이 발생한 2010년 경남과 충남, 2018년도에는 전남과 충남 해역에서 많은 해양 재해쓰레기가 수거되었다. 또한, 태풍이 발생한 2013, 2014, 2015년도에 해양 재해쓰레기 수거량은 아주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태풍 경로와 크기 등 우리나라 해역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2017년은 태풍이 발생하지 않았음에도 충남지역에서만 해양 재해쓰레기 수거량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해상기인 재해쓰레기 보다는 집중호우로 인한 육상기인 재해쓰레기 수거와 관련이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해, 해양 재해쓰레기 발생은 태풍 및 홍수 발생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향후, 태풍 이동 경로 및 강도에 따른 양식설비의 분포와 영향으로 인한 해상기인 해양 재해쓰레기 발생량 추정과 육상기인 수거량 정보를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해양 재해쓰레기 기원을 평가하고자 한다. The inflow of marine debris is divided into land-based and marine-based sources. Mainly land-based debris inflows through rivers, and marine-based debris is thrown into the sea or lost during maritime activities such as ships, aquaculture facilities, and fishing grounds. According to “A Study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3rd Marine Litter Management Basic Plan”, it is estimated that a total of 145 thousand tons of debris flows into the ocean every year with about 50 thousand tons of marine-based debris and about 95 thousand tons of land-absed debris including 62 thousand tons of disaster waste during the flood season. The government collects about 69 thousand tons of marine debris every year through the collection project, and in particular about 4 thousand tons of debris from disasters such as floods and typhoons in ports and coastal areas. In this study, the origin of marine debris is to be identified based on the amount of marine disaster debris collected (2009-2018). Jeonnam (56,026 tons) shows the largest amount of marine disaster debris collection by region, followed by Gyeongnam, Chungnam, and Gyeongbuk. By year, high amount of collection was seen in 6 years (2010, 2011, 2012, 2016, 2017, 2018) and it shows a good agreement with the year of typhoon except for 2017. In 2012, when the amount of collection was the highest, three typhoons occurred between July and September, and the amount was mainly collected from four regions in Jeonnam, Gyeongbuk, Gyeongnam, and Chungnam. However, high amount of marine disaster waste was mainly collected from the 2 regions of Gyeongnam and Chungnam in 2010 and from the 2 regions of Jeonnam and Chungnam in 2018 even though the same number of typhoon occurred in 2012. In addition, the amount of marine disaster debris collected in 2013, 2014, and 2015, when typhoons occurred, was found to be very low. It is caused the path and intensity of the typhoon did not directly affect the Korean waters. In particular, the amount of marine disaster debris collection was high only in the Chungnam region even though there was no typhoon in 2017. It is caused that this is related to the amount of marine disaster debris from land-based sources during the flood season rather than marine-based disaster debris. Through this study, it can be seen that the occurrence of marine disaster debris is closely related to the occurrence of typhoons and floods. In the future, It will be evaluated the origin of marine disaster waste by considering the estimation of the amount of marine disaster debris from marine-based sources due to the distribution and influence of aquaculture facilities according to the path and intensity of the typhoon and information on the amount collected from land-based sources.

      • KCI등재

        사회적 기업에 대한 사회성과 인센티브의 경제적 효과 : 통제집단합성법(SCM)을 이용한 사례연구

        이정기(Jeongki Lee),문정빈(Jon Jungbien Moon) 한국전략경영학회 2020 전략경영연구 Vol.23 No.1

        본 연구는 SK그룹에서 시행하는 사회성과 인센티브가 해당 사회적 기업의 경제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사례연구이다. 이를 위해, 개별 기업 단위의 분석에서 특정 사건이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방법론인 통제집단합성법(SCM)을 활용하였다. 분석을 위해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에서 제공하는 사회적 기업 자율경영공시자료를 바탕으로 2013년부터 2017년까지 5개년 간 연속적으로 경영현황을 공시한 사회적 기업을 선정하였고, 이 중 사회성과 인센티브에 참여하고 있는 12개 기업을 주요 분석대상인 처치집단(treated unit)으로 선정하였다. 아울러 이들 기업에 대한 비교대상으로 42개 기업을 통제집단(control group)으로 선정하여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12개 기업 중 6개 기업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고, 해당 기업들에서는 사회성과 인센티브가 경제적 성과인 매출액에 긍정적인 영향과 부정적인 영향이 혼재되어 나타났으며, 이는 각 사회적 기업의 업종이나 인증유형에 따른 차이에서 비롯되거나 정부보조금과 유사한 성격의 사회성과 인센티브 지급으로 인해 경제적 성과 개선보다는 사회서비스 등 사회적 성과에 보다 초점을 맞추는 일종의 구축효과(crowding-out effect)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정부차원의 지원이 아닌 민간에서 이루어지는 지원에 대한 연구로서 기존의 사회적 기업성과를 분석한 연구와 차별점을 가진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사회성과 인센티브 제공시 사회적 성과 이외에도 경제적 성과를 측정하는 등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한 인센티브 지급이 이루어진다면 사회적 기업의 경제적 성과 개선 및 자생력을 갖춘 사회적 기업 생태계 조성 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estimate the effect of Social Progress Credit(SPC) from SK, on the economic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 in Korea. For the research, Synthetic Control Method (SCM), an analyzing approach for estimating the quantitative effect of an treatment in firm-level study, was used. Six of 12 treated units were analyzed successfully. most of them showed the positive effect of the SPC on economic performance, sales, and some of them did the negative effect. One of the possible explanation about the negative effect is the crowding-out effect, the firms’ tendencies to focus more on social performance than economic performance. In order to improve the economic performance of the social enterprises, a consideration the firm’s economic value creation performance is needed when evaluating and measuring the social value which the SPC participants created.

      • KCI등재

        대학생들의 전공영역 플립러닝형 영어 전용강의 수강의도 결정요인 연구

        이정기(Jeongki Lee)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18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15 No.-

        이 연구는 이용과 충족 이론, 기술수용모델, 계획행동이론의 융합모델인 IMTBPT 모델을 활용하여 대학생들의 전공영역 플립러닝형 영어 전용강좌 수강의도 결정요인을 확인해 보고자 했다. 이를 통해 대학생들의 플립러닝형 영어 전용강좌 수강의도를 높이기 위한 대학, 교수 차원의 전략에 대한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러닝 수강동기는 학습 자율성, 학습 용이성, 학습 콘텐츠 우수성 동기 등 3개로 나타났다. 둘째, 이러닝 수강동기 중 학습 자율성(-), 학습 콘텐츠 우수성(+) 동기는 플립러닝형 전공영역 영어 전용강의 수강의도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플립러닝형 영어 전용강좌에 대한 인식 중 전공 능력에 대한 인식(+)과 영어 능력에 대한 인식(-)은 각각 플립러닝형 전공영역 영어 전용강의 수강에 대한 태도와 수강의도에 영향을 미쳤다. 넷째, 기술수용모델 변인 중 용이성은 유용성에 정적 영향을 미쳤고, 유용성과 용이성은 플립러닝형 전공영역 영어 전용강의 수강에 대한 태도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유용성은 플립러닝형 전공영역 영어 전용강의 수강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계획행동이론을 구성하는 3가지 변인 모두 플립러닝형 전공영역 영어 전용강의 수강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This study set out to identify the determinants of college students’ intention to take flipped learning-type EMI courses in their majors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strategies of universities and professors to increase the intention to take such course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college students had three motivations to take an e-learning course: autonomy of learning, ease of learning, and excellence of learning content. Second, of their motivations to take an e-learning course, autonomy of learning(-) and excellence of learning content(+) had effects on their intention to take a flipped learning-type EMI course in their major. Third, of their perceptions of flipped learning-type EMI courses, their perception of their major abilities(+) and their perception of their English skills(-) had impacts on their attitude and intention. Fourth, of the variables of the TAM, easiness had positive impacts on usefulness. In addition, usefulness and easiness had positive effects on the college students’ attitude. Usefulness also had positive effects on their intention to take such a course. Finally, all the variables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had positive influences on their intention.

      • KCI등재

        공유가치 창출(CSV) 전략의 유형화와 실천전략

        이정기(Jeongki Lee),이장우(Jangwoo Lee) 한국경영학회 2016 Korea Business Review Vol.20 No.2

        본 연구는 사회적 문제 해결을 통해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를 동시에 창출하는 경영방식인 공유가치 창출(CSV) 전략의 유형화에 관한 연구이다. 따라서 CSR과 CSV의 개념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함께, 가치창출의 원천, 가치창출의 결과의 두 관점을 기반으로 유형화를 위한 분석 틀을 제시하였고, 이를 통해 CSV를 4개의 유형(시장-경제형 CSV, 기술-경제형 CSV, 시장-사회형 CSV, 기술-사회형 CSV)으로 분류하였다. 이러한 분류를 기반으로 하여, 본 연구는 다중사례연구로서 유형별 각각의 사례를 분석하였는데, 분석대상으로는 삼성전자, SK텔레콤, 유한킴벌리, CJ제일제당으로 이들 기업이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CSV 사업들을 분석하였다. 사례분석을 통해 제시된 CSV의 각 유형별 특성을 고려하여 효과적인 CSV 실천을 위한 명제를 도출하였고, 유형 간 추진방식 간의 비교, 기업생태계 관점에서의 종합적인 분석을 통해 각각 명제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명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장 기반공유가치 창출(CSV) 전략에서는 접근하고자 하는 시장에 따라 사회적 문제를 다르게 설정해야 한다. 둘째, 공유가치 창출(CSV) 전략에서는 기업생태계의 생산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업이 보유한 다양한 분야의 역량을 활용함으로써 협력업체의 경쟁력을 향상시켜야 한다. 셋째, 효과적인 CSV의 실천을 위하여 시장 기반의 공유가치창출(CSV) 전략은 Bottom-Up 방식으로, 기술 기반의 공유가치 창출(CSV) 전략은 Top-Down 방식으로 추진해야 한다. 넷째, 기업생태계의 건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공유가치 창출(CSV) 전략을 실행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Creating Shared Value(CSV), the concept that creating both economic value and social value simultaneously. This study presents a framework for classifying CSV based on two perspectives – the source of value creation and the result of the value creation – derived from literal review about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and CSV. On the basis of the framework, this study divided CSV into four types – Market-Economic type, Technology-Economic type, Market-Social type, and Technology-Social type. In addition to this classification of CSV,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multiple-case study which analyzes the cases regarding the four types of CSV. Samsung Electronics, SK Telecom, Yuhan-Kimberly, and CJ CheilJedang were selected as the four cas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CSV, overall four propositions for effective practice of CSV were derived and they were confirm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governance among the four types of CSV. In addition, each CSV type was analyzed synthetically from the perspective of business ecosystem.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five implementation strategies to practice successful CSV are presented in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