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텐실 프린트법으로 인쇄한 Sn-1.8Bi-0.7Cu-0.6In 솔더의 고온 시효 특성

        이재식,조선연,이영우,김규석,전주선,정재필,Lee Jaesik,Cho Sun-Yun,Lee Young-Woo,Kim Kyoo-Suk,Cheon Chu-Seon,Jung Jae-Pil 한국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 2005 마이크로전자 및 패키징학회지 Vol.12 No.4

        새로 개발된 Sn-1.8Bi-0.7Cu-0.6In 솔더의 리플로우 후 고온시효 특성을 전당강도 및 미세구조 분석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범프 형성을 위하여 스텐실 프린트법을 사용하였다. Sn-1.8Bi-0.7Cu-0.6In 솔더의 전단강도가 초기 및 고온시효 후에도 가장 높았고, 생성된 계면 금속간화합물은 리플로우 초기뿐만 아니라 시효 후 동일 하게 $(Cu,\;Ni)_6Sn_5$가 형성되었다. 또한, 500시간 시효 이전에 솔더의 분리 현상이 관찰되었다. Aging characteristics of newly developed Sn-1.8Bi-0.7Cu-0.6In solder was evaluated by shear strength and microstructure. Stencil printing was applied to form solder. The shear strength of Sn-1.8Bi-0.7Cu-0.6In at $150^{\circ}C$ showed the highest values through aging. Intermetallic compounds formed on the interface between solder and Au/Cu/Ni/Al UBM were $(Cu,\;Ni)_6Sn_5$ Furthermore, it was found that Spatting of Intermetallic compounds started before 500h aging at $150^{\circ}C$.

      • KCI등재

        중년 및 고령운전자의 지속적 횡적추적과 시각도에 따른 자극선택 수행 차이

        이재식(Jaesik Lee) 한국자료분석학회 2020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2 No.6

        본 연구에서는 지속적 횡적추적과 시각도를 달리한 자극의 선택반응이 동시에 요구되는 조건에서 중년운전자와 고령운전자가 보인 횡적추적에서의 에러 크기, 선택반응에서의 반응속도 및 반응정확률에서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횡적추적은 중심시 영역에서 임의의 수평방향으로 계속 이동하는 표적에 대해 휠을 이용하여 커서자극을 일치시키는 것이었다. 선택반응 과제는 5°와 10°의 시각도를 갖는 두 조건의 자극에 대해 미리 정해진 페달을 선택하여 빠르고 정확하게 반응하는 것이었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령운전자 집단은 중년운전자 집단에 비해 횡적추적에서 더 큰 에러를 보였다. 둘째, 고령운전자 집단은 중년운전자 집단에 비해, 그리고 자극 시각도가 작은 조건에 비해 큰 조건에서 유의하게 더 느린 반응시간과 더 낮은 반응정확률을 보였다. 특히 자극 시각도 증가에 따른 반응시간에서의 증가폭은 중년운전자 집단에 비해 고령운전자 집단에서 상대적으로 더 컸으나 반응정확률에서는 이러한 상호작용 효과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중년운전자와 비교하여 고령운전자의 경우에는 횡적추적에서의 전반적 어려움뿐만 아니라 자극 시각도가 증가할수록 자극 처리에서의 수행이 더 저하될 수 있다는 것과 반응의 속도보다는 반응의 정확성에 초점을 둔 반응 방략을 사용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difference in error magnitude in the lateral tracking, the response speed and response accuracy in the selection response the middle-aged and elderly drivers were compared under continuous lateral tracking demand. The lateral tracking was to match the cursor stimulus using a wheel for a target that continuously moves in an arbitrary horizontal direction in the central vision area. In the selective response task, the drivers were instructed to respond quickly and accurately to two types of stimuli with 5° and 10° visual angles with corresponding pedal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lderly drivers showed a greater error in lateral tracking than the middle-aged drivers. Second, compared to the middle-aged drivers, the elderly drivers showed significantly slower response speed and lower response accuracy in the visual angle of 5° than that of 10°. In particular, the increase in response time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the stimulus eccentricity was relatively greater in the elderly drivers than in the middle-aged drivers, but this interaction effect was not observed in the response accuracy.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elderly drivers can experience the overall difficulty in lateral tracking and visual processing for peripherally presented stimuli. Also, it seemed that the elderly drivers adopt response strategy of focusing accuracy rather than speed of the response.

      • KCI등재

        중다 반응시간 과제에 기반한 중년, 고령 및 뇌졸중 고령 운전자의 반응시간과 반응정확성에서의 차이 비교

        이재식 ( Jaesik Lee ),주미정 ( Mijung Joo ),김정호 ( Jung-ho Kim ),김영근 ( Young-keun Kim ),이원영 ( Won-young Lee ),류준범 ( Jun-beom Ryu ),오주석 ( Ju-seok Oh ) 한국감성과학회 2017 감성과학 Vol.20 No.1

        본 연구는 운전자 연령대와 뇌손상 여부에 따라 다양한 반응시간 과제에서의 반응시간과 반응정확성에서 어떠한 차별성이 있는지 살펴볼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30-50대의 중년운전자, 65세 고령운전자, 그리고 65세 이상의 뇌졸중 고령운전자들을 대상으로 단순반응, 2-선택반응, 자극 이심률을 달리한 4-선택반응, 탐색반응 및 동적자극탐지 과제에 대한 수행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으로 중년, 고령 및 뇌졸중 고령운전자 순으로 느린 반응시간을 보였으나 자극 이심률이 작은 조건(5<sup>o</sup>)에 비해 큰 조건(10<sup>o</sup>)에서 뇌졸중 고령운전자의 반응시간이 다른 집단에 비해 더 두드러지게 지연되었다. 둘째, 전체 반응시간에서 단순 반응시간을 감산한 반응시간을 분석한 결과, 2-선택반응 과제와 동적자극 탐지과제에서의 집단간 반응시간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는데, 이것은 이러한 과제들에서의 반응시간 차이가 단순 반응시간에 의해 주로 결정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셋째, 일시적 기억을 요구하는 탐색과제에서는 두 고령운전자 집단이 중년운전자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느리고 부정확한 수행을 보였다. 넷째, 집단간 반응정확성에서의 차이는 선택 대안이 많은 과제와 기억을 요구하는 과제에서 두드러졌다. 이러한 결과는 기억 요구를 수반하는 탐색과제는 중년과 고령운전자 사이의 수행을, 반면 자극 이심률 조건은 뇌졸중 여부에 따른 고령운전자 집단에서의 수행 차이를 민감하게 반영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Differences in reaction time and accuracy were compared among driver groups of middle-, old-, and stroke old-age drivers using various reaction time tasks including simple reaction task, 2-choice task, 4-choice task with different stimuli eccentricity, search task, and moving target detection task.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although overall reaction time tended to be slowed with age and stroke, stroke old drivers showed significantly slower reaction time than the other driver groups when the stimuli were presented in a large eccentricity. Second, differences in reaction time for 2-choice task and moving target detection task seemed to be determined mainly by participants` simple reaction time. Third, the search task which required temporary retention of previously presented stimuli was found to be more sensitive in discriminating difference in reaction time between middle-age drivers and old-age drivers (including stroke old drivers). Fourth, reaction accuracy of old (and stroke old) drivers decreased when more stimuli alternatives were presented and temporary retention for stimuli was required. Altogether, memory demand in reaction time task can be sensitive to evaluate performance for different age groups, whereas size of useful field of view for brain stroke.

      • KCI등재

        고령운전자에 대한 선택반응 반복훈련 효과

        이재식(Jaesik Lee) 한국자료분석학회 2021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3 No.1

        본 연구는 손 반응과 발 반응을 구분한 선택반응 과제에 대한 반복훈련이 고령운전자들의 반응시간과 반응정확성에서 어떠한 양상의 변화를 가져오는지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날을 달리한 5회의 훈련회기에 걸쳐 손 반응이 요구되는 2개 자극과 발 반응이 요구되는 2개 자극을 무선적으로 제시한 후 고령운전자들이 5회의 훈련회기에 걸쳐 보인 자극 선택반응에서의 반응속도, 반응정확성, 반응시간 변산성 및 오반응 유형별 빈도에서의 변화를 종속치로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으로 실험참가자들은 훈련회기의 진행에 따라, 그리고 발 반응보다는 손 반응에서 더 빠르고, 정확하게, 그리고 더 작은 반응시간 변산성으로 반응하였다. 둘째, 손 반응의 경우 훈련회기의 진행에 따라 반응시간과 반응시간 변산성이 점진적 으로 감소한 반면, 발 반응의 경우는 특정 훈련회기까지 급속한 감소를 보인 후 더 이상의 향상을 보이지 않았다. 셋째, 발 선택 오반응은 손 선택 오반응에 비해 세 배 정도 빈도가 높았을 뿐만 아니라 훈련회기가 진행되어도 수행에서의 향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고령운전 자에 대한 반복적 선택반응 훈련이 반응의 속도와 정확성에서 전반적인 향상을 가져오기는 하지만 브레이크와 액셀러레이터를 서로 혼동하여 잘못 선택하는 등의 특정 오반응은 반복적 훈련에 의해서도 향상되기 힘들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how the repetitive training for choice response task changes response time and accuracy of elderly drivers. Two stimuli requiring a hand-response and 2 stimuli requiring a foot-reaction were presented over 5 training sessions. Response speed, response accuracy, reaction time variability, and frequency of error types were analyzed as dependent values. The mai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articipants showed faster, more accurate, and less variability in reaction time with the progress of the training session and in hand-response than foot-response. Second, hand-response resulted in gradually decreased reaction time and variability of reaction time as the training session progressed, whereas in the case of foot-response, after a rapid decrease until a specific training session, there was no further improvement. Third, in the foot-selection condition, the frequency of false reactions was higher than in the hand-selection condition, and no improvement was observed in performance even after the training session progressed.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although repetitive choice response training for elderly drivers results in an overall improvement in the speed and accuracy of the reaction, certain response error, such as confusing brake and accelerators with each other, may be difficult to be improved even by repeated training.

      • KCI등재

        개인적 사고 경험이 불안전감 평가에 미치는 영향

        이재식(Jaesik Lee),최윤식(Yun-Sik Choi) 한국자료분석학회 2021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3 No.4

        본 연구는 다양한 유형의 사고 경험에 따라 개인이 느끼는 스트레스의 수준에서의 차이와 개인의 정서성이 환경이나 타인에 대한 주관적 불안전감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자료는 설문조사 전문업체에 의뢰하여 수집되었고, 총 953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사고유형 중에서 타인에 의한 폭행은 남성이, 반면 성추행/성폭행은 여성이 상대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비율로 사고 경험을 보고하였다. 둘째, 타인에 의한 폭행과 성추행/성폭행 경험에 의한 스트레스 수준은 자신의 실수에 의한 상해나 교통사고에 의한 스트레스 수준에 비해 유의하게 더 높았다. 셋째, 타인에 의한 폭행 사고와 성추행/성폭행 사고에서 스트레스 수준과 부정정서 수준 사이의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관찰되어 부정정서 고수준 조건에서만 사고 스트레스에 의한 불안전감 수준의 유의한 증가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심각한 사고에 의해 개인이 경험한 스트레스가 환경이나 타인에 대한 불안전감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사고유형에 따른 스트레스 경험 수준과 함께 개인의 정서성을 통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Difference in the stress level experience by various types of accidents, and interactive effect of stress level and affectivity on feeling of unsafety were investigate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by online, and a total of 953 participants data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or relative accident experience rate, males showed higher rate in physical violence by others than females, whereas females experienced more sexual assault than males. Second, the stress level caused by physical violence and sexual assaul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stress level experienced by unintentional injuries and traffic accidents. Third, in the case of physical violence by others and sexual assault,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stress level and negative affect was significant. Specifically, the feeling of unsafety caused by the accidents tended to be high when negative affect was also high.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order to understand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stress level experienced by various types of accident, and its effect on the feeling of unsafety, individual s affectivity should be considered integrally.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도로 유형과 운전자 연령대에 따른 운전 시뮬레이터 멀미 차이

        이재식(Jaesik Lee) 한국자료분석학회 2021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3 No.5

        본 연구는 운전 시뮬레이션 상황에서 운전자가 경험하는 시뮬레이터 멀미에서의 차이를 운전자의 연령대와 도로 유형에 따라 비교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실험참가자의 연령집단은 30대의 젊은 운전자 집단과 60대의 노인 운전자 집단으로 구분하였고. 도로 유형은 고속도로, 지방도로 및 시내도로로 구분하였다. 운전 시작 이전의 멀미 점수를 포함하여 각 도로 유형에서 주행을 마친 직후 측정한 메스꺼움, 안구운동 불편 및 방향감각 상실 점수를 세 가지 멀미 유형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30대 운전자 집단과는 달리 60대 운전자 집단은 모든 도로 유형 조건과 멀미 유형 조건에서 운전 시작 전에 비해 운전이후의 멀미 점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둘째, 연령대별로는 60대 운전자 집단이 30대 운전자집단에 비해, 그리고 도로 유형별로는 시내도로, 지방도로, 고속도로의 순으로 시뮬레이터 멀미점수가 상대적으로 더 높았다. 셋째, 각 멀미 유형별로 멀미 점수에 대한 도로 유형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30대 운전자에 비해 60대 운전자 집단의 경우는 모든 멀미 유형에서 도로 조건간 멀미 점수 차이가 뚜렷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운전자의 연령대와 도로 유형에 따라 시뮬레이터멀미에서 차이가 있고, 특히 주변시에서의 빠르고 큰 움직임의 변화가 시뮬레이터 멀미를 야기하는 주요 요인임을 시사한다.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road type and driver s age on simulator motion sickness were investigated.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age groups 30s and 60s, and three types of road were highway, rural road, and urban road. Nausea, oculomotor discomfort, and disorientation scores measured before and after driving and were analyz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unlike young driver group, old driver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imulator sickness after driving compared to before driving in all road types and sickness types. Second, main effects of age group and toad types were found: old drivers reported relatively higher simulator sickness scores for simulator sickness compared to young driver, and sickness score was higher in the order of in urban road, ryral road, and highway. Third, there was a clear difference in simulator sickness score between road conditions in all motion sickness types in old drivers compared to those in their 30s. The results suggest that tsimulator sickness can be differed by driver s age group and road type, and that rapid and large movement changes in peripheral vision are the main factors that cause sickness in the simulator.

      • KCI등재

        조직의 안전실천에 대한 평가와 안전행동 사이의 관계

        이재식(Jaesik Lee)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9

        산업재해는 국가, 조직, 개인 차원 모두에서 큰 손실을 가져올 뿐만 아니라 근로자의 삶의 질을 저해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308명의 생산직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지기법을 통해 조직의 안전분위기를 결정짓는 주요 요인 중 하나인 조직의 안전실천에 대한 작업현장근로자의 평가와 이들의 안전행동 사이의 관련성 및 이 두 가지 변인 사이의 관련성을 조절하는 직무관여의 효과를 상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구 참여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다른 변인들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연령이나 근속연수가 높을수록 조직의 안전실천에 대한 평가가 긍정적이고, 직무관여 수준이 높으며 안전행동수준도 높았다. 둘째, 근로자들이 조직의 안전실천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할수록, 그리고 직무관여 수준이 높을수록 안전행동을 수행하는 경향이 컸다. 셋째, 전반적으로 보면 안전실천에 대한 평가가 긍정적일수록 안전행동을 준수하는 경향이 유의하게 높았으나 이러한 경향은 직무관여 수준이 높을수록 더 뚜렷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조직에서 근로자의 안전행동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안전규정을 포함한 안전실천의 효율적 시행이나 교육과 함께 근로자 직무관여를 높이는 방안이 동시에 모색되어져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Industrial accidents can bring serious national, organizational, and personal loss. And it is one of a most influencing factors which can deteriorate individual’s well-being.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s subjective evaluation for organizations’s safety practice and safety behavior,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involvement on the relationship. Subjective rating scores for safety practice evaluation, safety behavior, and job involvement were collected from 308 in-field workers and analyzed by using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workers’ age and years of employment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positive evaluation for safety practice, job involvement, and safety behavior. Second, the participants showed higher score of safety behavior as they evaluated safety practice more positively and involved in their job. Third, most importantly, it was found that job involvement significant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practice and safety behavior. That is, this tendency was more prominent in higher job involvement condition than in lower job involvement condition. The results suggested that increasing job involvement in organization is very crucial to enhance worker’s safety behavior.

      • KCI등재

        운전능력에 대한 주관적 평가가 고령 운전자의 이동성과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주미정 ( Mijung Joo ),이재식 ( Jaesik Lee ) 한국감성과학회 2016 감성과학 Vol.19 No.2

        본 연구는 고령 운전자의 운전능력에 대한 주관적 평가와 객관적 수행, 이동성 및 주관적 안녕감 사이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고령 운전자들의 이동성과 주관적 안녕감은 설문조사 방법을 통해 측정하였다. 운전능력에 대한 주관적 평가는 다양한 운전 상황을 도시적으로 제시한 후 각 상황에서의 운전능력을 주관적으로 평정하게 하였고, 객관적 수행은 운전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령 운전자의 운전능력에 대한 객관적 수행과 이동성 사이의 상관은 유의 하지 않았던 반면, 주관적 평가와 이동성 사이의 상관은 정적으로 유의하였다. 그리고 이동성과 주관적 안녕감의 하위요인 중 삶의 만족, 긍정 정서와는 정적인 반면, 부정 정서와는 부적인 상관이 관찰되었다. 둘째, 고령 운전자의 운전능력에 주관적 평가가 높을수록 이동성 수준이 높았고, 이러한 높은 이동성은 다시 주관적 안녕감의 하위 요인 중 삶의 만족과 긍정 정서를 정적으로 반면, 부정 정서는 부적으로 예측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고령 운전자의 주관적 안녕감에는 객관적 운전수행보다는 운전능력에 대한 스스로의 평가가 더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lationships among the older drivers`` subjective evaluation and objective performances for driving ability, mobility and subjective well-being. Scores for mobility and subjective well-being were obtained using questionnaires. Diagram-based driving scenarios and driving simulation were used to measure subjective and objective driving abilities, respectively.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subjective evaluation scores of driving ability but not objective driving performanc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mobility. Second, the higher level of mobility predicted higher life satisfaction, higher positive affectivity, and lower negative affectivity. Third, the older driver``s higher scores of subjective driving ability induced higher level of mobility, which, in turn, increased life satisfaction and positive affectivity but lower negative affectivity. The results suggested that subjective rather than objective ability for driving is more important in determining the level of old driver``s subjective well-being.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